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616B1 -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 - Google Patents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616B1
KR100866616B1 KR1020047000803A KR20047000803A KR100866616B1 KR 100866616 B1 KR100866616 B1 KR 100866616B1 KR 1020047000803 A KR1020047000803 A KR 1020047000803A KR 20047000803 A KR20047000803 A KR 20047000803A KR 100866616 B1 KR100866616 B1 KR 100866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trip
retainer
nozzl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776A (ko
Inventor
매티아스클라인한스
스테판기에르케
콘라드쉐르무츠키
Original Assignee
산트레이드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트레이드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산트레이드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47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05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21Weighing, portion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36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23G3/0252Apparatu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r by a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 on a surface, e.g. injection moulding, transfer moulding
    • A23G3/0257Apparatus for laying down material in moulds or drop-by-drop on a surface, optionally with the associated heating, cooling, portioning, cutting cast-tail, anti-drip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2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expressing the material, e.g. through sieves and fragmenting the extruded leng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Confectionery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성 물질을 방울 형태로 방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천공된 회전 드럼(perforated rotating drum)(60)을 구비한다. 상기 드럼 아래쪽으로 유도되는 벨트(betl)(7)에 배치되는 하부 영역에서 드럼의 내부 원주를 향한 면에, 내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질을 위한 그루브형 리세스(groove-shaped recess)(12)를 갖는 노즐 스트립(nozzle strip)(50)이 배치된다. 적어도 노즐 스트립(50, 50a)의 그루브형 리세스 영역(12)에, 흐름 방향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리테이너 스트립(retainer strip)(13)이 제공된다. 리테이너 스트립은 리세스(12)의 벽(wall)(12a)과 함께 관류 슬롯(through-flow slot)(15)을 형성하고, 관류 슬롯은 방울 형태로 방출될 물질의 양을 정하고 출구 영역 앞에서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만들어준다.
회전드럼, 그루브, 리세스, 노즐스트립, 공급관

Description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DEVICE FOR PRESSING OUT FLOWABLE SUBSTANCES}
본 발명은 투과 구멍(penetrating opening)이 원주 전체에 걸쳐 있는 원통형 회전 드럼(rotating cylindrical drum)을 갖는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드럼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유동성 물질용 공급 장치(supply device) 및 드럼 내부 원주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흐름 채널(flow channel)을 갖는 노즐 스트립(nozzle strip)을 구비한다. 상기 흐름 채널은 공급 장치와 연결되고, 드럼의 축 방향 길이에 걸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유동성 물질은 흐름 채널을 통해 투과 구멍에 공급되고 투과 구멍을 지나 방울 형태(drop form)로 밖으로 내보내진 후 드럼 아래쪽으로 유도되는 이송 또는 냉각 벨트(transporting or cooling belt) 위로 떨어져 그곳에서 굳어진다.
동종의 장치는 EP 0 145 839 A2에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천공된 드럼이 내부 실린더의 원주에 유도되고, 실린더는 전면에서 볼 때 축 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급 채널, 공급 채널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섹션널 헤더(sectional header) 및 실린더 외부 원주에 있는 그루브(groove) 내로 삽입되는 노즐 스트립을 구비한다. 노즐 스트립은 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다수의 보어(bore)를 구비하고, 보어는 노즐 스트립에 있으면서 계속해서 출구 채널(exit channel)을 형성하는 그루브와 연결된다. 이때 그루브는 천공된 회전 드럼의 내부 원주에 맞닿는다.
동종의 장치는 특정한 물질을 입자(grain)로 만들 때 특히 유리하다고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의 생산 실적은 제한적인데, 대체로 직경의 크기가 80㎜인 회전 드럼의 속도가 원심력의 발생 때문에 임의대로 높아질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예컨대 서스펜션(suspension)처럼 특히 침전물(sediment)을 입자로 만들 때 내부 공간이 특히 노즐 스트립의 영역, 투과 구멍 영역에서 막히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찌꺼기가 형성되어 생산 과정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찌꺼기를 제거해야 한다. 투과 구멍을 임의적으로 크게 하면 다시 유동성 물질의 압착을 제어할 수 없게 되므로, 냉각 벨트 위에 있는 출구 부위에서 방울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착될 물질의 용량을 원하는 대로 맞게 조절하면서도 노즐 스트립에 있는 투과 구멍들의 직경이 서로 다를 필요가 없고, 또 노즐 스트립의 세척에 관한 한 별다른 큰 문제가 예상되지 않는 해결 방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 언급한 형태의 장치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노즐 스트립의 흐름 채널에 한쪽만 고정되고 또 한쪽으로 돌출하는 리테이너 스트립(retainer strip)이 적어도 하나 배치되고, 리테이너 스트립의 자유 에지(free edge)가 흐름 채널의 벽(wall)과 함께 관류 슬롯(through-flow slot)을 형성한다. 이러한 형태를 띠면, 관류 슬롯의 폭이 다소 넓게 유지됨으로써 노즐 스트립의 출구 영역으로 관류하는 물질의 양이 간단하게 조절된다. 이것은 리테이너 스트립을 간단히 교체함으로써 가능하다. 한쪽 면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리테이너 스트립을 이처럼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고, 또 세척도 비교적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노즐 스트립에 있는 투과 구멍들의 직경이 압착 물질의 양에 맞추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노즐 스트립에 있는 흐름 채널은 커다란 횡단면을 가질 수 있고, 투과량을 결정하는 관류 슬롯이 흐름 채널들 뒤에 있기 때문에 압착될 양의 공급을 위해 안정시키는 구간의 기능을 한다. 또한 이러한 흐름 채널들은 횡단면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막히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관류 슬롯이 드럼의 회전 방향에서 볼 때 노즐 스트립의 전면 에지를 형성하는 노즐 스트립의 측면(side)에 위치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입증되었다. 이런 형태가 되면 회전 가능한 내부 원주 맞은편에 위치하는 노즐 스트립의 출구 그루브(outlet groove)가 압착될 물질로 비교적 간단하게 꽉 채워지므로, 출구 그루브의 폭에 따라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서 압착될 물질이 회전 가능한 드럼의 투과 구멍에 스며들고 방울 형태로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개선 형태에 따르면 리테이너 스트립은 나사(screw)들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고, 나사들은 출구 그루브의 열린 면으로부터 리테이너 스트립의 에지 영역에 있는 구멍을 통해 관통 유도된다. 이런 식으로 고정시키는 것은 간단하며, 또 신속한 교체도 가능하다. 또한 두 개의 리테이너 스트립을 차례대로 각각 관류 슬롯이 반대쪽에 있도록 배열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런 방법을 통해, 압착될 덩어리가 회전 가능한 드럼의 투과 구멍에 도달하기 전에 통과하고 흘러가 야 하는 일종의 미로가 생겨난다. 그 결과, 특히 용량이 많이 요구될 때 방울을 확실하게 형성하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흐름이 안정적으로 된다.
본 발명의 개선 형태에서는 리테이너 스트립이 또한 물질의 유입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어서 자유 스트립 에지는 고정된 에지로부터 아래쪽에 위치한다. 그렇게 되면 리테이너 스트립은 유출되는 물질의 흐름을 마찬가지로 안정시킬 수 있는 흐름 유도 수단의 기능도 한다. 특히 이런 형태가 되면 본 발명의 개선 형태에서도 노즐 스트립의 출구 그루브로부터 벗어난 리테이너 스트립의 측면이 그루브 바닥에 있는 돌기부(projection part) 맞은 편에 위치한다. 돌기부는 적어도 하나이지만 주로 흐름 방향으로 잇달아 위치하는 다수의 리테이너 슬롯(retainer slot)을 형성하고, 리테이너 슬롯은 리테이너 스트립을 구비한다. 흐름 방향으로 잇달아 위치하는 스로틀 부위(throttle part)는 또한 물질의 점성(viscosity) 및 성질에 따라 흐름을 안정시키는 수단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흐름의 상태를 가령 레이놀즈 수(Reynolds number) 때문에 난류 영역(turbulent area)에 빠지게 하거나 확실한 방울 형성을 위태롭게 하지 않고서도 비교적 많은 양의 물질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 형태에서는 투과 구멍의 직경이 드럼 직경에 대해 갖는 비율이 1:150보다 크고, 노즐 스트립 및 드럼 내부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지만 드럼 내부 공간을 채우지는 못하는 공급관(supply pipe) 사이에 연결 채널(connecting channel)을 갖는 세퍼레이터(separator)가 제공된다. 연결 채널은 관류하는 물질의 추가적인 안정 및 축 방향의 길이에 걸친 분포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 구 간을 구비한다. 이러한 연결 채널은 본 발명의 개선 형태에 따르면 거의 드럼의 축 방향 길이 전체를 지나가고 흐름 방향에서 웨지형으로(wedge-shaped) 좁아지는 채널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구조에 비해 직경이 훨씬 큰 회전 가능한 드럼의 이러한 형태를 통해 또한 훨씬 많은 양의 물질이 확실히 방울로 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것은 얇은 층 영역(laminar area)에서 압착될 물질의 흐름 상황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서, 방울로 바뀌는 과정이 바람직하지 않게 이루어질 위험이 없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회전 드럼의 직경이 약 250㎜ 정도로 확실히 더 크기 때문에, 드럼의 재질 강도가 종래의 구조에 비해 현저히 높지 않다 하더라도 특히 더 안전하고 더 견고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생긴다. 견고성이 보다 좋아지면 축 방향의 길이가 더욱 길어지고 이와 함께 벨트의 폭도 더 넓어질 수 있으므로, 이런 방안을 통해서도 생산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회전 가능한 드럼의 직경이 보다 커지기 때문에, 드럼의 속도는 생산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또한 원심력을 다스릴 수 있는 정도로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새로운 장치는 또한 원주 속도가 보다 작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드럼 외부에 달라붙는 물질을 반경 방향으로 뿜어내지 않는다.
직경이 보다 큰 드럼을 사용하면, 또한 드럼 내부에 내장을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므로, 이러한 장치는 외부의 크기가 커질지라도 설치에 대단히 유리하다. 드럼 내부의 빈 공간(hollow space)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급관은 별도의 가열 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그런데도 드럼 내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노즐 스트립으로 유도되는 세퍼레이터 상에 연장될 수 있는 장치를 위한 공간이 충분 히 남는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거하여 도면에 도시되고 하기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소위 로토포머(rotoformer)로 지칭되는 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치에 사용된 노즐 스트립을 화살표 II의 방향으로 절단한 부분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절단선 III-III을 따라 노즐 스트립을 절단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1에 구비된 다른 부분들을 생략하고 화살표 IV 방향으로 노즐 스트립을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를 세로로 절단한 도면으로, 도 1과 비교할 때 회전 드럼의 직경이 훨씬 크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장치를 선 VI-VI 방향으로 절단한 횡단면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 형태에 구비되는 노즐 스트립을 화살표 IX 방향에서 본 부분도지만, 리테이너 스트립도 없고, 또 노즐 스트립을 수용하기 위해 쓰이는 세퍼레이트와 회전 드럼 역시 갖고 있지 않다.
도 8은 도 5의 실시형태를 절단선 XIII-XIII 방향으로 절단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노즐 스트립 및 세퍼레이트를 화살표 IX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여기에서는 회전 드럼이 생략되고 한 부분만 묘사되었다.
도 10은 도 6에 따른 장치의 세퍼레이트를 화살표 X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도면과 유사하지만 실시형태가 다른 노즐 스트립의 횡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12는 노즐 스트립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와 유사하지만 마찬가지로 노즐 스트립의 또 다른 실시형태이다.
도 1에서는 횡단면으로 도시된 로토포머가 원칙적으로는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볼 수 있다. 첫째는 고정되어 있는 원통형 내부 보디(cylindrical inner body)(1)로, 내부 보디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입자화될 물질용 공급 채널(2), 공급관(2)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벗어나는 흐름 채널(3) 및 흐름 채널과 경계를 이루는 리세스(4)를 구비하며, 리세스는 내부 보디(1)의 외부 원주까지 지나간다. 둘째는 리세스(4)에서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고정된 노즐 스트립(5)이고, 세 번째 부분은 원통형 내부 보디(1) 주위를 회전하는 드럼 및 드럼 아래쪽으로 유도되는 냉각 또는 이송 벨트(cooling- or transporting belt)(7)이다. 내부 보디(1)는 공급 채널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가열 채널(heating channel)(8)을 갖추고 있고, 노즐 스트립(5)은 리세스(4)에 있는 압력 스프링(pressure spring)(9)에 의해 반경 외부로 밀려나므로 회전 드럼(6)의 내부 원주에 닿는다.
노즐 스트립(5)은 도 2 내지 도 4에 다시 한 번 도시되는데, 여기에서는 연 결 보어(connecting bore)(10)를 구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연결 보어는 직경이 약간 작은 투과 구멍(11)으로 넘어간다. 이러한 투과 구멍(11)은 그루브 형태의 리세스(12)로 통하고, 그루브 형태의 리세스는 드럼의 회전하는 내부 원주 쪽으로 열려 있다. 이러한 리세스에 리테이너 스트립(13)이 나사들(14)에 의해 고정되고, 나사들은 측면 에지(side edge) 영역에서 리테이너 스트립(13)을 지나 유도되고 노즐 스트립(5)의 보디에서 나사로 조여진다. 나사들(14)은 리세스(12)의 열린 면에서부터 접근이 가능하다. 리테이너 스트립(13)의 고정되지 않은 자유 에지(13a)는 리세스(12)의 벽(12a)과 함께 폭(s)을 지닌 관류 슬롯(15)을 형성한다. 관류 슬롯(15)은 공급 채널(2)을 지나가고 방울로 바뀔 물질을 위한 스로틀 부위를 나타내고, 입자화될 물질의 온도에 따른 점성 및 압력과 함께 방울들(16)이 생겨나는 형태를 결정한다. 방울들은 벨트(7)에서 굳어진 다음 종래의 방법대로 포장될 수 있다.
즉시 알 수 있듯이, 슬롯(15)의 폭(s)은 리테이너 스트립(13)의 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 스트립(13)이 간단한 방법으로 노즐 스트립(5) 내로 삽입될 수 있음도 알 수 있다. 세척 역시 장치에의 접근이 용이하기 때문에 필요할 때 즉시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소위 로토포머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여기에서는 회전 드럼(60)을 도 1에서처럼 내부 보디(1)의 원주에 유도하지 않는다. 천공된 드럼(60)은 오히려 양쪽 전면 영역에서, 허브 부분(hub part)과 함께 샤프트 스터브(shaft stub)(22 및 23) 상에 장착되는 플랜지(flange)(20 및/또는 21)에 당겨지고, 샤프트 스터브는 공급관(24)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하며, 공급관은 드럼(60)의 빈 공간에서 내부 원주와의 간격을 두고 드럼(60)에 대해 동축으로 연장된다. 이때 플랜지(20)에 연결되는 허브(25)는 일측으로 위치가 고정된 서포트(27)와 연결되는 베어링(bearing)(26) 상에 고정된다. 허브(25)는 또한 구동륜(driving wheel)(28)을 구비하는데, 구동륜은 구동 벨트(driving belt) 또는 체인 구동(chain drive)(29)(상세히 도시도지 않음) 및 구동 엔진(driving engine)(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공급관(24)의 샤프트 스터브(23)는 동축으로 연장되는 내부관(inner pipe)(31)(도 8 참조)을 둘러싸는 관(pipe)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관은 입자화될 물질을 위한 공급 채널로 기능하고 관 형태의 공급관(24)으로 통한다. 입자화될 물질은 화살표(32) 방향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된다. 물질의 냉각 방지 및/또는 온도 조절을 위해 내부관(31) 및 공급관(24)의 가열부(heating part)가 제공되는데, 가열부는 샤프트 스터브(23) 및 공급관(31) 등 두 개의 부재와 하나의 분리벽(dividing wall)(33)(도 8)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내부 공간(34, 35) 및, 내부 공급관(24)을 둘러싸는 빈 공간(34a 및 35a)에 의해 형성된다. 가열 매질(heat medium)은 화살표(36) 방향으로 공간(34)에 공급되고, 공간(34) 및 공간(34a)을 관류하여 마침내 단부벽(end wall)(37)에 이르며, 그 다음에는 다시 입구 쪽으로 유도된다. 여기에서 가열 매질은 화살표(38) 방향으로 유출관(flowing-off muff)을 지나 공간(35)을 떠난다.
공급관(24)의 샤프트 스터브(22)는 마찬가지로 장소가 고정된 서포트(post)(27)위에 있는 베어링(39)에 고정되어 플랜지(21)의 허브를 장착하는 기능을 한다.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원주 속도가 벨트(7)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화살표(41)를 따라 연장되도록 화살표(40) 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60)의 빈 공간 내부에 대단히 큰 직경을 구비함으로써, 드럼(6)의 내부 공간에 장치를 비교적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을 정도로 공간이 충분하게 된다. 드럼의 직경이 크면 또한 드럼의 축 방향 길이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으면서도 견고성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은 다시 벨트(7)의 폭 역시 비교적 크게 선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이런 이유만으로도 벌써 생산의 향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생산 향상은 또한 드럼의 직경 크기가 비교적 크게 선택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는 또한 속도가 대단히 높음에도 원심력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은 채 원주 속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드럼 아래쪽을 지나 유도되는 벨트(7)를 향하고 방울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만큼 벨트에 가까이 있는 드럼의 영역 역시 비교적 큰 굴곡(curve) 때문에 마찬가지로 더 커지므로, 노즐 스트립의 폭 역시 벨트(7)의 이동 방향에서 볼 때 훨씬 커질 수 있다. 이것은 도 1 및 도 6의 비교를 통해 즉시 알 수 있다.
공급관(24) 및 드럼(60)의 하부 영역 사이의 간격을 메우기 위해, 벨트(7)의 폭에 상응하는 스트립 형태를 갖는 세퍼레이터(42)가 구비된다. 세퍼레이터(42)는 도 6 및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공급관(24)을 향한 영역에 아래쪽으로 웨지 형태로 좁아지는 유입 영역(inlet area)(43)을 구비한다. 유입 영역 내로 유도판(conducting plate)(44)이 돌출하고, 유도판은 리테이너 스트립(13')과 유사한 방법으로 하나의 에지에만 나사(45)로 고정된다. 유도판(44)의 자유 에지 및 웨 지형 유입 영역의 경사벽(43a) 사이에 갭(gap)(S3)이 생겨나는데, 갭은 후속 영역으로 들어가는 방울로 될 물질의 양을 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유입 영역(43)은 원통형 보어(46) 또는 긴 구멍(long hole)(46a)으로 형성된 연결 부품(jointing piece)(47)의 구멍으로 넘어가고, 연결 부품은 세퍼레이터(42)의 리세스(48) 내로 돌출한다. 또한 세퍼레이터(42)를 관(24)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나사(49) 역시 리세스 내에 장착된다. 평행인 벽들을 구비하는 리세스(48) 내에 노즐 스트립(50)이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고, 노즐 스트립은 압력 스프링(51)에 의해 아래쪽으로, 또 그루브 형태의 리세스(12)와 경계를 이루는 두 개의 레그(leg)와 함께 드럼(60)의 내부 원주를 향해 밀린다. 압력 스프링(51)에 의해 또한 연결 부품(47)이 제 자리를 유지하게 된다.
노즐 스트립(50)은 이미 노즐 스트립(5)이 그렇듯이, 바닥과 간격을 두고 리테이너 스트립(13')을 구비하고, 리테이너 스트립의 자유 에지는 벽(12a)과 함께 폭(S1)을 갖는 갭을 형성한다. 도 1에 의거하여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이 갭은 드럼(60)의 구멍(52)을 통해 밖으로 밀려나는 덩어리의 양을 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도 갭(S1)은 노즐 스트립(50)의 측면에 배치되는데, 이 측면은 드럼(60)의 회전 방향(40) 및/또는 벨트(7)의 이동 방향(41)에서 볼 때 노즐 스트립(50)의 첫 번째 내부 에지이다.
그러나 도 6에서도 볼 수 있듯이, 그루브 형태의 리세스(12) 바닥에 또 하나의 스트립 형태의 돌기부(53)를 장착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때 돌기부는 리테이너 스트립(13')과 함께 폭(S2)을 갖는 또 다른 갭을 형성한다. 이 갭은 관류하는 양을 안정시키는 기능을 하다. 또 흐르는 물질은 이 갭 앞에서, 여기에서는 흐름 채널(46)내부와 유도판(44) 뒤쪽에 있는 안정 구간에 쌓이게 된다. 이러한 방안의 결과, 가공될 물질의 용량이 전체적으로 비교적 클 때에도 얇은 층의 흐름이 유지되고, 이러한 흐름은 노즐 스트립(50)의 두 측벽 사이에 있는 영역에서 바람직한 방울 형성을 보장해 준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면 부호 50a, 50b 및 50c를 갖는 노즐 스트립(50)의 다른 형태들을 보여준다.
도 11의 경우, 노즐 스트립(50a)은 한편으로는 요컨대 도 6의 경우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첫 번째 리테이너 스트립(13')을 구비한다. 투과 구멍(43) 및 그루브 형태의 리세스(12)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 개별적으로 도시되지 않았다. 도 11에서 노즐 스트립(50a)은 그러나 두 번째 리테이너 스트립(13")을 구비하는데, 이 리테이너 스트립은 마찬가지로 한쪽만, 이 경우에는 스텝(step)(54)에, 즉 C자 형태로 형성된 노즐 스트립(50a)의 레그들 중 하나의 영역에 장착된다. 이런 방법을 통해, 리테이너 스트립(13' 및 13")은 리세스(12)의 벽을 각각 하나씩 갖는 두 개의 투과판을 각각 형성한다. 또 리테이너 스트립 사이에는 방울로 될 물질을 위한 미로식 통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는 가공될 물질의 점성에 따라 필요한 경우 흐름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한다.
도 12에 도시된 노즐 스트립(50b)에서 리테이너 스트립(13')은 축(55) 방향 으로 진행되는 유입에 대해 경사지게 기울어져 있으며, 그것도 그 자유 단부가 흐름 방향에서 볼 때 고정된 에지보다 깊이 위치할 정도로 기울어져 있다. 리테이너 스트립(13')은 흐름 유도판과 같은 기능을 한다. 또한 리테이너 스트립은 관류하는 양을 줄이는 기능도 하고, 이런 형태에서는 마찬가지로 가공될 물질의 흐름 속성 및 관류량에 따라 삽입될 수 있다.이것은 또한 도 13에 따른 노즐 스트립(50c)에도 적용된다. 여기에서는 리테이너 스트립(13')이 도 12에서와 마찬가지로 흐름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삽입된다. 이 경우 노즐 스트립(50c)의 리세스(12)는 물론 차례대로 배열되고 각각 리테이너 스트립(13') 쪽을 향한 리브(rib)(56)를 다수 구비한다. 리브는 각각 리테이너 스트립(13')의 표면을 갖는 관류판을 자신에게 맞게 형성한다. 이러한 방안은 또한 관류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고, 이와 함께 도 6과 비슷한 장치의 경우 흐름 속도가 지나치게 크더라도 방울 형성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1)

  1. 원주 전체에 투과 구멍을 갖는 원통형 회전 드럼을 포함하고, 드럼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유동성 물질용 공급 장치(2, 24) 및 드럼 내부 원주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흐름 채널(12)을 갖는 노즐 스트립(5, 50, 50a, 50b, 50c)을 구비하며, 상기 흐름 채널은 상기 공급 장치(2, 24)와 연결되고, 드럼의 축 방향 길이에 걸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유동성 물질이 상기 흐름 채널을 통해 투과 구멍(52)에 공급되고 상기 투과 구멍을 지나 방울 형태로 밖으로 내보내진 후 드럼 아래쪽으로 유도되는 이송 또는 냉각 벨트(7) 위로 떨어져 그곳에서 굳어지는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로서,
    상기 노즐 스트립(5, 50)의 흐름 채널(12)에 한쪽만 고정되고 돌출하는 리테이너 스트립(13, 13')이 적어도 하나 배치되고, 상기 리테이너 스트립의 자유 에지는 상기 흐름 채널의 벽(12a)과 함께 관류 슬롯(1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관류 슬롯(15)은 드럼(6, 60)의 회전 방향(40)에서 볼 때 상기 노즐 스트립의 전면 에지를 형성하는 노즐 스트립(50, 5)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리테이너 스트립(13, 13')의 고정은 나사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는 그루브 형태의 리세스(12)로 형성된 흐름 채널의 열린 측면으로부터 상기 노즐 스트립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
  4. 제1항에서,
    두 개의 리테이너 스트립(13', 13")이 차례대로 각각 하나의 관류 슬롯을 상기 노즐 스트립(50a)의 반대쪽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리테이너 스트립(13')은 상기 노즐 스트립(50b, 50c)의 유입 채널 축(55)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되어서, 자유 스트립 에지가 고정된 에지로부터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노즐 스트립(50c)의 그루브형 리세스(12) 바닥을 향한 리테이너 스트립(13') 측면이 리브 형태의 돌기부(56) 맞은 편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부는 그루브 바닥으로부터 돌출하고 흐름 방향으로 차례대로 놓여 있으며 리테이너 스트립(13')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 슬롯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드럼(60)의 직경은 90㎜ 이상이고, 상기 노즐 스트립(50) 및 드럼 내부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급관(24) 사이에 연결 채널(43, 46, 12)을 갖는 세퍼레이터(42)를 구비하고, 상기 세퍼레이터 내에 관류하는 물질을 안정시키고 분배하는 리테이너 구간이 축 방향 길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연결 채널(43)은 드럼(60)의 축 방향 길이 전체를 지나가는 채널로 형성되고, 상기 채널은 흐름 방향에서 볼 때 웨지 형태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
  9. 제7항에서,
    축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는 다수의 연결 구멍(46, 46a)이 세퍼레이터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
  10. 제7항에서,
    상기 드럼(60)의 벽 두께가 1.5㎜와 6㎜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
  11. 제7항에서,
    상기 드럼의 직경은 90㎜와 150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
KR1020047000803A 2001-07-27 2002-07-04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 KR100866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38333.9 2001-07-27
DE10138333A DE10138333C2 (de) 2001-07-27 2001-07-27 Vorrichtung zum Auspressen fließfähiger Substanzen
PCT/EP2002/007395 WO2003011446A1 (de) 2001-07-27 2002-07-04 Vorrichtung zum auspressen fliessfähiger substanz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776A KR20040047776A (ko) 2004-06-05
KR100866616B1 true KR100866616B1 (ko) 2008-11-03

Family

ID=7694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803A KR100866616B1 (ko) 2001-07-27 2002-07-04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50158416A1 (ko)
EP (1) EP1412070B1 (ko)
KR (1) KR100866616B1 (ko)
CN (1) CN1285401C (ko)
CA (1) CA2454733C (ko)
DE (1) DE10138333C2 (ko)
ES (1) ES2608849T3 (ko)
RU (1) RU2292944C2 (ko)
WO (1) WO20030114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6691A1 (de) * 2003-02-11 2004-09-09 Santrade Lt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ranulat
GB0409140D0 (en) * 2004-04-24 2004-05-26 Cadbury Schweppes Plc Baked food product
EP1868963B1 (en) 2005-04-18 2017-05-10 Stamicarbon B.V.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urea-comprising particles
DE102007061408A1 (de) 2007-12-11 2009-06-18 Sandvik Materials Technology Deutschland Gmbh Verfahren und Tropfenformer zum Herstellen von Pastillen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chwefelhaltigen Düngers
CN101249403B (zh) * 2008-03-04 2010-06-09 上海瑞宝造粒机有限公司 分份挤出可流动物质的装置
DE102012015455A1 (de) * 2012-08-03 2014-02-06 Bahlsen Gmbh & Co. Kg Dauerbackware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15212353B3 (de) * 2015-07-01 2016-07-07 Sandvik Materials Technology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tropfen eines fließfähigen Produkts
JP2020163292A (ja) * 2019-03-29 2020-10-08 大東カカオ株式会社 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526A (ko) * 2001-04-10 2002-10-19 아이세루 가부시키가이샤 그리스 컨테이너용 공동을 갖는 리테이너를 구비하는 롤러베어링
KR20030050625A (ko) * 2001-12-19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도어 프레임용 웨더스트립과 리테이너의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2192B1 (de) * 1978-12-08 1983-01-12 Santrade Ltd. Vorrichtung zum Auspressen von fliessfähigen Massen aus einem Behälter
CA1220910A (en) * 1983-11-02 1987-04-28 Reinhard Froeschke Device for extruding flowable substances
DE3813756C1 (ko) * 1988-04-23 1989-03-02 Santrade Ltd., Luzern, Ch
JPH0464425A (ja) * 1990-07-03 1992-02-28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DE4032683C3 (de) * 1990-10-15 1996-06-13 Santrade Ltd Vorrichtung zur Bildung von Tropfen
US5286181A (en) * 1991-04-26 1994-02-15 Berndorf Belt Systems, Inc. Extrusion apparatus having a nozzle-headed drum
AT398635B (de) * 1992-08-28 1995-01-25 Berndorf Band Gmbh Vorrichtung zur portionierten abgabe von fliessfähigen massen
FR2733169B1 (fr) * 1995-04-20 1997-07-11 Inst Francais Du Petrole Dispositif pour former en serie des objets plats de forme et d'epaisseur reglables, par depot sur un support d'une subtance relativement fluide
US6716015B2 (en) * 2001-11-26 2004-04-06 Enersul, Inc. Distribution system for a pastillation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526A (ko) * 2001-04-10 2002-10-19 아이세루 가부시키가이샤 그리스 컨테이너용 공동을 갖는 리테이너를 구비하는 롤러베어링
KR20030050625A (ko) * 2001-12-19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도어 프레임용 웨더스트립과 리테이너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54733A1 (en) 2003-02-13
CN1535173A (zh) 2004-10-06
DE10138333A1 (de) 2003-02-20
EP1412070B1 (de) 2016-10-12
CA2454733C (en) 2011-06-14
KR20040047776A (ko) 2004-06-05
CN1285401C (zh) 2006-11-22
RU2004105860A (ru) 2005-07-10
RU2292944C2 (ru) 2007-02-10
ES2608849T3 (es) 2017-04-17
EP1412070A1 (de) 2004-04-28
WO2003011446A1 (de) 2003-02-13
US20050158416A1 (en) 2005-07-21
DE10138333C2 (de) 200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616B1 (ko) 유동성 물질 압착 장치
EP1038659B1 (en) Continuous squeeze-dewatering device
KR100603137B1 (ko) 펠렛제조기의 유수 가이드
SU1268099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экструдировани текучих веществ
KR102026391B1 (ko) 동력 감소를 위한 원심분리기 및 원심분리기의 배출 포트 부재
FI111023B (fi) Menetelmä ja laite materiaalin pumppaamiseksi sekä laitteen yhteydessä käytettävä roottori
US4213709A (en) Rotary processor
JP6999302B2 (ja) フィルター装置及びフィルター装置のフィルター素子から汚れ粒子を除去するための清浄ユニット
JPS61145039A (ja) 流状のばら物質のためのスターフイーダ型ロツク装置
US4255059A (en) Processing element
JPH07106310B2 (ja) 媒体分散機
FI75099C (fi) Blandningsanordning.
JPS60501202A (ja) 脱蔵混合押出機
JPH06227651A (ja) 流動可能な材料を区分して引き渡す装置
JPH0722094U (ja) パルプポンピング装置
CN100413599C (zh) 热熔性粘合剂配料器
JP3957336B2 (ja) 遠心分離機
JP2002326715A (ja) 液体材料の吐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CA1142319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lastic and polymeric materials
US10722856B2 (en) Multi-disk spinning disk assembly for atomization and encapsulation
US8070965B2 (en) Dual walled dynamic phase separator
FI116967B (fi) Laite ensimmäisen virtaavan aineen sekoittamiseksi toiseen virtaavaan aineeseen
US20100068324A1 (en) Apparatus for granulating plastic
US11541585B2 (en) Polymer coextrusion head with a dual-channel nozzle
KR102060251B1 (ko) 3d 프린터의 재료 토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