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439B1 - 차량용 후면경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면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439B1
KR100867439B1 KR1020070113367A KR20070113367A KR100867439B1 KR 100867439 B1 KR100867439 B1 KR 100867439B1 KR 1020070113367 A KR1020070113367 A KR 1020070113367A KR 20070113367 A KR20070113367 A KR 20070113367A KR 100867439 B1 KR100867439 B1 KR 100867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region
refractive power
vehicle
eccen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시리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시리스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시리스케이
Priority to KR1020070113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439B1/ko
Priority to EP08848419A priority patent/EP2205464A2/en
Priority to US12/741,539 priority patent/US20100246040A1/en
Priority to JP2010533006A priority patent/JP2011509856A/ja
Priority to PCT/KR2008/006514 priority patent/WO2009061126A2/en
Priority to CN2008801147472A priority patent/CN102007016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60R1/08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using a single wide field mirror or an association of rigidly connected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후면경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후면경은 본체부 및 미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는 차량 외부나 내부에 장착되며, 미러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으로 보호한다. 미러부는 본체부 전면에 장착되며 차량의 좌, 우측의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 및 물체들의 상을 표시한다. 미러부는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영역에 편심률 및 굴절력이 다르게 도입됨으로써, 비구면 누진다초점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후면경은 차량 주행 중에 발생하는 사각지대, 왜곡현상, 부정확한 거리감, 눈부심을 해소할 수 있다.
후면경, 비구면, 누진다초점, 편심률, 굴절력

Description

차량용 후면경{REAR VISION MIRR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후면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면경을 비구면 다초점 형태로 형성하여 차량 후방의 사각지대, 후면경을 통해 표시되는 상의 왜곡현상, 부정확한 거리감, 눈부심을 해소하는 차량용 후면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가 좌우 및 후방 도로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좌, 우 프런트 도어 외측 및 차량 내부에 후면경이 장착된다. 이때, 차량용 후면경이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룸미러(Room Mirror), 사이드 미러(Side Mirror)라고도 불린다. 운전자는 전방의 좌, 우측을 주시한 상태에서 후면경을 통해 후방에서 주행하는 다른 차량의 주행 방향이나 속도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전후방의 차량과 안전거리를 유지할 수 있으며, 후방에서 주행하는 타 차량의 운행을 방해하지 않고 안전하게 추월하거나 차선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후면경은 차량에 장착되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전면에 장착되며 물체의 상을 표시하는 미러부로 구성된다.
예컨대, 룸미러(Room Mirror)의 미러부가 평면경일 경우, 평면경은 굴절현상이 없기 때문에 후방에 위치한 차량 및 물체의 상을 왜곡하지 않고 비교적 정확한 거리감으로 표시한다. 하지만, 평면경 형태의 미러부는 운전자가 볼 수 있는 시야 범위가 작기 때문에 차량의 좌우측 영역은 운전자가 볼 수 없는 사각지대가 된다.
한편, 사이드 미러(Side Mirror)는 운전석 및 조수석의 도어 외측에 각각 장착된다. 운전자는 사이드 미러의 미러부를 통해 차량의 좌우측 및 후방의 도로상황에 대하여 알 수 있다. 미러부는 운전자의 시야 범위를 크게 하기 위하여 구면형태의 볼록경으로 형성된다. 구면형태의 볼록경은 평면경에 비하여 시야 범위는 넓으나 구면수차현상으로 인하여 상의 왜곡이 발생한다.
여기서, 구면수차는 단일 곡률로 이루어진 구면 형태의 렌즈나 거울의 굴절률이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변화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로 인해, 구면 형태의 렌즈나 거울은 주변부로 갈수록 상의 왜곡이 발생한다. 즉, 구면형태의 렌즈나 거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에 대해서 평행으로 들어온 빛이 거울의 중심부를 통과했을 때보다 주변부를 통과했을 때에 상이 앞쪽에 맺히게 된다. 이에 따라, 구면형태의 렌즈나 거울은 빛이 통과하는 위치에 따라서 상이 맺히는 위치가 달라지므로 물체의 상이 왜곡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평면경 및 볼록경 사용으로 인한 좁은 시야범위 및 상의 왜곡현상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에 보조 후면경을 더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운전자는 신체조건 또는 주행환경에 따라 보조 후면경을 계속해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차량용 후면경은 단초점이기 때문에 야간 주행 시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헤드라이트 빛이 모아져 운전자의 눈에 직접적으로 들어와 많은 눈부심을 발생한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88954호에는 백미러의 주변부 거울면의 바깥방향 곡률을 연속적으로 완만하게 볼록으로 변화시켜 시야각을 넓힌 기술이 제공되어 있으나, 이 기술은 시야확대가 정규영역을 제외한 주변부의 곡률증가역에만 의존하여 큰 확대폭을 기대하기 곤란하고, 특히 곡률증가역으로부터 운전자의 눈에 들어오는 상이 한방향에 압축되어 변형되기 때문에 후방 물체가 차량에 근접하여 백미러의 정규영역에 들어오기 전에는 후방 물체의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렵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300045호에는 평면 또는 큰 직경곡률의 볼록거울로 이루어진 미러본체부의 적어도 1측 가장자리에 종횡으로 외측을 향해 연속해서 곡률이 증가하여 비춰지는 상이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로 축소되고 종횡의 비율이 거의 일정한 비구면의 볼록거울로 이루어진 서변(徐變)밀러부를 구비함으로써 시야를 확대하면서 상의 왜곡과 거리감의 오차를 줄인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기술 역시 가장자리의 서변미러부를 제외한 본체부 전체가 평면이거나 볼록거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야확대가 서변미러부의 곡률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어 큰 확대폭을 기대하기 곤란하고, 서변미러부는 비구면으로 상의 왜곡과 그에 따른 거리감의 오차를 줄일 수는 있으나 볼록거울의 특성상 끝단으로 갈수록 상이 점차 작아지고 멀리 보이기 때문에 평면경에 비해 후방 물체에 대한 거리감이 부정확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들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 주행 중에 운전자가 볼 수 없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후면경을 통해 표시되는 상의 왜곡현상과 부정확한 거리감 및 눈부심을 최대한 해소할 수 있는 차량용 후면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면경은, 각각 서로 다른 굴절력과 편심률을 갖는 적어도 3개의 비구면 누진다초점 영역이 수평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구획되는 비구면 누진다초점 형태의 미러부; 미러부를 지지하여 차량에 장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각 비구면 누진다초점 영역들의 굴절력과 편심률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되, 내측영역의 수평방향 중심부에서 중앙영역과 맞닿는 경계까지 중앙영역의 굴절력과 같아지도록 내측영역의 굴절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중앙영역의 수평방향 중심부에서 외측영역과 맞닿는 경계까지 외측영역의 굴절력과 같아지도록 중앙영역의 굴절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미러부의 각 영역 중, 내측영역은 굴절력이 0 디옵터, 편심률이 0.1 내지 0.2이고, 중앙영역은 굴절력이 +0.25 디옵터, 편심률이 0.2 내지 0.3이며, 외측영역은 굴절력이 +0.5 디옵터, 편심률이 0.4로 될 수 있다.
그리고 미러부의 내측영역, 중앙영역, 외측영역 각각의 폭은 가로방향으로 4:3:3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영역 및 중앙영역 각각은 상부, 하부로 더 구획되어, 상기 내측영역의 하부는 상부보다 편심률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영역의 하부는 상부보다 굴절력이 크게 형성되면서 상기 중앙영역 상부의 수직방향 중심부에서 하부와 맞닿는 경계까지 중앙영역 하부의 굴절력과 같아지도록 상부의 굴절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영역의 하부는 편심률이 0.2 내지 0.3으로 중앙영역의 편심률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영역의 하부는 굴절력이 +0.5 디옵터로 외측영역의 굴절력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영역 및 중앙영역은 세로방향으로 각각 4:1의 폭 비율로 상부와 하부를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미러부는 바람직하기로 차량의 도어 외측에 장착되는 사이드미러를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면경은, 각각 서로 다른 굴절력과 편심률을 갖는 적어도 3개의 비구면 누진다초점 영역이 수평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구획되는 비구면 누진다초점 형태의 미러부; 미러부를 지지하여 차량에 장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부의 중앙영역보다 좌우영역들의 굴절력과 편심률이 더 크되, 중앙영역의 중심부에서 좌측 및 우측영역과 각각 맞닿는 경계까지 좌우영역의 굴절력과 같아지도록 중앙영역의 굴절력이 좌우측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미러부의 각 영역 중, 중앙영역은 굴절력이 0.00 내지 +0.25 디옵터, 편심률이 0.1 내지 0.2이고, 나머지 좌측 및 우측영역은 굴절력이 +0.5 디옵터, 편심률이 0.3 내지 0.5가 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운전석이 차량의 좌측에 배치되면 상기 좌측영역, 중앙영역 및 우측영역의 폭 비율이 3:12:5 이면서 상기 우측영역의 편심률이 좌측영역의 편심률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운전석이 차량의 우측에 배치되면 상기 좌측영역, 중앙영역 및 우측영역의 폭 비율이 5:12:3 이면서 상기 좌측영역의 편심률이 우측영역의 편심률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삭제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미러부는 차량 실내의 전방 중앙에 장착되는 룸미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면경은, 일정폭으로 구획된 각 영역마다 편심률 및 굴절력이 서로 다르게 도입되면서 내측 또는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각 영역의 굴절력과 편심률이 점차 증가하는 비구면 누진다초점 형태로 구성되므로, 종래의 평면경이나 거울면의 주변부에만 부분적으로 곡률을 증가시킨 기술들보다 운전자의 시야각을 더욱 크게 확대시켜 차량 후방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후면경에 표시되는 상의 왜곡현상과 눈부심도 최대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여러 개로 구획된 영역들 중, 내측이나 중앙 영역에서 외측 영역으로 갈수록 굴절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볼록거울이면서도 비춰지는 상을 보다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어 최대한 평면경에 근접한 거리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면경은 사이드미러를 구성하는 미러부의 내측 및 중앙영역이 상하로 더 구획된 하부영역들에 의해 차량 좌우측 하단 및 후방 하단에 그어진 차선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어 운전자가 보다 용이하게 주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면경은 룸미러를 구성하는 미러부가 중앙영역에서 좌우영역으로 갈수록 굴절력 및 편심률이 증가하므로 종래의 룸미러보다 작게 제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 주행 시 전면의 시야를 가리는 단점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면경은 비구면 누진다초점 형태로 형성된다.
비구면(Aspherical) 형태는 느슨한 정규분포곡선과 비슷한 종(鐘)의 형태로서, 그 형태가 구면도 아니고, 평면도 아닌 것을 의미한다. 비구면은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곡률이 줄어들면서 편평해지는 형태이거나 중심부가 편평하며 주변부로 갈수록 곡률이 증가하는 형태이다. 즉, 비구면 형태의 렌즈나 거울은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곡률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곡률의 변화정도를 편심률(Eccentricity, E-Value)로 나타낸다. 편심률의 크기에 따라 비구면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구면 형태는 구면 형태와는 다르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구면 누진다초점 미러부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비구면 렌즈의 특징을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구면 렌즈는 구면형태와는 다르게 중심부 및 주변부에 입사한 빛을 하나의 초점에 맺히게 함으로써, 구면 형태의 렌즈에서 발생하는 구면수차 현상 즉, 상의 왜곡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비구면 형태의 렌즈는 일정영역마다 편심률이 다르게 도입되기 때문에 종래의 구면 렌즈보다 시야범위가 넓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비구면 형태의 후면경은 차량 후방에 존재하던 사각 지대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누진다초점은 후면경의 미러부를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마다 굴절력을 다르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굴절력은 빛이 미러부를 통과했을 때 꺾이는 양을 의미하며, 디옵터(Diopter, 이하 D)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미러부의 재질을 바꾸거나, 두께를 조절하거나 미러부의 전면, 후면의 곡률을 변화시킴으로써 미러부의 굴절력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미러부는 운전자의 시야 범위에 따라 영역이 구분되며, 각 구분된 영역에는 운전자가 시야에 따라 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굴절력 또는 원거리를 볼 수 있는 굴절력이 도입된다. 이로써, 운전자는 근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하는 차량 및 물체의 상을 보다 정확하게 볼 수 있다. 또한, 야간 주행 시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헤드라이트 빛이 다초점으로 형성된 각 영역의 초점으로 분산되어 들어오기 때문에 종래의 단초점 후면경에서 발생하는 눈부심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면경은 비구면 누진다초점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차량 후방의 사각지대, 상의 왜곡현상, 부정확한 거리감, 눈부심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면경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외부에 장착되는 사이드 미러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룸미러를 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후면경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후면경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후면경을 T-T'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후면경은 본체부(10) 및 미러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0)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에 장착되거나 프론트 도어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의 전면에는 미러부(50)가 장착된다. 이러한 본체부(10)는 미러부(5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미러부(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미러부(50)는 본체부(10) 전면에 장착되며 차량의 좌, 우측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 및 물체들의 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러부(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영역(A영역, B영역, C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각 영역들의 폭은 여러 비율로 나뉠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A영역, B영역, C영역 각각의 폭의 비율이 가로방향으로 4:3:3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영역은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고, B영역 및 C영역은 동일한 폭을 가지지만 후면경의 형태에 따라 각 영역의 면적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A영역 내지 C영역에는 각기 다른 편심률 및 굴절력이 도입되어 각각의 영역이 서로 다른 비구면 누진다초점 형태를 이루는데, 바람직하기로 내측에 위치하는 A영역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C영역으로 갈수록 각 영역들에 도입되는 굴절력과 편심률이 점차 증가한다.
즉, 하나의 미러로 근거리와 중간 및 원거리의 물체를 모두 왜곡없이 선명하고 평면경과 근접한 거리감으로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미러부(50) 자체가 전체적으로 비구면 누진다초점 형태를 취하면서도 그 내부적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서로 다른 편심률과 굴절력을 갖는 3개의 비구면 누진다초점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A영역 내지 C영역에 하나의 편심률이 도입될 경우에는 미러부(50) 전체가 하나의 비구면 형태가 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근거리와 중간 및 원거리에 있는 물체의 상을 왜곡이나 거리감의 오차 없이 정확히 나타내기에는 다소 부족하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A영역은 차량 본체와 가장 가까운 영역에 할당되며 0.00D의 굴절력 및 0.1 ~ 0.2 정도의 편심률이 도입된다. 이에 따라 A영역은 편심률이 도입에 의해 평면경보다 넓은 시야범위를 가지지만 편심률이 매우 작은 값을 갖는 비구면 누진다초점이므로 평면경과 같이 근거리에 있는 물체의 상을 왜곡하지 않고 표시할 수 있다.
한편 A영역은 B영역보다 작은 편심률과 굴절력을 가지는 바, B영역과의 경계에서 상의 도약(Image Jump)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지 위하여 A영역의 수평방향 중심부에서부터 B영역과 맞닿는 경계부까지 B영역의 굴절력과 같아지도록 A영역 일부의 굴절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B영역은 미러부(50)의 가운데 영역으로 +0.25D의 굴절력 및 0.2 ~ 0.3의 편심률이 도입된다. 이에 따라 B영역은 A영역보다 넓은 시야 범위를 가지면서도 A영역보다 큰 굴절력을 갖는 비구면 누진다초점이기 때문에 좌우측의 후방 중간부에 위치하는 차량이나 물체의 상과 거리를 왜곡이 거의 없이 보다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B영역 역시 이웃하는 C영역보다 작은 편심률과 굴절력을 가지므로, B영역에서도 C영역과의 경계에서 상의 도약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B영역의 수평방향 중심부부터 C영역과 맞닿는 경계부까지 C영역의 굴절력과 같아지도록 굴절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C영역은 미러부(50)의 가장 바깥쪽 영역으로 차량 본체와 가장 먼 곳의 영역이 할당된다. 세 개의 영역 중에서 가장 큰 +0.5D의 굴절력 및 0.4 이상의 편심률이 도입된다. 이에 따라, C영역은 세 개의 영역 중에서 가장 넓은 시야 범위를 가지고 차량 주변부 및 종래의 후면경 사각지대에 위치한 타 차량과 물체들의 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C영역도 B영역보다 더 큰 굴절력이 도입된 비구면 누진다초점이므로 상을 왜곡하여 표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의 위치를 평면경에 근접하도록 최대한 가깝께 표시하여 정확한 거리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누진다초점의 미러부(50)에는 굴절력의 변화에 따라 굴절면이 있기 때문에 후방 차량의 헤드라이트 빛이 각각의 굴절면으로 분산되어 운전자는 야간 운전 시에도 후방차량으로 인한 눈부심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후면경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섯 개의 영역으로 더 분할되어 각각의 영역에 편심률 및 굴절력이 다르게 도입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후면경은 A영역, A'영역, B영역, B'영역, C영역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A영역, B영역, C영역은 상술한 후면경의 특징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영역은 A영역 하단부에 할당되며 A영역과의 폭의 비율은 세로방향으로 4:1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영역은 비구면 형태로서 A영역보다 크고 B영역과 같은 0.2~0.3의 편심률이 도입되지만 굴절력은 A영역과 동일한 0.00D가 도입된다. 이러한 A'영역은 차량 아래쪽의 차선을 보다 정확하게 표시한다.
B'영역은 B영역 하단부에 할당되며 B영역과의 폭의 비율은 세로방향으로 4:1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영역은 비구면 형태로서 A'영역과 동일한 편심률이 도입되지만 굴절력은 B'영역보다 크고 C영역과 같은 +0.50D가 도입된다. 이때, A'영역과 B'영역 경계에서 상의 도약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A'영역의 수직방향 중심부에서 B영역과 맞닿는 경계부까지 B영역의 굴절력과 같아지도록 점진적으로 굴절력이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B'영역은 차량 후방 하단에 그어진 차선을 정확하게 표시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후면경의 A'영역 및 B'영역을 통하여 차량 좌우측 하단에 그어진 차선을 정확하게 볼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
한편, 운전석이 어느 쪽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운전자와 차량 양측에 장착된 사이드 미러까지의 거리가 달라진다. 이에 따라, 사이드 미러를 보는 운전자의 시야 범위도 달라진다. 따라서, 각각의 사이드 미러는 운전자의 시야 범위에 따라 편심률 및 굴절력이 다르게 도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후면경의 미러부(50)는 비구면 누진다초점 형태로써, 일정 영역마다 굴절력 및 편심률을 다르게 또한 외측을 향해 점차 증가하도록 도입했기 때문에 차량 후방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차량의 좌우측 후방에 위치하는 타 차량 및 물체의 상을 왜곡하여 표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평면경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상을 가깝게 보이게 하여 보다 정확한 거리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면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후면경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후면경을 T-T'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면경은 본체부(10) 및 미러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0)는 일반적으로 차량 앞 유리와 천정 경계영역에 장착된다. 본체부(10) 전면에는 미러부(50)가 장착된다. 이러한 본체부(10)는 미러부(5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미러부(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체부(10)에 체결구조가 형성된 경우, 차량 내부 천정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며 차량 내부의 천장 외에 운전자가 후방을 볼 수 있는 어디에도 장착될 수도 있다.
미러부(50)는 차량의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 및 물체들을 표시한다. 이러한 미러부(50)는 비구면 누진다초점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러부(50)는 도 8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영역(A영역, B-1영역, B-2영역)으로 구분된다. A영역은 미러부(50)의 중앙영역에 할당되고, B-1영역은 A영역의 좌측에 할당되며 B-2영역은 A영역의 우측에 할당된다. A영역, B-1영역, B-2영역 각각의 폭의 비율은 가로방향으로 3:12:5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후면경이 직사각형의 형태일 경우 폭의 비율은 각 할당된 영역의 비율과 비슷하다. 즉, A영역의 면적은 전체 미러부(50)의 60%, B-1영역의 면적은 15%, B-2영역의 면적은 25% 정도 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석은 차량의 좌측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고, 운전석이 차량 우측에 배치된 경우에는 B-1영역의 면적과 B-2영역의 면적은 서로 반대가 된다.
또한 이러한 A영역, B-1영역 및 B-2영역에는 바람직하기로 각기 다른 편심률과 굴절력이 도입되어 각각의 영역이 서로 다른 비구면 누진다초점 형태를 이루며, 중앙에 위치하는 A영역보다 좌우 외측에 위치하는 B-1영역 및 B-2영역들에 도입되는 굴절력과 편심률이 더 크게 형성된다.
즉, 하나의 미러로 근거리와 중간 및 원거리의 물체를 모두 왜곡없이 선명하고 평면경과 근접한 거리감으로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미러부(50) 자체가 전체적으로 비구면 누진다초점 형태를 취하면서도 그 내부적으로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서로 다른 편심률과 굴절력을 갖는 3개의 비구면 누진다초점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다.
물론, 이 때에도 세 개의 영역에 하나의 편심률이 도입될 경우 세 개의 영역 전체가 하나의 비구면 형태가 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영역이 서로 다른 비구면으로 이루어진 것보다 유리하지 않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러부(50)의 각 영역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영역은 0.00D ~ +0.25D의 굴절력 및 0.1 ~ 0.2의 편심률이 도입된다. 즉, A영역에는 일정크기의 굴절력 및 편심률이 도입되기 때문에 평면경보다 넓은 시야 범위를 가지며, 보다 선명하고 정확한 거리감으로 물체와 차량의 상을 표시한다.
한편 A영역은 B-1영역 및 B-2영역과의 굴절력의 차이로 인하여 B-1영역 및 B-2영역의 경계에서 각각 상의 도약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바, A영역 중심부에서 B-1영역, B-2영역과 맞닿는 경계부까지 A영역의 굴절력이 B-1 및 B-2영역의 굴절력과 같아지도록 좌우측으로 점차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B-1영역 및 B-2영역은 A영역 좌우에 배치되며, A영역보다 큰 +0.50D의 굴절력 및 0.3 ~ 0.5의 편심률이 도입된다. 이에 따라 B-1영역 및 B-2영역은 A영역보다 넓은 시야를 가지지만, A영역보다 큰 굴절력을 갖는 비구면 누진다초점이기 때문에 후방 좌우에 위치하는 차량이나 물체의 상과 거리를 왜곡이 거의 없이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위치에 따라 B-1영역 및 B-2영역의 크기가 다르게 분할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석이 차량 왼편에 위치하여 운전자와 B-1영역의 거리가 B-2영역과의 거리보다 가까울 경우, B-1영역의 시야 범위가 B-2영역보다 크다. 이에 따라, B-2영역의 면적, 굴절력, 편심률은 B-1영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B-1영역 및 B-2영역은 운전자의 위치에 따라 면적, 굴절력, 편심률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B-1영역 및 B-2영역과 운전자와의 거리가 크게 차이나지 않아 시야 범위가 비슷한 경우, B-1영역 및 B-2영역에는 동일한 굴절력 및 편심률이 도입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면경은 비구면 누진다초점 형태를 형성하여 넓은 시야각을 가지므로 종래의 룸미러보다 작게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룸미러는 차량 주행 시 전면의 시야를 가리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고, 특히 누진다초점의 미러부(50)에는 굴절력의 변화에 따라 굴절면이 있기 때문에 후방 차량의 헤드라이트 빛이 각각의 굴절면으로 분산되어 들어는 바, 야간 운전 시 뒤에 있는 차량의 헤드라이트의 빛으로 인한 눈부심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미러부가 세 개 또는 다섯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의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에 구면 렌즈의 특징을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구면 렌즈의 특징을 모식화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후면경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후면경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후면경을 T-T'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후면경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후면경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후면경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후면경을 T-T'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Claims (14)

  1. 각각 서로 다른 굴절력과 편심률을 갖는 적어도 3개의 비구면 누진다초점 영역이 수평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구획되는 비구면 누진다초점 형태의 미러부;
    상기 미러부를 지지하며 차량에 장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각 비구면 누진다초점 영역들의 굴절력과 편심률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되, 내측영역의 수평방향 중심부에서 중앙영역과 맞닿는 경계까지 중앙영역의 굴절력과 같아지도록 내측영역의 굴절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중앙영역의 수평방향 중심부에서 외측영역과 맞닿는 경계까지 외측영역의 굴절력과 같아지도록 중앙영역의 굴절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면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영역의 편심률은 0.1 내지 0.2이고, 굴절력은 수평방향 중심부까지 0 디옵터이고, 상기 중앙영역의 편심률은 0.2 내지 0.3이며 굴절력은 수평방 향 중심부까지 +0.25 디옵터이고, 상기 외측영역의 굴절력은 +0.5 디옵터, 편심률은 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면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영역과 중앙영역은 각각 상부 및 하부로 더 구획되어, 상기 내측영역의 하부는 상부보다 편심률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중앙영역의 하부는 상부보다 굴절력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영역 상부의 수직방향 중심부에서 하부와 맞닿는 경계까지 중앙영역 하부의 굴절력과 같아지도록 상부의 굴절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면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영역 하부의 편심률은 0.2 내지 0.3이며, 상기 중앙영역 하부의 굴절력은 +0.5 디옵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면경.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영역, 중앙영역, 외측영역 각각의 폭의 비율은 가로방향으로 4:3:3이고, 상기 미러부는 사이드미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후면경.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영역과 중앙영역의 상부 및 하부 폭의 비율은 세로방향으로 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면경.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70113367A 2007-11-07 2007-11-07 차량용 후면경 KR100867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367A KR100867439B1 (ko) 2007-11-07 2007-11-07 차량용 후면경
EP08848419A EP2205464A2 (en) 2007-11-07 2008-11-05 Rear vision mirror for vehicle
US12/741,539 US20100246040A1 (en) 2007-11-07 2008-11-05 Rear vision mirror for vehicle
JP2010533006A JP2011509856A (ja) 2007-11-07 2008-11-05 車両用後面鏡
PCT/KR2008/006514 WO2009061126A2 (en) 2007-11-07 2008-11-05 Rear vision mirror for vehicle
CN2008801147472A CN102007016A (zh) 2007-11-07 2008-11-05 汽车后视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367A KR100867439B1 (ko) 2007-11-07 2007-11-07 차량용 후면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439B1 true KR100867439B1 (ko) 2008-11-06

Family

ID=4028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367A KR100867439B1 (ko) 2007-11-07 2007-11-07 차량용 후면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46040A1 (ko)
EP (1) EP2205464A2 (ko)
JP (1) JP2011509856A (ko)
KR (1) KR100867439B1 (ko)
CN (1) CN102007016A (ko)
WO (1) WO2009061126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954B1 (ko) 2011-08-31 2013-07-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누진 다초점 사이드 미러
KR101517172B1 (ko) * 2014-03-04 2015-05-04 주식회사 불스원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101517173B1 (ko) * 2014-03-04 2015-05-04 주식회사 불스원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101651435B1 (ko) 2015-03-30 2016-08-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분할영역을 갖는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20230135446A (ko) * 2022-03-16 2023-09-25 송해성 복수의 굴절력을 갖는 사이드 미러 및 보조미러를 이용한 사각 지대 해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29629A (zh) * 2011-09-29 2013-04-10 李红 一种汽车防眩光后视方法和装置
US9340160B2 (en) 2014-08-04 2016-05-17 Lang-Mekra North America, Llc Low distortion convex mirror for a vehicle rearview mirror assembly
DE102016203185A1 (de) * 2015-03-11 2016-09-15 Hyundai Mobis Co., Ltd. Head-Up-Display und Steuerverfahren dafür
KR20150100584A (ko) * 2015-07-23 2015-09-02 이지수 앞, 뒤, 측면, 바닥, 측면 앞,모든 타이어가 한눈에 다보이는 화물자동차, 대형 상용차 등 모든 자동차 굴절 백밀러
CN105539296A (zh) * 2015-12-17 2016-05-04 何祥喜 解决运载工具后侧盲区视线、扩充宽度视线的方法及其后视镜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045A (ja) * 1994-05-06 1995-11-14 Hiroshi Kondo 自動車用ミラー
KR200248494Y1 (ko) 2001-06-20 2001-10-31 김양주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JP3103016U (ja) * 2004-01-26 2004-07-22 文夫 和田 部分曲面状車載バックミラー
JP2006088954A (ja) 2004-09-27 2006-04-06 Nobuaki Ikuta 鏡面の周辺部で視野を拡大させたバックミラ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5103A (ja) * 1985-10-31 1987-05-15 Shinya Miyake 凸面反射鏡
JPH0622290Y2 (ja) * 1989-07-07 1994-06-15 松村工芸株式会社 花 器
US5084785A (en) * 1990-05-11 1992-01-28 Rovic Corporation Aspheric elliptical paraboloid safety mirror
JP3384248B2 (ja) * 1995-11-21 2003-03-10 市光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ミラー用複合ミラー
JP2002160583A (ja) * 2000-11-28 2002-06-04 Ipc:Kk 車輌用バックミラ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012761B1 (en) * 2004-11-24 2006-03-14 Mirror Lite Teledaga mirror
JP4980404B2 (ja) * 2009-10-08 2012-07-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ミラ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045A (ja) * 1994-05-06 1995-11-14 Hiroshi Kondo 自動車用ミラー
KR200248494Y1 (ko) 2001-06-20 2001-10-31 김양주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JP3103016U (ja) * 2004-01-26 2004-07-22 文夫 和田 部分曲面状車載バックミラー
JP2006088954A (ja) 2004-09-27 2006-04-06 Nobuaki Ikuta 鏡面の周辺部で視野を拡大させたバックミラ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954B1 (ko) 2011-08-31 2013-07-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누진 다초점 사이드 미러
KR101517172B1 (ko) * 2014-03-04 2015-05-04 주식회사 불스원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101517173B1 (ko) * 2014-03-04 2015-05-04 주식회사 불스원 차량용 사이드 미러
WO2015133673A1 (ko) * 2014-03-04 2015-09-11 주식회사 불스원 차량용 사이드 미러
WO2015133674A1 (ko) * 2014-03-04 2015-09-11 주식회사 불스원 차량용 사이드 미러
US10315577B2 (en) 2014-03-04 2019-06-11 Bullsone Co., Ltd Side mirror for vehicle
KR101651435B1 (ko) 2015-03-30 2016-08-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속분할영역을 갖는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20230135446A (ko) * 2022-03-16 2023-09-25 송해성 복수의 굴절력을 갖는 사이드 미러 및 보조미러를 이용한 사각 지대 해소 장치
KR102644697B1 (ko) * 2022-03-16 2024-03-06 송해성 복수의 굴절력을 갖는 사이드 미러 및 보조미러를 이용한 사각 지대 해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5464A2 (en) 2010-07-14
CN102007016A (zh) 2011-04-06
JP2011509856A (ja) 2011-03-31
US20100246040A1 (en) 2010-09-30
WO2009061126A2 (en) 2009-05-14
WO2009061126A3 (en)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439B1 (ko) 차량용 후면경
JP7233490B2 (ja) 情報表示装置
US20040179099A1 (en) Vision system for a vehicle
US11428928B2 (en) Head-up display and mobile body equipped with head-up display
JPH06506420A (ja) 後方確認ミラー装置
WO2011159058A2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101046436B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GB2149077A (en) Headlamp for dipped light in motor vehicles
JP2013052859A (ja)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JP4213223B2 (ja) 光学式後方展望システム
US2953961A (en) Rear vision means
KR101288954B1 (ko) 누진 다초점 사이드 미러
KR101517172B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101604087B1 (ko) 전방 상향 시현용 광학계
TWI651223B (zh) 車輛用側視鏡
KR102144462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37698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21600B1 (ko) 구면 및 비구면의 형상을 조합한 볼록거울 실외 후사경
KR101585101B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101651435B1 (ko) 연속분할영역을 갖는 차량용 사이드 미러
EP1520751A1 (en) Vehicle comprising a side view mirror located inside the vehicle and a kit comprising such a mirror
JP2001013451A (ja) 拡大表示装置
WO2013108683A1 (ja)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KR200273317Y1 (ko) 후방 시야가 변화되는 차량용 후사경
KR20130046329A (ko) 구면 및 비구면의 형상을 조합한 볼록거울 실외 후사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