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076B1 - 풀 분사노즐 및 풀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풀 분사노즐 및 풀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076B1
KR100867076B1 KR1020030005459A KR20030005459A KR100867076B1 KR 100867076 B1 KR100867076 B1 KR 100867076B1 KR 1020030005459 A KR1020030005459 A KR 1020030005459A KR 20030005459 A KR20030005459 A KR 20030005459A KR 100867076 B1 KR100867076 B1 KR 100867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air
passage
injection por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5364A (ko
Inventor
이사카시게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쿄 지도 키카이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쿄 지도 키카이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쿄 지도 키카이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65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 B05B7/06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with only one liquid outlet and at least one gas outlet
    • B05B7/06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t least one outlet orifice surrounding another approximately in the same plane with only one liquid outlet and at least one gas outlet with an inner liquid outlet surrounded by at least one annular gas out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5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9O-rings or sleeves as connection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7/125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means being fluid actuated
    • B05B7/1263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means being fluid actuated pneumatically actuated

Abstract

안개형상으로 풀을 분무하여 적은 풀의 도포량으로 고품질의 접착상태를 실현한다.
앞 끝단면에 풀을 유출시키는 노즐구멍(13)이 형성된 노즐본체(10)와, 이 노즐본체(10)의 바깥둘레에 장착된 캡부재(20)와, 노즐본체(10)와 캡부재(20) 사이에 형성된 단면고리형상의 에어통로(30)와, 에어통로(30)에 공급된 에어를 노즐구멍 (13)의 주위에서 그 전방을 향하여 일정한 수속각(收束角)으로 분사시키는 에어분사구(32)를 구비한다. 그리고, 에어분사구(32)로부터 분사한 에어에 의해 노즐구멍(13)의 주위가 부압으로 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풀 분사노즐 및 풀 도포장치{GLUE INJECTION NOZZLE AND DEVICE FOR APPLYING GLU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풀 분사노즐의 단면도.
도 2는 노즐본체의 단면도.
도 3은 캡부재의 단면도.
도 4는 에어통로에서 노즐본체에 이르기까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풀 도포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풀 도포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겉포장 포장장치에 의한 포장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낸 포장공정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풀분사노즐 10 : 노즐본체
11 : 풀공급로 12 : 앞 끝단면
13 : 노즐구멍 14 : 앞 끝단부 바깥둘레면
15 : 플랜지부 16, 17 : 숫나사부
18 : 오목홈 20 : 캡부재
20a : 끝단면 21 : 안둘레면
22 : 개구 23 : 암나사부
30 : 에어통로 31 : 에어공급로
32 : 에어분사구 40 : 접착대상
50 : 장치본체 51 : 풀 유통로
52 : 니들 53 : 구동기구
54 : 접속밸브 60 : 노즐막힘방지유닛
61 : 액체충전실 62 : 케이싱
63 : 액체통로 64 : 피스톤삽입구멍
65 : 피스톤부재 66 : 개구
70, 71 : 덮개체 100 : 포장지
101 : 스토커 102 : 종이공급위치
103 : 풀 도포장치 104 : 상품
105 : 상품공급위치 106 : 풀 도포장치
107 : 톱가이드 108 : 풀
109, 112 : 접어넣음 가이드 110 : 아래접음 타카
111 : 풋셔
본 발명은 상품의 포장공정에서 포장지의 풀붙임에 사용되는 풀 도포장치와 같은 장치에 바람직한 풀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상품의 포장에 사용되는 겉포장 포장장치에는, 포장지를 풀로 붙이기 위해서 풀 도포장치가 조립되어 있다.
도 7은 겉포장 포장장치에 의한 포장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포장지(100)는,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커(101)로부터 종이공급위치(102)를 향하여 꺼내어진다. 이 때, 이동하는 포장지(100)의 일끝단부 이면을 향하여 풀 도포장치(103)로부터 풀이 분사된다. 상품(104)은, 화살표(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공급위치(102)의 아래쪽에 설치된 상품공급위치(105)로 반송된 후, 화살표(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으로 들어올려진다. 이 위쪽으로의 이동 도중 종이공급위치(102)에 배치된 포장지(100)가 상품(104)의 표면 및 양측면에 덮여진다. 이어서, 포장지(100)와 동시에 상품(104)을 수평이동시키고[화살표 (D)], 그 과정에서 포장지(100)를 상품(104)의 하면측으로 접어 넣는다. 그 후, 상품(104)의 양 끝단부에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포장지(100)의 귀부(100a)를 일정한 형태로 접어 넣음과 동시에, 그 일부(100b)에 풀 도포장치(106)로부터 풀을 분사하여, 귀부(100a)의 겹친부분이 접착되도록 하여, 포장공정이 종료된다.
도 8은 상술한 화살표(C)에서 화살표(D)에 이르기까지의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을 참조하여 화살표(C)에서 화살표(D)에 이르기까지의 공정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종이공급위치(102)에서는, 톱가이드(107)라 칭하는 톱니형상을 한 복수라인의 가이드바에 의해서 포장지(100)는 하면을 지탱하고 있고, 그 일끝단부 이면에 풀(108)이 도포되어 있다. 상품(104)이 화살표(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으로 들어 올려질 때, 포장지(100)도 상품(104)에 눌러져서 위쪽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도중에 설치된 접어넣음 가이드(109)에 의해서 포장지(100)의 양변이 상품(104)의 양 측면쪽으로 접어 넣어진다.
이어서, 판형상의 아래접음 타카(110)를 장착하는 풋셔(111)가 화살표(D)방향으로 이동하고, 상품(104) 및 포장지(100)를 화살표(D)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킴과 동시에, 아래접음 타카(110)가 포장지(100)의 한 변(100b)을 상품(104)의 하면측으로 접어 넣는다. 이어서, 그 이동경로상에 설치된 접어넣음 가이드(112)에 의해, 포장지(100)의 다른쪽의 변(100c)을 상품(104)의 하면측에 접어 넣는다. 여기서 접어 넣어지는 포장지(100)의 변(100c)에는, 그 끝단부 근방에 풀(108)이 도포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풀 도포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63-125162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의 것이 알려지고 있다. 동 공보에 개시된 풀 도포장치(풀붙임 총)는, 총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유통로를 통해 노즐구멍으로부터 풀을 높은 압력으로 토출해내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상기 종래의 풀 도포장치에서는, 풀을 높은 압력으로 노즐구멍으로부터 토출해내는 구성이므로 풀의 토출량이 대부분 경제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풀 이 포장지(100)에 쌓아 올려진 상태로 도포되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ㄱ)도 8에 나타내는 종이공급위치(102)에서 톱가이드(107)로 지탱되고 있는 포장지(100)가 들어 올려질 때, 그 양변의 접어 넣음 동작에 따라 포장지(100)의 일끝단부 이면에 도포된 풀(108)이 톱가이드(107)에 전사(轉寫)된다. 톱가이드 (107)는, 풀의 전사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서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포장지(100)로의 풀의 도포량이 많으면, 필연적으로 톱가이드(107)로의 풀의 전사량도 많아져 버린다. 이와 같이 하여 톱가이드(107)로 다량의 풀이 전사된 경우, 다음에 공급되어 오는 포장지(100)가 톱가이드(107)에 부착하여, 반송불량을 야기하는 우려가 있었다.
(ㄴ)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어넣음 가이드(112)에 의해서 포장지 (100)의 다른쪽의 변(100c)을 상품(104)의 하면측에 접어 넣을 때, 동 변(100c)은 채찍질하듯이 선회한다. 이 때, 동 변(100c)의 끝단부 근방에 도포된 풀(108)의 양이 많으면, 동 변(100c)의 선회에 따라 풀(108)이 주위로 비산하고, 아래접음 타카(110) 등의 주변부품이나 상품(104), 포장지(100) 등을 오염 손상하여 버린다. 그 결과, 동작불량이나 포장품질의 저하를 야기하는 우려가 있었다.
(ㄷ)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포장지에 있어서는, 풀의 도포량이 많으면 포장지의 끝단부로부터 풀이 밀려나와, 포장품질의 저하를 야기하는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종래는 풀칠부분을 넓게 잡을 필요가 있고, 그 만큼 포장지의 치수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ㄹ)다량의 풀이 포장지에 도포된 경우, 풀에 포함되는 많은 수분이 포장지 에 흡수된다. 이와 같이 다량의 수분을 흡수한 포장지가 건조되었을 때, 쭈그러짐이나 주름이 생겨, 포장품질이 저하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안개형상으로 풀을 분무하여 적은 풀의 도포량으로 고품질의 접착상태를 실현함과 동시에, 상품의 포장공정에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각종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풀 분사노즐과 풀 도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풀 분사노즐에 관한 청구항 1의 발명은, 앞 끝단면에 풀을 유출시키는 노즐구멍이 형성된 노즐본체와, 이 노즐본체의 바깥둘레에 장착된 캡부재와, 노즐본체와 캡부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구멍에서 보아 단면이 고리형상인 에어통로와, 에어통로에 공급된 에어를 노즐구멍의 주위에서 그 전방을 향하여 일정한 수속각(收束角)으로 분사시키는 에어분사구를 구비하고, 또한, 에어분사구로부터 분사한 에어에 의해 노즐구멍의 주위가 부압(負壓)으로 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노즐구멍으로부터 유출한 풀을, 부압의 형성에 의해서 에어분사구로부터 분사하는 에어를 효율적으로 빨아들이고, 안개형상으로 확산하여 접착대상으로 도포할 수가 있다. 안개형상으로 확산하는 풀은, 소량이더라도 균일하게 접착대상으로 도포하는 것이 가능해져, 고품질의 접착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부압으로 형성된 노즐구멍의 주위에는 풀이 잔존하기 어렵고, 따라서 풀의 건조에 따른 노즐구멍의 막힘을 억제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풀분사노즐은, 노즐본체의 바깥둘레면을 에어분사구보다도 외부로 연장시킴과 동시에, 이 연장한 바깥둘레면을 따라 에어가 분사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청구항 2). 이와 같이 구성하면, 노즐구멍으로부터 유출한 풀의 에어분사구로의 돌아들어감에 의한 막힘이나 에어분사방향의 흐트러짐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에어통로를 형성하는 노즐본체의 바깥둘레면 및 캡부재의 안둘레면을, 적어도 에어분사구에서 일정영역에 걸쳐 발수(撥水)가공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청구항 3). 이에 따라, 노즐구멍의 막힘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 노즐구멍부분을 물에 침지해 두는 경우에 있어서도, 표면장력에 의해서 에어분사구에서 에어통로내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에어통로를 형성하는 노즐본체의 바깥둘레면을 앞 끝단을 향해서 지름이 줄어드는 테이퍼면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에어통로를 형성하는 캡부재의 안둘레면도 앞끝단을 향해서 지름이 줄어드는 테이퍼면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들 노즐본체의 바깥둘레면과 캡부재의 안둘레면 사이에, 에어분사구를 향해서 단면적을 작게 하는 에어통로를 형성하고, 또한 노즐본체의 바깥둘레면에서의 에어분사구의 후방근방위치에 둘레방향의 홈을 형성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노즐구멍부분을 물에 침지한 경우에, 모세관현상에 의한 에어분사구에서 에어통로내로의 물의 침입을 홈에 의해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풀 도포장치에 관한 청구항 5의 발명은, 상술한 구성의 풀 분사노즐과, 노즐구멍을 향해서 액상의 풀을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에어통로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상술한 풀 분 사노즐의 발명과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풀 도포장치는, 풀 분사노즐의 주위에 설치되어 이 풀 분사노즐과의 사이에 액체충전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노즐구멍과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를 가지는 케이싱과, 액체충전실에 연이어 통하는 액체통로와, 이 통로에 개구하는 피스톤삽입구멍과, 상기 피스톤삽입구멍을 통해 액체통로내의 액체를 누름 또는 흡인하는 피스톤부재와, 이 피스톤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노즐막힘방지유닛을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청구항6).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피스톤부재의 구동에 의해 액체충전실내에 충전한 액체의 수위를 변화시켜, 노즐구멍을 액체 안에 침지하거나, 액체로부터 노즐구멍을 노출시키거나 할 수가 있다. 즉, 풀을 분사할 때는 노즐구멍을 액면으로부터 노출시키고, 풀을 분사하지 않을 때에는 노즐구멍을 액체 안에 침지시킴으로써, 노즐구멍부분에 풀이 잔류하고 있는 경우라도, 풀의 건조에 의한 노즐구멍의 막힘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노즐막힘방지유닛은, 액체통로를 적절하게 연장함으로써, 액체의 충전량을 늘릴 수 있다. 액체의 충전량이 적으면, 액체 안에 녹은 풀의 농도가 단시간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액체교환작업을 빈번히 실시할 필요가 생기지만, 상기와 같이 액체의 충전량을 늘림으로써, 같은 작업의 실시사이클을 길게 하여 가동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풀 도포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개구를 밀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청구항 7). 이에 따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에 있어서의 액체충전실내에 충전한 액체의 증발을 억제하여, 노즐구멍의 액체로부터의 노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관한 풀 분사노즐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풀 분사노즐(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본체(10)와, 이 노즐본체(10)의 바깥둘레에 장착된 캡부재(2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노즐본체(10)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캡부재(20)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본체(10)는 그 내부에 풀 공급로(11)가 형성되어 있고, 앞 끝단면(12)에는 풀 공급로(11)와 연이어 통하는 노즐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본체(10)의 앞 끝단부 바깥둘레면(14)은, 앞 끝단을 향해서 지름이 줄어드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본체(10)의 바깥둘레면 중간부에는, 플랜지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16은 캡부재(20)를 나사맞춤하는 숫나사부이고, 부호 17은 후술하는 풀 도포장치에 풀 분사노즐(1)을 넣기 위한 숫나사부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부재(20)는 원추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로부터 앞 끝단에 이르기까지의 안둘레면(21)이, 앞 끝단을 향해서 지름이 줄어드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캡부재(20)의 앞 끝단에는 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로부터 기초끝단부에 이르기까지의 안둘레면에 암 나사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암나사부(23)를 노즐본체(10)의 숫나사부(16)에 나사맞춤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풀 분사노즐(1)이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본체(10)의 앞 끝단부 바깥둘레면(14)과 캡부재(20)의 안둘레면(21) 사이에는, 상기 노즐구멍에서 보아 단면이 고리형상인 에어통로(30)가 형성되고, 이 에어통로(30)는 캡부재(20) 및 노즐본체(10)의 플랜지부(15)에 형성된 에어공급로 (31)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에어통로(30)의 앞 끝단은, 캡부재(20)의 개구(22)에 의해서 에어분사구(32)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에어통로에서 노즐본체(10)에 이르기까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어분사구(32)를 작은 틈새의 고리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 틈새의 치수 a는, 예를 들면, 0.05mm 정도로 조정되어 있다. 이 틈새는, 노즐본체(10)의 플랜지부(15)와 캡부재(20)의 단면(20a)과의 사이에, 얇은 판(심)을 삽입함으로써 고정밀도로 조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에어분사구(32)를 작은 틈새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노즐막힘방지유닛에 의해 액체(물) 속으로 침지된 경우에 있어서도, 에어통로(30)내로의 액체의 유입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 캡부재(20)의 전체 또는 적어도 앞 끝단부 부근을 탄성재료로 구성하여, 에어분사구(32)를 항상 밀폐함과 동시에, 에어압력에 의해서 해당 에어분사구(32)를 여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여기서, 노즐본체(10)의 앞 끝단부 바깥둘레면(14)은 앞 끝단이 에어분사구 (32)보다도 외부로 연장시켜 두고, 이 연장한 바깥둘레면을 따라 에어가 분사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연장길이 b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0.5m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노즐구멍(13)으로부터 유출한 풀의 에어분사구(32)로의 돌아들어감에 의한 막힘이나 에어분사방향의 흐트러짐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노즐본체(10)의 앞 끝단부 바깥둘레면(14) 및 캡부재(20)의 안둘레면 (21)은, 테프론(상표명) 등에 의해 발수(撥水)가공함으로써, 액체의 표면장력을 크게 하여 에어분사구(32)에서 에어통로(30)내로 물이 침입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노즐본체(10)의 앞 끝단부 바깥둘레면(14)은, 에어분사구(32)의 후방근방위치에 둘레방향의 오목홈(18)이 형성되어 있고, 모세관현상에 의한 에어분사구(32)에서 에어통로(30)내로의 액체의 침입을 이 오목홈(18)에 의해서 방지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의 풀 분사노즐(1)은, 에어통로(30)에 공급된 에어를 에어분사구 (32)로부터 분사함과 동시에, 노즐구멍(13)으로부터는 액상의 풀을 저압력으로 유출시킨다. 에어분사구(32)로부터 분사한 에어는, 노즐구멍(13)의 주위에서 그 전방을 향해서 일정한 수속각(α)으로 분사한다. 이와 같이 분사된 에어에 의해, 노즐구멍(13)의 주위는 부압의 상태가 형성된다. 따라서, 노즐구멍(13)으로부터 유출한 풀은, 에어분사구(32)로부터 분사한 에어에 의해 효율적으로 빨아 들여지고, 안개형상으로 확산하여 접착대상(40)에 도포된다.
이와 같이 안개형상으로 확산하는 풀은, 소량이더라도 균일하게 접착대상 (40)에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고품질의 접착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부압으로 형성된 노즐구멍(13)의 주위에는 풀이 잔존하기 어렵고, 따라서 풀의 건 조에 따른 노즐구멍(13)의 막힘도 억제된다.
에어분사구(32)로부터 분사하는 에어의 수속각(α)은, 노즐본체(10)에 있어서의 앞 끝단부 바깥둘레면(14)의 테이퍼각에 거의 대응하고 있으며, 이 테이퍼각을 조정함으로써 임의의 수속각(α)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수속각(α)을 좁히면, 접착대상(40)에 도포되는 풀의 폭이 줄어듦과 동시에, 도포되는 풀도 두꺼워 진다. 반대로, 수속각(α)을 확대하면, 접착대상(40)에 도포되는 풀의 폭이 넓어짐과 동시에, 도포되는 풀도 두께가 얇아진다. 그래서, 노즐본체(10)에 있어서의 앞 끝단부 바깥둘레면(14)의 테이퍼각이 다른 복수종류의 풀 분사노즐(1)을 미리 준비해 두고 접착대상(40)에 따라서 교환하면, 원하는 폭이나 두께로 풀을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풀 도포장치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5 및 도 6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풀 도포장치는, 장치본체(50)에 상술한 구성의 풀 분사노즐(1)을 장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장치본체의 내부에는, 풀 유통로(51)가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풀의 공급원에서 약한 압력으로 이 풀 유통로(51)내에 액상의 풀이 공급된다. 이 풀 유통로(51)는 풀 분사노즐(1)의 풀 공급로(11)와 연이어 통하고 있다.
장치본체(50)의 기초끝단부에는, 니들(52)의 구동기구(53)가 설치되어 있다. 막대형상의 니들(52)은, 풀 유통로(51)를 통해 풀 분사노즐(1)의 풀 공급로(11)까지 연장되어 있고, 구동기구(53)에 의해 축방향으로 구동되며, 노즐구멍(13)을 내부측으로부터 개폐한다. 이 니들(52)에 의해 노즐구멍(13)의 안쪽이 개방되었을 때, 풀 공급로(11)내의 풀이 노즐구멍(13)으로부터 외부로 유출한다. 즉, 풀 유통로(51), 니들(52), 그 구동기구(53) 및 도시하지 않은 풀의 공급원이, 노즐구멍 (13)을 향하여 액상의 풀을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장치본체(50)에는, 도시하지 않은 에어공급원(에어공급수단)과 에어공급로(31)를 연이어 통하는 접속밸브(5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접속 밸브(54)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에어공급원에서 에어공급로(31)로 압축에어가 공급된다.
또한, 풀 도포장치는, 노즐막힘방지유닛(60)을 구비하고 있다. 노즐막힘방지유닛(60)은, 풀 분사노즐(1)의 주위에 설치되고 풀 분사노즐(1)과의 사이에 액체충전실(61)을 형성하는 케이싱(62)과, 액체충전실(61)에 연이어 통하는 액체통로 (63)와, 이 통로(63)에 개구하는 피스톤삽입구멍(64)과, 피스톤삽입구멍(64)을 통해 액체통로(63)내의 액체(물)를 누름 또는 흡인하는 피스톤부재(65)를 포함하고 있다. 케이싱(62)에는 노즐구멍(13)과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부재(65)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실린더(구동수단)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구동된다.
상기 구성의 노즐막힘방지유닛(60)은, 피스톤부재(65)의 구동에 의해, 액체충전실(61)내에 충전한 액체의 수위를 변화시켜서, 노즐구멍(13)을 액체 안에 침지하거나, 액체로부터 노즐구멍(13)을 노출시키거나 할 수가 있다. 즉, 풀을 분사할 때는 노즐구멍(13)을 액면에서 노출시키고, 풀을 분사하지 않을 때에는 노즐구멍 (13)을 액체 안에 침지시킴으로써, 노즐구멍(13)의 주위를 액체에 의해 세정하여, 풀의 건조에 기인하는 노즐구멍(13)의 막힘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액체통로(63)는 길게 형성하여 액체의 충전량을 늘리고 있다. 기술한 바와 같이, 액체의 충전량이 적으면 액체 안에 녹은 풀의 농도가 단시간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액체교환작업을 빈번하게 실시할 필요가 생기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액체의 충전량을 늘림으로써, 같은 작업의 실시사이클을 길게 하여 가동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62)의 개구(66) 및 피스톤삽입구멍(64)에는, 덮개체(70,71)가 착탈 자유롭게 되어 있다. 풀 도포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케이싱(62)의 액체충전실(61)내에 노즐구멍(13)이 침수하는 정도로 액체를 충전한 후, 이들 덮개체(70,71)에 의해서 개구(66) 및 피스톤삽입구멍(64)을 밀폐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에 있어서의 액체의 증발을 억제하여, 노즐구멍(13)의 액체로부터의 노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피스톤삽입구멍(64)에 덮개체(71)를 장착할 때는, 피스톤부재(65)를 피스톤삽입구멍(64)으로부터 빼내어 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개형상으로 풀을 분무하여 적은 풀의 도포량으로 고품질의 접착상태를 실현할 수가 있다.



Claims (7)

  1. 앞 끝단면에 풀을 유출시키는 노즐구멍이 형성된 노즐본체와, 이 노즐본체의 바깥둘레에 장착된 캡부재와, 상기 노즐본체와 캡부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구멍에서 보아 단면이 고리형상인 에어통로와, 상기 에어통로에 공급된 에어를 상기 노즐구멍의 주위에서 그 전방을 향하여 일정한 수속각(收束角)으로 분사시키는 에어분사구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분사구로부터 분사한 에어에 의해 상기 노즐구멍의 주위가 부압(負壓)이 되며,
    상기 에어통로를 형성하는 노즐본체의 바깥둘레면을 앞 끝단을 향해서 지름이 줄어드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에어통로를 형성하는 캡부재의 안둘레면도 앞 끝단을 향해서 지름이 줄어드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들 노즐본체의 바깥둘레면과 캡부재의 안둘레면 사이에, 상기 에어분사구를 향해서 단면적을 작게 하는 에어통로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노즐본체의 바깥둘레면에서의 상기 에어분사구의 후방 근방위치에 둘레방향의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분사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의 바깥둘레면을 상기 에어분사구보다도 외부로 연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연장한 바깥둘레면을 따라 에어가 분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분사노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통로를 형성하는 노즐본체의 바깥둘레면 및 캡부재의 안둘레면을, 적어도 상기 에어분사구에서 일정영역에 걸쳐 발수(撥水)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분사노즐.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풀 분사노즐과,
    상기 노즐구멍을 향해서 액상의 풀을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에어통로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도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풀 분사노즐의 주위에 설치되고 이 풀 분사노즐과의 사이에 액체충전실내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노즐구멍과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를 가지는 케이싱과, 상기 액체충전실내에 연이어 통하는 액체통로와, 이 통로에 개구하는 피스톤삽입구멍과, 상기 피스톤삽입구멍을 통해 상기 액체통로내의 액체를 누름 또는 흡인하는 피스톤부재와, 이 피스톤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노즐막힘방지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도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개구를 밀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도포장치.
KR1020030005459A 2002-01-29 2003-01-28 풀 분사노즐 및 풀 도포장치 KR100867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20561A JP3960519B2 (ja) 2002-01-29 2002-01-29 糊噴射ノズル及び糊塗布装置
JPJP-P-2002-00020561 2002-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364A KR20030065364A (ko) 2003-08-06
KR100867076B1 true KR100867076B1 (ko) 2008-11-04

Family

ID=2774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459A KR100867076B1 (ko) 2002-01-29 2003-01-28 풀 분사노즐 및 풀 도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60519B2 (ko)
KR (1) KR100867076B1 (ko)
TW (1) TWI2344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6874A (ja) * 2004-04-14 2005-10-27 Ikeuchi:Kk 超微霧噴射ノズル
JP2005313049A (ja) * 2004-04-28 2005-11-10 Atomakkusu:Kk 微粒子噴射装置
JP2007307479A (ja) * 2006-05-18 2007-11-29 Tokyo Autom Mach Works Ltd 糊塗布装置
JP4971708B2 (ja) * 2006-07-14 2012-07-11 株式会社いけうち 二流体ノズル
JP5114037B2 (ja) * 2006-09-26 2013-01-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WO2011049081A1 (ja) 2009-10-20 2011-04-28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スプレーガン
JP5662706B2 (ja) * 2010-06-08 2015-02-04 株式会社ディスコ 液状樹脂の塗布装置
JPWO2012127647A1 (ja) * 2011-03-23 2014-07-24 平田機工株式会社 ノズルの先端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ノズル
JP6743280B2 (ja) * 2016-04-15 2020-08-19 ケーエーイーアール バイオセラピューティ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エアロゾル化ノズル及びエアロゾル化ノズルの操作方法
CN105870396B (zh) * 2016-04-26 2018-05-08 浙江昀邦电池有限公司 一种防滴漏电池注胶设备
CN105789650B (zh) * 2016-04-26 2017-12-12 浙江昀邦电池有限公司 一种便捷维护的电池注胶设备
CN105789649B (zh) * 2016-04-26 2017-12-22 浙江昀邦电池有限公司 一种电池均匀注胶设备
FR3109104B1 (fr) * 2020-04-14 2022-10-14 Psa Automobiles Sa Buse de pulvérisation de colle structurale recouverte par une couche de protection contre l’accumulation de résidus de colle structurale
DE102021128338A1 (de) * 2021-10-29 2023-05-04 Romaco Innojet Gmbh Zerstäubungsdüse
WO2024065201A1 (zh) * 2022-09-27 2024-04-04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喷嘴及电子雾化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749A (ja) * 1998-04-13 1999-10-26 Nordson Kk 改良されたスロットスプレーガン装置
JP2001070836A (ja) * 1999-09-06 2001-03-21 Tokyo Autom Mach Works Ltd ノズル詰まり防止装置および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749A (ja) * 1998-04-13 1999-10-26 Nordson Kk 改良されたスロットスプレーガン装置
JP2001070836A (ja) * 1999-09-06 2001-03-21 Tokyo Autom Mach Works Ltd ノズル詰まり防止装置およ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60519B2 (ja) 2007-08-15
TW200305530A (en) 2003-11-01
JP2003220353A (ja) 2003-08-05
TWI234488B (en) 2005-06-21
KR20030065364A (ko) 200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076B1 (ko) 풀 분사노즐 및 풀 도포장치
US7510102B2 (en) Clog resistant actuator and overcap
EP1541242B1 (en) Liquid spray unit of a paper making machine and method for spraying liquid using it
US4899516A (en) Sealing device for two-piece capsules
JP2008529790A (ja) 粘性材料を噴射するシステム、弁、及び方法
EP3398776A1 (en) Biological printer nozzle component and biological printer
KR850700015A (ko) 도포(途布)방법 및 그 장치
US4869201A (en) Apparatus for coating can barrels
CN100377792C (zh) 涂布装置
WO2015015837A1 (ja) ノズル装置
JP7155965B2 (ja) 粘着剤供給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装置
JPH10314640A (ja) 接着剤の塗布方法および装置
KR20040062568A (ko) 액재의 토출방법 및 그 장치
JP2007307479A (ja) 糊塗布装置
JP3255071B2 (ja) 導電性ボールの半田付け用フラックスの塗布装置
JP3059266B2 (ja) 糊塗布装置
US45129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solvent to tubing, other cylindrical objects or other flexible material
JPH11128802A (ja) 材料ウエブ、帯封ラベル等に接着剤を付与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14502288B (zh) 涂敷装置以及涂敷方法
JP2523955B2 (ja) ワックス塗布装置
JP2001070836A (ja) ノズル詰まり防止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6613149B1 (en) Banderole gluing apparatus and method
JPH11300240A (ja) 塗料垂れ防止機構付き塗装用ノズル
JPH049003Y2 (ko)
JP3151740B2 (ja) スプレー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