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725B1 - 차량용 스마트키의 튜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키의 튜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725B1
KR100867725B1 KR1020070061638A KR20070061638A KR100867725B1 KR 100867725 B1 KR100867725 B1 KR 100867725B1 KR 1020070061638 A KR1020070061638 A KR 1020070061638A KR 20070061638 A KR20070061638 A KR 20070061638A KR 100867725 B1 KR100867725 B1 KR 100867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fob key
authentication
key
p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1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3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ith more than one way to gain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 B60R2025/1016Remote signals alerting owner or authorities, e.g. radio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의 튜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증용 Fob키 하나만을 추가하고 한 번의 입력신호를 통해 연속적인 인증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튜닝에 필요한 인력 및 시간을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는 튜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튜닝방법은, PIC 유닛에 튜닝을 위한 인증 시나리오가 저장된 상태에서 PIC 유닛이 튜닝모드로 진입하는 제1단계와, 상기 PIC 유닛에 인증시작 신호가 입력되는 제2단계와, 상기 PIC 유닛에 저장된 인증 시나리오대로 소정시간마다 LF 전파를 발생하여 Fob키를 향해 전송하는 제3단계와, 상기 Fob키에서 LF 전파의 수신 여부에 따라 Fob키에 구비된 LED를 점등하거나 소등상태를 유지하여 인증을 확인하는 제4단계와, 상기 Fob키를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3단계와 제4단계를 수행하되, 튜닝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제5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키, 튜닝방법, 튜닝용 Fob키, PIC 유닛.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키의 튜닝장치 및 방법 {Tuning Device of SmartKey for Vehicle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 Fob키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스마트키의 튜닝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닝용 Fob키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튜닝용 Fob키를 이용한 튜닝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의 튜닝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Fob키 12: 삽입부
14: LED 20: 튜닝용 Fob키
22: 접점 24: 튜닝모드 버튼
30: 푸시 노브 스위치 40: PIC 유닛
50: LF 안테나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의 튜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 하게는 인증용 Fob키 하나만을 추가하고 한 번의 입력신호를 통해 연속적인 인증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튜닝에 필요한 인력 및 시간을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는 튜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차량에 운전자가 키를 삽입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문들을 잠그거나 해제하고 시동을 걸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키 조작이나 리모컨을 조작하지 않고 차량의 소정 부위에 장착된 스위치를 조작하여 전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PIC(Personal Identify Card) 시스템은 최근 들어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로 인해 고급 차에서부터 시작하여 보급형 차량에까지 장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기술을 적용한 차량에서는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 있는지 혹은 외부에 있는지 또는 문 주위나 트렁크 주위에 있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저주파인 LF 전파를 이용한다.
즉, LF 전파를 전송하는 안테나를 실내에 2개 이상, 운전석과 조수석 도어 손잡이에 하나씩 그리고 트렁크와 범퍼에 안테나를 하나씩 두고, 이 LF 전파를 받아서 RF 전파로 응답하는 도 1과 같은 Fob키(10)를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 전파가 미치는 공간에 운전자가 있으면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하거나 혹은 시동을 걸 수 있는 일련의 인증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의 Fob키(10)에서 상부의 원형 점선(12)이 이모빌라이저 통신하는 부분이면서, 푸시 노브 스위치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실제 차량에서 이러한 인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단 운전자의 인증을 얻 고자 하는 신호(인증 시작신호)가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인증 시작신호는 도어 손잡이에 있는 버튼을 누르거나 시동/정지 버튼 혹은 푸시 노브(Push Knob) 스위치를 누르면 된다.
이렇게 되면 LF 안테나에서 일반 Fob키를 찾는 전파를 전송하게 되고 이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에 Fob키가 있으면 Fob키는 RF 전파로 응답하여 자신의 존재를 알려 인증이 이루어진다.
실제로 인증에 대한 전파 출력이나 전파를 발생하는 안테나별 순서는 차량에서 여러 번 반복 시행을 거치면서 최적화를 이루게 된다.
위의 반복 수행 과정에는 인증을 얻고자 하는 신호를 만들고 인증을 확인하는 사람과, 그와 동시에 Fob키를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 여러 지점에 옮겨 놓는 사람, 총 2명이 필요하다.
또한, 한번 인증이 이루어진 후 그 인증에 따른 일련의 수행 동작들(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하는 동작 또는 스티어링 휠을 잠그거나 해제하는 동작)을 시험자가 보고 인증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스마트키의 튜닝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PIC 유닛에 튜닝을 위한 인증 시나리오를 입력한다(S202).
상기 인증 시나리오는 인증을 위해서 PIC 유닛이 안테나별로 LF 전파를 목적에 맞는 출력과 타이밍으로 발생시키는 일련의 동작 방법이다.
다음 제1시험자가 푸시 노브 스위치를 누르면 즉, 인증 시작신호를 입력하면 LF 안테나에서 Fob키를 찾는 LF 전파를 전송하고(S204), 이 LF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에 Fob키가 있으면 Fob키에서 RF 전파로 응답하고 제1시험자가 인증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게 된다(S206).
상기 인증 확인은 인증이 이루어질 경우에 발생하는 부하의 움직임을 보고 확인하며, 푸시 노브 스위치를 누른 후 500msec 이내에 인증 확인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Fob키를 소지한 제2시험자는 다른 위치로 이동한(S208) 후, 상기한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인증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차량 내부에 Fob키가 있음에도 시동이 걸리지 않는 구역을 찾고자 하는 경우에, 한 사람이 운전석에 있는 푸시 노브 스위치를 한 번씩 누르고 인증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며, 또 다른 사람은 Fob키를 들고 차량의 내부 여러 장소를 움직이면서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역을 찾는 일련의 수행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키의 튜닝에 필요한 시험자의 인원을 2명에서 1명으로 줄일 수 있고, 매회 인증을 확인하는 시간이 현저히 줄게 되어 전체 튜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부하를 작동시키지 않아 시험중에 발생하는 차량 전원을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키의 튜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튜닝장치는, 스마트키 튜닝을 위한 인증 시나리오가 저장되어 튜닝모드로 진입한 후 상기 인증 시나리오대로 LF 전파를 발생하는 PIC 유닛과, 상기 PIC 유닛에 발생한 LF 전파를 전송하는 LF 안테나와, 상기 튜닝모드에서 LF 전파를 수신하는 경우에 LED를 점등하는 Fob키와, 상기 PIC 유닛의 앞 단에 연결되어 GND 신호를 인가하는 푸시 노브 스위치와, 상기 Fob키의 구성에 접점이 형성되고 푸시노브 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푸시 노브 스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튜닝모드 버튼을 누르면 접점을 통해 PIC 유닛에 GND 신호를 인가하여 PIC 유닛을 튜닝모드로 진입시키는 튜닝용 Fob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의 튜닝방법은, PIC 유닛에 튜닝을 위한 인증 시나리오가 저장된 상태에서 PIC 유닛이 튜닝모드로 진입하는 제1단계와, 상기 PIC 유닛에 인증시작 신호가 입력되는 제2단계와, 상기 PIC 유닛에 저장된 인증 시나리오대로 소정시간마다 LF 전파를 발생하여 Fob키를 향해 전송하는 제3단계와, 상기 Fob키에서 LF 전파의 수신 여부에 따라 Fob키에 구비된 LED를 점등하거나 소등상태를 유지하여 인증을 확인하는 제4단계와, 상기 Fob키를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3단계와 제4단계를 수행하되, 튜닝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제5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닝용 Fob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튜닝용 Fob키를 이용한 튜닝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튜닝용 Fob키(20)에는 일반 Fob키(10)의 구성 이외에 접 점(22)이 더 형성되고 튜닝모드 버튼(24)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접점(22)은 푸시 노브 스위치(30)에 삽입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푸시 노브 스위치(30)에 삽입후 푸시 노브 스위치(30)와 연결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 푸시 록(push lock) 타입의 튜닝 모드 버튼(24)을 누르면 이 접점(22)을 통해 PIC 유닛(40)에 GND 신호를 인가하여 PIC 유닛(40)이 튜닝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PIC 유닛(40)에는 일정시간마다(예를 들어 1초마다) LF 전파를 발생하여 전송하도록 인증 시나리오가 입력되어, 튜닝모드로 진입한 후 인증 시작신호(도어 핸들 버튼을 누름, 푸시 노브 스위치를 누름 등)에 따라 1초에 한 번씩 Fob키(10)를 찾는 LF 전파를 발생시킨다.
상기 PIC 유닛(40)은 튜닝모드에서 Fob키(10)로부터 RF 전파를 받아들이지 않고 LF 전파만을 발생한다.
여기서 튜닝모드는 PIC 유닛(40)이 인증 시나리오에 따라 1초마다 LF 전파를 발생하여 LF 안테나(50)를 통해 전송하며, 이 LF 전파의 수신 여부에 따라 Fob키(10)는 기존의 RF 전파 출력이 아니라 Fob키(10)에 구비되어 있는 LED(14)를 통해 시험자에게 인증 여부를 알려주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LF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에 Fob키(10)가 있으면 LF 전파를 받은 Fob키(10)는 RF 전파를 PIC 유닛(40)으로 보내지 않고, Fob키(10)에 구비되어 있는 LED(14)를 점등하여 시험자에게 인증 확인을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키의 튜닝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PIC 유닛(40)에 튜닝을 위한 인증 시나리오를 입력하여(S502) 저장한 상태에서 시험자가 푸시 노브 스위치(30)에 튜닝용 Fob키(20)를 삽입한 후, 튜닝용 Fob키(20)에 구비된 튜닝모드 버튼(24)을 누르면, 접점(22)을 통해 GND 신호가 인가되면서 PIC 유닛(40)이 튜닝모드로 진입한다(S504).
PIC 유닛(40)이 튜닝모드로 진입한 후에, 시험자가 푸시노브 스위치(30)를 누르거나 도어 핸들 버튼을 누르면 PIC 유닛(40)에 인증 시작신호가 입력된다(S505).
이에 따라 PIC 유닛(40)은 1초 간격으로 LF 전파를 발생하여 LF 안테나(50)를 통해 Fob키(10)를 향해 전송하고(S506), 상기 Fob키(10)는 이 LF 전파를 수신하는 경우에(S508) Fob키(10)에 구비된 LED(14)를 점등하며(S510), LF 전파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S508) LED의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여(S514) 시험자가 LED 점소등에 따른 인증을 확인하게 한다.
그리고 시험자는 Fob키(10)를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S516) 상기 S506단계 이후를 수행하고 이 단계를 튜닝이 완료될 때까지(S512)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마트키 튜닝을 위해 시험을 하는 동안 한 번만 인증시작 신호를 입력하면 되고, 이후 시험자는 Fob키(10)를 가지고 위치를 이동하면서 인증 확인을 수행하면 되어 시험자가 한 사람이 있으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튜닝 방법에 튜닝용 Fob키 하나만을 추가하고 한 번의 입력신호를 통해 연속적인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튜닝모드를 구현하여 튜닝에 필요한 인력 및 시간을 줄일 수 있고, PIC 사양 의 차량 개발시에 과도하게 소비되는 LF 튜닝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어 결국 차량 개발 단축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2)

  1. 스마트키 튜닝을 위한 인증 시나리오가 저장되어 튜닝모드로 진입한 후 상기 인증 시나리오대로 LF 전파를 발생하는 PIC 유닛(40)과;
    상기 PIC 유닛(40)에 발생한 LF 전파를 Fob키(10)를 향해 전송하는 LF 안테나(50)와;
    상기 튜닝모드에서 LF 전파를 수신하는 경우에 LED(14)를 점등하는 Fob키(10)와;
    상기 PIC 유닛(40)의 앞 단에 연결되는 GND 신호를 인가하는 푸시 노브 스위치(30)와;
    상기 Fob키(10)의 구성에 접점(22)이 형성되고 푸시노브 스위치(24)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푸시 노브 스위치(30)에 삽입된 상태에서 튜닝모드 버튼(24)을 누르면 접점(22)을 통해 PIC 유닛(40)에 GND 신호를 인가하여 PIC 유닛(40)을 튜닝모드로 진입시키는 튜닝용 Fob키(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의 튜닝장치.
  2. PIC 유닛에 튜닝을 위한 인증 시나리오가 저장된 상태에서 PIC 유닛이 튜닝모드로 진입하는 제1단계와;
    상기 PIC 유닛에 인증시작 신호가 입력되는 제2단계와;
    상기 PIC 유닛에 저장된 인증 시나리오대로 소정시간마다 LF 전파를 발생하 여 Fob키를 향해 전송하는 제3단계와;
    상기 Fob키에서 LF 전파의 수신 여부에 따라 Fob키에 구비된 LED를 점등하거나 소등상태를 유지하여 인증을 확인하는 제4단계와;
    상기 Fob키를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3단계와 제4단계를 수행하되, 튜닝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제5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의 튜닝방법.
KR1020070061638A 2007-06-22 2007-06-22 차량용 스마트키의 튜닝장치 및 방법 KR100867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638A KR100867725B1 (ko) 2007-06-22 2007-06-22 차량용 스마트키의 튜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638A KR100867725B1 (ko) 2007-06-22 2007-06-22 차량용 스마트키의 튜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725B1 true KR100867725B1 (ko) 2008-11-10

Family

ID=4028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638A KR100867725B1 (ko) 2007-06-22 2007-06-22 차량용 스마트키의 튜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7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194A (ko) * 2000-06-16 2001-12-28 정보영 자동차 원격진단용 인터페이스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194A (ko) * 2000-06-16 2001-12-28 정보영 자동차 원격진단용 인터페이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3953B2 (en) Car sharing system
CN105899413B (zh) 防止中继攻击的车辆控制系统
CN111094082B (zh) 车辆共享系统
CN104870267A (zh) 用于机动车的被动进入系统以及所属的方法
CN102071842A (zh) 电子钥匙系统的钥匙位置判断装置
CN111989706A (zh) 共享系统
JP2019051803A (ja) エンジンスイッチ装置
JP2012229560A (ja) キー無線認証システム
JP5139962B2 (ja) 電力伝送式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1089264A (ja) 電子キーシステムの通信パターン切換装置
JP2016204823A (ja) 車両制御装置
JP6588189B2 (ja) キー照合システム
JP5193730B2 (ja) 位置教示機能備え付け物品の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US10703335B2 (en) Key unit and vehicle having key unit
US11899096B2 (en) Transmission control device, vehicle system,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product
US11849329B2 (en) Vehicle authentication apparatus
KR100867725B1 (ko) 차량용 스마트키의 튜닝장치 및 방법
WO2017138336A1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機
US1071387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94526B2 (en) Key unit
KR102192457B1 (ko) 차량 탑재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US9623839B2 (en) Motor vehicle having a wireless key, and method for operating
JP5229046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2016056667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WO2015098480A1 (ja) 車載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