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577B1 -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577B1
KR100865577B1 KR1020070056741A KR20070056741A KR100865577B1 KR 100865577 B1 KR100865577 B1 KR 100865577B1 KR 1020070056741 A KR1020070056741 A KR 1020070056741A KR 20070056741 A KR20070056741 A KR 20070056741A KR 100865577 B1 KR100865577 B1 KR 100865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light
train
sensor
optic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비
Priority to KR102007005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플랫폼에 접한 열차 진행 통로 상에 광 라인을 형성하고, 광 라인의 오프가 감지되면, 감지 상태를 시각 또는 청각적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한다. 이로써, 승객의 추락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of sensing a fall in the flatfor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가 적용된 플랫폼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 감지 장치의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 이동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플랫폼이 굴곡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추락 감지 장치가 구현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추락 감지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추락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플랫폼에서 선로 위로 사물이나 사람이 추락하였는지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알려주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도 플랫폼에는 승객이 선로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 수는 미약하다. 따라서 일반 플랫폼에서는 승객이 추락하였는지 여부는 플랫폼에 설치된 CCTV를 통해 확인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승객의 추락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으며 이를 열차 등에도 신속하게 알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승객이 플랫폼에서 선로로 추락한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역무원 및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열차에 알려줌으로써 비상사태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추락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의 일 실시예는, 플랫폼에 접한 열차 진행 통로 상에 광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광 라인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추락 감지부; 및 상기 추락 감지부가 상기 광 라인의 오프를 감지하면, 상기 감지 상태를 시각 또는 청각적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추락 감지 방법의 일 실시예는, 플랫폼에 접한 열차 진행 통로 상에 광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 라인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광 라인의 오프가 감지되면, 상 기 감지 상태를 시각 또는 청각적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승객의 추락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가 적용된 플랫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랫폼의 양 끝단에는 광을 출력하는 발광센서(110) 및 발광센서로부터 출력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센서(112)가 쌍을 이루어 존재한다. 승객이 선로에 추락하였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발광센서(110) 및 수광센서(112)는 플랫폼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거리에 광 라인(120)을 형성한다. 승객이 선로에 추락하면 발광센서(110)와 수광센서(112) 사이에 형성된 광 라인(120)이 오프되므로 이를 통해 승객의 추락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광 라인(120)은 일정 영역에 하나가 아니라 다수개로 이루어진 광 커튼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열차 진행 통로 전체 영역에 광 라인들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는 열차 진행 통로 상에 광 라인을 형성하는 하나의 예이며, 다른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광 라인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랫폼과 일정 거리(예를 들어, 100m) 떨어진 곳에 열차 진입을 감지하는 센서(100)가 존재한다. 열차 진입 감지 센서(100)를 통해 열차 진입이 감지되면, 열차 진행 통로 상에 설치된 발광센서(110) 및 수광센서(112)는 플랫폼 쪽으로 이동 하여 열차 진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의 이동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열차가 진입하지 않는 경우에는 발광센서(200) 및 수광센서(202)는 열차 진행 통로 상에 돌출되어 광 라인을 형성한다. 그러나 열차가 진입하는 경우에는 발광센서(210) 및 수광센서(212)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열차 진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의 이동은 도 2에 도시된 예 외에 플랫폼 내에 홈을 만들어 안쪽으로 들어가는 방법,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변형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플랫폼이 굴곡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추락 감지 장치가 구현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는 굴곡율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된다. 승객의 추락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열차 진행 통로 상에 일정 간격으로 광 라인이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굴곡이 있는 플랫폼의 경우 플랫폼 양 끝단에 위치한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 만으로는 정확한 감지가 어려우므로 그 굴곡에 따라 중간에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의 쌍(300,310,320)을 다수 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는 진입 감지부(400), 추락 감지 부(410), 제어부(420) 및 알람부(430)를 포함한다. 추락 감지부(410)는 발광센서(412), 수광센서(414) 및 광 감지부(416)를 포함한다.
진입 감지부(400, 도 1의 100)는 플랫폼 전에 위치하여 열차가 플랫폼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추락 감지부(410)는 열차 진행 통로 상에 형성된 광 라인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추락 여부를 파악한다. 구체적으로, 발광센서(412)는 플랫폼의 한쪽 끝에서 광을 출력하고, 수광센서(414)는 플랫폼의 다른 쪽 끝에서 발광센서로부터 출력된 광을 수신한다. 발광센서(412) 및 수광센서(414)는 도 3과 같이 굴곡이 있는 플랫폼의 경우 다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센서(412) 및 수광센서(414)는 도 1 내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방법 외에 다른 여러가지 변형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광 감지부(416)는 발광센서(412)와 수광센서(414) 사이에 형성된 광 라인의 온/오프를 감지한다.
알람부(430)는 추락 감지부(410)에 의해 광 라인의 오프가 감지되면, 이를 유/무선을 통해 역무실 등에 설치된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알람부(430)는 역무실 등에 설치된 경고등, 경고음, 문자 표시 등을 방법을 통해 광 라인의 오프 사실을 표시함으로써 추락 상태를 알린다. 역무실의 역무원은 추락 사실을 진입하는 열차에 신속하게 통보하여 비상사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420)는 추락 감지부(410)의 발광센서(412) 및 수광센서(414) 등이 열차 진행 통로 상에 설치된 경우 열차 진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진입 감지부(400)에 의해 열차 진입이 감지되면 추락 감지부(410)를 플랫폼 안쪽으로 이동시 킨다. 추락 감지부(410)의 이동은 도 2에 도시된 방법외에 다른 여러가지 방법으로 변경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추락 감지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랫폼에 접한 열차 진행 통로 상에 광 라인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다(S500). 형성된 광 라인의 온/오프를 감지한다(S510). 만약 광 라인 오프가 감지되면 사람이나 사물이 열차 진행 통로로 추락하였다고 판단하여 역무실의 경고등, 경고음 등을 통해 추락 사실을 표시한다(S52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 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 진행 통로 상에 형성된 광 라인의 온/오프를 통해 용이하게 승객의 추락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승객의 추락 여부는 실시간으로 역무실 등으로 통보되어 비상사태에 신속하게 대비할 수 있다.

Claims (8)

  1. 플랫폼에 접한 열차 진행 통로 상에 광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광 라인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추락 감지부;
    상기 추락 감지부가 상기 광 라인의 오프를 감지하면, 상기 감지 상태를 시각 또는 청각적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알람부;
    열차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진입 감지부; 및
    상기 진입 감지부에 의해 열차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열차 진입 통로로 돌출되어 설치된 상기 추락 감지부를 상기 플랫폼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 감지부는,
    상기 플랫폼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광을 출력하는 발광센서;
    상기 플랫폼의 다른 쪽 끝에서 상기 광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센서; 및
    상기 광 출력부와 상기 광 수신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열차 진행 통로 상의 광 라인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광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출력부와 상기 광 수신부는 굴곡이 있는 플랫폼에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광 라인의 오프가 감지되면,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역무실에 위치한 표시장치를 통해 감지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
  6. 플랫폼에 접한 열차 진행 통로 상에 광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 라인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광 라인의 오프가 감지되면, 상기 감지 상태를 시각 또는 청각적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으로 열차 진입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열차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열차 진행 통로로 돌출된 센서를 상기 플랫폼 안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추락 감지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 라인 형성 단계는,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열차 진행 통로로 돌출된 센서를 통해 상기 플랫폼과 일정 간격 이격된 광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추락 감지 방법.
  8. 삭제
KR1020070056741A 2007-06-11 2007-06-11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865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741A KR100865577B1 (ko) 2007-06-11 2007-06-11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741A KR100865577B1 (ko) 2007-06-11 2007-06-11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577B1 true KR100865577B1 (ko) 2008-10-28

Family

ID=4017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741A KR100865577B1 (ko) 2007-06-11 2007-06-11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5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804Y1 (ko) * 2004-02-17 2004-07-09 시엔에이전기 주식회사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050108687A (ko) * 2004-05-13 2005-11-17 허진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804Y1 (ko) * 2004-02-17 2004-07-09 시엔에이전기 주식회사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050108687A (ko) * 2004-05-13 2005-11-17 허진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20137A1 (en) Person-guiding system for evacuating a building or a building section
EP1943612B1 (en) Video image track supervision system
CN112509270A (zh) 一种列车车厢的火灾监控联动方法、装置及系统
US20040059503A1 (en) Tunnel monitoring system in a vehicle tunnel
KR20160118515A (ko) 화재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14028667A (ja) エスカレータ監視システム
KR100916960B1 (ko) 승강장 모니터링 시스템
KR100799317B1 (ko) 차량 승강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3170307A1 (en) Vehicle detection system
NO20161017A1 (en) Tunne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865577B1 (ko) 플랫폼 추락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CN112805759B (zh) 用于乘客移动设施的风险检测系统
JP2001026266A (ja) 軌道上障害物監視通報システム
KR101266015B1 (ko) 승강장 안전선 및 선로 감시 시스템
KR100975286B1 (ko)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US20050273279A1 (en) Acoustic fire sensing system
JP2012056535A (ja) ホーム事故検知システム
GB2623232A (en) Building security and emergency detection and advisement system
EP1290660B1 (en) A system and an arrangement to determine the level of hazard in a hazardous situation
JP6672040B2 (ja) 鉄道車両用温度検知装置
KR101211676B1 (ko) 철도 승강장의 추락사고 대응 시스템
JP2901571B2 (ja) 列車人身事故防止システム
KR102224389B1 (ko)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대피안내장치
KR20170133592A (ko) 승강장 추락방지 시스템
KR200436200Y1 (ko)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