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157B1 - 한방용 침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한방용 침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157B1
KR101070157B1 KR1020090107203A KR20090107203A KR101070157B1 KR 101070157 B1 KR101070157 B1 KR 101070157B1 KR 1020090107203 A KR1020090107203 A KR 1020090107203A KR 20090107203 A KR20090107203 A KR 20090107203A KR 101070157 B1 KR101070157 B1 KR 101070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needle assembly
skin
pin member
ro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0291A (ko
Inventor
이홍재
Original Assignee
이홍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재 filed Critical 이홍재
Priority to KR1020090107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15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0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3Need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용 침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한방용 침 어셈블리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의 봉부재와 상기 봉부재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인체의 피부 내측에 인입되는 핀부재를 구비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체의 피부에 인입되고 난 후, 상기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의 끝단으로부터 다시 돌출되어 상기 인체의 피부에 재차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사용방지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재사용방지수단은, 상기 봉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핀부재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그 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턱을 타고 상기 피부 측으로 전진이동은 가능하고 상기 피부측 반대방향으로의 후퇴이동을 불가능하도록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스토퍼를 가지는 조작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사용방지수단, 걸림턱, 스토퍼

Description

한방용 침 어셈블리{Needle assembly for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본 발명은 한방용 침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침(鍼)을 놓기 전에 침이 감염되어 있는 피부 또는 외부감염물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불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한방용 침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한방용 침 어셈블리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상의 봉부재(A)와 상기 봉부재(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피부(S) 내측에 인입되는 핀부재(B)로 이루어진다.
상기 핀부재(B)가 상기 봉부재(A)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밀봉 및 포장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한방용 침 어셈블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핀부재(B)를 이용하여 한의학적 시술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포장상태를 해제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봉부재(A)를 파지하고 상기 핀부재(B)를 피부(S)에 접촉시킨 후 상기 핀부재(B)의 상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핀부재(B)가 피부(S)의 내측에 인입된다.
그러나, 상기 핀부재(B)는 상기 봉부재(A)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그 봉부재(A)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와 같이 상기 봉부재(A)가 평행선(P)에 대해 약간만 기울어져도 상기 핀부재(B)가 상기 봉부재(A)로부터 쉽게 탈거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상기 핀부재(B)가 신체에 접촉되기 전까지 상기 핀부재(B)의 상기 봉부재(A)에 대한 위치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시술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핀부재(B)의 유동성으로 인하여 상기 핀부재(B)가 신체의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지 않아 침 시술의 어려움이 있어 왔다.
한편,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는 상기 핀부재(B)의 위치이탈을 방지하는 노력을 피하고 일반적으로 상기 봉부재(A)와 핀부재(B)의 하단부를 손가락으로 막아 상기 핀부재(B)의 위치이탈을 방지시킨 후 침 시술을 해 왔다. 따라서, 세균에 노출되어 있는 손가락이 상기 핀부재(B)에 접촉됨으로써, 환자가 상기 핀부재(B)를 통해 세균에 감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핀부재(B)는 일회용으로 사용되어야 하나, 상기 핀부재(B)를 소독한 후 재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왔다. 따라서, 이러한 재사용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재사용방지수단이 채용된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일례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0867721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는 봉부재(위 등록특허의 공보 도 5의 부재번호 11)의 내부에 삽입블럭(위 공보 도 5의 부재번호 4)을 배치하여야 하는 기술적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재사용방지수단이 채용되되, 구성의 간소화 및 성형의 용이함을 가능하게 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개발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침을 놓는 경우에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구성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의 봉부재와 상기 봉부재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인체의 피부 내측에 인입되는 핀부재를 구비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체의 피부에 인입되고 난 후, 상기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의 끝단으로부터 다시 돌출되어 상기 인체의 피부에 재차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사용방지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재사용방지수단은, 상기 봉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핀부재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그 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턱을 타고 상기 피부 측으로 전진이동은 가능하고 상기 피부측 반대방향으로의 후퇴이동을 불가능하도록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스토퍼를 가지는 조작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조작부재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서,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걸림턱을 타고 상기 피부 측으로의 전진이동은 가능하고, 탄성복원에 의 해 상기 걸림턱에 걸어져 상기 피부 측 반대방향으로의 후퇴이동은 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재의 상기 스토퍼와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조작부재가 가압되기 이전에 상기 핀부재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며, 상기 조작부재가 가압된 이후에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걸림턱을 타고 상기 피부 측으로 이동되는 위치고정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봉부재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턱을 타고 상기 피부 측으로의 전진이동될 수 있게 하고, 상기 걸림턱의 탄성복원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상기 피부측 반대방향으로의 후퇴이동을 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한방용 침 어셈블리는 침이 손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환자를 위생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장점과, 구성의 간소화를 통해 제품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성형의 용이함을 통해 제품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방용 침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인체에 침을 놓은 상태 및 재사용이 불가능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한방용 침 어셈블리는 봉부재(2)와 핀부재(3)와 재사용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봉부재(2)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pipe)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걸림턱(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부재(3)는 상기 봉부재(2)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인체의 피부 내측에 인입된다. 이러한 핀부재(3)는 조작부재(1)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그 조작부재(1)에 결합된다. 시술자는 상기 조작부재(1)를 가압하여서 상기 핀부재(3)를 피부 내측에 인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재사용방지수단은, 상기 핀부재(3)가 상기 봉부재(2)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체의 피부에 인입되고 난 후, 상기 핀부재(3)가 상기 봉부재(2)의 끝단으로부터 다시 돌출되어 상기 인체의 피부에 재차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봉부재(2)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212)과 상기 조작부재(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작부재(1)는, 상기 걸림턱(212)에 걸리는 스토퍼(111)를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111)는,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재(1)가 가압되면 상기 걸림턱(212)을 타고 상기 피부 측으로 전진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 피부측 반대방향으로의 후퇴이동시에는 도 6과 같이 상기 걸림턱(212)에 걸림으로써 그 후퇴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111)는 상기 조작부재(1)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스토퍼(111)는 상기 조작부재(1)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형상변형리브(1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토퍼(111)는 상기 형상변형리브(11)와 함께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걸림턱(212)을 타고 상기 피부 측으로의 전진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도 6과 같은 상태에서는 탄성복원에 의해 상기 걸림턱(212)에 걸어져 상기 피부측 반대방향으로의 후퇴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봉부재(2)의 걸림턱(212)과 조작부재(1)의 스토퍼(111)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핀부재(3)가 도 6과 같이 인체의 피부 내측에 인입되고 난 후 후퇴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핀부재(3)의 봉부재(2)에 대한 돌출상태(도6 참조;간격 T)가 영구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핀부재(3)가 인체의 피부로 재차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재사용방지수단을 봉부재(2)에 형성된 걸림턱(212)과 조작부재(1)에 형성된 스토퍼(111)를 채용함으로써, 구성의 간소화 및 성형의 용이함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인 시술자의 손에 침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술 전 상기 핀부재(3)의 위치고정을 위한 위치고정턱(11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위치고정턱(112)은, 상기 조작부재(1)의 상기 스토퍼(111)와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조작부재(1)가 가압되기 이전에 상기 핀부재(3)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212)에 걸어져 있다.
이러한 위치고정턱(112)은 상기 조작부재(1)가 가압된 이후에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걸림턱(212)을 타고 상기 피부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핀부재(3)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결국, 상기 위치고정턱(112)은 상기 조작부재(1)가 가압되기 이전에 상기 핀부재(3)의 위치고정을 가능하게 하여 시술자의 손에 상기 핀부재(3)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핀부재(3)의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환자를 위생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해 내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211은 상기 봉부재(2)에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111)에 걸리는 탈거방지턱이다. 상기 탈거방지턱(211)은 상기 조작부재(1)의 상기 봉부재(2)에 대한 탈거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봉부재(400)에 탄성변형 가능한 걸림턱(501)이 형성되어 있고, 핀부재(500)가 결합되어 있는 조작부재(300)에 복수의 스토퍼(301)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토퍼(301)가 상기 걸림턱(501)을 타고 하측으로의 전진이동을 가능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301)의 후퇴이동시에는 상기 걸림턱(501)에 걸림으로써 그 후퇴이동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핀부재(500)의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일반적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2와 3은 일반적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인체에 침을 놓은 상태 및 재사용이 불가능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방용 침 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조작부재 11:형상변형리브
111:스토퍼 112:위치고정턱
2:봉부재 211:탈거방지턱
212:걸림턱 3:핀부재

Claims (4)

  1.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의 봉부재와 상기 봉부재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인체의 피부 내측에 인입되는 핀부재를 구비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체의 피부에 인입되고 난 후, 상기 핀부재가 상기 봉부재의 끝단으로부터 다시 돌출되어 상기 인체의 피부에 재차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사용방지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재사용방지수단은,
    상기 봉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핀부재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그 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걸림턱을 타고 상기 피부 측으로 전진이동은 가능하고 상기 피부측 반대방향으로의 후퇴이동을 불가능하도록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스토퍼를 가지는 조작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조작부재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서,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걸림턱을 타고 상기 피부 측으로의 전진이동은 가능하고, 탄성복원에 의해 상기 걸림턱에 걸어져 상기 피부 측 반대방향으로의 후퇴이동은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상기 스토퍼와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조작부재가 가압되기 이전에 상기 핀부재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며, 상기 조작부재가 가압된 이후에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걸림턱을 타고 상기 피부 측으로 이동되는 위치고정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봉부재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턱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턱을 타고 상기 피부 측으로의 전진이동될 수 있게 하고, 상기 걸림턱의 탄성복원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상기 피부측 반대방향으로의 후퇴이동을 불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용 침 어셈블리.
KR1020090107203A 2009-11-06 2009-11-06 한방용 침 어셈블리 KR101070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203A KR101070157B1 (ko) 2009-11-06 2009-11-06 한방용 침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203A KR101070157B1 (ko) 2009-11-06 2009-11-06 한방용 침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291A KR20110050291A (ko) 2011-05-13
KR101070157B1 true KR101070157B1 (ko) 2011-10-05

Family

ID=44361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203A KR101070157B1 (ko) 2009-11-06 2009-11-06 한방용 침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1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7813A (ja) 2003-06-03 2004-12-24 Yamasho:Kk 鍼管付き鍼灸用鍼
KR100867721B1 (ko) 2007-09-03 2008-11-10 이홍재 한방용 침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7813A (ja) 2003-06-03 2004-12-24 Yamasho:Kk 鍼管付き鍼灸用鍼
KR100867721B1 (ko) 2007-09-03 2008-11-10 이홍재 한방용 침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291A (ko) 201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721B1 (ko) 한방용 침 어셈블리
EP3552642B1 (en) Tool for removing a cap from a medical injection device
KR101503886B1 (ko) 주삿바늘 조립체, 이를 이용한 안전주사기 및 안전주사기 장치
JP5438116B2 (ja) 針シールドによって作動される保持手段を有する注射装置
JP2008062063A (ja) ブロッキング手段を備える針保護装置
US10603448B2 (en) Disposable syringe for prevention of reuse
US20150238698A1 (en) Aspiration syringe accessory
KR20180082452A (ko) 주사기
KR101678074B1 (ko) 재사용 차단용 주사기
JP5491181B2 (ja) 安全システム実施時のピストンの戻りを防ぐ注射機器
DK2788062T3 (en) Device in the form of a tracheostomy prosthesis for easy insertion and removal of an inner cannula
KR101070157B1 (ko) 한방용 침 어셈블리
KR20210026719A (ko) 한방용 침 어셈블리
KR101234057B1 (ko) 안전 주사기
KR101101006B1 (ko) 주사기 바늘 절곡 장치
US11344712B2 (en) Implant injection device having a rack and pinion transmission
KR101070085B1 (ko) 한방용 침 어셈블리
NZ564994A (en) Marker implanter with a cannula
KR102121495B1 (ko) 주사 바늘 안전 제거 장치
KR101070013B1 (ko) 한방용 침 어셈블리
KR101575165B1 (ko) 안전캡이 포함되는 시술용 침.
JP7341153B2 (ja) 安全器具に収容されたシリンジを備えた注射システムを収容するためのシェル。
KR101078936B1 (ko) 일회용 주사기
KR101796374B1 (ko) 일회용 주사기
RU2783499C2 (ru) Шприц, рукоятка шприца, корпу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