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232B1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232B1
KR100866232B1 KR1020070011093A KR20070011093A KR100866232B1 KR 100866232 B1 KR100866232 B1 KR 100866232B1 KR 1020070011093 A KR1020070011093 A KR 1020070011093A KR 20070011093 A KR20070011093 A KR 20070011093A KR 100866232 B1 KR100866232 B1 KR 100866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uide
disposed
mounting portion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2391A (ko
Inventor
진재철
김기택
김진수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1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232B1/ko
Priority to US12/019,134 priority patent/US7986981B2/en
Publication of KR20080072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장착부가 형성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회전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그 양측면 중 하나가 상기 장착부의 측벽에 밀착됨과 아울러 그 하부단면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양측면 중 하나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용 단말기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양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의 형상을 직사각형 형태로 유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 홈, 가이드 돌기, 구동 수단, 단말기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제1 하우징 102: 제2 하우징
103: 구동 수단 117a,117b: 제1, 제2 가이드 홈
119a,119b: 제1, 제2 고정 돌기 125a,125b: 제1, 제2 가이드 돌기
131,133: 제1, 제2 탄성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하우징이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 type), 플립형(flip type) 및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단말기는 하나의 본체 하우징(housing)에 송/수화부, 키패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장착되는 형태로서, 데이터 입력 수단이 되는 키패드(keypad)가 항시 노출되어 있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고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확보 문제로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플립형 단말기는 본체와, 플립과, 상기 본체와 플립을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hinge module)로 구성된 형태로서, 상기 본체에 송, 수화부, 키패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장착된다. 플립형 단말기에서 데이터 입력 수단이 되는 키패드(keypad)는 상기 플립에 의해 개폐되므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러나 플립형 단말기 역시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확보 문제로 인하여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폴더형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폴더가 회전함에 따라 개폐되는 형태로서, 통화대기모드에서 상기 폴더는 본체에 밀착되어 키패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화 모드에서 상기 폴더가 펼쳐져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는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 등에 한정되었으나, 게임, 벨 소리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서비스와 동영상, 주문형 오디오/비디오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지상파/위성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등과 같은 방송 서비스를 휴대용 단말기로 이용할 수 있으며, 동영상이나 방송 서비스를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되고 있다.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킬 때,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의 모서리 일부를 곡선형으로 제작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 이의 크기를 줄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세로 방향에서 배치된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조작을 편리하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면서 하우징의 형상을 직사각형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장착부가 형성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회전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그 양측면 중 하나가 상기 장착부의 측벽에 밀착됨과 아울러 그 하부단면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양측면 중 하나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2 하우징(102)이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2 하우징(102)이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 하우징(10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에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결합시키기 위한 장착부(115)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115)에는 평면 형상의 측벽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그 하부단면이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점차 회전하면, 그 하부단면은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에 밀착된 상태로부터 이격되고, 그 양측면의 모서리들 중 하나가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에 인접하게 직선이동하거나 미끄럼 접촉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하면, 그 양측면 중 하나가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에 밀착되고, 그 하부단면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양측면 중 하나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 일면의 하부에 키패드(111a), 기능성 키패드(111b) 및 마이크(113)가 설치되고, 그 일면의 상부에는 상기 장착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115)는 상기 키패드(111a), 기능성 키패드(111b) 및 마이크(113)가 설치된 부분보다 낮게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에 함몰 형성된 상기 장착부(115)는 높이 차로 인해 측벽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은 상기 장착부(115)와 상기 키패드(111a), 기능성 키패드(111b) 및 마이크(113)가 설치된 부분 사이의 경계가 된다.
상기 키패드(111a)는 다수 개의 키들로 구성되고, 각 키들의 일면에는 각각에 할당된 신호 값이 인쇄된다. 상기 키패드(111a)가 조작되면 숫자, 문자 등의 입력이 이루어진다. 상기 기능성 키패드(111b)는 메뉴 호출키, 검색 키, 통화 시작/종료 키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이크(113)는 상기 키패드(111a)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마이크(113)로 입력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에는 디스플레이(121)와 스피커(1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21)는 엘씨디(LCD; liguid crystal display)나 티에프티(TFT; thin film transistor)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며, 기지국과의 송수신 감도, 배터리 잔량 등과 같은 단말기 상태 정보, 데이터 송수신 정보, 수신된 단문 메시지의 내용 및 상기 키패드(111)의 조작으로 입력된 값 등이 표시된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121)는 상기 단말기(100)의 작동 모드에 따라 동영상, 방송 화면 등을 출력하기도 한다.
상기 스피커(123)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121)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단말기(100)에 수신된 음성, 재생중인 음악 파일의 음향 및 동영상이나 방송 서비스의 음향 등을 출력한다. 아울러, 상기 스피커(123)는 상기 마이크(113)와 서로 조합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대방과의 음성통화를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21)는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면, 상기 디스플레이(121)는 세로 방향으로 긴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21)가 세로 방향으로 긴 화면을 출력하게 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음성 통화나 단문 메시지 작성, 무선 인터넷 접속 등을 할 수 있는 모드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121)는 단말기의 상태 정보,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 및 상기 키패드(111a)의 조작으로 입력된 값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스피커(123)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상단부에 설치된 것이 작동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단부에 설치된 것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상기 디스플레이(121)는 가로 방향으로 긴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121)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회전 방향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의 상측과 하측이 서로 반대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21)가 정상적인 화면을 표시한다면,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121)가 거꾸로 된 화면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21)의 표시 화면의 상하를 반전시켜야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121)가 가로 방향으로 긴 화면을 출력하게 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동영상 감상이나 방송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모드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121)는 재생된 동영상이나 방송 화면 등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피커(123)는 상기 디스플레이(121)의 양측에 위치되어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이나 방송 화면 데이터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스테레오 음향이나 3차원 입체 음향 등을 출력하게 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2 하우징(102)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에는 제1 가이드 돌기(125a)와 제2 가이드 돌기(125b)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와 제2 가이드 돌기(125b)는 상기 장착부(115)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홈(117a)과 제2 가이드 홈(117b)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 고,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장착부(115) 상에서 직선 이동한다.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가 직선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즉,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 내에서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는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장착부(115) 상에서 곡선 궤적을 형성하면서 이동한다. 아울러,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은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의 이동 궤적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의 중심은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에 인접하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125a)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고, 그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좌, 우 대칭인 형상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 내에서 하측에,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는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의 중심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는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의 중심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와 동일하게 이동하지만,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는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의 중심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는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의 양단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 사이에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수단(103)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 수단(103)은 1회 이상 권선된 토션 스프링으로써 제1 탄성체(131)와 제2 탄성체(133)로 구성되고, 그 양단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를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 사이에 배치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부(115)에는 제1 고정 돌기(119a)와 제2 고정 돌기(119b)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고정 돌기(119a)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의 일단에 인접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 돌기(119b)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의 타단과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 사이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탄성체(131)는 그 일단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에, 그 타단이 제1 고정 돌기(119a)에 각각 지지되고, 상기 제2 탄성체(133)는 그 일단이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에, 그 타단이 상기 제2 고정 돌기(119b)에 각각 지지된다.
또한,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면, 상기 제1 고정 돌기(119a), 제1 가이드 돌기(125a), 제2 고정 돌기(119b) 및 제2 가이드 돌기(125b)는 일직선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탄성 체(131, 133)는 그 양단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부단면을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에 밀착시킨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제2 가이드 돌기(125a, 125b)가 상기 제1, 제2 가이드 홈(117a, 117b)을 따라 각각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의 일단은 상기 각각 그 타단에 점차 근접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는 그 양단이 점차 근접하면서 서로 멀어지게 하려는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의 양단이 가장 근접한 지점을 지나게 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그 회전 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는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의 양단 중 하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양측면 중 하나를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에 밀착시키는 힘을 제공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부단면을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양측면 중 하나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2 하우징(102)이 제1 하우징(101)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2 하우징(10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2 하우징(102)이 시계 방향으로 90 도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는 모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 내에서 하측에,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는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의 중심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부단면은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안정적으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 내에서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125b)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 내에서 그 중심으로부터 좌측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 고정 돌기(119b)에 점차 근접하게 된다. 상기 제1, 제2 가이드 돌기(125a, 125b)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의 양단은 점차 근접하게 이동하여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부단면과 우측면이 이루는 모서리는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에 인접하게 직선 이동하거나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계속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의 양단은 가장 근접한 지점을 지나게 된다.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의 양단이 가장 근접한 지점을 지나면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에 축적된 탄성력은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를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 내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를 계속해서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을 따라 그 좌측단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의 양단이 가장 근접한 지점을 지나면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그 회전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회전함에 따라 그 하부단면을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그 우측면을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에 근접하게 한다. 결국,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우측면이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에 밀착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시계 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한 상태에서 정지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의 하측에,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는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의 좌측단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우측면을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에 밀착시키는 힘을 제공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부단면을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좌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에 대해 시계 방향 으로 90도 회전하면, 상기 디스플레이(121)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가로 방향으로 더 긴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121)를 이용하여 동영상 감상이나 방송 시청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2 하우징(102)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2 하우징(102)이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부터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는 모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 내에서 하측에,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는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의 중심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부단면은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안정적으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 내에서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125b)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 내에서 그 중심으로부터 우측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 고정 돌기(119b)에 점차 근 접하게 된다. 상기 제1, 제2 가이드 돌기(125a, 125b)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의 양단은 점차 근접하게 이동하여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부단면과 좌측면이 이루는 모서리는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에 인접하게 직선 이동하거나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계속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의 양단은 가장 근접한 지점을 지나게 된다.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의 양단이 가장 근접한 지점을 지나면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에 축적된 탄성력은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를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 내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를 계속해서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을 따라 그 우측단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의 양단이 가장 근접한 지점을 지나면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그 회전 방향 즉,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회전함에 따라 그 하부단면을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그 좌측면을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에 근접하게 한다. 결국,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좌측면이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에 밀착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한 상태에서 정지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하여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의 하측에,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는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의 우측단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탄성체(131, 133)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좌측면을 상기 장착부(115)의 측벽에 밀착시키는 힘을 제공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부단면을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우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에 대해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상기 디스플레이(121)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가로 방향으로 더 긴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121)를 이용하여 동영상 감상이나 방송 시청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제1, 제2 하우징을 대면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함으로써, 제2 하우징의 회전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제1 하우징 상 에는 제2 하우징을 회전시키기 위해 제1, 제2 가이드 돌기와 제1, 제2 가이드 홈이 구비됨으로써, 제2 하우징은 회전함과 동시에 상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져 그 양측면의 모서리들 중 하나가 장착부의 측벽에 인접하게 직선이동하거나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면서 하우징의 형상을 직사각형 형태로 유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는 충분한 크기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제1, 제2 하우징 사이에는 구동 수단이 배치되고, 구동 수단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제2 하우징은 반자동 회전이 구현되어 편리하고 작동하게 되었다.

Claims (17)

  1. 삭제
  2.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장착부가 형성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회전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그 양측면 중 하나가 상기 장착부의 측벽에 밀착됨과 아울러 그 하부단면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양측면 중 하나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제1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는 상기 장착부 상에서 직선 이동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장착부 상에서 곡선 궤적을 형성하면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돌기가 직선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1 가이드 홈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2 가이드 돌기의 이동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가이드 홈에는 상기 제1, 제2 가이드 돌기가 각각 삽입됨을 특징으로 휴대용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중심은 상기 장착부의 측벽에 인접하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고, 그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좌, 우 대칭인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하측에,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중심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일단에 인접하게 돌출 형성된 제1 고정 돌기; 및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타단과 제2 가이드 홈 사이에 돌출 형성된 제2 고정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 고정 돌기, 제1 가이드 돌기, 제2 고정 돌기 및 제2 가이드 돌기는 일직선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양단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양단을 서로 멀어지게 하려는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에, 타단이 상기 제1 고정 돌기에 각각 지지되는 제1 탄성체; 및
    일단이 상기 제2 가이드 돌기에, 타단이 상기 제2 고정 돌기에 각각 지지되는 제2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제2 탄성체의 일단은 각각 그 타단에 근접하다가 다시 멀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제2 탄성체의 양단이 가장 근접한 지점을 지나면 상기 제1, 제2 탄성체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을 특 징으로 휴대용 단말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때,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부단면을 상기 장착부의 측벽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휴대용 단말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때,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양측면 중 하나를 상기 장착부의 측벽에 밀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부단면을 상기 제1 하우징의 양측면 중 하나에 동일 평면 상에 위치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70011093A 2007-02-02 2007-02-02 휴대용 단말기 KR100866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093A KR100866232B1 (ko) 2007-02-02 2007-02-02 휴대용 단말기
US12/019,134 US7986981B2 (en) 2007-02-02 2008-01-24 Portable terminal with rotatabl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093A KR100866232B1 (ko) 2007-02-02 2007-02-02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391A KR20080072391A (ko) 2008-08-06
KR100866232B1 true KR100866232B1 (ko) 2008-10-30

Family

ID=3967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093A KR100866232B1 (ko) 2007-02-02 2007-02-02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86981B2 (ko)
KR (1) KR100866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012B1 (ko) * 2007-12-05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힌지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TW200942031A (en) * 2008-03-27 2009-10-01 Jarllytec Co Ltd Plane revolving mechanism for the support apparatus
US7715191B2 (en) * 2008-04-07 2010-05-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compact and expanded configurations
JP5561165B2 (ja) * 2008-08-27 2014-07-30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ライド機構及びスライド装置
US8103322B2 (en) * 2009-02-27 2012-01-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two device members slidable relative to a bridge
TW201104330A (en) * 2009-07-24 2011-02-01 Asia Optical Co Inc Photography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tecting the lens set and the display
CN102255986B (zh) * 2010-05-20 2014-04-3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旋转机构及具有该旋转机构的电子装置
KR100993221B1 (ko) * 2010-05-28 2010-11-10 한종근 힌지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735A (ko) * 2005-01-27 2006-08-0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회전형 lcd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9336A (en) * 1996-07-10 1999-12-28 Motorola, Inc. Hand-held radiotelephone having a detachable display
JP4243344B2 (ja) * 1997-05-23 2009-03-25 株式会社Access 移動通信機器
US6011699A (en) * 1997-10-15 2000-01-04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flexible circuit conductors
US6657654B2 (en) * 1998-04-29 2003-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mera for use with personal digital assistants with high speed communication link
JP2001054084A (ja) * 1999-08-09 2001-0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電話装置
US7113220B1 (en) * 1999-11-01 2006-09-26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convenient handling and operation
US6751487B1 (en) * 2000-02-08 2004-06-15 Ericsson, Inc. Turn around cellular telephone
US6658272B1 (en) * 2000-04-28 2003-12-02 Motorola, Inc. Self configuring multiple elem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045286B2 (en) * 2000-07-25 2006-05-16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Methods of detecting molecules expressing selected epitopes via fluorescent dyes
JP2003174495A (ja) * 2001-09-28 2003-06-20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JP4061473B2 (ja) *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US6728557B1 (en) * 2002-05-17 2004-04-27 Motorola, Inc. Hinge assembly for a multi-configu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3999092B2 (ja) * 2002-09-30 2007-10-31 京セラ株式会社 重ね型携帯端末装置
US6813143B2 (en) * 2002-10-21 2004-11-02 Nokia Corporation Mobile device featuring 90 degree rotatable front cover for covering or revealing a keyboard
US7542781B2 (en) * 2003-06-30 2009-06-02 Casio Computer Co., Ltd.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US7212844B2 (en) * 2003-10-24 2007-05-01 Motorola Inc. Cellular telephone with improved mechanical desig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735A (ko) * 2005-01-27 2006-08-0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회전형 lcd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86981B2 (en) 2011-07-26
US20080188269A1 (en) 2008-08-07
KR20080072391A (ko)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232B1 (ko) 휴대용 단말기
US7606605B2 (en) Two-way folder-type terminal
KR20070087744A (ko) 복수의 액정을 갖는 이동단말기
US7853301B2 (en) Sliding module for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WO2006038499A1 (ja) 携帯情報端末
JP2009536495A (ja) 携帯機器構造
US20070293286A1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phone
CN1953468A (zh) 便携式终端和滑动型支架
KR20080030781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US7873396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stopper
KR20080014541A (ko)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단말기
KR100800713B1 (ko) 휴대용 단말기
US20080047102A1 (en) Free stop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CN101060547B (zh) 便携式终端的铰链装置
US20070009250A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KR20080076005A (ko) 휴대용 단말기
KR20070071462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42627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70330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
KR100856252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572105B1 (ko) 수평회전 커버를 구비한 슬라이드형이동통신단말기
US20090131128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370668Y1 (ko) 좌우 이동식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 단말기
KR100810347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41324B1 (ko) 오픈 슬라이드 방식의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