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280B1 - R.g.b 분석형 제진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R.g.b 분석형 제진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280B1
KR100867280B1 KR1020080078543A KR20080078543A KR100867280B1 KR 100867280 B1 KR100867280 B1 KR 100867280B1 KR 1020080078543 A KR1020080078543 A KR 1020080078543A KR 20080078543 A KR20080078543 A KR 20080078543A KR 100867280 B1 KR100867280 B1 KR 100867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gb
vibration damper
unit
data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9635A (ko
Inventor
류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영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영이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영이앤티
Priority to KR1020080078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280B1/ko
Publication of KR20080079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보다 낮은 저지대 수로에 설치되어 흐르는 물과 함께 이동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폐수와 함께 이동되는 협잡물의 크기와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협잡물의 존재를 감지하고, 흐르는 폐수의 유속에 상관없이 적시에 협잡물을 제거하여 소비전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된 R.G.B분석형 제진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폐수 수면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에 찍힌 색상들을 R.G.B값으로 분석하고, 그 R.G.B값을 통해서 협잡물 유·무와 위치를 판단하여, 협잡물이 제진기의 스크린에 걸렸을 때만 제진기를 가동시켜서 그 협잡물이 제거되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폐수와 함께 이동되는 협잡물의 크기와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협잡물의 존재를 감지하여 걸러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유량감지수단을 젖히기 위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했던 모터를 구성하지 않고도 모든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고, 흐르는 폐수의 유속에 상관없이 적시에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는바, 소비전력을 대폭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제진기, 감지수단, 카메라, R.G.B, 하수처리, 변동폭

Description

R.G.B 분석형 제진기 및 그 제어방법 {R.G.B ANALYSIS TYPE SCREE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수면보다 낮은 저지대 수로에 설치되어 흐르는 폐수와 함께 이동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제진기와 제진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폐수와 함께 이동되는 협잡물의 크기와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협잡물의 존재를 감지하고, 흐르는 폐수의 유속에 상관없이 적시에 협잡물을 제거하여 소비전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된 R.G.B분석형 제진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 기술분야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제진기는 배수펌프장, 상수도취수장, 하수처리장, 관개용수로 및 댐 등의 수로에 설치하여 흐르는 폐수와 함께 이동하는 협잡물을 걸러내어, 수로가 협잡물로부터 막히지 않도록 물이 흐르는 수로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스크린과, 그 각각의 스크린 사이에 체인이 연결되어 설치된 레이크와, 상부에 그 체인을 항상 구동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제진기는 항상 작동되는 일반형 제진기와, 특정한 시간대에만 작동하도록 구성된 타이머형 제진기 및 협잡물에 의한 저항을 분석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된 저항분석형 제진기가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일반형의 제진기는 구동모터가 항상 구동됨에 따른 구동모터의 과부하로 잦은 고장이 발생하고, 그 구동모터의 수명을 대폭 감소시키며, 협잡물이 없음에도 구동됨에 따른 전력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타이머형 제진기는 홍수 등으로 제진기로 유입되는 협잡물이 급작스럽게 증대될 경우, 일일이 그 구동타임을 조절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저항분석형 제진기는 상기 일반형 제진기와 타이머형 제진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협잡물에 의한 저항을 검출하고, 그 저항에 의한 압력을 신호로 하여 제진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351855호(2004.02.05) '제진기의 진개물 유입량 감지장치'를 대표할 수 있다.
상기 '제진기의 진개물 유입량 감지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제진기(10) 전방에 유량감지수단(20)과 압력감지수단(30) 및 부구(40)로 구성되어 제진기가 그 유량감지수단(20) 및 압력감지수단(30)에 의한 감지신호에 따라서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도 2에서와 같이, 위 유량감지수단(20)은 진개물(이하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협잡물'이라 합니다)이 부딪히거나, 걸리도록 다수의 수직봉(21)이 일정간격으로 수평봉(22)에 결합 되고, 그 수평봉(22) 양 끝단에 상기 수평봉(22)을 회전시켜서 수직봉(21)이 젖혀지도록 모터(23)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위 압력감지수단(30)은 상기 유량감지수단(20)에 부딪히거나, 걸리는 협잡물에 의해서 흐르는 물에 대한 저항이 발생하고, 그 저항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도록 그 수평봉(22)의 양 끝단에 압력감지센서(50)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위 부구(40)는 수로에 흐르는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유량감지수단이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수평봉의 양 끝단에 일반적인 부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부구(40)는 수로에 흐르는 물의 수위가 변경될 때마다 유량감지수단을 그 변경되는 수위만큼 이동시켜서 항상 동일한 유량감지수단의 수직봉으로 물이 흐르도록 작용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제진기의 진개물 유입량 감지장치'는 협잡물이 유량감지수단(20)의 수직봉(21)에 충돌하여 걸리게 되면, 저항이 발생하는데, 그 저항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여 협잡물의 양 또는 크기를 예측하고, 그 압력에 따라 예측된 진개물에 따라서 제진기를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터(23)의 동작으로 유량감지수단(20)에 걸려있는 협잡물이 제진기로 이동되어 제진기에 의해서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종래의 저항분석형 제진기는 물에 떠다니는 협잡물이 제진기로 이동되기 전에 유량감지수단을 통해 협잡물이 걸리도록 구성하여, 그 유량감지수단에 걸린 협잡물에 의해서 발생하는 저항에 따른 압력을 압력감지수단을 통해서 협잡물의 유·무를 판단하여 제진기를 구동시킴으로써, 협잡물이 있을 경우에만 제진기를 가동시켜서 전력을 절감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저항분석형 제진기는 협잡물이 유량감지수단의 수직봉에 충돌하거나, 걸릴 때 발생하는 저항에 따른 압력을 검출하여, 그 검출된 압력신호를 통해서 제진기가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유량감지수단에 구비된 각 수직봉들 간의 간격보다 작은 협잡물이 수직봉과 충돌하지 않고 그 유량감지수단을 통과할 경우, 제진기가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흐르는 폐수의 유속이 평소보다 빠를 경우에는 그 흐르는 폐수의 유속에 따른 가속도에 의해서 평소보다 높은 저항의 힘이 발생하고, 흐르는 물의 유속이 평소보다 느릴 경우에는 평소보다 낮은 저항의 힘이 발생하는바, 똑같은 협잡물이라 하더라도, 흐르는 물의 유속에 따라서 유량감지수단에 의해서 발생하는 저항의 힘이 변동되어 오작동이 빈번하게 일어며, 그 오작동에 의해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유량감지수단에 걸린 협잡물이 제진기에 의해서 제거되기 위해서는 모터의 동작으로 유량감지수단이 젖혀져야 하는바, 더 많은 전력이 소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현재의 에너지 절감정책에 부합하도록 유속의 영향을 받 지않으면서 협잡물의 유·무를 판단하고, 적시에 제진기가 구동되도록 구성하여 소비 전력이 대폭 절감되는 제진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수로 내부에 설치된 제진기와, 상기 제진기 상부에 구비되되, 그 제진기 전면의 수면 영상이 촬영되도록 설치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의 색상들을 픽셀별 R.G.B 값으로 분석하고, 그 분석된 R.G.B 값의 변동폭을 분석하여 제진기의 구동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로 구성하는 것을 그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픽셀데이터와 R.G.B설정데이터 및 영역데이터를 설정하는 제1단계와, 수면 영상을 카메라를 통해서 촬영하고, 그 영상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단계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전송된 영상의 색상들을 픽셀별 R.G.B 값으로 분석하여 협잡물의 유·무와 위치를 판단하고, 협잡물이 있을 경우에 제진기의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따라서 제진기의 구동모터가 제어되어 제진기가 가동되는 제4단계로 구성하여, 폐수의 수면 영상에 대한 R.G.B 값을 분석하여 제진기가 적시에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폐수 수면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에 찍힌 색상들을 R.G.B값으로 분석하고, 그 R.G.B 값의 변동폭을 분석하여 협잡물 유·무와 위치를 판단하며, 협잡물이 제진기의 스크린에 걸렸을 때만 제진기를 가동시켜서 그 협잡물이 걸러지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폐수와 함께 이동되는 협잡물의 크기와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협잡물의 존재를 감지하여 적시에 걸러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유량감지수단을 젖히기 위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했던 모터를 구성하지 않고도 모든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고, 흐르는 폐수의 유속에 상관없이 적시에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는바, 소비전력을 대폭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폐수와 함께 이동되는 협잡물의 크기와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협잡물의 존재를 감지하고, 흐르는 폐수의 유속에 상관없이 적시에 협잡물을 제거하여 소비전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된 R.G.B분석형 제진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R.G.B분석형 제진기를 상세히 설명하고, 그 다음으로 R.G.B분석형 제진기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저항분석형 제진기 전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저항분석형 제진기의 협잡물 판단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어부의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R.G.B분석형 제진기는 크게 제진기(100)와 카메라(200) 및 제어부(300)로 구성되는데, 그 제진기(100)는 수로 내부에 설치되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진기와 동일하게 구성된 것이고, 카메라(200)는 제진기(100) 상부에 구비되되, 일반적인 디지털카메라와 동일하게 구성된 것이며, 제어부(300)는 상기 촬영된 영상의 색상들을 픽셀별로 R.G.B 값을 분석하고, 그 영상의 R.G.B 값의 변동폭을 분석하여 협잡물의 유·무와 위치를 판단하고, 협잡물이 있을 경우에만 제진기(100)의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가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어부(300)는 카메라(20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특정해상도에 맞는 각각의 픽셀별로 X축과 Y축으로 구분되도록 구성된 픽셀데이터(B)와 R.G.B변동폭이 설정된 R.G.B설정데이터(C), 상기 픽셀데이터(B)에 구분된 각각의 픽셀들을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특정범위가 형성된 가동영역이 설정된 영역데이터(D)가 저장된 데이터부(310)가 구비된다.
위 R.G.B변동폭은 픽셀데이터(B)의 구분된 각 픽셀들이 분석된 R.G.B값의 차 이를 수치화한 것이고, 가동영역은 이하 설명될 실시 예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200)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픽셀데이터(211)의 각 픽셀별로 R.G.B값을 분석하여 R.G.B픽셀정보(A)를 형성하고, 그 R.G.B픽셀정보(A)를 실시간으로 협잡물판단부(33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R.G.B부(320)가 구비된다.
위 R.G.B픽셀정보(A)를 통해서 각 픽셀들 간의 R.G.B 값을 비교분석하여 R.G.B변동폭을 분석할 수 있고, 특정픽셀을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그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R.G.B변동폭의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된 R.G.B픽셀정보(A)를 통해서 각 픽셀들 간의 R.G.B변동폭을 분석하고, 그 R.G.B픽셀정보(A)에 대한 R.G.B변동폭이 데이터부(310)의 R.G.B설정데이터(C)에 설정된 R.G.B변동폭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R.G.B부(320)에서 분석된 새로운 R.G.B픽셀정보를 다시 분석하고, 그 R.G.B변동폭이 R.G.B변동폭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R.G.B부(320)에서 전송받은 R.G.B픽셀정보(A)를 위치판단부(340)로 전송함과 동시에 다시 상기 R.G.B부(320)에서 분석된 새로운 다음 영상에 대한 R.G.B픽셀정보(A)를 분석하도록 구성된 협잡물판단부(330)가 구비된다.
이렇게 구성된 협잡물판단부(330)에 의해서 분석된 R.G.B변동폭에 의해서 협잡물의 유·무가 판단된다.
그리고 상기 협잡물판단부(330)에서 전송된 R.G.B분석정보(A)를 통해서 상기 분석된 R.G.B변동폭이 발생한 위치를 X축과 Y축으로 추적하여 분석하고, 그 R.G.B변동폭의 발생위치가 데이터부(310)의 영역데이터(D)에 설정된 가동영역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분석부(330)에서 분석된 새로운 R.G.B픽셀정보(A)를 분석하고, 영역데이터(D)에 설정된 가동영역에 R.G.B변동폭이 있을 경우에는 그 판단신호를 가동부(340)로 전송함과 동시에 다시 상기 분석부(330)에서 분석된 새로운 영상에 대한 R.G.B픽셀정보(A)를 분석하도록 구성된 위치판단부(340)가 구비된다.
이렇게 구성된 위치판단부(340)의 분석에 의해서 판단된 협잡물이 제진기(100)의 스크린에 걸려있는지가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위치판단부(340)에서 전송된 판단신호에 따라서 제진기(100)가 가동되도록 그 제진기(100)의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가동부(35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로 내부에 제진기(100)가 구비되고, 그 제진기(100) 상부에 스크린에서부터 수로를 따라서 흐르는 수면의 영상이 촬영되도록 카메라(200)가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2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고, 제진기(100)의 구동모터가 제어되어 제진기(100)가 가동되도록 제어부(300)가 설치되어 결합완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부(310)에 설정되는 픽셀데이터(B)와 R.G.B설정데이터(C) 및 영역데이터(D)의 설정방법은 당업자라면 컴퓨터 등의 단말기를 통해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데이터들의 설정에 필요한 수단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완성된 본 발명의 R.G.B분석형 제진기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R.G.B분석형 제진기의 제어방법은 크게 픽셀데이터(B)와 R.G.B설정데이터(C) 및 영역데이터(D)를 설정하는 제1단계(S10)와, 카메라(200)를 통해서 촬영된 수면 영상이 제어부(300)로 전송되는 제2단계(S20)와, 그 카메라(200)를 통해 전송된 영상이 픽셀별 R.G.B 값으로 분석하고, 그 픽셀별 R.G.B변동폭을 분석하여 협잡물의 유·무와 위치를 판단하며, 협잡물이 있을 경우에만 제진기(100)의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3단계(S30) 및 그 제어부(300)에 따라서 제진기(100)의 구동모터가 제어되어 가동되는 제4단계(S40)로 구성된다.
상기 제3단계(S30)는 카메라(200)를 통해서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300)의 R.G.B부(320)에 전송하는 영상획득단계(S31)가 구성되고, 그 R.G.B부(320)를 통해서 상기 획득된 영상을 데이터부(310)의 픽셀데이터(B)를 기준으로 픽셀별 R.G.B 값으로 분석하여 R.G.B픽셀정보(A)를 형성하고, 그 R.G.B픽셀정보(A)를 협잡물판단부(330)로 전송하는 R.G.B분석단계(S32)가 구성된다.
그리고 그 R.G.B분석단계(S32)를 통해서 전송된 R.G.B픽셀정보(A)가 협잡물판단부(330)에 의해서 각 픽셀별 R.G.B변동폭이 분석되고, 그 분석된 R.G.B변동폭이 R.G.B설정데이터(C)에 설정된 R.G.B변동폭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R.G.B부(320)에서 분석된 새로운 R.G.B픽셀정보(A)를 분석하고, 데이터부(310)의 R.G.B설정데이터(C)에 설정된 R.G.B변동폭 이상일 경우에는 협잡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R.G.B부(320)에서 전송받은 R.G.B픽셀정보(A)를 위치판단부(340)로 전송함과 동시에 다시 상기 R.G.B부(320)에서 분석된 새로운 R.G.B픽셀정보(A)를 분석하는 협잡물판단단계(S33)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협잡물판단단계(S33)를 통해서 전송된 R.G.B분석정보(A)가 위치판단부(340)에 의해서 상기 협잡물판단단계(S33)에서 분석된 R.G.B변동폭의 위치를 X축과 Y축으로 분석하고, 그 분석된 R.G.B변동폭의 위치가 영역데이터(D)에 설정된 가동영역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협잡물판단부(330)에서 분석된 새로운 R.G.B픽셀정보(A)를 분석하고, 그 분석된 R.G.B변동폭의 위치가 데이터부(310)의 영역데이터(D)에 설정된 가동영역에 포함될 경우에는 협잡물이 제진기에 걸린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그 신호를 가동부(350)에 전송함과 동시에 다시 상기 협잡물판단부(330)에서 분석된 새로운 R.G.B픽셀정보(A)를 분석하는 위치판단단계(S34)가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위치판단단계(S34)를 통해서 전송된 신호에 따라서 가동부(350)가 제진기(100)의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그 제진기(100)를 구동시키는 제어단계(S35)로 구성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R.G.B분석형 제진기의 제어방법을 통한 R.G.B분석형 제진기의 작동관계를 실시 예를 통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서 제어부(300)의 데이터부(310)에 100(X축)*100(Y축)의 해상도로 각 픽셀들이 구분되도록 픽셀데이터(B)를 설정하고, R.G.B변동폭을 0~20.0~20.0~20(R.G.B값)으로 R.G.B설정데이터(C)를 설정하며, 상기 픽셀데이터(B)를 기준으로 X축 0~100, Y축 0~1로 설정하여 X축 전체에서 Y축 1까지의 가동영역을 형성된 영역데이터(D)를 설정하는 제1단계(S10)가 진행된다.
상기 X축이 0~1이고 Y축이 0~1인 영역은 제진기(100)의 스크린과 접하는 부분이다.
그 후, 카메라(200)에 의해서 회색계통(R.G.B값은 100.100.100)의 폐수(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단색으로 설정하여 실시한다)의 수면 영상이 실시간으로 제어부(300)에 전송되는 제2단계(S20)가 진행된다.
그 후, 제어부(300)에 의해서 상기 전송받은 영상에 찍힌 폐수 혹은 휴지에 따라서 픽셀별 R.G.B값으로 분석되고, 그 픽셀별 R.G.B값의 변동폭이 분석되어 협잡물의 유·무와 위치가 판단되어 협잡물이 제진기(100)에 걸려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만 제진기(100)가 가동되도록 제진기(100)의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3단계(S30)가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300)에 의해서 제진기(100)가 가동되는 제4단계(S40)가 진행되어 협잡물이 제거된다.
상기 제3단계(S30)의 작동관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카메라(200)에 의해서 제어부(300)로 전송된 영상이 제어부(300)의 R.G.B부(320)로 전송되는 영상획득단계(S31)가 진행된다.
그 후, 상기 수로에 폐수만이 흐를 경우에는 카메라(20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이 R.G.B부(320)에 의해서 그 영상에 찍힌 폐수부분의 픽셀이 100.100.100(R.G.B값)으로 분석되어 R.G.B픽셀정보(A)가 형성되고, 그 R.G.B픽셀정보(A)가 협잡물판단부(330)로 전송되는 R.G.B분석단계(S32)가 진행된다.
이때, 상기 수로에 휴지가 이동될 경우에는 카메라(20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이 R.G.B부(320)에 의해서 그 영상에 찍힌 폐수부분의 픽셀이 100.100.100(R.G.B 값)으로, 휴지부분의 픽셀이 250.250.250(R.G.B값)으로 분석되어 R.G.B픽셀정보(A)가 형성되고, 그 R.G.B픽셀정보(A)가 협잡물판단부(330)로 전송된다.
그 후, 상기 폐수만이 흐르는 영상의 R.G.B픽셀정보(A)가 협잡물판단부(330)에 전송될 경우에는 그 협잡물판단부(330)에 의해서 그 R.G.B픽셀정보(A)에 해당하는 영상의 R.G.B변동폭이 0.0.0(R.G.B값)임이 분석되고, 그 R.G.B변동폭(2)이 R.G.B설정데이터(C)에 설정된 R.G.B변동폭과 비교분석되어 현재 수로에 흐르는 폐수에 협잡물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고, 상기 R.G.B부(320)에서 분석된 새로운 영상의 R.G.B픽셀정보(A)가 분석되는 협잡물판단단계(S33)가 진행된다.
이때, 상기 휴지가 있는 영상의 R.G.B픽셀정보(A)가 전송될 경우에는 협잡물판단부(330)에 의해서 폐수와 휴지의 R.G.B변동폭이 150.150.150임이 분석되고, 그 R.G.B변동폭(2)이 R.G.B설정데이터(C)에 설정된 R.G.B변동폭과 비교분석되어 현재 수로에 흐르는 폐수에 협잡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그 R.G.B픽셀정보(A)가 가동판단부(340)로 전송됨과 동시에 다시 상기 R.G.B부(320)에서 분석된 새로운 R.G.B픽셀정보(A)가 새롭게 분석된다.
그 후, 상기 가동판단부(340)에 전송된 R.G.B픽셀정보(A)가 상기 수로에 흐르는 휴지가 화면 중간에 위치한 상태의 영상이 분석된 것일 경우에는 그 가동판단부(340)에 의해서 상기 R.G.B변동폭이 발생한 위치가 X축의 40 ~ 60, Y축의 40 ~ 60에 발생한 것임이 분석되고, 그 R.G.B변동폭이 발생한 위치가 영역데이터(D)에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분석되어 현재 휴지가 제진기(100)의 스크린에 걸리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협잡물판단부(330)에서 전송된 새로운 R.G.B픽셀정보(A)가 새롭게 분석되는 위치판단단계(S34)가 진행된다.
이때, 상기 전송된 새로운 R.G.B픽셀정보(A)가 폐수의 흐름에 따라서 이동된 휴지가 제진기(100)의 스크린에 걸린 상태의 영상이 분석된 경우에는 가동판단부(340)에 의해서 상기 R.G.B변동폭이 발생한 위치가 X축의 40 ~ 60, Y축의 0 ~ 20 사이에 발생한 것임이 분석되어 현재 휴지가 제진기(100)의 스크린에 걸린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고, 그 판단결과가 가동부(350)로 전송됨과 동시에 상기 협잡물판단부(330)에서 전송된 새로운 R.G.B픽셀정보(A)가 새롭게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송된 판단결과를 신호로 하여, 가동부(350)에 의해서 제진기(100)가 가동되도록 그 제진기(100)의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단계(S35)로 구성된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폐수 수면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에 찍힌 색상들을 R.G.B값으로 분석하고, 그 R.G.B 값의 변동폭을 분석하여 협잡물 유·무와 위치를 판단하여, 협잡물이 제진기(100)의 스크린에 걸렸을 때만 제진기(100)를 가동시켜서 그 협잡물이 제거되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폐수와 함께 이동되는 협잡물의 크기와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협잡물의 존재를 감지하여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유량감지수단을 젖히기 위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했던 모터를 구성하지 않고도 모든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고, 흐르는 폐수의 유속에 상관없이 적시에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바, 소비전력을 대폭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저항분석형 제진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저항분석형 제진기의 협잡물 판단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어부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진기 200 : 카메라
300 : 제어부 310 : 데이터부
320 : R.G.B부 330 : 협잡물판단부
340 : 가동판단부 350 : 가동부
A, B, C, D : R.G.B픽셀정보

Claims (4)

  1. 제진기에 있어서,
    수로 내부에 설치된 제진기(100)와;
    상기 제진기(100) 상부에 구비되되, 그 제진기(100) 전면의 수면 영상이 촬영되도록 설치된 카메라(200)와;
    상기 카메라(200)에서 촬영된 영상의 색상들을 픽셀별 R.G.B 값으로 분석하고, 그 R.G.B 값의 변동폭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서 제진기(100)의 구동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R.G.B분석형 제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픽셀데이터(B)와 R.G.B설정데이터(C) 및 영역데이터(D)가 저장된 데이터부(310)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픽셀데이터(211)를 기준으로 픽셀별 R.G.B값을 분석하여 R.G.B픽셀정보(A)를 형성하고, 그 R.G.B픽셀정보(A)를 협잡물판단부(330)로 전송하는 R.G.B부(320)와;
    상기 전송된 R.G.B픽셀정보(A)를 통해서 R.G.B변동폭을 분석하고, 그 R.G.B변동폭이 R.G.B설정데이터(C)의 R.G.B변동폭 이하일 경우에는 새로운 R.G.B픽셀정보(A)를 분석하며, 그 R.G.B변동폭이 R.G.B설정데이터(C)의 R.G.B변동폭 이상일 경 우에는 상기 R.G.B부(320)에서 전송받은 R.G.B픽셀정보(A)를 위치판단부(340)로 전송함과 동시에 새로운 R.G.B픽셀정보(A)를 분석하도록 구성된 협잡물판단부(330)와;
    상기 협잡물판단부(330)에서 전송된 R.G.B분석정보(A)를 통해서 R.G.B변동폭이 발생한 위치를 분석하고, 그 R.G.B변동폭의 위치가 영역데이터(D)의 가동영역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에는 새로운 R.G.B픽셀정보(A)를 분석하고, 그 R.G.B변동폭의 위치가 영역데이터(D)의 가동영역에 있을 경우에는 그 판단신호를 가동부(340)로 전송함과 동시에 새로운 R.G.B픽셀정보(A)를 분석하도록 구성된 위치판단부(340)와;
    상기 위치판단부(340)에서 전송된 판단신호에 따라서 제진기(100)가 가동되도록 그 제진기(100)의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가동부(3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R.G.B분석형 제진기.
  3. 제진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부(310)의 픽셀데이터(B)와 R.G.B설정데이터(C) 및 영역데이터(D)를 설정하는 제1단계(S10)와;
    수면 영상을 카메라(200)를 통해서 촬영하고, 그 영상을 제어부(300)로 전송하는 제2단계(S20)와;
    상기 카메라(200)를 통해 전송된 영상의 색상들을 픽셀별 R.G.B 값으로 분석 하여, 협잡물이 있을 경우에 제진기(100)의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3단계(S30)와;
    상기 제어부(300)에 따라서 제진기(100)의 구동모터가 제어되어 제진기(100)가 가동되는 제4단계(S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R.G.B분석형 제진기의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S30)는 카메라(200)를 통해서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300)의 R.G.B부(320)에 전송하는 영상획득단계(S31)와;
    R.G.B부(320)를 통해서 상기 획득된 영상을 픽셀데이터(B)를 기준으로 R.G.B 값으로 분석하여 R.G.B픽셀정보(A)를 형성하고, 그 R.G.B픽셀정보(A)를 협잡물판단부(330)에 전송하는 R.G.B분석단계(S32)와;
    상기 R.G.B분석단계(S32)를 통해서 전송된 R.G.B픽셀정보(A)가 협잡물판단부(330)에 의해서 R.G.B변동폭이 분석되어 폐수와 함께 이동되는 협잡물의 유·무를 판단하는 협잡물판단단계(S33)와;
    상기 협잡물판단단계(S33)를 통해서 전송된 R.G.B분석정보(A)가 위치판단부(340)에 의해서 R.G.B변동폭의 발생위치가 분석되어 협잡물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단계(S34)와;
    상기 위치판단단계(S34)를 통한 판단에 따라서 가동부(350)가 제진기(100)의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단계(S3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R.G.B분석형 제진기 의 제어방법.
KR1020080078543A 2008-08-11 2008-08-11 R.g.b 분석형 제진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67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543A KR100867280B1 (ko) 2008-08-11 2008-08-11 R.g.b 분석형 제진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543A KR100867280B1 (ko) 2008-08-11 2008-08-11 R.g.b 분석형 제진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635A KR20080079635A (ko) 2008-09-01
KR100867280B1 true KR100867280B1 (ko) 2008-11-06

Family

ID=4002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543A KR100867280B1 (ko) 2008-08-11 2008-08-11 R.g.b 분석형 제진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988B1 (ko) 2012-02-21 2014-01-10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보조 부유물 수거장치가 구비된 제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531B1 (ko) * 2019-07-26 2020-05-19 홍석범 머신비전을 이용한 제진기
KR102240794B1 (ko) * 2020-12-02 2021-04-15 홍석범 라이더 센서를 이용한 제진기
KR102657588B1 (ko) 2023-04-13 2024-04-15 성우산업 주식회사 수량변동에 따른 운전부하 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434A (ja) * 1995-03-09 1996-09-24 Takada Takaaki 取水口へのクラゲ来襲自動監視方法及び装置
JPH08304537A (ja) * 1995-04-28 1996-11-22 Shintaro Sakauchi 水中診断装置
JP2001207432A (ja) * 2000-01-25 2001-08-03 Toko Tekko Kk 水門の開閉制御方法および開閉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434A (ja) * 1995-03-09 1996-09-24 Takada Takaaki 取水口へのクラゲ来襲自動監視方法及び装置
JPH08304537A (ja) * 1995-04-28 1996-11-22 Shintaro Sakauchi 水中診断装置
JP2001207432A (ja) * 2000-01-25 2001-08-03 Toko Tekko Kk 水門の開閉制御方法および開閉制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988B1 (ko) 2012-02-21 2014-01-10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보조 부유물 수거장치가 구비된 제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635A (ko) 2008-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280B1 (ko) R.g.b 분석형 제진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51623B1 (ko) 제진기의 협잡물 감지장치
CN101520448B (zh) 水质污染预警方法
US7771589B2 (en) Screen blockage measurement and flow performance optimization system
KR101050707B1 (ko) 유압식 수문을 이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CN109120822B (zh) 基于物联网的自动清洁监控摄像头
JP2009074840A (ja) 水質監視装置
US202103248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pool systems
CN201421452Y (zh) 水质污染预警装置
KR102112531B1 (ko) 머신비전을 이용한 제진기
CN115417492A (zh) 基于水下视觉的高级氧化系统及控制方法
KR200310478Y1 (ko) 제진기의 진개물 유입량 감지장치
JP2007186958A (ja) 除塵機の運転制御方法
CN110565593B (zh) 一种生态净水坝
KR102132902B1 (ko) 프론트스크린의 승강구조를 가진 로터리 제진기
JP2001098531A (ja) 除塵機設備及び除塵機の運転方法
KR200191686Y1 (ko) 자동 제진기
US20110315638A1 (en) Screen blockage measurement and flow performance optimization system
CN101571768A (zh) 防止屏幕光标异常运动的方法
CN101519886B (zh) 污水回收装置
KR200371586Y1 (ko) 제진기의 전위 스크린
CN109183925A (zh) 一种便器冲水方法、装置及系统
KR200271608Y1 (ko) 제진기의 자동운전 장치
CN220854857U (zh) 一种用于工厂污水检测的装置
JPH0884902A (ja) 沈澱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