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742B1 -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742B1
KR100867742B1 KR1020070110447A KR20070110447A KR100867742B1 KR 100867742 B1 KR100867742 B1 KR 100867742B1 KR 1020070110447 A KR1020070110447 A KR 1020070110447A KR 20070110447 A KR20070110447 A KR 20070110447A KR 100867742 B1 KR100867742 B1 KR 10086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ort
flow path
gas cylinder
p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복
문동민
김광섭
이정순
강남구
민들레
김진석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1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10Mixing gases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7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8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feeding the materials batchwise
    • B01F35/881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feeding the materials batchwise by weighing, e.g. with automatic dischar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순수가스를 가스통에 순차적으로 충전하여 혼합가스를 제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가스통의 중량을 측정하는 저울; 두 종류 이상의 순수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가스통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제1포트, 파이프에 의해 가스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제2포트, 및 제3포트를 구비하고, 일단이 제1포트에 위치하며 타단이 제2포트에 위치하는 제1유로, 및 일단이 제1포트에 위치하며 타단이 제3포트에 위치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서로 격리된 두 개의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 및 제3포트에 결합되어 제2유로를 개폐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하여, 제1유로는 가스공급장치로부터 가스통으로 순수가스를 전달하는 통로로 이용되며, 제2유로는 가스통에 구비되는 개폐밸브 폐쇄시에 제1유로를 통해 가스통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충전되는 순수가스의 종류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가스공급장치와 가스통을 연결하는 파이프 내부공간에 잔류하는 직전에 충전되던 순수가스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더욱 정밀한 성분비의 혼합가스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혼합가스, 가스통, 가스공급장치, 저울,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

Description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GAS MIXTURE MAKING SYSTEM USING GRAVIMETRIC METHO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혼합가스 제조공정의 일 예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가스제조시스템을 도시한 배치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혼합가스제조시스템에서 가스통과 결합되는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 내에서의 혼합가스제조시 유동경로를 부분적으로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혼합가스제조시스템에서 가스통과 결합되는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 내에서의 가스 외부배출시 유동경로를 부분적으로 예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스통 20: 가스공급장치
25, 35: 파이프 30: 저울
45: 이음부재 50: 배출가스 회수수단
70: 배출밸브 100: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
110: 제1포트 115: 밀폐플랜지
120: 제2포트 130: 제3포트
140: 밀폐형 체결너트 145: 걸림턱
210: 제1유로 220: 제2유로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순수가스를 혼합된 혼합가스를 제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빈 가스통과 충전된 가스통의 중량을 비교하여 혼합가스를 제조하는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혼합가스 제조공정의 일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혼합가스는 레이저 발진, 식품 포장, 특수 용접, 의료, 조명, 호흡, 해저탐사, PDP TV, 방사능 측정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개별적인 용도에 적합하도록 2 종류 이상의 고순도 순수 가스를 필요한 농도로 혼합한 것이다.
이와 같은 혼합가스는 "중량법"으로 통용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가스는 정밀측정이 가능한 저울(30), 혼 합가스가 충전될 가스통(10), 가스통(10)에 충전할 두 종류 이상의 순수가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가스공급장치(20), 및 가스공급장치(20)와 가스통(10)을 연결하는 파이프(25)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저울(30) 위에 가스통(10)을 올려둔 상태에서, 가스통(10)의 주입구(13)와 가스공급장치(20)를 파이프(25)로 연결한다. 이어서, 가스통에 구비되는 개폐밸브(11)를 개방한 상태에서, 가스공급장치(20)에 내장되는 진공펌프(도시 안됨)를 작동시켜 가스통(10) 내부의 기체를 배출시킴으로써 가스통(10)과 연결용 파이프(25)의 내부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들게 되며, 이때 저울(30)의 지침을 읽어 비어 있는 가스통(10)의 중량을 측정한다. 그 다음에, 가스공급장치(20)를 통해 혼합될 어느 한 종류의 순수가스를 공급하여, 파이프(25)를 통해 한 종류의 순수가스가 가스통(10) 내에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저울(30)의 지침을 읽어 충전되는 순수가스가 필요한 양만큼 충전될 수 있도록 가스공급을 조절하게 된다. 한 종류의 순수가스가 충전완료되면, 가스통(10)의 개폐밸브(11)를 폐쇄한 상태에서, 가스공급장치(20)와 가스통(10)을 연결하는 파이프(25)의 내부공간에 잔류하는 한 종류의 순수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진공펌프(도시 안됨)를 가동하여 파이프(25) 내부공간에 진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잔류하는 가스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가스공급장치(20)를 통해 혼합될 다른 한 종류의 순수가스를 공급함과 더불어 가스통의 개폐밸브(11)를 개방하여 파이프(25)를 통해 가스통(10) 내에 다른 한 종류의 순수가스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며, 이 과정에서도 저울(30)의 지침을 읽어 충전되는 가스를 양적으로 조절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복적인 과정은 혼합될 순수가스의 가짓수에 따라 반복횟수가 결정되며, 마지막으로 충전될 순수가스의 충전이 완료되면 개폐밸브(11)를 폐쇄하고 가스통(10)의 주입구(13)를 밀봉함으로써 혼합가스의 제조가 완료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혼합가스를 제조하게 되면, 농도비 즉 성분비를 정밀하게 맞추기 어렵다. 구체적으로, 충전될 순수가스의 종류를 변경할 때,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파이프(25) 내부공간에 진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잔류가스를 제거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파이프 내부공간의 진공도 수준에는 한계가 있고, 진공도에 한계가 있다는 것은 먼저 주입했던 가스가 소량이라도 배관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나아가 연결용 파이프 내부에 가스가 잔류한다는 것은 혼합가스를 이루는 순수가스의 성분비를 원하는 규격에 맞게 정밀하게 조절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용처에 따라 혼합가스의 성분비가 정밀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혼합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부적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충전되는 순수가스의 종류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파이프 내부에 잔류하는 직전에 충전되던 순수가스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정밀한 성분비의 혼합가스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순수가스를 가스통에 순차적으로 충전하여 혼합가스를 제조하는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에 있어서,
가스통의 중량을 측정하는 저울;
두 종류 이상의 순수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상기 가스통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제1포트, 파이프에 의해 상기 가스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제2포트, 및 제3포트를 구비하고,
일단이 제1포트에 위치하며 타단이 제2포트에 위치하는 제1유로, 및 일단이 제1포트에 위치하며 타단이 제3포트에 위치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서로 격리된 두 개의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 및
상기 제3포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2유로를 개폐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제1유로는 상기 가스공급장치로부터 상기 가스통으로 순수가스를 전달하는 통로로 이용되며, 상기 제2유로는 상기 가스통에 구비되는 개폐밸브 폐쇄시에 상기 제1유로를 통해 상기 가스통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밸브에 연결되는 배출가스 회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유로의 일단은 상기 제1유로의 일단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포트에서 상기 제1유로의 일단은 상기 제2유로의 일단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1포트는 가스통의 주입구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연결되고, 그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밀폐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가스통의 주입구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와 맞물리는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체결시 상기 밀폐플랜지를 가스통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내주면 일측에서 중심을 향해 돌출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제1포트의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밀폐형 체결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가스제조시스템을 도시한 배치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의 혼합가스제조시스템에서 가스통과 결합되는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 내에서의 혼합가스제조시 유동경로를 부분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혼합가스제조시스템에서 가스통과 결합되는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 내에서의 가스 외부배출시 유동경로를 부분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가스제조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종류의 순수가스를 가스통에 순차적으로 충전하여 혼합가스를 제조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스통(10)의 중량을 측정하는 저울(30)과, 두 종류 이상의 순수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20)와, 가스통(10)의 주입구(13)에 결합되는 제1포트(110), 파이프(25)에 의해 가스공급장치(20)와 연결되는 제2포트(120), 및 제3포트(130)를 구비하는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 및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의 제3포트(130)에 결합되는 배출밸브(7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혼합가스제조시스템은, 배출밸브(70)에 파이프(35)에 의해 연결되는 배출가스 회수수단(5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가스 회수수단(50)의 장착은 선택적인 것이며, 따라서 필요에 따라 장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이 배출가스 회수수단(50)이 장착되면, 배출밸브(70) 개방을 통해 가스공급장치(20)와 가스통(10)을 연결하는 배관의 내부공간에 잔류하는 가스를 배출시키고자 할 때, 배출되는 가스를 배출가스 회수수단(50)이 포집하게 된다. 즉, 배출되는 가스가 바로 대기 중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이며, 이는 가스의 종류가 인체에 해로운 독성을 갖는 가스인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하다 할 것이다.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제1포트(110), 제2포트(120) 및 제3포트(130)를 구비함과 더불어, 내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유로(210)(220)를 구비한다.
두 개의 유로(210)(220)는 서로 격리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중 제1유로(210)는 일단(211)이 제1포트(110)에 위치하며, 타단(213)이 제2포트(120)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유로(220)는 일단(221)이 제1포트(110)에 위치하며, 타단(223)이 제3포트(130)에 위치한다. 즉, 두 유로의 일단(211)(221)은 제1포트(110)에 함께 위치하며, 두 유로의 타단(213)(223)은 제2포트(120)와 제3포트(130)에 각각 독립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두 유로(210)(220)의 일단(211)(221)이 함께 위치하게 되는 제1포트(110)에서, 제2유로(220)의 일단(221)은 제1유로(210)의 일단(211)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포트(110)에서 제1유로(210)의 일단(211)은 제2유로(220)의 일단(22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나아가 중심이 일치하는 동심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유로(210)는 가스공급장치(20)로부터 가스통(10)으로 순수가스를 전달하는 통로로 이용되며, 제2유로(220)는 가스통(10)에 구비되는 개폐밸브(11) 폐쇄시에 제1유로(210)를 통해 가스공급장치로(20)부터 가스통(10) 방향으로 공급되거나 가스공급장치(20)와 가스통(10)을 연결하는 배관의 내부공간에 잔류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로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의 제1포트(110)는 가스통(10)의 주입구(13)에 결합되고, 제2포트(120)는 이음부재(45)에 의해 가스공급장치(20)에서 연장되는 파이프(25)에 연결되어, 제1유로(210)를 이용한 가스공급장치(20)로부터 가스통(10)으로의 가스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3포트(130)는 대기와 소통하도록 배치되거나 배출밸브(70)와 파이프(35)를 통해 배출가스 회수수단(50)에 연결되어, 가스공급장치(20)와 가스통(10)을 연결하는 배관의 내부공간에 잔류하는 가스를 제2유로(220)를 이용하여 대기중으로 또는 배출가스 회수수단(50)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1포트(110)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스통(10)의 주입구(13)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1포트(11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단부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외주면 부분에서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밀폐플랜지(115)를 구비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밀폐형 체결너트(140)를 사용한 체결시 밀폐플랜지(115)에 의한 압박을 통해 가스통(10)과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의 연결부위에서 가스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인 가스통(10)은 구비하는 주입구(13)의 외주면 부분에 배관연결을 위한 수나사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제1포트(110)는 나사결합방식으로 가스통(10)의 주입구(13)에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나사결합방식의 결합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은 제1포트(1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밀폐형 체결너트(140)를 구비한다.
밀폐형 체결너트(140)는 가스통의 주입구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와 맞물리도록 원통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141)를 구비한다. 그리고, 체결시 밀폐플랜지(115)를 가스통(10)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내주면 일측에서, 달리 표현하면 내주면의 가스통 방향 반대측 단부에서 중심을 향해 돌출하는 걸림턱(145)을 구비한다. 걸림턱(145)을 구비함에 따라, 체결시 걸림턱(145)이 밀폐플랜지(115)를 압박하여 가스통의 주입구에서 밀폐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 으로 가스통(10)과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 간의 연결부위에서의 기밀상태를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가스제조시스템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과정을 설명한다.
1) 가스통(10)을 저울(30) 위에 올려둔 상태에서,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의 제1포트(110)를 가스통(10)의 주입구(13)에 연결한다.
2)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의 제3포트(130)에 연결되는 배출밸브(70)를 조정하여 배출가스 회수수단(50)과 연결되는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의 제1포트(110)와 제3포트(130)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220)를 차단한다.
3) 이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가스가 충전될 가스통(10)의 주입구(13)를 개폐밸브(11)의 조정을 통해 개방한다.
4) 가스공급장치(20)에 내장되는 진공펌프(도시 안됨)를 작동시켜, 가스통 내부의 기체를,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의 제1포트(110)와 제2포트(1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로(210)를 경유하여 가스공급장치(20)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흡입하여, 가스통(10)과 연결용 파이프(25), 이음부재(45) 및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의 내부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들고, 이 상태에서 저울(30)의 지침을 읽어 비어 있는 가스통(10)의 중량을 측정한다.
5) 가스공급장치(20)를 통해 혼합될 어느 한 종류의 순수가스를 공급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25)와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의 제1유로(210)를 통해 순수가스가 가스통(10) 내에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저울(30)의 지침을 읽어 충전되는 순수가스가 필요한 양만큼 충전될 수 있도록 가스공급을 조절하게 된다.
6) 한 종류의 순수가스가 충전완료되면, 가스통(10)의 개폐밸브(11)를 폐쇄한 다음,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의 제3포트(130)에 연결되는 배출밸브(70)를 조정하여 배출가스 회수수단(50)과 연결되는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의 제2유로(220)를 개방한 상태에서, 가스공급장치(20)와 가스통(10)을 연결하는 파이프(25)와, 제1유로(210)를 포함하는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의 내부공간에 잔류하는 직전에 충전되던 종류의 순수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진공펌프로 흡입하여 잔류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공급장치(20)를 통해 혼합될 다른 한 종류의 순수가스를 공급하여, 충전될 새로운 종류의 순수가스가 잔류하던 가스를 밀어내어, 충전될 새로운 종류의 순수가스와 잔류하던 가스가 함께 제2유로(220)를 경유하여 배출가스 회수수단(50)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잔류하던 가스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게 되면 결국, 가스공급장치(20)와 가스통(10)을 연결하는 파이프(25)와 제1유로(210)를 포함하는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의 내부공간에 새로 충전될 종류의 순수가스만이 잔류하게 된다.
7) 이어서,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의 제3포트(130)에 연결되는 배출밸브(70)를 조정하여 배출가스 회수수단(50)과 연결되는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 결관(100)의 제2유로(220)를 다시 차단하고, 새로운 종류의 순수가스가 가스통(10) 내부에 이미 충전된 가스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스공급장치(20)에 의해 공급되는 상태에서, 가스통(10)의 주입구(13)를 개폐밸브(11)의 조정을 통해 다시 개방함으로써, 새로운 종류의 순수가스가 가스통(10) 내부에 충전되면서 이미 충전되어 있는 순수가스와 혼합되도록 한다. 역시, 이 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저울(30)의 지침을 읽어 새롭게 충전되는 순수가스가 필요한 양만큼 충전될 수 있도록 가스공급을 조절하게 된다.
8) 혼합될 새로운 종류의 순수가스가 있는 경우에는 이상의 잔류가스 제거과정과 새로운 종류의 가스를 공급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며, 더 이상 혼합될 가스가 없는 경우에는 단지, 가스통(10)의 주입구(13)를 개폐밸브(11)의 조정을 통해 폐쇄한 다음, 가스통의 주입구와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의 제1포트(110) 간의 연결상태를 해제함으로써, 가스통(10)을 본 발명에 따른 혼합가스제조시스템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혼합가스 제조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9) 한편, 마지막에 충전된 순수가스가 부식을 유발하거나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흡착성가스나 독성가스임에 따라 혼합가스제조시스템 내부에 미량이라도 잔류하거나 그대로 대기로 배출되는 것이 부적절한 경우에는, 가스통(10)의 주입구(13)를 폐쇄한 상태에서 가스통(10)을 분리하기 이전에, 배출밸브(70)를 개방하고 가스공급장치(20)를 통해 질소나 헬륨 등과 같은 세척용 가스를 공급하여, 가스공급장치(20)와 연결용 파이프(25)의 내부공간, 제1유로(210) 및 제2유로(220)를 포함하는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100)의 내부공간, 가스통(10)의 주입구(13) 주변영역 등 혼합가스제조과정에서 혼합될 순수가스와 접촉하게 되는 모든 부분을 세척하여 배출가스 회수수단(50)으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수행한 다음, 가스통(10)을 혼합가스제조시스템으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은 충전되는 순수가스의 종류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가스공급장치와 가스통을 연결하는 파이프 내부공간에 잔류하는 직전에 충전되던 순수가스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더욱 정밀한 성분비의 혼합가스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배출가스 회수수단을 포함하는 경우, 혼합가스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식을 유발하거나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흡착성가스나 독성가스를 취급한 경우에도, 이와 같은 가스들이 내부공간에 잔류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기중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여러 종류의 순수가스를 가스통에 순차적으로 충전하여 혼합가스를 제조하는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에 있어서,
    가스통의 중량을 측정하는 저울;
    두 종류 이상의 순수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가스공급장치;
    상기 가스통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제1포트, 파이프에 의해 상기 가스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제2포트, 및 제3포트를 구비하고,
    일단이 제1포트에 위치하며 타단이 제2포트에 위치하는 제1유로, 및 일단이 제1포트에 위치하며 타단이 제3포트에 위치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서로 격리된 두 개의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가스배관용 3-포트형 연결관; 및
    상기 제3포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2유로를 개폐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제1유로는 상기 가스공급장치로부터 상기 가스통으로 순수가스를 전달하는 통로로 이용되며, 상기 제2유로는 상기 가스통에 구비되는 개폐밸브 폐쇄시에 상기 제1유로를 통해 상기 가스통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에 연결되는 배출가스 회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의 일단은 상기 제1유로의 일단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포트에서 상기 제1유로의 일단은 상기 제2유로의 일단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는 가스통의 주입구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연결되고, 그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밀폐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가스통의 주입구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와 맞물리는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체결시 상기 밀폐플랜지를 가스통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내주면 일측에서 중심을 향해 돌출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제1포트의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밀폐형 체결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
KR1020070110447A 2007-10-31 2007-10-31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 KR100867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447A KR100867742B1 (ko) 2007-10-31 2007-10-31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447A KR100867742B1 (ko) 2007-10-31 2007-10-31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742B1 true KR100867742B1 (ko) 2008-11-10

Family

ID=4028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447A KR100867742B1 (ko) 2007-10-31 2007-10-31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7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295A (ja) * 1995-11-10 1997-05-20 Teisan Kk 混合ガス充填方法及び装置
KR20010077978A (ko) * 2000-01-13 2001-08-20 조안 엠. 젤사 ; 로버트 지. 호헨스타인 ; 도로시 엠. 보어 기체 혼합 장치
KR20060046998A (ko) * 2004-11-12 2006-05-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혼합가스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포장기기
JP2007144283A (ja) 2005-11-25 2007-06-14 Seaprex Kk 合成空気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295A (ja) * 1995-11-10 1997-05-20 Teisan Kk 混合ガス充填方法及び装置
KR20010077978A (ko) * 2000-01-13 2001-08-20 조안 엠. 젤사 ; 로버트 지. 호헨스타인 ; 도로시 엠. 보어 기체 혼합 장치
KR20060046998A (ko) * 2004-11-12 2006-05-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혼합가스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포장기기
JP2007144283A (ja) 2005-11-25 2007-06-14 Seaprex Kk 合成空気の製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6882A1 (en) Metering valve for a metered dose inhaler providing consistent delivery
EP0893293A3 (en) Gas fuel supply piping system
CN101370537A (zh) 确定医疗耗材内流体压力的压力测量单元
CA2366659A1 (en) System for handling bulk particulate materials
US10960416B2 (en) Fluid injection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000996B1 (ko) 가스 공급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A2413613A1 (en) Connector for a compressed-gas canister and a fastening appliance
KR102146350B1 (ko) 그리스 교체 방법 및 그리스 흡입 장치
KR100867742B1 (ko) 중량법을 이용한 혼합가스제조시스템
US59966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liquid additive into vapor-compression systems
US6149718A (en) Contamination control system
CN109520676A (zh) 一种气缸盖气密性检验装置及其控制系统与操作方法
JP2004520241A (ja) 高圧供給容器用のバルブ
JP4150164B2 (ja) コンテナを充填する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JP4150162B2 (ja) コンテナを充填する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JP7225436B2 (ja) パイプライン溶接継手のロボット内部絶縁のための装置
JP2024515185A (ja) バイオ医薬製品のためのフィッティング接続でのガス漏れの可能性を検出するためのシーリング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2003161669A (ja) 管継手部の外水圧試験装置
US5438884A (en) Flush mount fitting for gas emission sample container
US10982813B2 (en) Connecting element for gas cylinders
FR2976337A1 (fr) Dispositif de repartition de gaz pour installation de conditionnement de bouteilles de gaz
CN208431507U (zh) 一种玻璃钢管道修补器
KR200342060Y1 (ko) 역류방지밸브를 가지는 반도체용 처리가스 공급장치의진공발생기
JP2017523350A (ja) 濃厚相ポンプ診断
JP4150163B2 (ja) コンテナを充填する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