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093B1 -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 - Google Patents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093B1
KR100864093B1 KR1020070062327A KR20070062327A KR100864093B1 KR 100864093 B1 KR100864093 B1 KR 100864093B1 KR 1020070062327 A KR1020070062327 A KR 1020070062327A KR 20070062327 A KR20070062327 A KR 20070062327A KR 100864093 B1 KR100864093 B1 KR 100864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information
postal
video coding
cod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0955A (ko
Inventor
이성준
정선화
김호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80050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103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being embedded in a human recognizable image, e.g. a company logo with an embedded two-dimensional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우편물의 주소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우편영상을 보고 우편물의 주소정보에 대응하는 배달점을 타건기로 타건하여 코드화를 시도함에 있어서, 비슷한 키 입력 유지 및 숫자 키 입력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주소 정보의 인식에 실패한 우편영상을 인식한 수준에 따라 분배하고, 분배된 우편영상들을 도착순서가 인근한 우편영상에 대하여 전단계에서 주소 정보를 인식한 지역이 동일하게 그룹화하여 비디오 코딩 처리 우선 순위 결정한 다음, 숫자 키패드 입력으로 해당 주소 정보를 배달점 코드로 비디오 코딩하거나, 과거의 처리 통계정보를 기반으로 자동 선택되는 해당 주소 정보를 선택하거나 문자 키패드 입력으로 해당 주소 정보를 배달점 코드로 비디오 코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프라인 광학문자판독기에 의해 배달점 코드화 실패 시 사람이 비디오 코딩 데스크의 모니터에 띄워지는 우편물의 주소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우편영상을 보고 우편물의 주소정보에 대응하는 배달점을 타건기로 타건하여 코드화할 때 비슷한 키 입력 유지 및 숫자 키 입력을 활성할 수 있으므로 비디오 코딩 작업의 생산성을 개선하고 작업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배달점 코드, 바코드

Description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VIDEO CODING METHOD FOR ADDRESS INFORMATION OF MAIL}
도 1은 일반적인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주소 정보의 인식에 실패한 우편영상을 인식한 수준에 따라 분배하는 과정을 나타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인식 수준별로 분배된 우편영상들을 그룹화하여 비디오 코딩 처리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비디오 코딩 처리될 우편영상의 주소 정보가 문자 정보일 때 과거의 처리 통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주소 정보를 배달점 코드로 비디오 코딩하는 과정을 나타낸 실시예.
본 발명은 우편물 자동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편물은 형태(예컨대, 크기나 무게 등)에 따라 소형 편지와 같은 서장(Letter), 소포(Parcel), 대형 서류봉투와 같은 플랫(Flat) 등으로 나누어지고, 우편물에 기재된 주소 또한 인쇄한 것, 필기체로 쓴 것, 우편번호가 기재되지 않은 것, 잘못된 우편번호를 기재한 것, 번지 없이 아파트 이름과 동/호수, 건물명,기관명을 기입한 것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다양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우편물들은 우편물 자동 처리 시스템에 의해 기계적으로 발송구분 및 도착구분 등의 분류 작업을 자동 처리하여 배달점(최종 행선지) 별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상기와 같은 우편물 자동 처리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인쇄 혹은 수기하는 주소와 문자로 된 주소를 대신하는 6자리의 우편번호를 주소 정보로 식별하여 해당 주소 정보를 바코드 형태의 배달점 코드로 비디오 코딩한다.
상기와 같은 우편물 자동 처리 시스템은 서장구분기(LSM; Letter Sorting Machine), 소포구분기(PSM; Parcel Sorting Machine), 플랫구분기(FSM; Flat Sorting Machine) 등과 같은 우편물 구분기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형태별로 구분 된 우편물 공급/이송기, 우편물의 이미지(우편영상) 획득용 스캐너, 우편영상으로부터 식별한 우편물 주소 정보를 바코드 형태의 배달점 코드로 비디오 코딩하는 배달점 코딩 장치(비디오 코딩 장치), 바코드 형태의 배달점 코드 인쇄/판독기, 우편물을 적재하는 적재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우편물 자동 처리 시스템 중에서, 특히 상기 배달점 코딩 장치로는 배달점 코드를 생성하는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에 따라 온라인용 광학문자판독기(OCR: Optical Character Reader)와 타건기 혹은 오프라인용 광학문자판독기와 타건기가 사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우편물의 배달점 코드를 생성하는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라인 방법과 오프라인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온라인 방법은 우편물이 자동 구분되어 이송되는 도중에 온라인 광학문자판독기를 사용하여 스캐너에 의해 획득한 우편영상에서 판독한 우편물의 주소정보에 대응하는 배달점을 자동으로 코드화하는 방법(S1,S2)과 상기 온라인 광학문자판독기에 의한 배달점 코드화 실패 시 사람이 비디오 코딩 데스크의 모니터에 띄워지는 우편물의 주소정보가 판독된 우편영상을 보고 우편물의 주소정보에 대응하는 배달점을 타건기로 타건(Key-in)하여 코드화하는 방법(S3,S4)이 있다.
상기 오프라인 방법은 자동 구분되어 이송되는 도중에 스캐너에 의해 획득한 우편영상에서 우편물의 주소정보를 판독하지 못한 경우, 오프라인 광학문자판독기 를 사용하여 이들 우편물의 주소정보에 대응하는 배달점을 자동으로 코드화하는 방법(S5,S6)과 상기 오프라인 광학문자판독기에 의해 배달점 코드화 실패 시 사람이 비디오 코딩 데스크의 모니터에 띄워지는 우편물의 주소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우편영상을 보고 우편물의 주소정보에 대응하는 배달점을 타건기로 타건(Key-in)하여 코드화하는 방법(S7)이 있으며, 상기 오프라인 방법 중 사람이 우편영상을 보고 타건함으로써 배달점을 코드화하는 방법(S7)을 오프라인 비디오 코딩 방법(VO)이라고 한다.
상기한 온라인 방법과 오프라인 방법에서는 모두 광학문자판독기를 먼저 사용하여 배달점 자동 코드화를 시도하며, 이에 실패하였을 때 사람에 의한 배달점 코드화를 시도한다.
다른 한편, 상기한 오프라인 비디오 코딩 방법(VO)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와 같이 타건 작업을 위해 비디오 코딩 데스크의 모니터에 띄워지는 우편영상 표현 방법들 중 하나는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하기 위하여 타건하고자 하는 우편영상의 주소영역에 초점을 맞추는 기술이다. 이와 같이 타건하고자 하는 주소영역에 초점을 맞추는 기술은 비디오 코딩 작업자가 직접 화면에서 주소영역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면 이를 기반으로 주소영역만을 탐색하여 화면에 보여주는 방법과 자동으로 주소영역을 찾아서 보여주는 방법 등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우편영상을 화면에 보여주는 순서에 관한 방법들 중 하 나는 우편영상을 비디오 코딩 데스크의 모니터 화면에 보여줄 때 비디오 코딩을 위한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순서대로 영상을 보여주는 방법이 일반적이나 특정 목적에 맞게 우편영상을 분류하여 분류 기준대로 영상을 보여주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방법들로는 운송편에 따라 비디오 코딩순서를 바꾸는 방법, 우편영상의 인식 수준에 따라 영상을 분류하여 각 수준별로 우편영상을 해당 비디오 코딩 데스크에 보내주는 방법, 우편영상을 보고 타건함에 있어서 키 입력의 효율성에 관한 방법, 주소정보를 구성하는 비숫자 문자 정보를 입력하는데 있어서 효율성에 관한 방법, 광학문자판독기에서 출력한 부분적 인식 결과를 활용하여 후보 문자군들을 보여준 후 선택하게 함으로써 문자 정보의 입력에 있어서 효율성을 달성하고자 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방법들 중 특히 오프라인 방법에서 오프라인 광학문자판독기에 의해 배달점 코드화 실패 시 사람이 비디오 코딩 데스크의 모니터에 띄워지는 우편물의 주소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우편영상을 보고 우편물의 주소정보에 대응하는 배달점을 타건기로 타건하여 코드화하는 오프라인 비디오 코딩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편물의 주소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우편영상을 보고 우편물의 주소정보에 대응하는 배달점을 타건기로 타건하여 코드화를 시도함에 있어서, 비슷한 키 입력 유지 및 숫자 키 입력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주소 정보의 인식에 실 패한 우편영상을 주소 정보를 인식한 수준에 따라 분배하고, 분배된 우편영상들을 도착순서가 인근한 우편영상에 대하여 전단계에서 주소 정보를 인식한 지역이 동일하게 그룹화하여 비디오 코딩 처리 우선 순위 결정한 다음, 우편영상의 주소 정보가 숫자 정보인지 문자 정보인지 판별한 결과에 따라서 숫자 키패드 입력으로 해당 주소 정보를 배달점 코드로 비디오 코딩하거나, 혹은 과거의 처리 통계정보를 기반으로 자동 선택되는 해당 주소 정보를 선택하거나 문자 키패드 입력으로 해당 주소 정보를 배달점 코드로 비디오 코딩하는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은, 주소 정보의 인식에 실패한 우편영상을 주소 정보를 인식한 수준에 따라 분배하는 제1과정과; 주소 정보 인식 수준별로 분배된 우편영상들을 도착순서가 인근한 우편영상에 대하여 전단계에서 주소 정보를 인식한 지역이 동일하게 그룹화하여 비디오 코딩 처리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제2과정; 비디오 코딩 처리 우선 순위가 결정된 우편영상의 주소 정보가 숫자 정보인지 문자 정보인지를 판별하는 제3과정; 비디오 코딩 처리될 우편영상의 주소 정보가 숫자 정보이면 숫자 키패드 입력으로 해당 주소 정보를 배달점 코드로 비디오 코딩하는 제4과정; 및 비디오 코딩 처리될 우편영상의 주소 정보가 문자 정보이면 과거의 처리 통계정보를 기반으로 자동 선택되는 해당 주소 정보를 선택하거나 문자 키패드 입력으로 해당 주소 정보를 배달점 코드로 비디오 코딩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은,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편물이 우편물 자동 처리 시스템 작동 중에 자동 구분되어 이송되는 도중에 스캐너에 의해 획득한 우편영상에서 우편물의 주소정보를 판독하지 못한 경우, 오프라인 광학문자판독기에 의해 이들 우편물의 주소정보에 대응하는 배달점 자동 코드화에 실패하였을 때 사람이 비디오 코딩 데스크의 모니터에 띄워지는 우편물의 주소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우편영상을 보고 우편물의 주소정보에 대응하는 배달점을 타건기로 타건(Key-in)하여 코드화를 시도함에 있어서, 비슷한 키 입력 유지 및 숫자 키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행된다.
가장 먼저, 상기한 비디오 코딩 데스크의 모니터에 우편물의 주소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우편영상, 즉 주소 정보의 인식에 실패한 우편영상이 입력되면 이 우편영상을 주소 정보를 인식한 수준에 따라 분배한다(S10).
이는, 상기 오프라인 광학문자판독기에 의해 완벽한 주소 정보를 인식하여 배달점 코드화에는 실패하였더라도 해당 우편영상에 부분적으로 표시되는 주소 정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입력 우편영상의 주소 정보를 현재 상태에서 인식한 수준에 따라 우편영상을 분배하는 것이다.
이때,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주소 정보를 단계별로 인식한 결과를 기반으로 우편물을 국부적으로 그룹화하여 비슷한 주소정보의 우편물이 연속적으로 영상 타건되게 함으로써 타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주소 정보 인식 수준은 비디오 코딩을 위해 입력된 우편영상이 전단계에서 어느 범주에 속하는 인식까지 성공했는가에 따라서 분배하게 된다. 이러한 주소 정보의 인식 수준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단계의 순차적인 주소 인식 수준으로 구분하였으며, 선행 단계 수준의 주소정보가 획득된 후 다음 단계의 주소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L1)는 특별시/광역시/도까지 인식한 수준이고, 두 번째 단계(L2)는 구/군/시까지 인식한 수준이며, 세 번째 단계(L3)는 동/읍/면까지 인식한 수준이고, 마지막으로 네 번째 단계(L4)는 아파트, 다세대 주택, 빌딩 등을 포함한 다량 배달처를 나타내는 건물명까지 인식한 수준이며, 배달점 코드화를 위한 우편영상은 이상의 인식 수준에 따라 4단계로 분류된다.
상기와 같이 4단계로 분류되는 입력 우편영상 중에서 L1과 L2 수준에도 인식되지 않은 영상은 L2까지의 비디오코딩1(V1)을 처리한 후 L3 이하의 인식을 위한 비디오 코딩 과정으로 진행된다. 또한 최소한 L2까지의 인식이 성공한 상태에서 입력된 영상의 경우에는 비디오코딩2(V2)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주소 코딩이 이뤄지게 된다. 이처럼 입력 우편영상의 상태를 전단계에서 인식 성공한 수준에 따라서 구분하여 분배하면, L1/L2 단계의 주소 코딩만 전문적으로 하여 그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V1), L3 이하 단계의 주소 코딩을 위한 영상을 별도로 배분함으로써 작업 능 률의 상승을 꾀할 수 있다(V2).
실제로,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분류된 우편영상이 인식 수준별로 타건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만약, L2까지 인식 결과가 없는 경우 작업자는 직접 L2까지 비디오 코딩한다. 주소정보에서 L2까지 정보는 분류 수가 많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기억하여 주소정보를 바로 입력할 수 있는 수준이다. 또한, L3까지 주소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에는 L2까지의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그 다음 수준부터 배달점 코드가 얻어지는 상세 주소정보까지 비디오 코딩한다. 마찬가지로, L4까지 주소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에는 L3까지의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그 다음 수준부터 배달점 코드가 얻어지는 상세 주소정보까지 비디오 코딩한다. 마지막으로 L4까지 주소정보가 획득된 경우는 L4까지의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그 다음 수준부터 배달점 코드가 얻어지는 상세 주소정보까지 비디오 코딩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인식 수준별로 우편영상들이 분배되면, 분배된 우편영상들을 도착순서가 인근한 우편영상에 대하여 전단계에서 주소 정보를 인식한 지역이 동일하게 그룹화하여 비디오 코딩 처리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S20).
이 과정에서, 그룹화는 우편영상의 비디오 코딩을 위한 타건의 현 시점에서 비디오 코딩 데스크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우편영상을 기준으로 앞으로 타건 처리될 N개의 우편영상을 처리 대상으로 한다. 여기서, N은 사용자 정의 가능하고, N개의 우편영상 중에서 현 시점에서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는 우편영상과 동일한 인식 결 과를 갖는 영상들이 우선 타건 우편영상으로 분류되어 처리 순서가 변경되며, 도 4를 참조하여 우편영상의 그룹화에 의한 비디오 코딩 처리 순위 결정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주소 정보를 단계별로 인식한 결과를 기반으로 우편영상이 분배되고 나면, 각 비디오 코딩 데스크별로 도 3에서 언급한 비디오코딩2(V2) 과정에서, 도 4에 나타내 바와 같이, 우편영상들이 #1, #2, #3, … 등과 같이 순차적으로 도착하게 된다.
상기 우편영상들이 도착한 순서대로 비디오 코딩 처리를 할 수는 있으나, 입력함에 있어서, 전단계에서 주소를 인식한 지역이 동일하다면 그 하위에 대한 주소정보만 처리하게 되므로 코딩 처리 속도가 상승하게 된다. 예를 들어, 계속해서 특정 주소지(예컨대,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해당하는 우편영상만 입력되면 이에 대한 코딩처리는 동등한 수준의 다른 지역의 우편영상이 섞여서 입력되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일 수 있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우편영상이 입력 완료된 후에 우편영상들을 지역정보별로 그룹화하여 처리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규격의 윈도우(Window; 예컨대, W1, W2, W3, …)를 설정하여, 이 윈도우 범위에서는 동일하게 도착한 걸로 간주하여 첫 번째 처리할 우편영상과 동일한 주소범위의 영상을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배분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W1에 해당하는 우편영상이 #1, #2, #3, #4로 4개라고 할 때, #1의 전단계 주소정보인 A와 동일한 #4의 영상을 우선적으로 배치 하여 코딩처리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1에 대한 영상을 코딩처리(C#1)하게 되면 일정한 규격의 윈도우는 W2로 설정되어 #2부터 #5에 해당하는 우편영상이 그 범주에 속하게 되고, W2내의 첫 번째 영상인 #4의 영상의 전단계 주소정보인 A와 동일한 #5의 영상을 우선적으로 배치하게 된다. #4에 대한 코딩처리(C#2) 후, W3에서는 #5의 영상이 첫 번째이나 전단계의 동일한 주소정보를 지닌 영상이 없으므로 별다른 우선 순위의 배분 없이 연속적으로 코딩처리(C#3)되고, 이후에 #2가 코딩처리된다.
상기와 같이 비디오 코딩 처리 우선 순위가 결정되고 난 후, 실제로 비디오 코딩처리를 하기 전에, 먼저 우편영상의 주소 정보가 숫자 정보인지 문자 정보인지를 판별한다(S30).
이때, 만약, 비디오 코딩 처리될 우편영상의 주소 정보가 숫자 정보이면 숫자 키패드 입력만으로 간단하게 해당 주소 정보를 배달점 코드로 비디오 코딩한다(S40).
다른 한편, 비디오 코딩 처리될 우편영상의 주소 정보가 문자 정보이면 과거의 처리 통계정보를 기반으로 자동 선택되는 해당 주소 정보를 선택하거나 문자 키패드 입력으로 해당 주소 정보를 배달점 코드로 비디오 코딩한다(S50).
만약, 코딩 처리하려고 하는 우편영상의 주소정보가 문자일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에서 언급한 L3 이하의 비디오코딩2(V2) 과정에서, 예컨대 문자 주소정보의 키워드 "ㅇ ㅅ"을 입력하면 그 후보군이 과거의 처리된 통계정보 에 기반하여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V21, V22, V23, …) 우선적으로 사용자에게 제시되어 해당하는 번호만 선택하면 자동적으로 주소정보가 입력되고 해당 주소 정보를 배달점 코드로 코딩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우편영상의 주소정보가 후보군에서 낮은 비율의 통계정보를 지닐 경우나 제시된 후보군에서 쉽게 식별하기 힘든 경우에는 추가적인 문자 키워드에 대응하는 문자 키패드를 직접 입력하여 원하는 주소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주소 정보를 배달점 코드로 코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은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에 의하면, 오프라인 광학문자판독기에 의해 배달점 코드화 실패 시 사람이 비디오 코딩 데스크의 모니터에 띄워지는 우편물의 주소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우편영상을 보고 우편물의 주소정보에 대응하는 배달점을 타건기로 타건하여 코드화할 때 비슷한 키 입력 유지 및 숫자 키 입력을 활성할 수 있으므로 비디오 코딩 작업의 생산성을 개선하고 작업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주소 정보의 인식에 실패한 우편영상을 주소 정보를 인식한 설정범위별로 분배하는 제1과정과;
    주소 정보 인식 설정범위별로 분배된 우편영상들을 도착순서가 설정범위내 우편영상에 대하여 전단계에서 주소 정보를 인식한 지역이 동일하게 그룹화하여 비디오 코딩 처리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제2과정;
    비디오 코딩 처리 우선 순위가 결정된 우편영상의 주소 정보가 숫자 정보인지 문자 정보인지를 판별하는 제3과정;
    비디오 코딩 처리될 우편영상의 주소 정보가 숫자 정보이면 숫자 키패드 입력으로 해당 주소 정보를 배달점 코드로 비디오 코딩하는 제4과정; 및
    비디오 코딩 처리될 우편영상의 주소 정보가 문자 정보이면 과거의 처리 통계정보를 기반으로 자동 선택되는 해당 주소 정보를 선택하거나 문자 키패드 입력으로 해당 주소 정보를 배달점 코드로 비디오 코딩하는 제5과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는 오프라인 광학문자판독에 의해 완벽한 주소 정보를 인식하여 배달점 코드화에 실패한 우편영상에 부분적으로 표시되는 주소 정보를 현재 상태에서 인식한 설정범위별로 우편영상을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 우편영상들을 도착순서가 설정범위내 우편영상에 대하여 전단계에서 주소 정보를 인식한 지역이 동일하게 그룹화하여 비디오 코딩 처리 우선 순위를 결정할 때, 순차적으로 도착한 우편영상에 대한 일정한 규격의 윈도우(Window)를 설정하여, 이 윈도우 범위에서는 동일하게 도착한 걸로 간주하여 첫 번째 처리할 우편영상과 동일한 주소범위의 영상을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
KR1020070062327A 2006-12-04 2007-06-25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 KR100864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540 2006-12-04
KR20060121540 2006-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955A KR20080050955A (ko) 2008-06-10
KR100864093B1 true KR100864093B1 (ko) 2008-10-16

Family

ID=3980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327A KR100864093B1 (ko) 2006-12-04 2007-06-25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507B1 (ko) 2008-12-17 2012-03-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인식 기반 다국어 접수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7210A (ja) * 1995-08-24 1997-03-04 Toshiba Corp 郵便物処理装置
KR20050062356A (ko) * 2003-12-20 2005-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글 주소 문자열의 고속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7210A (ja) * 1995-08-24 1997-03-04 Toshiba Corp 郵便物処理装置
KR20050062356A (ko) * 2003-12-20 2005-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글 주소 문자열의 고속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507B1 (ko) 2008-12-17 2012-03-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인식 기반 다국어 접수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955A (ko) 2008-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800B1 (ko) 우편물들상의 루팅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자동 판독 방법 및 장치
US67688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ddress fields on mail items
US6796433B2 (en) Method of post processing OCR information obtained from mailpieces using a customer specific keyword database and a mailpiece sorting apparatus
JP2000512544A (ja) 郵便物の処理方法
US20080273749A1 (en) Implicit video coding confirmation of automatic address recognition
US71810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ading the addresses of items of mail
KR20010030737A (ko) 우편물에 대한 배달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7219095B1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updating an address database with recorded address records
EP2260952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 Transports eines Gegenstands zu einer Aufnahmeeinheit
US20160155083A1 (en) Delivery management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acquisition apparatus, delivery management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delivery management method
KR100864093B1 (ko) 우편물 주소 정보 비디오 코딩 방법
JP4907932B2 (ja) サーバ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紙葉類処理システム、区分情報の処理方法、および区分方法
JP4518141B2 (ja) 画像照合方法及び画像照合装置並びに画像照合プログラム
JP2005521136A (ja) 送付物の宛先を読み取る方法および装置
US10235564B2 (en) Delivery handling apparatus, delivery handling method, and delivery handling program
JP6625853B2 (ja) 配達管理システム
JP200205634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紙葉類区分装置、および紙葉類区分方法
JP2007268466A (ja) 郵便物処理装置、および郵便物処理方法
JP5356654B2 (ja) 郵便物自動区分システム
JPH11179289A (ja) 郵便物区分装置
US20060102530A1 (en) Sorting mail in carrier walk sequence
JP2000268128A (ja) 画像表示方法と画像表示装置とコーディングデスクと郵便物処理システム
JP3402303B2 (ja) ビデオコーディング方法およびビデオコーディング装置
JPH0957207A (ja) ビデオコ−ディングシステム、郵便物処理装置及び郵便物処理方法
JPH1190339A (ja) 区分機と区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