KR100867852B1 - 수신 방법 및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신 방법 및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852B1
KR100867852B1 KR1020077008031A KR20077008031A KR100867852B1 KR 100867852 B1 KR100867852 B1 KR 100867852B1 KR 1020077008031 A KR1020077008031 A KR 1020077008031A KR 20077008031 A KR20077008031 A KR 20077008031A KR 100867852 B1 KR100867852 B1 KR 100867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mmunication system
target
data
mim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8607A (ko
Inventor
세이고 나까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0339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6785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8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6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payload signals; piggyb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대응하고 있지 않은 시스템의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한다. 무선부(60)는, 대상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 혹은 MIMO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를 수신한다. 판정부(72)는, 대상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의 형식을 갖는 MIMO 시그널이, 대상 LTS와 대상 시그널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부(72)는, 대상 LTS와 대상 시그널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신호점의 배치가, MIMO 시그널에서의 신호점의 배치에 대응하고 있으면, 수신한 버스트 신호에, MIMO 시그널이 패치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지시부(74)는, 판정부(72)에서 MIMO 시그널이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MIMO 시그널의 후단에 배치되는 MIMO-STS 등에 대해서, 베이스 밴드 처리부(62)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MIMO 시그널, 버스트 신호, 대상 시스템, MIMO 시스템, 신호점, 대상 LTS

Description

수신 방법 및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방법 및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면서, 멀티 패스 환경 하에 강한 통신 방식으로서, 멀티 캐리어 방식의 하나인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 방식이 있다. 이 OFDM 변조 방식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의 표준화 규격인 IEEE802.11a,g나 HIPERLAN/2에 적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무선 LAN에서의 버스트 신호는, 일반적으로 시간과 함께 변동하는 전송로 환경을 통해서 수신되고, 또한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을 받으므로, 수신 장치는 일반적으로 전송로 추정을 동적으로 실행한다. 수신 장치가 전송로 추정을 실행하기 위해, 버스트 신호 내에, 2종류의 기지 신호가 설정되어 있다. 하나는, 버스트 신호의 선두 부분에서, 모든 캐리어에 대하여 설정된 기지 신호로서, 소위 프리앰블이나 트레이닝 신호로 불리는 것이다. 또 하나는, 버스트 신호의 데이터 구간 중에 일부의 캐리어에 대하여 설정된 기지 신호로서, 소위 파일럿 신호로 불리는 것이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참조).
비특허 문헌 1: Sinem Coleri, Mustafa Ergen, Anuj Puri, and Ahmad Bahai, "Channel Estimation Techniques Based on Pilot Arrangement in OFDM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broadcasting, vol.48, No.3, pp.223-229, Sept.2002.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와이어리스 통신에서, 주파수 자원을 유효 이용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가,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 기술이다.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 기술은, 복수의 안테나에서, 각각 송수신되는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제어함으로써, 안테나의 지향성 패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어댑티브 어레이 안테나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고속화하기 위한 기술에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이 있다. 해당 MIMO 시스템은,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가 각각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각각의 안테나에 대응한 하나의 채널을 설정한다. 즉,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사이의 통신에 대하여, 최대 안테나수까지의 채널을 설정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이와 같은 MIMO 시스템에, OFDM 변조 방식과 같은 멀티 캐리어 신호를 전송하는 기술을 조합하면,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더욱 고속화된다.
MIMO 시스템이 아니며, 또한 OFDM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이하, 「대상 시스템」이라고 함)과, MIMO 시스템이며, 또한 OFDM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이하, 이것을 간단히 「MIMO 시스템」이라고 함)이 동일한 주파수 밴드에서 공존하는 경우, 수신 장치가 양방의 버스트 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면, 그 중에서 필요한 신호를 확실하게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스트 신호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공통의 프리앰블 신호를 규정하고, 그와 같은 프리앰블 신호를 버스트 신호의 선두 부분에 배치하는 것이 유효하다. 한편, IEEE802.11a와 같은 대상 시스템의 수신 장치는, 일반적으로, 버스트 신호의 전체를 복조하고, 복조한 버스트 신호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에, 버스트 신호를 파기하도록 동작한다. 그를 위해서, 대상 시스템의 수신 장치는, MIMO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에 대해서도 복조를 행한다. 그 결과, MIMO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의 트래픽이 커지게 되면, 대상 시스템의 수신 장치는, 유효한 버스트 신호를 복조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수신 장치의 소비 전력이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대응하고 있지 않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가 도래한 경우라도,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는 수신 방법 및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임의의 양태의 수신 장치는, 소정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이며, 또한 채널에 배치되는 기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와,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이 공간 분할된 복수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이며, 또한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의 형식을 가진 제어 신호가,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판정부에서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이며, 또한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와, 판정부에서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제어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이며, 또한 제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제2 수신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지시부를 구비한다.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형식」이란,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의 수와 동일한 채널의 수에 의해 규정되는 형식이나,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의 수와 다른 채널의 수이지만,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 장치에서 수신 가능한 신호의 배열에 의해 규정되는 형식을 포함하고, 요는,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 장치에서 수신 가능한 형식이면 된다.
이 양태에 따르면,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가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형식을 갖고 있으므로, 수신 장치는,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한 경우에 수신의 동작을 정지하므로,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와, 제어 신호는, 신호점의 배치가 서로 다르도록 규정되어 있고, 판정부는, 기지 신호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신호점의 배치가, 제어 신호에서의 신호점의 배치에 대응하고 있으면,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하여도 된다. 이 경우, 신호점의 배치의 상위에 의해, 제어 신호의 배치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와, 제어 신호는, 복수의 캐리어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데이터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와, 제어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 중, 서로 대응하는 캐리어에 파일럿 신호 가 할당되고, 데이터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과,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은, 동일한 신호점 배치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위상을 갖도록 규정되어 있고, 판정부는, 기지 신호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의 위상이,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의 위상에 대응하고 있으면,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하여도 된다.
「서로 대응하는 캐리어」란, 복수의 캐리어 중의 동일한 캐리어에 상당하고, 이것은, 동일한 주파수에 대응한 캐리어에 상당한다. 또한, 동일한 주파수에 대응한 캐리어가 아니어도, 그들 사이의 대응이 인식되어 있으면 된다. 이 경우, 파일럿 신호의 위상의 차이에 의해, 제어 신호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와, 제어 신호는, 복수의 캐리어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데이터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와, 제어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 중, 서로 대응하는 캐리어에 파일럿 신호가 할당되고, 데이터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과,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은, 서로 다른 신호점 배치를 갖도록 규정되어 있고, 판정부는, 기지 신호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 배치가,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의 신호점 배치에 대응하고 있으면,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하여도 된다. 이 경우,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의 신호점 배치의 차이에 의해, 제어 신호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와, 제어 신호는, 복 수의 캐리어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데이터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와, 제어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 중, 서로 대응하는 캐리어에 파일럿 신호가 할당되고, 데이터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과,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은, 동일한 신호점 배치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위상을 갖도록 규정되고, 또한 데이터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과,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은, 서로 다른 신호점 배치를 갖도록 규정되어 있고, 판정부는, 기지 신호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의 위상이,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의 위상에 대응하고, 기지 신호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 배치가,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의 신호점 배치에 대응하고 있으면,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하여도 된다. 이 경우, 파일럿 신호의 위상의 차이와,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의 신호점 배치의 차이를 사용하면서, 제어 신호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지시부는, 제어 신호로부터, 제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의 길이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 신호의 길이에 따른 기간에 걸쳐, 제2 수신부의 동작을 정지시켜도 된다.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의 전단에는,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가 더 배치되어 있고, 지시부는,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로부터, 제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의 길이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 신호의 길이에 따른 기간에 걸쳐, 제2 수신부의 동작을 정지시켜도 된다. 이 경우, 제2 통신 시스템에 서의 데이터 신호의 길이에 기초하여, 동작을 정지하는 기간을 조절하므로, 다음에 도래하는 버스트 신호에 대하여, 통상의 수신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도 또한, 수신 장치이다. 이 장치는, 소정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1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로부터, 채널에 배치되는 기지 신호를 수신하거나, 혹은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이 공간 분할된 복수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2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로부터,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와 소정의 관계를 가지면서, 복수의 채널의 각각에 배치되는 기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와, 수신한 기지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를 특정하는 특정부와, 특정한 관계가,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하고 있지 않으면,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이며, 또한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와, 특정한 관계가,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하고 있으면,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이며, 또한 제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제2 수신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지시부를 구비한다.
「관계」란, 복수의 신호에서의 관계, 예를 들면 타이밍의 어긋남의 정도와 같은 관계를 의미한다. 여기서, 복수의 신호는, 미리 다른 신호로서 규정되어도 되며, 동일한 신호이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무선 전송로에서의 멀티 패스의 영향에 의해, 수신되었을 때에 복수의 신호로 된다.
이 양태에 따르면,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복수의 기지 신호간의 관계가, 수 신한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신호파 성분 사이의 관계와 다르도록 규정되어 있으므로, 수신 장치는,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한 경우에 수신의 동작을 정지하므로,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특정부는, 수신한 기지 신호와, 미리 기억한 기지 신호와의 상관 처리에 의해,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에 대응한 값을 도출하고, 제2 수신부는, 특정부에서 도출한 값이,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한 임계값보다도 작으면, 특정한 관계가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고, 지시부는, 특정부에서 도출한 값이,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한 임계값 이상이면, 특정한 관계가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상관 처리에 기초하여,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수신 방법이다. 이 방법은, 소정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이 공간 분할된 복수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이며, 또한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의 형식을 가진 제어 신호가, 수신한 채널 중에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으면, 제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의 수신 동작을 정지한다.
이 양태에 따르면,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가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형식을 갖고 있으므로,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를 검출할 수 있고, 그 결과, 검출한 경우에 수신의 동작을 정지하므로,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도 또한, 수신 방법이다. 이 방법은, 소정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1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로부터, 채널에 배치되는 기지 신호를 수신하거나, 혹은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이 공간 분할된 복수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2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로부터,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와 소정의 관계를 가지면서, 복수의 채널의 각각에 배치되는 기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지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가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하고 있지 않으면,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이며, 또한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지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가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하고 있으면,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이며, 또한 제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수신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 양태에 따르면,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복수의 기지 신호간의 관계가, 수신한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와 다르도록 규정되어 있으므로,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 계에 기초하여,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를 검출할 수 있고, 그 결과, 검출한 경우에 수신의 동작을 정지하므로,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도 또한, 수신 방법이다. 이 방법은, 소정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이며, 또한 채널에 배치되는 기지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과,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이 공간 분할된 복수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이며, 또한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의 형식을 가진 제어 신호가,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스텝과, 판정하는 스텝에서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이며, 또한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과, 판정하는 스텝에서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제어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이며, 또한 제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텝을 구비한다.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와, 제어 신호는, 신호점의 배치가 서로 다르도록 규정되어 있고, 판정하는 스텝은, 기지 신호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신호점의 배치가, 제어 신호에서의 신호점의 배치에 대응하고 있으면,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하여도 된다. 기지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은,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이며, 또한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와 소정의 관계를 가지면서,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기지 신호도 수신하고, 판정하는 스텝은, 수신한 기지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를 특정 하고, 특정한 관계와,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는지를 판정하여도 된다.
판정하는 스텝은,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한 임계값을 미리 기억하고 있고, 또한 수신한 기지 신호와, 미리 기억한 기지 신호와의 상관 처리에 의해,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에 대응한 값을 도출하고, 도출한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하여도 된다. 정지시키는 스텝은, 제어 신호로부터, 제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의 길이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 신호의 길이에 따른 기간에 걸쳐,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의 동작을 정지시켜도 된다.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의 전단에는,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가 더 배치되어 있고, 정지시키는 스텝은,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로부터, 제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의 길이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 신호의 길이에 따른 기간에 걸쳐,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의 동작을 정지시켜도 된다.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와, 제어 신호는, 복수의 캐리어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데이터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와, 제어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 중, 서로 대응하는 캐리어에 파일럿 신호가 할당되고, 데이터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과,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은, 동일한 신호점 배치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위상을 갖도록 규정되어 있고, 판정하는 스텝은, 기지 신호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파일럿 신 호에서의 신호점의 위상이,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의 위상에 대응하고 있으면,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하여도 된다.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와, 제어 신호는, 복수의 캐리어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데이터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와, 제어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 중, 서로 대응하는 캐리어에 파일럿 신호가 할당되고, 데이터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과,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은, 서로 다른 신호점 배치를 갖도록 규정되어 있고, 판정하는 스텝은, 기지 신호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 배치가,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의 신호점 배치에 대응하고 있으면,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하여도 된다.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와, 제어 신호는, 복수의 캐리어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데이터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와, 제어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 중, 서로 대응하는 캐리어에 파일럿 신호가 할당되고, 데이터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과,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은, 동일한 신호점 배치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위상을 갖도록 규정되고, 또한 데이터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과,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은, 서로 다른 신호점 배치를 갖도록 규정되어 있고, 판정하는 스텝은, 기지 신호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의 위상이,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 점의 위상에 대응하고, 또한 기지 신호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 배치가,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의 신호점 배치에 대응하고 있으면,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도 또한, 수신 방법이다. 이 방법은, 소정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1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로부터, 채널에 배치되는 기지 신호를 수신하거나, 혹은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이 공간 분할된 복수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2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로부터,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와 소정의 관계를 가지면서, 복수의 채널의 각각에 배치되는 기지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과, 수신한 기지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를 특정하는 스텝과, 특정한 관계가,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하고 있지 않으면,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이며, 또한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과, 특정한 관계가,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하고 있으면,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이며, 또한 제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스텝을 구비한다.
특정하는 스텝은, 수신한 기지 신호와, 미리 기억한 기지 신호와의 상관 처리에 의해,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에 대응한 값을 도출하고,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스텝은, 특정하는 스텝에서 도출한 값이,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 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한 임계값보다도 작으면, 특정한 관계가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고, 정지시키는 스텝은, 특정하는 스텝에서 도출한 값이,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한 임계값 이상이면, 특정한 관계가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통신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소정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고, 채널에 배치되는 기지 신호와,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 송신 장치와,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이 공간 분할된 복수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고,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의 형식을 가진 기지 신호와 제어 신호, 그들의 후단에,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송신 장치와,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고, 기지 신호의 후단에 제어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 신호의 후단에 제어 신호가 존재하면,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수신을 정지하는 수신 장치를 구비한다.
이 양태에 따르면,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가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형식을 갖고 있으므로,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를 검출할 수 있고, 그 결과, 검출한 경우에 수신의 동작을 정지하므로,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본 발명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 템, 기록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사이에서 변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대응하고 있지 않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가 도래한 경우라도,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멀티 캐리어 신호의 스팩트럼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MIMO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a)-(b)는 도 3에 관련되는 버스트 포맷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3의 MIMO 송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3의 대상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의 (a)-(d)는 도 4의 (a)-(b)의 버스트 포맷에 포함된 신호의 컨스터레이션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6의 판정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6의 대상 수신 장치에 의한 수신 동작의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버스트 포맷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실시예 2에 따른 대상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11의 대상 수신 장치에 의한 수신 동작의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 우차트.
도 13은 실시예 3에 따른 판정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도 13의 판정부에서의 판정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실시예 3에 따른 다른 판정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실시예 3에 따른 또 다른 판정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부호의 설명>
50: 대상 송신 장치
52: 송신용 안테나
54: 대상 수신 장치
56: 수신용 안테나
60: 무선부
62: 베이스 밴드 처리부
64: 제어부
66: 직교 검파부
68: FFT부
70: 복조부
72: 판정부
74: 지시부
80: I 성분 처리부
82: Q 성분 처리부
84: 결정부
86: 조건 보유부
88: 검출부
90: 상관 처리부
92: 패턴 보유부
94: 피크 검출부
96: 결정부
98: 임계값 보유부
100: 통신 시스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예 1)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개요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MIMO 시스템이 아니며, 또한 OFDM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 시스템」이라고 함)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대상 시스템과 동일한 주파수 밴드에, MIMO 시스템이며, 또한 OFDM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MIMO 시스템」이라고 함)이 공존하고 있다. 여기서, 대상 시스템과 MIMO 시스템은, 패킷 신호의 선두 부분에, 공통의 프리앰블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MIMO 시스템의 송신 장치는, 복수 구비된 안테나 중의 하나로부터,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있지만, 나머지의 안테나로부터는 송신하고 있지 않다.
여기서, 대상 시스템의 패킷 신호는, 프리앰블, 제어 신호, 데이터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MIMO 시스템의 패킷 신호는, 대상 시스템의 프리앰블, 대상 시스템의 제어 신호, MIMO 시스템의 제어 신호, MIMO 시스템의 프리앰블, MIMO 시스템의 데이터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대상 시스템의 프리앰블, 대상 시스템의 제어 신호, MIMO 시스템의 제어 신호는,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어, 즉 대상 시스템의 버스트 신호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수신 장치는, 이들 신호를 수신 가능하다. 한편, MIMO 시스템의 프리앰블, MIMO 시스템의 데이터는,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고 있으므로, 수신 장치에서 수신의 대상으로 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대상 시스템의 수신 장치는, 이와 같은 프리앰블을 수신하여, 패킷 신호의 도래를 확인한다. 대상 시스템과 MIMO 시스템의 패킷 신호는, 대상 시스템의 프리앰블, 대상 시스템의 제어 신호까지 공통이다. 한편, 그 후단에 배치되는 대상 시스템의 데이터와, MIMO 시스템의 제어 신호는, 신호점의 배치가 서로 다르도록 규정되어 있다. 수신 장치에서는, 신호점의 배치로부터, 대상 시스템의 제어 신호의 후단의 신호가, 대상 시스템의 데이터 혹은 MIMO 시스템의 제어 신호인지를 판정한다. 전자의 경우, 수신 장치는 복조를 속행하지만, 후자의 경우, 수신 장치는 복조를 정지한다. 또한, 여기서, 대상 시스템은, IEEE802. 11a 규격에 준거한 무선 LAN으로 하고, MIMO 시스템은, IEEE802.11n 규격을 대상으로 할 무선 LAN으로 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멀티 캐리어 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대상 시스템 및 MIMO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OFDM 변조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므 로, 도 1은, 대상 시스템 및 MIMO 시스템에 대응한 OFDM 변조 방식에서의 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OFDM 변조 방식에서의 복수의 캐리어 중 하나를 서브 캐리어라고 일반적으로 부르지만, 여기서는 하나의 서브 캐리어를 「서브 캐리어 번호」에 의해 지정하는 것으로 한다. IEEE802.11a 규격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캐리어 번호 「-26」부터 「26」까지의 53 서브 캐리어가 규정되어 있다. 또한, 서브 캐리어 번호 「0」은, 베이스 밴드 신호에서의 직류 성분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해서, 널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서브 캐리어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에 의해 변조되어 있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MIMO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다. MIMO 시스템은, MIMO 송신 장치(10), MIMO 수신 장치(12)를 포함한다. 또한, MIMO 송신 장치(10)는, 송신용 안테나(14)로 총칭되는 제1 송신용 안테나(14a), 제2 송신용 안테나(14b)를 포함하고, MIMO 수신 장치(12)는, 수신용 안테나(16)로 총칭되는 제1 수신용 안테나(16a), 제2 수신용 안테나(16b)를 포함한다. 또한, MIMO 수신 장치(12)는, 본 실시예에 직접 관련되지 않지만, MIMO 수신 장치(12)를 설명하면서, MIMO 시스템을 설명한다.
MIMO 송신 장치(10)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지만, 제1 송신용 안테나(14a)와 제2 송신용 안테나(14b)로부터 서로 다른 신호를 송신한다. MIMO 수신 장치(12)는, 제1 수신용 안테나(16a)와 제2 수신용 안테나(16b)에 의해, 제1 송신용 안테나(14a)와 제2 송신용 안테나(14b)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MIMO 수신 장치(12)는, 어댑티브 어레이 신호 처리에 의해, 수신한 신호를 분리하여, 제1 송신용 안테나(14a)와 제2 송신용 안테나(14b)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독립적으로 복조한다.
여기서, 제1 송신용 안테나(14a)와 제1 수신용 안테나(16a) 사이의 전송로 특성을 h11, 제1 송신용 안테나(14a)부터 제2 수신용 안테나(16b) 사이의 전송로 특성을 h12, 제2 송신용 안테나(14b)와 제1 수신용 안테나(16a) 사이의 전송로 특성을 h21, 제2 송신용 안테나(14b)부터 제2 수신용 안테나(16b) 사이의 전송로 특성을 h22로 하면, MIMO 수신 장치(12)는, 어댑티브 어레이 신호 처리에 의해, h11과 h22만을 유효로 하여, 제1 송신용 안테나(14a)와 제2 송신용 안테나(14b)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독립적으로 복조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다. 통신 시스템(100)은, MIMO 송신 장치(10), 대상 송신 장치(50), 대상 수신 장치(54)를 포함한다. 또한, 대상 송신 장치(50)는, 송신용 안테나(52)를 포함하고, 대상 수신 장치(54)는, 수신용 안테나(56)를 포함한다. 여기서, 대상 송신 장치(50)와 대상 수신 장치(54)는, 대상 시스템에 상당하고, MIMO 송신 장치(10)는, MIMO 시스템에 상당한다.
대상 송신 장치(50)는, 송신용 안테나(52)로부터 신호를 송신한다. 그를 위해서, 대상 송신 장치(50)는, 송신용 안테나(52)에 대하여, 대상 시스템에 대응한 하나의 채널을 설정한다. 즉, 대상 송신 장치(50)는, 버스트 신호의 형식에 의해, 채널에 배치되는 프리앰블과, 프리앰블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여 기서, 하나의 채널이란, 소정의 순간에서 설정되어 있는 채널의 수이다.
MIMO 송신 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송신용 안테나(14a)와 제2 송신용 안테나(14b)로부터 각각 독립의 신호를 송신한다. 그를 위해서, MIMO 송신 장치(10)는, 제1 송신용 안테나(14a)와 제2 송신용 안테나(14b)에 대하여, 2개의 채널을 각각 설정한다. 2개의 채널은, 대상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이 공간 분할 됨으로써 설정된다. 대상 수신 장치(54)가 해당 채널을 수신할 수 있도록, 채널의 선두 부분에는, 대상 시스템의 형식을 가진 프리앰블과 제어 신호가 부가된다. 그 결과, MIMO 송신 장치(10)는, 버스트 신호의 형식에 의해, 대상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의 형식을 가진 프리앰블과 제어 신호, 그 후단에,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제어 신호는, MIMO 시스템에 대응한 시그널인 것으로 한다.
대상 수신 장치(54)는, 대상 시스템에 대응하고 있고, MIMO 송신 장치(10)로부터 송신된 신호, 즉 제1 송신용 안테나(14a)와 제2 송신용 안테나(14b)로부터 독립적으로 송신된 2개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혹은 대상 송신 장치(5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대상 수신 장치(54)는, 수신한 버스트 신호 중, 프리앰블의 후단에, MIMO 시스템에 대응한 제어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수신한 버스트 신호가 대상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이다라고 판정한다. 그 결과, 수신한 버스트 신호에 배치된 데이터에 대하여 수신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대상 수신 장치(54)는, 수신한 버스트 신호 중, 프리앰블의 후단에, MIMO 시스템에 대응한 제어 신호가 존재하면, 수신한 버스트 신호가 MIMO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이다라고 판정한다. 그 결과, 대상 수신 장치(54)는, MIMO 시스템에 대응한 제어 신호에 계속되는 MIMO 시스템의 데이터에 대하여, 수신 처리를 정지한다.
도 4의 (a)-(b)는, 버스트 포맷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의 (a)는, 대상 시스템의 버스트 포맷으로서, IEEE802.11a 규격의 통화 채널의 버스트 포맷에 상당한다. 도면에서의 「대상 STS(Short Training Sequence)」와 「대상 LTS(Long Training Sequence)」가 프리앰블에 상당한다. 이들은, IEEE802.11a 규격에서 「STS」 및「LTS」로 불리고 있는 것이지만, 여기서는, 대상 시스템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도면에서와 같이 나타낸다.
「대상 시그널」은, 대상 시스템을 위한 시그널로서, 제어 신호에 상당한다. 「대상 데이터」는, 대상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이다. 「대상 STS」, 「대상 LTS」, 「대상 시그널」, 「대상 데이터」는, 각각 OFDM 변조 방식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IEEE802.11a 규격에서는, 푸리에 변환의 사이즈가 64(이하, 하나의 FFT(Fast Fourier Transform)의 포인트를 「FFT 포인트」라고 부름), 가드 인터벌의 FFT 포인트수가 16이다. OFDM 변조 방식에서는, 일반적으로 푸리에 변환의 사이즈와 가드 인터벌의 FFT 포인트수의 합계를 하나의 단위로 한다. 이 하나의 단위를 본 실시예에서는 OFDM 심볼이라고 한다. 그 때문에, OFDM 심볼은 80FFT 포인트에 상당한다.
여기서, 「대상 LTS」와 「대상 시그널」은, 각각 「2OFDM 심볼」의 길이를 가지며, 「데이터」는, 임의의 길이이다. 또한, 「대상 STS」의 전체의 길이는, 「2OFDM 심볼」이지만, 「16FFT 포인트」의 신호가 10회 반복되어 있으므로, 구성 이 「대상 LTS」 등과 다르다. 여기서, 「대상 STS」나 「대상 LTS」 등의 프리앰블은, 대상 수신 장치(54)에서 AGC의 설정, 타이밍 동기, 캐리어 재생 등을 실행하기 위해서 송신되는 기지 신호이다. 이상과 같은 버스트 신호는, 대상 시스템의 하나의 채널에 상당한다.
도 4의 (b)는, MIMO 시스템의 버스트 포맷이다. 여기서, MIMO 시스템에서의 송신에 사용되는 안테나의 수는, 「2」로 하고 있고, 이것은, 도 3의 제1 송신용 안테나(14a)와 제2 송신용 안테나(14b)에 상당한다. 도 4의 (b) 중, 상단이, 제1 송신용 안테나(14a)로부터 송신되는 버스트 신호에 상당하고, 하단이, 제2 송신용 안테나(14b)로부터 송신되는 버스트 신호에 상당한다. 상단의 버스트 신호는, 선두로부터 「대상 STS」, 「대상 LTS」, 「대상 시그널」을 배치하고 있고, 이들은, 대상 시스템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 후단에, 「MIMO 시그널」이 배치되어 있지만, 「MIMO 시그널」은, MIMO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이다. 또한, 「MIMO 시그널」은, 대상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의 형식, 즉 송신을 위해서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채널의 형식을 갖고 있다.
또한, 「MIMO 시그널」의 후단에는, 제1 송신용 안테나(14a)에 대하여, 「제1 MIMO-STS」, 「제1 MIMO-LTS」, 「제1 MIMO-데이터」가, 각각 MIMO 시스템에 대응한 STS, LTS, 데이터로서 배치된다. 한편, 제2 송신용 안테나(14b)에 대하여, 「제2 MIMO-STS」, 「제2 MIMO-LTS」, 「제2 MIMO-데이터」가, 각각 MIMO 시스템에 대응한 STS, LTS, 데이터로서 배치된다.
이상과 같은 버스트 신호는, MIMO 시스템에서, 공간 분할한 2개의 채널에 상 당한다. 또한, 「제1 MIMO-STS」 등에 포함되는 신호는, 소정의 신호의 패턴에 의해 규정된다. 또한, 도 4의 (b)에서, 2개의 송신용 안테나(14)에 대응한 버스트 신호로서, 2개의 채널에 상당하는 버스트 신호를 설명했지만, MIMO 시스템은 2개의 채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2개 이상의 채널이 설정되어도 된다.
도 5는, MIMO 송신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다. MIMO 송신 장치(10)는, 데이터 분리부(20), 변조부(22)로 총칭되는 제1 변조부(22a), 제2 변조부(22b), 제N 변조부(22n), 무선부(24)로 총칭되는 제1 무선부(24a), 제2 무선부(24b), 제N 무선부(24n), 제어부(26), 제N 송신용 안테나(14n)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변조부(22a)는, 오류 정정부(28), 인터리브부(30), 프리앰블 부가부(32), IFFT부(34), GI부(36), 직교 변조부(38)를 포함하고, 제1 무선부(24a)는, 주파수 변환부(40), 증폭부(42)를 포함한다.
데이터 분리부(20)는, 송신할 데이터를 안테나수로 분리한다. 오류 정정부(28)는, 오류 정정을 위한 부호화를 데이터에 행한다. 여기서는, 컨볼루션 부호화를 행하는 것으로 하고, 그 부호화율은 미리 규정된 값 중에서 선택한다. 인터리브부(30)는, 컨볼루션 부호화한 데이터를 인터리브한다. 프리앰블 부가부(32)는, 버스트 신호의 선두에, 「대상 STS」 및 「대상 LTS」를 부가한다. 또한, 「제1 MIMO-STS」, 「제1 MIMO-LTS」를 부가한다. 그를 위해서, 프리앰블 부가부(32)는, 「대상 STS」, 「제1 MIMO-STS」 등을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IFFT부(34)는, FFT 포인트 단위로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를 행하여, 복수의 서브 캐리어를 사용한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시간 영역으로 변환한 다. GI부(36)는, 시간 영역의 데이터에 대하여, 가드 인터벌을 부가한다. 직교 변조부(38)는, 직교 변조한다. 주파수 변환부(40)는, 직교 변조된 신호를 무선 주파수의 신호로 주파수 변환한다. 증폭부(42)는, 무선 주파수의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이다. 최종적으로, 복수의 송신용 안테나(14)로부터 도 4의 (b)에 도시한 포맷의 버스트 신호가 송신된다. 제어부(26)는, MIMO 송신 장치(10)의 타이밍 등을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용 안테나(14)의 지향성은 무지향성인 것으로 하고, MIMO 송신 장치(10)는 어댑티브 어레이 신호 처리를 행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또한, 이상의 구성에서, 오류 정정부(28)와 인터리브부(30)는, 데이터 분리부(20)의 전단에 설치되어도 된다. 그 때는, 오류 정정부(28)에서 부호화되고, 인터리브부(30)에서 인터리브된 신호가, 데이터 분리부(20)에서 분리된다. 또한, 도 3의 대상 송신 장치(50)는, 제1 변조부(22a)와 제1 무선부(24a)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6은, 대상 수신 장치(54)의 구성을 도시한다. 대상 수신 장치(54)는, 무선부(60), 베이스 밴드 처리부(62), 제어부(64), 지시부(74)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 밴드 처리부(62)는, 직교 검파부(66), FFT부(68), 복조부(70), 판정부(72)를 포함한다.
무선부(60)는, 무선 주파수의 수신 신호로부터 베이스 밴드의 수신 신호로의 주파수 변환 처리, 증폭 처리, AD 변환 처리 등을 행한다. 여기서는, 통신 시스템(100)으로서 IEEE802.11a 규격에 준거한 무선 LAN을 상정하므로, 무선 주파수는, 5GHz대인 것으로 한다. 여기서, 대상 송신 장치(50)는, 대상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 혹은 MIMO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를 수신한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하나의 채널에 배치된 대상 STS와 대상 LTS를 수신한다.
직교 검파부(66)는, 무선부(60)에서 베이스 밴드로 변환된 수신 신호를 직교 검파한다. 또한, 직교 검파된 신호는 동상 성분과 직교 성분을 포함하므로, 그들은 일반적으로 2개의 신호선에 의해 나타내어지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명료화를 위해서, 하나의 신호선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하도 마찬가지이다. FFT부(68)는, 직교 검파부(66)에서 직교 검파된 수신 신호에 대하여, FFT를 실행하여, 시간 영역의 신호로부터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FFT부(68)는, 가드 인터벌의 제거도 실행한다. 복조부(70)는, 대상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 혹은 MIMO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의 양방에 대하여, 대상 LTS에 기초하여, 무선 전송로를 추정하고, 추정한 무선 전송로에 기초하여, 후단의 대상 시그널 등을 복조한다. 또한, 복조부(70)는, 디인터리브, 복호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대상 STS는, 도시하지 않은 AGC의 설정이나 타이밍 동기를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되지만, 이들에 대해서는,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판정부(72)는, 대상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의 형식을 가진 MIMO 시그널이, 대상 LTS와 대상 시그널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판정은, 대상 데이터와 MIMO 시그널의 신호점의 배치의 상위를 이용한다. 즉, 대상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에 배치되는 대상 데이터와, MIMO 시그널은, 신호점의 배치가 서로 다르도록 미리 규정되어 있다.
도 7의 (a)-(d)는, 도 4의 (a)-(b)의 버스트 포맷에 포함된 신호의 컨스터레 이션을 도시한다. 도 7의 (a)는, MIMO 시그널에 대한 컨스터레이션을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MIMO 시그널의 변조 방식은, BPSK에 대응하고 있고, 또한 그 신호점은, 직교 성분이 「+1」 혹은 「-1」로 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즉, 동상 성분은 「0」으로 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도 7의 (b)는, 대상 데이터에 대한 컨스터레이션을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 데이터에 대한 컨스터레이션도 BPSK에 대응하고 있지만, 동상 성분이 「+1」 혹은 「-1」로 되도록 규정되어 있고, 직교 성분이 「0」으로 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MIMO 시그널과 대상 데이터는, 신호점에 대한 동상 성분과 직교 성분의 값이 서로 달라, 이들의 차이를 검출함으로써, MIMO 시그널과 대상 데이터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대상 데이터는 변조 방식이 적절히 절환되고 있어, BPSK 외에 QPSK, 16QAM, 64QAM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도 7의 (c)는, 대상 데이터에 대한 컨스터레이션으로서, 변조 방식이 QPSK인 경우를 도시한다. 또한, 도 7의 (d)는, 대상 데이터에 대한 컨스터레이션으로서, 변조 방식이 16QAM인 경우를 도시한다. 변조 방식이 BPSK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신호점에 대한 동상 성분과 직교 성분의 값에 기초하여, 대상 데이터와 MIMO 시그널을 판별 가능하다.
도 6으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판정부(72)는, 대상 LTS와 대상 시그널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신호점의 배치가, MIMO 시그널에서의 신호점의 배치에 대응하고 있으면, 수신한 버스트 신호에, MIMO 시그널이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판정부(72)에서 MIMO 시그널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복조부(70)는 복조를 속행하므로, 복조부(70)는, 대상 LTS와 대상 시그널의 후단에 배치되는 대 상 데이터 신호를 복조한다. 즉, 이 경우에서, 대상 수신 장치(54)는, 대상 시스템에 대응한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정하고, 대상 시스템에 대응한 버스트 신호를 통상대로 수신한다.
지시부(74)는, 판정부(72)에서 MIMO 시그널이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MIMO 시그널의 후단에 배치되는 MIMO-STS, MIMO-LTS, MIMO-데이터 등에 대하여, 베이스 밴드 처리부(62)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즉, 이 경우에서, 대상 수신 장치(54)는, MIMO 시스템에 대응한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정하고, MIMO 시스템에 대응한 버스트 신호에 대한 수신 처리를 정지한다. 그 때, 지시부(74)는, MIMO 시그널로부터, MIMO 시스템에 대응한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제1 MIMO-데이터 등의 길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제1 MIMO-데이터 등의 길이에 따른 기간에 걸쳐, 베이스 밴드 처리부(62)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어부(64)는, 대상 수신 장치(54)의 타이밍 등을 제어한다.
이 구성은, 하드웨어적으로는, 임의의 컴퓨터의 CPU, 메모리, 그 밖의 LSI로 실현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메모리에 로드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되지만, 여기서는 그들의 제휴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들 기능 블록이 하드웨어만, 소프트웨어만,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되는 바이다.
도 8은, 판정부(72)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판정부(72)는, I 성분 처리부(80), Q 성분 처리부(82), 결정부(84), 조건 보유부(86)를 포함한다.
I 성분 처리부(80)는, 복조한 신호의 동상 성분의 진폭을 특정한다. 그 때, I 성분 처리부(80)는, 평균 등의 통계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한편, Q 성분 처리부(82)는, 복조한 신호의 직교 성분의 진폭을 특정한다. 그 때, Q 성분 처리부(82)는, 평균 등의 통계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조건 보유부(86)는, 신호점이 MIMO 시그널에 대응하는 경우를 판정하기 위한 신호점의 조건을 보유한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측에서, MIMO 시그널에 대응하는 신호점은, 동상 성분을 갖지 않으므로, 조건 보유부(86)에서는, 동상 성분의 절대값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은 경우가 MIMO 시그널에 대응한다고 규정한다. 여기서 임계값은, 노이즈를 고려한 값으로 규정되고, 도 7의 (b)에서의 동상 성분의 신호점 「+1」이나 「-1」보다도, 절대값이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조건 보유부(86)는, 직교 성분도 사용한 규정을 보유하여도 된다. 동상 성분의 값을 직교 성분의 값에 의해 제산한 결과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은 경우가 MIMO 시그널에 대응한다고 규정하여도 된다.
결정부(84)는, I 성분 처리부(80)와 Q 성분 처리부(82)로부터, 복조한 신호의 동상 성분의 값과 직교 성분의 값을 각각 입력받고, 조건 보유부(86)로부터 입력된 조건에 기초하여, 입력된 신호가 MIMO 시그널에 대응하는 신호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결정부(84)는, 복조한 신호에 대한 1조의 동상 성분의 값과 직교 성분의 값으로부터 판정하여도 되고, 하나의 심볼에 대응한 복수의 서브 캐리어의 신호의 동상 성분의 값과 직교 성분의 값으로부터 판정하여도 된다. 수신한 신호의 신호점이 MIMO 시그널에 대응하는 신호점이라고 판정한 경우, 판정부(72)는, 판정의 결과를 지시부(74)에 출력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대상 수신 장치(54)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는, 대상 수신 장치(54)에 의한 수신 동작의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대상 수신 장치(54)가 대상 STS와 대상 LTS를 수신하면(S10의 예), 판정부(72)는, 대상 시그널의 후단에서의 신호점의 배치를 확인한다(S12). 신호점의 배치가, MIMO 시그널에서의 신호점의 배치에 대응하고 있으면(S14의 예), 지시부(74)는, MIMO 시그널로부터 데이터 길이를 취득한다(S16). 또한, 취득한 데이터 길이로부터 정지 기간을 결정하고(S18), 지시부(74)는, 베이스 밴드 처리부(62)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20). 한편, 신호점의 배치가, MIMO 시그널에서의 신호점의 배치에 대응하고 있지 않으면(S14의 아니오), 복조부(70)는 대상 데이터를 복조한다(S22). 또한, 대상 수신 장치(54)가 대상 STS와 대상 LTS를 수신하지 않으면(S10의 아니오), 처리를 종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MIMO 시스템에서의 MIMO 시그널이 대상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의 형식을 갖고 있으므로, 대상 수신 장치는, MIMO 시그널을 검출 할 수 있고, 검출한 경우에 수신의 동작을 정지하므로,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MIMO 시그널은, 버스트 신호의 후방이 아니라, 버스트 신호의 도중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대상 수신 장치는, 버스트 신호의 거의 전체를 수신하지 않아도, 버스트 신호에 대응한 통신 시스템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MIMO 시스템에 대한 버스트 신호는 수신하지 않고, 대상 시스템에 대한 버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MIMO 시스템에 대한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므로, MIMO 시스템으로부터 받는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대상 수신 장치가 배터리 구동되는 경우라도, 배터리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대상 수신 장치가 배터리 구동되는 경우라도, 배터리의 구동 기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대상 수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신호점의 배치의 상위에 의해, MIMO 시그널의 배치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신호점의 배치의 상위를 이용하므로, 조기에 판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MIMO 시스템에서의 MIMO―데이터의 길이에 기초하여, 동작을 정지하는 기간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음에 도래하는 버스트 신호에 대하여, 통상의 수신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대상 시스템에 대응한 송신 장치와 MIMO 시스템에 대응한 송신 장치로부터,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여, 버스트 신호가 대상 시스템에 대응하는 경우에 버스트 신호의 수신을 속행하고, 버스트 신호가 MIMO 시스템에 대응하는 경우에 버스트 신호의 수신을 정지하는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 2는, 이하의 2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다.
첫번째는, MIMO 시스템에 대한 버스트 신호의 포맷이 달라, 「대상 STS」 등을 송신하는 기간에서, 「대상 STS」 등을 송신하고 있지 않은 안테나로부터도, 「대상 STS」 등을 송신한다. 그러나, 「대상 STS」를 그대로 송신하는 것은 아니라, 「대상 STS」의 내부에서, 사이클릭으로 신호의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고 나서 송신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FFT 포인트에 대한 신호를 2포인트만큼 뒤로 어긋나 게 하면, 최후의 2포인트에 배치된 신호를 선두에 배치시킨다.
두번째는, 수신 장치에서, 수신한 버스트 신호가, 대상 시스템 혹은 MIMO 시스템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판정 방법이 다르다. 수신 장치는, 대상 STS나 대상 LTS의 신호 패턴을 미리 기억하고 있어, 수신한 버스트 신호와의 상관 처리를 실행한다. 수신한 버스트 신호가 대상 시스템에 대응하고 있으면, 상관 처리한 결과에서의 복수의 피크의 간격은, 무선 전송로에서의 복수의 도래파간의 시간차에 상당한다. 한편, 수신한 버스트 신호가 MIMO 시스템에 대응하고 있으면, 상관 처리한 결과에서의 복수의 피크의 간격은, 전술한 미리 어긋나게 한 신호의 타이밍의 차에 상당한다. 여기서, 신호의 타이밍이, 무선 전송로에서의 복수의 도래파간의 시간차보다도 커지도록 규정해 두면, 상관 처리의 결과로부터, 수신한 버스트 신호가, 대상 시스템 혹은 MIMO 시스템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버스트 포맷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0은, MIMO 시스템의 버스트 포맷을 도시하지만, 대상 시스템의 버스트 포맷은, 도 4의 (a)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도 4의 (b)와 마찬가지로, MIMO 시스템에서의 송신에 사용되는 안테나의 수를 「2」로 하고, 상단에 제1 송신용 안테나(14a)로부터 송신되는 버스트 신호를 도시하고, 하단에 제2 송신용 안테나(14b)로부터 송신되는 버스트 신호를 도시한다. 상단의 버스트 신호는, 도 4의 (b)의 상단의 버스트 신호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하단의 버스트 신호 중, 「제2 MIMO-STS」, 「제2 MIMO-LTS」, 「제2 MIMO-데이터」는, 도 4의 (b)의 하단의 버스트 신호와 동일하다.
제1 송신용 안테나(14a)로부터 송신되는 「대상 STS」, 「대상 LTS」, 「대상 시그널」, 「MIMO 시그널」에 각각 대응하도록, 제2 송신용 안테나(14b)로부터 송신되는 버스트 신호에는, 「대상 STS+CDD」, 「대상 LTS+CDD」, 「대상 시그널+CDD」, 「MIMO 시그널+CDD」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대상 STS+CDD」란,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의 패턴이, 「대상 STS」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의 패턴과 동일하지만, 신호의 배치된 위치가 서로 다른 것에 상당한다. 여기서, 「대상 STS」는, 160FFT 포인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상 STS」의 선두의 FFT 포인트에서의 신호가, 「대상 STS+CDD」의 8번째의 FFT 포인트에 배치되어 있는 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대상 STS」의 최후의 8개의 FFT 포인트에서의 신호가, 「대상 STS+CDD」의 선두로부터 8개의 FFT 포인트에 배치되어 있는 관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신호의 타이밍을 시프트시켜 배치하고 있다. 이하, 「대상 STS」와 「대상 STS+CDD」와 같은, 타이밍을 시프트시킨 신호의 관계를 간단히 「관계」라고 한다.
IEEE802.11a의 규격에서, 하나의 FFT 포인트의 간격은, 50nsec로 규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신호의 타이밍의 시프트량을 8FFT 포인트로 한다. 그 결과, 「대상 STS」와 「대상 STS+CDD」의 타이밍의 오차가, 400nsec로 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또한, 「대상 LTS+CDD」, 「대상 시그널+CDD」, 「MIMO 시그널+CD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MIMO 시스템에서의 「대상 STS+CDD」 등은, 대상 시스템에서의 「대상 STS」와 소정의 관계를 갖고 있다라고 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 2에 따른 대상 수신 장치(54)의 구성을 도시한다. 대상 수 신 장치(54)는, 수신용 안테나(56), 무선부(60), 베이스 밴드 처리부(62), 제어부(64), 지시부(74)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 밴드 처리부(62)는, 직교 검파부(66), FFT부(68), 복조부(70), 검출부(88)를 포함한다. 또한, 검출부(88)는, 상관 처리부(90), 패턴 보유부(92), 피크 검출부(94), 결정부(96), 임계값 보유부(98)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 요소 중, 도 6의 대상 수신 장치(54)와 동일한 동작을 실행하는 것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무선부(60)는, 대상 시스템의 대상 송신 장치(50)로부터, 채널에 배치되는 대상 STS나 대상 LTS를 수신한다. 또한, 무선부(60)는, MIMO 시스템의 MIMO 송신 장치(10)로부터, 대상 시스템에서의 대상 STS나 대상 LTS와 소정의 관계를 가지면서, 복수의 채널의 각각에 배치되는 대상 STS+CDD, 대상 LTS+CDD를 더 수신한다. 또한, 대상 송신 장치(50)와 MIMO 송신 장치(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패턴 보유부(92)는, 기지 신호인 대상 STS와 대상 LTS의 신호의 패턴을 기억하고 있다. 즉, 패턴 보유부(92)는, 대상 STS를 시간 영역에 의해 표현하고, 그 중의 16FFT 포인트에 상당한 신호를 기억하며, 대상 LTS를 시간 영역에 의해 표현하고, 그 중의 64FFT 포인트에 상당한 신호를 기억한다. 또한, 패턴 보유부(92)는, 대상 STS와 대상 LTS 중, 어느 한쪽의 신호의 패턴을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후술의 상관 처리부(90), 피크 검출부(94), 결정부(96)에서, 대상 STS와 대상 LTS 중 어느 한쪽만을 사용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상관 처리부(90)는, 직교 검파부(66)로부터의 직교 검파된 버스트 신호와, 패턴 보유부(92)에 기억된 대상 STS와 대상 LTS를 상관 처리한다. 상관 처리 부(90)는, 매치트 필터의 구조를 가지며, 필터의 탭 계수로서, 패턴 보유부(92)에 기억된 대상 STS와 대상 LTS를 보유한다. 또한, 상관 처리부(90)는, 매치트 필터에 직교 검파된 버스트 신호를 입력한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상관 처리의 결과가, 시간에 대한 상관값으로서 얻어진다. 또한, 입력된 버스트 신호와 탭 계수의 값의 관계가 밀하게 되면, 상관값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관 처리부(90)는, 수신한 대상 STS나 대상 LTS와, 미리 기억한 대상 STS나 대상 LTS에 의해, 수신한 대상 STS나 대상 LTS에 포함된 복수의 신호파 성분의 관계를 상관값으로서 도출한다.
피크 검출부(94)는, 상관 처리부(90)에서의 상관 처리의 결과로부터, 적어도 2개의 상관값의 피크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피크 검출부(94)는, 대상 STS에 대응한 2OFDM 심볼의 구간 중에서, 적어도 2개의 피크를 검출한다. 여기서, 입력된 버스트 신호가, 대상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인 경우, 해당 버스트 신호는, 하나의 채널을 사용한다. 그 때문에, 상관 처리의 결과에서, 무선 전송로에서의 지연파가 존재하는 타이밍에 피크가 나타난다. IEEE802.11a에서 상정되는 무선 전송로에서는, 선행파로부터 수십nsec 지연되어 지연파가 도래한다고 상정된다. 이와 같이, 전술한 「관계」는, 무선 전송로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한편, 입력된 버스트 신호가, MIMO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인 경우, 복수의 채널에 할당된 복수의 버스트 신호가 합성되어 수신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버스트 신호에 배치된 대상 STS가, 수신되고 있을 때, 대상 STS+CDD도 수신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 STS와 대상 STS+CDD는, 신호의 타이 밍이 시프트하고 있는 관계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신호의 타이밍의 시프트량이 8FFT 포인트이면, 상관 처리의 결과에서, 약 8FFT 포인트 떨어진 위치에 2개의 피크가 검출된다. 여기서, 8FFT 포인트는, 400nsec에 상당하므로, 전술한 무선 전송로에서의 지연파의 영향은 오차 정도로 된다.
임계값 보유부(98)는, 피크 검출부(94)에서 검출한 적어도 2개의 피크와 비교할 임계값을 보유한다. 전술한 예에서는, 임계값을 300nsec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임계값은, MIMO 시스템에서의 대상 STS나 대상 LTS에서의 관계에 대응한 값에 기초하여 규정된다.
결정부(96)는, 검출한 적어도 2개의 피크, 즉 입력된 버스트 신호에서의 관계와, 임계값을 비교하여, 입력된 버스트 신호가, 대상 시스템에 대응하고 있는지, 혹은 MIMO 시스템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결정한다. 즉, 검출한 적어도 2개의 피크가 임계값보다 작으면, 입력된 버스트 신호에서의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가, MIMO 시스템에서의 대상 STS나 대상 LTS에서의 관계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그를 위해서, 그와 같은 경우에는, 수신한 버스트 신호가 대상 시스템에 대응하고 있다고 결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 복조부(70)는, 대상 LTS와 대상 시그널의 후단에 배치되는 대상 데이터이며, 또한 대상 시스템에 대응한 채널에 배치되는 대상 데이터를 복조한다.
한편, 결정부(96)는, 검출한 적어도 2개의 피크가 임계값 이상이면, 입력된 버스트 신호에서의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가, MIMO 시스템에서의 대상 STS나 대상 LTS에서의 관계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를 위해서, 그와 같은 경우 에는, 수신한 버스트 신호가 MIMO 시스템에 대응하고 있다고 결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 지시부(74)는, 대상 STS나 대상 LTS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1 MIMO-데이터와 제2 MIMO-데이터이며, 또한 MIMO 시스템에 대응한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제1 MIMO-데이터와 제2 MIMO-데이터에 대하여, 베이스 밴드 처리부(62)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대상 수신 장치(54)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는, 대상 수신 장치(54)에 의한 수신 동작의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대상 수신 장치(54)가 대상 STS와 대상 LTS를 수신하면(S50의 예), 상관 처리부(90)는, 상관 처리를 실행한다(S52). 피크 검출부(94)는, 적어도 2개의 피크를 검출한다(S54). 결정부(96)는, 피크의 간격이 임계값 이상이면(S56의 예), 지시부(74)는, MIMO 시그널로부터 데이터 길이를 취득한다(S58). 또한, 취득한 데이터 길이로부터 정지 기간을 결정하고(S60), 지시부(74)는, 베이스 밴드 처리부(62)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62). 한편, 결정부(96)는, 피크의 간격이 임계값 이상이 아니면(S56의 아니오), 복조부(70)는 대상 데이터를 복조한다(S64). 또한, 대상 수신 장치(54)가 대상 STS와 대상 LTS를 수신하지 않으면(S50의 아니오), 처리를 종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MIMO 시스템에서의 복수의 대상 STS간의 관계나 대상 LTS간의 관계와, 수신한 대상 시스템에서의 대상 STS나 대상 LTS에 포함되는 복수의 신호파 성분의 관계가 서로 다르므로, 수신 장치는,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신호파 성분의 관계에 기초하여, MIMO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한 경우에 수신의 동작을 정지하므로,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버스트 신호의 선두 부분에서, MIMO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로 판정할 수 있으므로, 버스트 신호의 나머지 부분에서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그 때문에, 소비 전력의 저감의 효과가 크다. 또한, 복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대상 STS 등은, 서로 신호의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간의 상관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관 처리에 기초하여, MIMO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지금까지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대상 시스템에 대응한 송신 장치와 MIMO 시스템에 대응한 송신 장치로부터,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여, 버스트 신호가 대상 시스템에 대응하는 경우에 버스트 신호의 수신을 속행하고, 버스트 신호가 MIMO 시스템에 대응하는 경우에 버스트 신호의 수신을 정지하는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신한 버스트 신호가 대상 시스템에 대응하는지 혹은 MIMO 시스템에 대응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서, 수신 장치는, 파일럿 신호의 위상을 이용한다. 대상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의 소정의 서브 캐리어에, 파일럿 신호가 할당되어 있다.
파일럿 신호는, 기지의 신호이며, 또한 수신 장치에서 무선 전송로를 추정할 때에 참조되는 신호이다. MIMO 시스템에서도, 대상 시스템에서의 파일럿 신호가 할당된 서브 캐리어와 동일한 주파수에 상당하는 서브 캐리어에 파일럿 신호가 할당되어 있다(이하, 대상 시스템에서의 파일럿 신호를 「대상 파일럿 신호」라고 하고, MIMO 시스템에서의 파일럿 신호를 「MIMO 파일럿 신호」라고 함). 대상 파일 럿 신호와 MIMO 파일럿 신호는, 동일한 신호점 배치를 갖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동일한 주파수에 상당하는 대상 파일럿 신호의 신호점과 MIMO 파일럿 신호의 신호점은, 위상이 서로 다르도록, 예를 들면 반전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수신 장치는, 수신한 버스트 신호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파일럿 신호의 위상에 따라서, 수신한 버스트 신호가 대상 시스템에 대응하는지 혹은 MIMO 시스템에 대응하는지를 판정한다. 즉, 파일럿 신호의 위상을 이용함으로써, 판정이 실행된다.
실시예 3에 따른 대상 수신 장치(54)의 구성은, 도 6과 동일한 타입에 따른다. 실시예 3의 판정부(72)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대상 시그널의 후단에서, 대상 데이터가 배치되는지 혹은 MIMO 시그널이 배치되는지를 판정한다. 그러나, 실시예 3에서, 대상 데이터에서의 신호점 배치와 MIMO 시그널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관계가, 실시예 1의 경우와 다르다. 대상 수신 장치(54)에 입력되는 신호는, 이하와 같은 형식을 갖는다.
대상 데이터와, MIMO 시그널은, 도 1과 같이, 복수의 서브 캐리어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또한, 서브 캐리어 번호 「-26」부터 「26」까지의 53서브 캐리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에서, 대상 데이터에 사용되는 복수의 서브 캐리어와, MIMO 시그널에 사용되는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서로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에 파일럿 신호가 할당되어 있다. IEEE802.11a의 표준화 규격에서는, 서브 캐리어 번호 「-21」, 「-7」, 「7」, 「21」에 파일럿 신호가 할당되어 있다. 즉, 복수의 파일럿 신호가 사용된다.
또한, 대상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과, MIMO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은, 동일한 신호점 배치를 갖는다. 동일한 신호점 배치는, 도 7의 (b)에 도시되어 있으며, BPSK에 대응하면서, 동상 성분이 「1」 혹은 「-1」로 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또한, 대상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과, MIMO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은, 동일한 서브 캐리어에서, 서로 다른 위상을 갖도록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서브 캐리어 번호 「-21」에서, 대상 파일럿 신호는 「1」의 값을 가지며, MIMO 파일럿 신호는 「-1」의 값을 갖는다. 이것을 도 7의 (b)의 위상에 의해 나타내면, 대상 파일럿 신호는 위상 「0」의 값을 가지며, MIMO 파일럿 신호는 위상 「π」의 값을 갖는다.
즉, 동일한 서브 캐리어에 대응한 대상 파일럿 신호의 위상과, MIMO 파일럿 신호의 위상은, 반전된 관계를 갖는다. 서브 캐리어 번호 「-26」부터 「26」까지를 순서대로 배열하면, 대상 파일럿 신호의 값은, 아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0」은, 파일럿 신호의 할당이 없는 것에 상당한다.
Figure 112007027001012-pct00001
한편, 마찬가지로, MIMO 파일럿 신호의 값은, 아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07027001012-pct00002
도 13은, 실시예 3에 따른 판정부(72)의 구성을 도시한다. 판정부(72)는, 파일럿 신호 추출부(110), 판정부(112), 결정부(84), 조건 보유부(86)를 포함한다.
파일럿 신호 추출부(110)는, 복조부(70)로부터 복조된 신호를 입력받는다. 복조된 신호는, FFT 포인트를 단위로 하여 서브 캐리어 번호의 순으로, 파일럿 신호 추출부(110)에 입력된다. 즉, 서브 캐리어 번호 「-26」에 대응한 신호가 입력되고, 마지막으로 서브 캐리어 번호 「26」에 대응한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이에 계속해서, 다음 OFDM 심볼에서의 서브 캐리어 번호 「-26」에 대응한 신호가 입력된다. 파일럿 신호 추출부(110)는, 입력된 신호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추출한다. 이것은, 서브 캐리어 번호 「-21」, 「-7」, 「7」, 「21」에 대응한 신호를 추출하는 것에 상당한다.
판정부(112)는, 파일럿 신호 추출부(110)에서 추출한 파일럿 신호를 판정한다. 추출한 파일럿 신호는, 도 7의 (b)와 같은 신호점을 본래 갖고 있다. 무선 전송로에서의 영향에 의해, 추출한 파일럿 신호는, 도 7의 (b)와 같은 신호점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어긋나 있다. 그러나, 복조부(70)에서의 복조 처리에 의해, 신호점의 어긋남은 어느 정도 작게 되어 있다. 판정부(112)는, 직교축을 임계값으로서 규정하고 있고, 추출한 파일럿 신호가, 제1 상한 혹은 제4 상한에 포함되어 있으면, 「1」로 판정한다. 한편, 추출한 파일럿 신호가, 제2 상한 혹은 제3 상한에 포함되어 있으면, 「-1」로 판정한다. 그 때문에, 추출한 파일럿 신호가 대상 파일럿 신호이면, 이상적으로는, 서브 캐리어 번호의 앞부터 순서대로, 「1」, 「1」, 「1」, 「-1」로 판정된다.
조건 보유부(86)는, 판정부(112)에서 판정한 파일럿 신호에 대한 기준으로서, MIMO 파일럿 신호에 대한 값을 보유한다. 즉, 조건 보유부(86)는, 서브 캐리어 번호의 앞부터 순서대로 「-1」, 「-1」, 「-1」, 「1」의 값을 보유한다.
결정부(84)는, 판정부(112)에서 판정한 파일럿 신호와, 조건 보유부(86)에서 보유한 조건을 비교하여, 판정부(112)에서 판정한 파일럿 신호가 MIMO 파일럿 신호 인지를 판정한다. 즉, 판정부(112)에서 추출한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의 위상이, MIMO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의 위상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판정부(112)에서 판정한 파일럿 신호의 값이 「-1」, 「-1」, 「-1」, 「1」이면, 판정부(112)에서 판정한 파일럿 신호가 MIMO 파일럿 신호라고 판정한다.
또한, 판정부(112)에서 판정한 파일럿 신호의 값이 「1」, 「1」, 「1」, 「-1」이면, 판정부(112)에서 판정한 파일럿 신호가 MIMO 파일럿 신호가 아니라고 판정한다. 한편, 4개의 신호 중, 일부분만이 조건에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는 수에 따라서, 판정을 행하면 된다. 예를 들면, 4개 중 3개가 일치하는 경우, 판정부(112)에서 판정한 파일럿 신호가 MIMO 파일럿 신호라고 판정한다. 또한, 결정부(84)는, 복수의 OFDM 심볼에서의 파일럿 신호를 사용하여, 이상의 결정을 실행하여도 된다.
도 14는, 판정부(72)에서의 판정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플로 우차트는, 도 9의 스텝 12와 스텝 14에 상당한다. 파일럿 신호 추출부(110)는, 파일럿 신호를 추출한다(S80). 판정부(112)는, 파일럿 신호를 판정한다(S82). 판정한 파일럿 신호가 MIMO 파일럿 신호의 위상에 대응하고 있으면(S84의 예), 결정부(84)는, MIMO 시그널이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한다(S86). 한편, 판정한 파일럿 신호가 MIMO 파일럿 신호의 위상에 대응하고 있지 않으면(S84의 아니오), 결정부(84)는, 대상 데이터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한다(S86).
이상 설명한 실시예 3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변형예에서는,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파일럿 신호 이외의 서브 캐리어에서의 신호점 배치를 이용한다.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대상 데이터와, MIMO 시그널은, 복수의 서브 캐리어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또한 대상 데이터에 사용되는 복수의 서브 캐리어와, MIMO 시그널에 사용되는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서로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에 파일럿 신호가 할당되어 있다.
그러나, 변형예에서는, 대상 데이터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서브 캐리어(이하, 「대상 캐리어」라고 함)에서의 신호점과, MIMO 시그널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서브 캐리어(이하, 「MIMO 캐리어」라고 함)에서의 신호점은, 서로 다른 신호점 배치를 갖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대상 캐리어와 MIMO 캐리어는, 서브 캐리어 번호 「-21」, 「-7」, 「7」, 「21」 이외의 서브 캐리어에 대응한다. 또한, 대상 캐리어의 신호점 배치는 도 7의 (b)에 대응하고, MIMO 캐리어의 신호점 배치는 도 7의 (a)에 대응한다. 즉, 대상 캐리어의 신호점 배치와, MIMO 캐리어의 신호점 배치는, 서로 직교한 관계를 갖는다.
도 15는, 실시예 3에 따른 다른 판정부(72)의 구성을 도시한다. 판정부(72)는, 파일럿 신호 제거부(114), I 성분 처리부(80), Q 성분 처리부(82), 결정부(84), 조건 보유부(86)를 포함한다.
파일럿 신호 제거부(114)는, 복조부(70)로부터 복조된 신호를 입력받는다. 복조된 신호는, FFT 포인트를 단위로 하여 서브 캐리어 번호의 순으로, 파일럿 신호 제거부(114)에 입력된다. 즉, 서브 캐리어 번호 「-26」에 대응한 신호가 입력되고, 마지막으로 서브 캐리어 번호 「26」에 대응한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이에 계속해서, 다음 OFDM 심볼에서의 서브 캐리어 번호 「-26」에 대응한 신호가 입력된다. 파일럿 신호 제거부(114)는, 입력된 신호로부터 파일럿 신호 이외의 서브 캐리어를 추출한다. 이것은, 서브 캐리어 번호 「-21」, 「-7」, 「7」, 「21」 이외에 대응한 서브 캐리어를 추출하는 것에 상당한다.
I 성분 처리부(80), Q 성분 처리부(82), 결정부(84)는, 도 8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한다. 결정부(84)는,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 대하여, 동상 성분의 값과 직교 성분의 값을 각각 조건 보유부(86)에서의 조건과 비교한다. 그 때, 복수의 캐리어에서의 동상 성분의 값과 직교 성분의 값에 대하여, 합을 각각 계산하고, 동상 성분의 합과 직교 성분의 합을 조건 보유부(86)에서의 조건과 비교하여도 된다. 또한, 결정부(84)는, 동상 성분의 값과 직교 성분의 값을 비교하여, 동상 성분의 값쪽이 크면, 대상 데이터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하고, 직교 성분의 값쪽이 크면, MIMO 시그널이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하여도 된다. 즉, 결정부(84)는, 상대적인 값에 기초하여 판정을 행하여도 된다. 여기서, 결정부(84)는, 대상 시그널 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 배치가, MIMO 캐리어에서의 신호점의 신호점 배치에 대응하고 있으면, MIMO 시그널이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즉, 변형예는,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파일럿 신호 이외의 서브 캐리어에 대응한 신호에 대하여,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하고, MIMO 시그널이 배치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또한, 실시예 3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한다. 다른 변형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 3과 변형예를 합성한 형태에 상당한다.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대상 데이터와, MIMO 시그널은, 도 1과 같이 , 복수의 서브 캐리어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또한 대상 데이터에 사용되는 복수의 서브 캐리어와, MIMO 시그널에 사용되는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서로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에 파일럿 신호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대상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과, MIMO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은, 동일한 신호점 배치를 가지면서, 동일한 서브 캐리어에서, 서로 다른 위상을 갖도록 규정되어 있다. 또한, 즉, 대상 캐리어의 신호점 배치와, MIMO 캐리어의 신호점 배치는, 서로 직교한 관계를 갖는다.
도 16은, 실시예 3에 따른 또 다른 판정부(72)의 구성을 도시한다. 판정부(72)는, 도 13의 판정부(72)와 도 15의 판정부(72)를 합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결정부(84)는, 도 13에서의 결정부(84)에서의 판정과, 도 15에서의 결정부(84)에서의 판정을 실행하고, 그들의 결과에 기초하여 판정을 실행한다. 2개의 판정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느 한쪽의 판정 결과를 사용하도록 미리 결정해 두어도 된다. 또한, 결정부(84)는, 양방의 판정 결과 중, 정확하다고 상정되는 쪽의 판정 결과를 사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파일럿 신호에 의한 판정에서, 4개의 파일럿 신호 중의 모두에 대해서, MIMO 시그널이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하고, 파일럿 신호 이외의 신호에 의한 판정에서, 48의 파일럿 신호 중의 36의 파일럿 신호에 대해서, 대상 데이터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전자의 판정의 정확성은, 100퍼센트의 확률이며, 후자의 판정의 정확성은, 75퍼센트의 확률이다라고 정의한다. 그 결과, 결정부(84)는, 전자의 판정 결과에 따른다. 즉, 파일럿 신호에 의한 판정이 이루어진 비율과, 파일럿 신호 이외의 서브 캐리어에 의한 판정이 이루어진 비율을 비교하여, 비율이 높은 쪽의 판정의 결과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파일럿 신호와 MIMO 파일럿 신호와의 위상의 차이에 의해, MIMO 시그널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대상 파일럿 신호와 MIMO 파일럿 신호와의 위상은, 반전되어 있는 관계에 있으므로, 양자의 차이의 판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대상 파일럿 신호와 MIMO 파일럿 신호와의 위상은, 반전되어 있는 관계에 있으므로, 양자의 차이의 판정을 고속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파일럿 신호 이외의 신호점의 배치는, 임의이어도 되므로, 설계의 자유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대상 캐리어와 MIMO 캐리어와의 신호점 배치의 차이에 의해, MIMO 시그널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파일럿 신호 이외의 서브 캐리어는, 수가 많으므로, 판정이 정확하게 된다. 또한, 파일럿 신호의 신호점의 배치는, 임의이어도 되므로, 설계의 자유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MIMO 파일럿 신호의 신호 점의 배치가, 대상 파일럿 신호의 신호점의 배치와 동일하여도 되므로, MIMO 시스템과 대상 시스템에 대하여 동일한 파일럿 신호가 규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대상 파일럿 신호와 MIMO 파일럿 신호와의 위상의 차이와, 대상 캐리어와 MIMO 캐리어와의 신호점 배치의 차이를 사용하면서, MIMO 시그널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신호를 사용하여 판정을 실행하므로, 판정이 정확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다. 이 실시예는 예시이며, 그들의 각 구성 요소나 각 처리 공정의 조합으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지시부(74)는, MIMO 시그널로부터, MIMO 시스템에 대응한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제1 MIMO-데이터 등의 길이를 추출한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MIMO 시그널의 전단에는, 대상 시그널이 배치되어 있어, 지시부(74)는, 대상 시그널을 사용하여도 된다. 즉, 지시부(74)는, 대상 시그널로부터, MIMO 시스템에 대응한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MIMO-데이터의 길이를 추출하고, 추출한 MIMO-데이터의 길이에 따른 기간에 걸쳐, 베이스 밴드 처리부(62)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MIMO 시그널보다도 빠른 타이밍에, 제1 MIMO-데이터 등의 길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베이스 밴드 처리부(62)를 정지시키는 기간을 알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결정부(96)는,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신호파 성분의 관계에 기초하여, 수신한 신호가 MIMO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인지 를 결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실시예 1과 같이,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MIMO 시그널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여도 된다. 그 경우, 판정부(72)는, 수신한 대상 STS나 대상 LTS에 포함된 복수의 신호파 성분의 관계를 특정하고, 특정한 관계와, MIMO 시스템에서의 대상 STS나 대상 LTS에서의 관계에 기초하여, MIMO 시그널이 배치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그 때, 도 10과 같이, MIMO 시그널과 MIMO 시그널+CDD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피크 검출부(94)는, 관계에 대응한 적어도 2개의 피크를 도출하고, 도출한 적어도 2개의 피크의 간격이 임계값 이상이면, MIMO 시그널이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MIMO 시그널의 존재를 판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기준과, 실시예 1에 설명한 기준을 병용할 수 있다. 즉, MIMO 시그널의 존재를 복수의 기준에 의해 판정함으로써, 판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즉, MIMO 시그널이 배치되어 있는지를 알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대상 시스템으로서, IEEE802.11a 규격에 의한 무선 LAN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다른 통신 시스템이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대상 시스템과 MIMO 시스템은, MIMO를 적용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차이를 가지며, 또한 MIMO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가, 대상 시스템에서의 채널의 형식을 갖고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판정부(72)는, MIMO 시그널이 버스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대상 시그널 중 의 1비트가 대상 시스템에 대응하고 있는지, 혹은 MIMO 시스템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고, 판정부(72)는, 해당 비트를 검출하고, 검출한 비트로부터 대응하는 시스템을 판정하여도 된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처리가 간이하게 된다. 즉, 버스트 신호가 대응하는 시스템을 알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전부 혹은 일부의 임의의 조합도 유효하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조합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응하고 있지 않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신호가 도래한 경우라도, 소비 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4)

  1. 소정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로서, 채널에 배치되는 기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와,
    제1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이 공간 분할된 복수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로서,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형식을 가진 제어 신호가, 상기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서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로서,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와,
    상기 판정부에서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제어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로서,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상기 제2 수신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지시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와, 상기 제어 신호는, 신호점의 배치가 서로 다르도록 규정되어 있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기지 신호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신호점의 배치가, 제어 신호에서의 신호점의 배치에 대응하고 있으면,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로서,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와 소정의 관계를 가지면서,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기지 신호도 수신하고,
    상기 판정부는, 수신한 기지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를 특정하고, 특정한 관계와,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한 임계값을 미리 기억하고 있고, 또한 수신한 기지 신호와, 미리 기억한 기지 신호와의 상관 처리에 의해,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에 대응한 값을 도출하고, 도출한 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와, 상기 제어 신호는, 복수의 캐리어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와, 상기 제어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 중, 서로 대응하는 캐리어에 파일럿 신호가 할당되고,
    상기 데이터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과, 상기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은, 동일한 신호점 배치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위상을 갖도록 규정되어 있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기지 신호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의 위상이,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의 위상에 대응하고 있으면,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와, 상기 제어 신호는, 복수의 캐리어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와, 상기 제어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 중, 서로 대응하는 캐리어에 파일럿 신호가 할당되고,
    상기 데이터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과, 상기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은, 서로 다른 신호점 배치를 갖도록 규정되어 있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기지 신호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 배치가,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의 신호점 배치에 대응하고 있으면,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와, 상기 제어 신호는, 복수의 캐리어를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와, 상기 제어 신호에 사용되는 복수의 캐리어 중, 서로 대응하는 캐리어에 파일럿 신호가 할당되고,
    상기 데이터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과, 상기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은, 동일한 신호점 배치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위상을 갖도록 규정되고, 또한 상기 데이터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과, 상기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은, 서로 다른 신호점 배치를 갖도록 규정되어 있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기지 신호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의 위상이,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에서의 신호점의 위상에 대응하고, 상기 기지 신호의 후단의 위치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 배치가, 제어 신호에서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캐리어에서의 신호점의 신호점 배치에 대응하고 있으면,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는, 상기 제어 신호로부터,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의 길이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 신호의 길이에 따른 기간에 걸쳐, 상기 제2 수신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의 전단에는,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가 더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시부는,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로부터,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의 길이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 신호의 길이에 따른 기간에 걸쳐, 상기 제2 수신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0. 소정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1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로부터, 채널에 배치되는 기지 신호를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이 공간 분할된 복수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2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와 소정의 관계를 가지면서, 복수의 채널의 각각에 배치되는 기지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와,
    수신한 기지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를 특정하는 특정부와,
    특정한 관계가,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하고 있지 않으면,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로서,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와,
    특정한 관계가,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하고 있으면,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로서,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상기 제2 수신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지시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부는, 수신한 기지 신호와, 미리 기억한 기지 신호와의 상관 처리에 의해,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에 대응한 값을 도출하고,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특정부에서 도출한 값이,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한 임계값보다도 작으면, 특정한 관계가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고,
    상기 지시부는, 상기 특정부에서 도출한 값이,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한 임계값 이상이면, 특정한 관계가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수신 장치.
  12. 소정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1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이 공간 분할된 복수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신호로서,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형식을 가진 제어 신호가, 수신한 채널 중에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의 수신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13. 소정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1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로부터, 채널에 배치되는 기지 신호를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이 공간 분할된 복수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2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와 소정의 관계를 가지면서, 복수의 채널의 각각에 배치되는 기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지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가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하고 있지 않으면,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로서,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지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신호파 성분간의 관계가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 신호에서의 관계에 대응하고 있으면,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로서,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수신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14. 소정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고, 채널에 배치되는 기지 신호와,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1 송신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채널이 공간 분할된 복수의 채널에 의해 통신할 제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고,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한 형식을 가진 기지 신호와 제어 신호, 그들의 후단에,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송신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고, 기지 신호의 후단에 제어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기지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 신호의 후단에 제어 신호가 존재하면, 복수의 채널에 각각 배치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수신을 정지하는 수신 장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077008031A 2004-09-10 2005-09-05 수신 방법 및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KR100867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63915 2004-09-10
JPJP-P-2004-00263915 2004-09-10
JPJP-P-2004-00293029 2004-10-05
JP2004293029A JP3754441B1 (ja) 2004-09-10 2004-10-05 受信方法ならびに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607A KR20070088607A (ko) 2007-08-29
KR100867852B1 true KR100867852B1 (ko) 2008-11-07

Family

ID=3603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031A KR100867852B1 (ko) 2004-09-10 2005-09-05 수신 방법 및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295400B2 (ko)
EP (1) EP1788743B1 (ko)
JP (1) JP3754441B1 (ko)
KR (1) KR100867852B1 (ko)
CN (2) CN102916801B (ko)
TW (2) TWI407712B (ko)
WO (1) WO20060280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8585B1 (en) 2000-11-30 2018-05-02 Panasonic Healthcare Holdings Co., Ltd. Method of quantifying substrate
US8396153B1 (en) * 2004-12-07 2013-03-12 Adaptix, Inc. Cooperative MIMO in multicell wireless networks
US7428268B2 (en) * 2004-12-07 2008-09-23 Adaptix, Inc. Cooperative MIMO in multicell wireless networks
US7609774B2 (en) * 2005-12-20 2009-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mforming transceiver architecture with enhanced channel estimation and frequency offset estimation capabilities in high throughput WLAN systems
JP4816123B2 (ja) * 2006-02-17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WO2008139672A1 (ja) 2007-04-27 2008-11-20 Panasonic Corporation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CN101542999B (zh) * 2007-04-27 2012-11-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号判定装置及信号判定方法
US8228809B1 (en) 2007-12-21 2012-07-24 Adaptix, Inc. Intelligent mode switching in communication networks
US20100290449A1 (en) 2008-08-20 2010-11-18 Qualcomm Incorporated Preamble extensions
DE102010041368A1 (de) * 2010-09-24 2012-04-1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Teilnehmerstation zum optimierten Übertragen von Daten zwischen Teilnehmerstationen eines Bussystems
JP5712698B2 (ja) * 2011-03-11 2015-05-07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4135412A1 (en) * 2013-03-07 2014-09-12 Sony Corporation Mimo receiving apparatus and mimo preprocessing apparatus
EP2993848B1 (en) * 2013-06-27 2019-04-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0393727B2 (en) * 2015-09-18 2019-08-27 Sutter Instrument Company Digital patch-clamp amplifi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7172A (ja) * 2003-03-25 2004-10-21 Sharp Corp 無線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無線データ送受信装置
JP2005005758A (ja) * 2003-06-09 2005-01-06 Sharp Corp 通信装置、基地局、移動端末及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1538A (ja) * 1998-05-29 1999-12-10 Nec Shizuoka Ltd 無線通信装置
DE69837659T2 (de) * 1998-09-03 2007-12-27 Sony Deutschland Gmbh Blinde Detektion von Modulation
CN1185807C (zh) * 1999-12-24 2005-01-19 株式会社Ntt都科摩 移动通信系统中脉冲串信号发送方法及其装置并信息配送方法以及信息配送控制装置
US6888809B1 (en) * 2000-01-13 2005-05-03 Lucent Technologies Inc. Space-time processing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reless systems
US7068628B2 (en) * 2000-05-22 2006-06-27 At&T Corp. MIMO OFDM system
US6802035B2 (en) * 2000-09-19 2004-10-05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optimizing a transmission mode of wirelessly transmitted information
US7548506B2 (en) * 2001-10-17 2009-06-16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ccess and synchronization methods for MIMO OFDM communications systems and physical layer packet and preamble design
US7248559B2 (en) * 2001-10-17 2007-07-24 Nortel Networks Limited Scattered pilot pattern and channel estimation method for MIMO-OFDM systems
US6862271B2 (en) * 2002-02-26 2005-03-01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with multiple transmission modes
US7224704B2 (en) * 2002-04-01 2007-05-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network scheduling data frames including physical layer configuration
GB2388500A (en) * 2002-05-09 2003-11-12 Sony Uk Ltd Noise burst estimation and cancellation in OFDM carriers
US7095709B2 (en) * 2002-06-24 2006-08-22 Qualcomm, Incorporated Diversity transmission modes for MIMO OFDM communication systems
US8194770B2 (en) * 2002-08-27 2012-06-05 Qualcomm Incorporated Coded MIMO systems with selective channel inversion applied per eigenmode
US20040062217A1 (en) * 2002-09-30 2004-04-01 Farrokh Abrishamkar Method and apparatus for pilot estimation using an adaptive prediction error method with a kalman filter and a gauss-newton algorithm
US6896689B2 (en) * 2003-01-28 2005-05-24 Tewodros Gedebou Tissue expander, system and method
KR100552680B1 (ko) * 2003-02-17 2006-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ofdm 통신 시스템에서의 papr 저감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다중 안테나 ofdm 통신 시스템
US7916803B2 (en) * 2003-04-10 2011-03-29 Qualcomm Incorporated Modified preamble structure for IEEE 802.11a extensions to allow for coexistence and interoperability between 802.11a devices and higher data rate, MIMO or otherwise extended devices
JP4536435B2 (ja) * 2003-06-30 2010-09-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方法及び送信装置
US7616698B2 (en) * 2003-11-04 2009-11-10 Atheros Communications, Inc. Multiple-input multiple output system and method
US7474608B2 (en) * 2004-01-12 2009-01-06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signaling information by modifying modulation constellations
US7324605B2 (en) * 2004-01-12 2008-01-29 Intel Corporation High-throughput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xchang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US7233773B2 (en) 2004-02-13 2007-06-19 Broadcom Corporation Configuring a MIMO communication
US8000223B2 (en) * 2004-04-12 2011-08-16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ulti-antenna preambles for wireless networks preserving backward compatibility
EP1594259A1 (en) * 2004-05-07 2005-11-09 Infineon Technologies AG Extension of initiation messages to improve channel estimation
WO2005119922A2 (en) * 2004-05-27 2005-12-15 Airgo Networks, Inc. Modified ieee 802.11a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802.11a devices
US8619907B2 (en) * 2004-06-10 2013-12-31 Agere System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amble training in a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TWI265431B (en) * 2004-09-07 2006-11-01 Acer Inc Notebook computer with antenna array module
JP4589711B2 (ja) * 2004-12-14 2010-12-0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US20060135072A1 (en) * 2004-12-17 2006-06-22 Assaf Kasher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to aid in system identification in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US7411995B2 (en) * 2004-12-17 2008-08-12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to aid in system identification in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CN107819719B (zh) * 2004-12-23 2020-12-25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发送和接收数据以提供高速数据通信的设备及方法
US7693082B2 (en) * 2005-04-12 2010-04-06 Azimuth Systems, Inc. Latency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7172A (ja) * 2003-03-25 2004-10-21 Sharp Corp 無線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無線データ送受信装置
JP2005005758A (ja) * 2003-06-09 2005-01-06 Sharp Corp 通信装置、基地局、移動端末及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54441B1 (ja) 2006-03-15
CN102916801B (zh) 2015-11-11
CN102916801A (zh) 2013-02-06
US20060056530A1 (en) 2006-03-16
US8295400B2 (en) 2012-10-23
CN101015155B (zh) 2012-11-07
TWI407712B (zh) 2013-09-01
KR20070088607A (ko) 2007-08-29
TWI496429B (zh) 2015-08-11
WO2006028036A1 (ja) 2006-03-16
CN101015155A (zh) 2007-08-08
US20130034192A1 (en) 2013-02-07
EP1788743A4 (en) 2011-11-23
TW201347451A (zh) 2013-11-16
TW200625852A (en) 2006-07-16
JP2006109104A (ja) 2006-04-20
US8787496B2 (en) 2014-07-22
EP1788743B1 (en) 2014-04-30
EP1788743A1 (en) 200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852B1 (ko) 수신 방법 및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KR100827148B1 (ko) 송신 방법 및 장치와 수신 방법 및 장치
US807769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0887006B1 (ko) 송신 방법 및 장치
JP5024934B2 (ja) 無線通信装置
KR101279187B1 (ko) 무선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US20060193394A1 (en) Receiving method and receiving apparatus
JP4841256B2 (ja) 無線装置
JP4841331B2 (ja) 無線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
US7697593B2 (e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timing synchronization using correlation with first and second known signal
JP4738050B2 (ja)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JP4583330B2 (ja) 送信方法および装置
JP4583254B2 (ja) 送信方法および装置
JP2010035180A (ja) 送信装置
JP2006173764A (ja) マルチキャリア信号復調回路およびマルチキャリア信号復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