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721B1 - 한방용 침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한방용 침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721B1
KR100867721B1 KR1020070088771A KR20070088771A KR100867721B1 KR 100867721 B1 KR100867721 B1 KR 100867721B1 KR 1020070088771 A KR1020070088771 A KR 1020070088771A KR 20070088771 A KR20070088771 A KR 20070088771A KR 100867721 B1 KR100867721 B1 KR 100867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member
hole
rod member
needle assembly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재
Original Assignee
이홍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재 filed Critical 이홍재
Priority to KR1020070088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721B1/ko
Priority to PCT/KR2008/005166 priority patent/WO2009031803A1/en
Priority to JP2010522821A priority patent/JP2010537709A/ja
Priority to CN200880105457A priority patent/CN101801328A/zh
Priority to US12/675,787 priority patent/US832883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3Need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14Preventing re-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용 침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한방용 침 어셈블리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의 봉부재와 상기 봉부재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인체의 피부 내측에 인입되는 핀부재를 구비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체의 피부에 인입되고 난 후, 상기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의 끝단으로부터 다시 돌출되어 상기 인체의 피부에 재차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사용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봉부재, 핀부재, 재사용방지수단, 이동억제수단

Description

한방용 침 어셈블리{Needle assembly for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본 발명은 한방용 침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침(鍼)을 놓기 전에 침이 감염되어 있는 피부 또는 외부감염물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한방용 침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한방용 침 어셈블리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상의 봉부재(A)와 상기 봉부재(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피부(S) 내측에 인입되는 핀부재(B)로 이루어진다.
상기 핀부재(B)가 상기 봉부재(A)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밀봉 및 포장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한방용 침 어셈블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핀부재(B)를 이용하여 한의학적 시술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포장상태를 해제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봉부재(A)를 파지하고 상기 핀부재(B)를 피부(S)에 접촉시킨 후 상기 핀부재(B)의 상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핀부재(B)가 피부(S)의 내측에 인입된다.
그러나, 상기 핀부재(B)는 상기 봉부재(A)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그 봉부재(A)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와 같이 상기 봉부재(A)가 평행선(P)에 대해 약간만 기울어져도 상기 핀부재(B)가 상기 봉부재(A)로부터 쉽게 탈거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상기 핀부재(B)가 신체에 접촉되기 전까지 상기 핀부재(B)의 상기 봉부재(A)에 대한 위치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시술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핀부재(B)의 유동성으로 인하여 상기 핀부재(B)가 신체의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지 않아 침 시술의 어려움이 있어 왔다.
한편,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는 상기 핀부재(B)의 위치이탈을 방지하는 노력을 피하고 일반적으로 상기 봉부재(A)와 핀부재(B)의 하단부를 손가락으로 막아 상기 핀부재(B)의 위치이탈을 방지시킨 후 침 시술을 해 왔다. 따라서, 세균에 노출되어 있는 손가락이 상기 핀부재(B)에 접촉됨으로써, 환자가 상기 핀부재(B)를 통해 세균에 감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핀부재(B)는 일회용으로 사용되어야 하나, 상기 핀부재(B)를 소독한 후 재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왔다. 따라서, 이러한 재사용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침을 놓는 경우에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의 봉부재와 상기 봉부재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인체의 피부 내측에 인입되는 핀부재를 구비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체의 피부에 인입되고 난 후, 상기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의 끝단으로부터 다시 돌출되어 상기 인체의 피부에 재차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사용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부재는, 일방향으로 긴 관통공을 가지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외주면을 에워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관부의 끝단면 및 내주면에 의해 한정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재사용방지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삽입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블럭은, 상기 핀부재가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의 구멍에 상기 핀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핀부재가 관통하는 축선에 대해 치우쳐 위치 되고, 상기 핀부재의 상기 구멍에 대한 삽입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축선에 일치하게 위치되는 중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봉부재는, 일방향으로 긴 관통공을 가지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외주면을 에워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관부의 끝단면 및 내주면에 의해 한정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재사용방지수단은, 상기 봉부재의 중심축선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뚫린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게 연장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핀부재는 상기 돌기부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 내측에 인입되고, 상기 관통공에 대한 삽입이 해제된 상태에서 그 끝단이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선에 대해 치우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재사용방지수단은, 상기 봉부재의 중심축선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뚫려서 상기 핀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봉부재의 하단 측에서 상단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핀부재는 상기 삽입부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 내측에 인입되고, 상기 관통공에 대한 삽입이 해제된 상태에서 그 끝단이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선에 대해 치우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핀부재의 상기 봉부재에 대한 상대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이동억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부재와 함께 상기 봉부재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핀부재에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동억제수단은, 상기 가압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걸림턱과, 상기 가압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제1걸림턱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과, 상기 봉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 사이에 끼워지는 위치고정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억제수단은, 상기 제1스토퍼의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봉부재에 대해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가압부재와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에 대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제1걸림턱이 걸리는 제1스토퍼와 상기 가압부재의 제2걸림턱이 걸리는 제2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한방용 침 어셈블리는, 핀부재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재사용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한번 사용된 핀부재가 다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핀부재의 봉부재에 대한 이동을 억제시키는 이동억제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에 의하면, 시술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세균이 핀부재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하는 시술부위에 더욱 정확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침 시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방용 침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한방용 침 어셈블리는 사람의 몸에 있는 혈을 찔러서 병을 다스리는 데에 쓰이는 의료기구로,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의 봉부재(1)와, 상기 봉부재(1)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인체의 피부(S) 내측에 인입되는 핀부재(2)와, 한번 사용된 핀부재(2)가 재사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재사용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재사용방지수단은 상기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체의 피부에 인입되고 난 후, 상기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의 끝단으로부터 다시 돌출되어 상기 인체의 피부에 재차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부(12)의 수용공간(100)에 배치되는 삽입블럭(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봉부재(1)는 일방향으로 긴 관통공을 가지는 관부(11)와, 상기 관부(11)의 외주면을 에워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수용부(12)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부(12)는 그 내주면과 상기 관부(11)의 끝단면에 의해 한정되는 수용공간(100)을 가진다.
상기 삽입블럭(4)은 삽입부(41)와 중심부(42)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부(41)는 상기 핀부재(2)가 삽입되는 구멍(410)을 가진다. 상기 중심부(42)는, 상기 삽입부(41)의 구멍(410)에 상기 핀부재(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핀부재(2)가 관통 하는 축선(C1)에 대해 치우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부(42)는, 상기 핀부재(2)의 상기 구멍(410)에 대한 삽입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축선(C)에 일치하게 위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상기 재사용방지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도 6과 같이 침 시술이 이루어진 후, 도 7과 같이 상기 핀부재(2)가 상기 삽입부(41)의 구멍(410)에서 삽입해제된 경우에, 도 8과 같이 상기 핀부재(2)를 상기 삽입부(41)의 구멍(410)에 다시 삽입시키려 하면 상기 핀부재(2)가 상기 축선(C1)에 일치하는 상기 중심부(42)에 걸리게 되어 상기 핀부재(2)와 상기 삽입부(41) 간의 삽입이 방지되고, 결국 상기 핀부재(2)가 상기 봉부재(1)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미 침 시술에 사용된 핀부재(2)가 다시 사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12)는, 끝단측으로 갈수록 점점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121)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퍼면(121)은, 상기 핀부재(2)의 상기 삽입부(41)의 구멍(410)에 대한 삽입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블럭(4)의 중심부(42)를 상기 축선(C1)에 일치하는 위치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핀부재(2)의 상기 봉부재(1)에 대한 위치고정을 위해 그 핀부재(2)의 이동을 억제하는 이동억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핀부재(2)에 결합되는 가압부재(3)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재(3)는, 상기 핀부재(2)와 함께 상기 봉부재(1)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상기 봉부재(1)에 설치된다. 이러한 가압부재(3)는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핀부재(2)는 알루미늄, 티타늄, 스테인레스 스틸, 은, 금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억제수단은, 상기 핀부재(2)가 상기 봉부재(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핀부재(2)의 상기 봉부재(1)에 대한 상대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제1걸림턱(31)과 제2걸림턱(32)과 위치고정돌기(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걸림턱(31)은 상기 가압부재(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재(3)가 가압된 경우 상기 위치고정돌기(110)를 타고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제2걸림턱(32)은 상기 가압부재(3)의 외주면에 상기 제1걸림턱(31)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고정돌기(110)는 상기 제1걸림턱(31)과 제2걸림턱(32)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핀부재(2) 및 가압부재(3)가 상기 봉부재(1)에 대해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부의 가압력이 상기 가압부재(3)에 가하지게 되면, 상기 위치고정돌기(110)의 끼움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핀부재(2) 및 가압부재(3)가 상기 봉부재(1)에 대해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억제수단이 본 발명에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은 의학적 시술자가 더욱 위생적이고 편리한 방법으로 침을 놓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즉, 상기 핀부재(2)가 신체에 접촉되기 전까지 상기 핀부재(2)는 상기 이동억제수단에 의해 상기 봉부재(1)의 대해 위치고정됨으로써, 시술자는 상기 핀부재(2)에 손가락을 접촉하지 않고도 상기 핀부재(2)를 침을 놓고자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억제수단에는 제1스토퍼(111)와 제2스토퍼(11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토퍼(111)는, 상기 핀부재(2)의 상기 피부(S) 측으로 향한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핀부재(2)가 상기 봉부재(1)에 대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걸림턱(31)이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제2스토퍼(112)는, 상기 제1스토퍼(111)의 상기 제1걸림턱(31)과 제2걸림턱(32)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가압부재(3)가 상기 봉부재(1)에 대해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가압부재(3)의 제2걸림턱(32)이 걸리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2스토퍼(112)는, 상기 핀부재(2)의 상기 피부(S) 측으로 향한 이동방향으로 상기 핀부재(2)가 상기 봉부재(1)에 대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상기 제1스토퍼(111)와 제2스토퍼(112)가 구비됨으로써, 본 실시예는 상기 핀부재(2)의 상기 봉부재(1)에 대한 분리가 방지됨으로써, 한번 사용한 핀부재(2)가 재사용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부재(200)는 일방향으로 긴 관통공을 가지는 관부(211)와, 상기 관부(211)의 외주면을 에워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관부(211)의 끝단면 및 내주면에 의해 한정되는 수용공간(201)을 가지는 수용부(212)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재사용방지수단은, 상기 봉부재(200)의 중심축선(C2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뚫린 관통공(213a)을 가지고 상기 봉부재(200)의 하단에서 상단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게 상기 수용부(212)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돌기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핀부재(220)는, 도 9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213)의 관통공(21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 내측에 인입되고, 도 9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213a)에 대한 삽입이 해제된 상태에서 그 끝단이 상기 관통공(213a)의 중심축선(C2)에 대해 치우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한번 사용되고 난 핀부재(220)가 상기 관통공(213a)의 중심축선(C2)에 위치하지 못하고 상기 돌기부(213)의 외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핀부재(220)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사용방지수단은, 봉부재(310)의 중심축선(C3)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뚫려서 핀부재(320)가 삽입되는 관통공(311a)을 가지고, 상기 봉부재(310)의 하단 측에서 상단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삽입부(3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핀부재(320)는, 도 10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311)의 관통공(3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 내측에 인입되고, 도 10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311a)에 대한 삽입이 해제된 상태에서 그 끝단이 상기 관통공(311a)의 중심축선(C3)에 대해 치우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한번 사용되고 난 핀부재(320)가 상기 관통공(311a)의 중심축선(C3)에 위치하지 못하고 상기 삽입 부(311)의 외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핀부재(320)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일반적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2와 3은 일반적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봉부재 11:관부
100:수용공간 110:위치고정돌기
111:제1스토퍼 112:제2스토퍼
12:수용부 121:테이퍼면
2:핀부재 3:가압부재
31:제1걸림턱 32:제2걸림턱
4:삽입블럭 41:삽입부
410:구멍 42:중심부
S:피부

Claims (7)

  1.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의 봉부재와 상기 봉부재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인체의 피부 내측에 인입되는 핀부재를 구비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체의 피부에 인입되고 난 후, 상기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의 끝단으로부터 다시 돌출되어 상기 인체의 피부에 재차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사용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부재는, 일방향으로 긴 관통공을 가지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외주면을 에워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관부의 끝단면 및 내주면에 의해 한정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재사용방지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삽입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블럭은, 상기 핀부재가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의 구멍에 상기 핀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핀부재가 관통하는 축선에 대해 치우쳐 위치되고, 상기 핀부재의 상기 구멍에 대한 삽입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축선에 일치하게 위치되는 중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부재는, 일방향으로 긴 관통공을 가지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외주면을 에워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관부의 끝단면 및 내주면에 의해 한정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재사용방지수단은, 상기 봉부재의 중심축선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뚫린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게 연장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핀부재는 상기 돌기부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 내측에 인입되고, 상기 관통공에 대한 삽입이 해제된 상태에서 그 끝단이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선에 대해 치우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방지수단은,
    상기 봉부재의 중심축선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뚫려서 상기 핀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봉부재의 하단 측에서 상단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핀부재는 상기 삽입부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 내측에 인입되고, 상기 관통공에 대한 삽입이 해제된 상태에서 그 끝단이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선에 대해 치우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핀부재의 상기 봉부재에 대한 상대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이동억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와 함께 상기 봉부재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핀부재에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억제수단은,
    상기 가압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걸림턱과, 상기 가압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제1걸림턱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과, 상기 봉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 사이에 끼워지는 위치고정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억제수단은,
    상기 제1스토퍼의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봉부재에 대해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가압부재와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에 대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부재의 제1걸림턱이 걸리는 제1스토퍼와 상기 가압부재의 제2걸림턱이 걸리는 제2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
KR1020070088771A 2007-09-03 2007-09-03 한방용 침 어셈블리 KR100867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771A KR100867721B1 (ko) 2007-09-03 2007-09-03 한방용 침 어셈블리
PCT/KR2008/005166 WO2009031803A1 (en) 2007-09-03 2008-09-03 Needle assembly for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JP2010522821A JP2010537709A (ja) 2007-09-03 2008-09-03 漢方用鍼アセンブリ
CN200880105457A CN101801328A (zh) 2007-09-03 2008-09-03 用于传统东方医学的针组合件
US12/675,787 US8328838B2 (en) 2007-09-03 2008-09-03 Needle assembly for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771A KR100867721B1 (ko) 2007-09-03 2007-09-03 한방용 침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721B1 true KR100867721B1 (ko) 2008-11-10

Family

ID=4028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771A KR100867721B1 (ko) 2007-09-03 2007-09-03 한방용 침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28838B2 (ko)
JP (1) JP2010537709A (ko)
KR (1) KR100867721B1 (ko)
CN (1) CN101801328A (ko)
WO (1) WO2009031803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085B1 (ko) 2009-11-06 2011-10-04 이홍재 한방용 침 어셈블리
KR101070013B1 (ko) 2009-11-06 2011-10-04 이홍재 한방용 침 어셈블리
KR101070157B1 (ko) 2009-11-06 2011-10-05 이홍재 한방용 침 어셈블리
KR101556479B1 (ko) * 2014-10-02 2015-10-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침 세트
WO2022164253A1 (ko) * 2021-02-01 2022-08-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맹검용 침 세트
KR20220110986A (ko) * 2021-02-01 2022-08-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맹검용 거짓 침 세트
KR20220110985A (ko) * 2021-02-01 2022-08-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맹검용 진짜 침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6703B2 (en) 2010-03-11 2016-05-03 Ortho-Neuro Technologies, Inc. Therapeutic manipulation device
CN108158811B (zh) * 2018-01-10 2020-02-07 于永超 一种可任意旋转的针灸针推进器
CN108143619B (zh) * 2018-01-10 2019-11-29 山东中医药大学 一种多功能的针灸针推进器
CN108143620B (zh) * 2018-01-10 2020-02-07 常红 具有旋转底座的针灸针推进器
CN113116718B (zh) * 2021-03-26 2023-03-07 上海长征医院 一种用于防治呕吐的穴位埋针复合装置及其包装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959Y1 (ko) * 1988-06-07 1990-06-05 유태우 수지침관의 침 정지장치
KR200250442Y1 (ko) * 1999-04-28 2001-11-16 권우준 일회용 한방의료용 침조립체
KR200296733Y1 (ko) * 2002-08-23 2002-12-05 김용필 일회용 사혈침기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3923B2 (ja) 1988-09-12 1998-03-09 湘南窒化工業株式会社 金属部品の塩浴窒化処理方法
US5089001A (en) * 1989-11-08 1992-02-18 Hwang C H Injection molding acupuncture acus with double safety device
JPH0739584A (ja) * 1993-07-27 1995-02-10 Long-Hsiung Chen 注射器
US6210373B1 (en) * 1999-12-30 2001-04-03 Ethicon, Inc. Needle safety cover
JP2004357813A (ja) * 2003-06-03 2004-12-24 Yamasho:Kk 鍼管付き鍼灸用鍼
US20050267507A1 (en) * 2004-05-13 2005-12-01 Beaver Kao Apparatus for acupuncture needle set
JP3130988U (ja) * 2006-12-15 2007-04-19 培倫 張 刺突事故を防止する注射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959Y1 (ko) * 1988-06-07 1990-06-05 유태우 수지침관의 침 정지장치
KR200250442Y1 (ko) * 1999-04-28 2001-11-16 권우준 일회용 한방의료용 침조립체
KR200296733Y1 (ko) * 2002-08-23 2002-12-05 김용필 일회용 사혈침기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085B1 (ko) 2009-11-06 2011-10-04 이홍재 한방용 침 어셈블리
KR101070013B1 (ko) 2009-11-06 2011-10-04 이홍재 한방용 침 어셈블리
KR101070157B1 (ko) 2009-11-06 2011-10-05 이홍재 한방용 침 어셈블리
KR101556479B1 (ko) * 2014-10-02 2015-10-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침 세트
WO2016052790A1 (ko) * 2014-10-02 2016-04-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침 세트
WO2022164253A1 (ko) * 2021-02-01 2022-08-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맹검용 침 세트
KR20220110986A (ko) * 2021-02-01 2022-08-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맹검용 거짓 침 세트
KR20220110985A (ko) * 2021-02-01 2022-08-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맹검용 진짜 침 세트
KR102502478B1 (ko) * 2021-02-01 2023-02-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맹검용 진짜 침 세트
KR102502483B1 (ko) * 2021-02-01 2023-02-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맹검용 거짓 침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56664A1 (en) 2010-10-07
CN101801328A (zh) 2010-08-11
JP2010537709A (ja) 2010-12-09
WO2009031803A1 (en) 2009-03-12
US8328838B2 (en)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721B1 (ko) 한방용 침 어셈블리
US6848157B2 (en) Disposable syringe device auxiliary unit for preventing iatrogenic infection through needle
US20030073958A1 (en) Disposable aspirating safety syringe
JP2012504007A (ja) 針シールドによって作動される保持手段を有する注射装置
US8876775B2 (en) Needle safety cap
US20200405963A1 (en) Syringe with locking mechanism
KR101234057B1 (ko) 안전 주사기
US20210299422A1 (en) Needle Penetration Preparatio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2121495B1 (ko) 주사 바늘 안전 제거 장치
JP2009501519A (ja) インプランター
KR20170062088A (ko) 침, 침관, 침을 침관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101815555B1 (ko) 주사기용 안전 캡
JP7291454B1 (ja) 刺入深度を設定可能な無菌対応型の鍼管及び台座ゲージの組み合わせ。
RU2783499C2 (ru) Шприц, рукоятка шприца, корпус
KR101070085B1 (ko) 한방용 침 어셈블리
KR20190040775A (ko) 일회용 안전 주사기
JP4683285B2 (ja) 留置針装置
KR101070157B1 (ko) 한방용 침 어셈블리
KR20210026719A (ko) 한방용 침 어셈블리
CN210903270U (zh) 一种肿瘤内科介入治疗装置
KR102213870B1 (ko) 의약품 주입용 기구 재사용방지구의 주사기배럴 고정장치
KR102640160B1 (ko)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주사기
CA2743844A1 (en) Needle safety cap
KR101070013B1 (ko) 한방용 침 어셈블리
JP3172028U (ja) 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