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655B1 - 투피스 메일 브릿지 - Google Patents

투피스 메일 브릿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655B1
KR100863655B1 KR1020070103924A KR20070103924A KR100863655B1 KR 100863655 B1 KR100863655 B1 KR 100863655B1 KR 1020070103924 A KR1020070103924 A KR 1020070103924A KR 20070103924 A KR20070103924 A KR 20070103924A KR 100863655 B1 KR100863655 B1 KR 100863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eper
abutment
wall
tooth
dental prosth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완영
Original Assignee
장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70103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655B1/ko
Application filed by 장완영 filed Critical 장완영
Priority to CN200880003373A priority patent/CN101626737A/zh
Priority to PCT/KR2008/001472 priority patent/WO2008114974A1/en
Priority to CA2790010A priority patent/CA2790010A1/en
Priority to AU2008227304A priority patent/AU2008227304A1/en
Priority to US12/529,696 priority patent/US8221120B2/en
Priority to CN201210349986.4A priority patent/CN104287852A/zh
Priority to CA2672880A priority patent/CA2672880C/en
Priority to JP2009553524A priority patent/JP2010521218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655B1/ko
Priority to US13/517,504 priority patent/US20120286440A1/en
Priority to JP2013041693A priority patent/JP2013135896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3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to residual teeth by using bolt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 A61C2013/2753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ridging b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 특허출원 10-2007-0071458, 특허출원 10- 2007-0088722 출원인 장완영 본인의 개량 특허 출원이며 앞선 발명이 볼트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이번 발명은 볼트의 결합력을 대체하며 작업의 난이도와 공정을 대폭 줄임으로써 볼트가 이용되기 어려운 조건의 보철물을 제작 할 수 있고 또한 제작 비용이 현저히 줄어듦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조는 무삭제 구치부인 경우 일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감싸도록 배치되는 키퍼에 키퍼 메일(male)이 추가되고 타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동시에 감싸면서 인공치로 작용하며 상기 키퍼의 키퍼 메일과 마찰력으로 결합하는 바디 피메일(female)을 구비한 바디;를 포함하는 치과용 보철물로 특정지울 수 있고, 전치부인 경우 일측 지대치를 설측과 순측 인접면을 동시에 감싸도록 배치되는 키퍼에 키퍼메일(keeper male)이 추가되고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타측 지대치의 설측과 순측 인접면을 동시에 감싸면서 상기 키퍼의 키퍼메일과 마찰력으로 결합하는 바디피메일을 구비한 바디;를 포함하는 치과용 보철물로 특정 지울 수 있으며, 지대치 양쪽 내사면에 키를 포함하는 특허출원 10-2007-0088722 의 개량인 경우에는 위 상기 구조에서 전치와 구치의 키퍼와 바디의 내사면에는 가느다란 반원추형의 키(key)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보철물로 특정지울 수 있다.
보철물,주조

Description

투피스 메일 브릿지 {2-piece male bridge}
치과용 보철물
크라운 브릿지, 메릴랜드 브릿지, 투키 브릿지
본 발명은 치과용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부분(2piece)으로 나누어 제작되어 지대치(자연치)의 무삭제나 소량삭제로 , 간편하게 설치되며, 교합압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는 조립식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상의 질병으로 치아가 상하거나 손실되는 경우 보철을 행한다. 보철은 약한 치아를 감싸거나 상실된 부위를 수복하는 것인데, 그 중에서 상실된 치아의 측면에 위치하는 자연치를 지대치로 활용하는 크라운 브릿지(crown brige)가 가장 일반적이다. 크라운 브릿지는 도 1과 같이 상실되 치아가 있던 부위에 인공치(12)를 위치시키고, 측면 지대치(10)를 일부 삭제한 후 지대치(10)에 크라운(11)을 씌워 고정하는 보철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크라운 브릿지는 삭제(프랩)작업시 환자의 고통을 초래하고, 지대치의 치질 삭제량이 많아 치수의 변성 등 2차적인 문제를 초래하여, 치수의 노출 및 과민반응 등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지대치의 교합면이 삭제되는 것이므로 종전과 같은 자연스러운 교합면의 수복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단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와 같은 인레이형 보철물이 사용되기도 한다. 인레이형 보철물은 치아 상실 부위에 인공치(20)을 끼워 지지시키되, 측부 지대치에 고정되는 인레이(22)를 인공치(20)의 요입흠(21)에 끼워 맞춰 지지하는 방식의 보철물이다. 지대치(도1의 10참조)에 인레이(22)의 돌기(24)가 끼워지도록 구멍을 낸 후, 상기 구멍에 인레이(22)를 삽입, 접착(시멘트)시키고 인레이(22)의 삽입부(27)가 인공치(20)의 요입흠(21)에 끼워지도록 상부로부터 삽입한다. 상기 인레이형 보철물은 지대치(10)에 구멍을 정밀하게 뚫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지대치에 형성되는 구멍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우 교합 이상이 발생하고 환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인레이형 보철물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끼워 맞춤식 보철물이 공지 되었다. 끼워 맞춤식 보철물은 복수의 유지부(33)가 지대치(38)의 자체(36)에 끼워 맞춤으로서 고정하는 방식이다. 상기 유지부(33)는 필요에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어 조립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끼워 맞춤식 보철물은 지대치(38)를 삭제하지 않는 방식이라 교합성이 좋고 환자의 고통을 감소시키는 장점은 있었으나, 끼워 맞추어 접합하는 방식이므로 접합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보철물을 조립하여 시술하는 과정에서 유지부(33)를 지대치(38)에 접착하여 유지한 상태에서 인공치(35)를 끼워 넣게 되므로 웅체(37)와 자체(36)가 정밀하게 맞아 들어가지 않으면 교합에 문제점이 발생하거나 교합압을 지탱하지 못해 장기간 사용시 보철물의 변형이 우려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두 부분으로 제작된 의치 조립체로서 무삭제 방식과 양 지대치의 인접면에 지대치의 소량삭제로 반원추형의 유지부(419),(429)를 추가로 형성하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두 부분으로 간편하게 설치되며 교합 압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는 조립식 보철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 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앞서 출원한 발명과 달리 무삭제이거나, 바디의 내사면에 가느다란 반원추형의 키(key,180,380) 상태에서 볼트 결합 방식을 택한것에 비해 볼트 결합방식을 대신하여 키퍼 메일(keeper male,101),바디 피메일(body female,301)의 마찰저항으로 필요한 유지력을 확보하면서도 볼트 결합 방식의 고도의 숙련을 필요로 하는 어려운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고, 또한 각종 볼트를 작업과정에서 사용하지 않으므로써, 제작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에 시간과 경비를 줄여 생산성을 높여 보철물을 제공받는 자에게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환자의 경제적 부담도 덜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실치를 수복하기 위한 치과용 보철물로써, [도5]의 구치부인 경우 일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감싸며 키퍼 바닥부의 치아상실부 한가운데 결합부인 키퍼메일을 가지고 배치되는 키퍼; 타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감싸며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상기 키퍼의 키퍼 메일과 마찰저항으로 결합하는 바디 피메일을 인공치 내부(303)에 구비된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을 제공하며,도4의 경우 상기 키퍼와 바디의 내사면에는 가느다란 반원추형의 키(key)(180,380)가 더 포함된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무삭제인 경우(도5)에는 상기 키퍼와 바디의 내사면에는 키를 가지지 않는다.
[도12]은 구치부의 다른 실시예로 키퍼로 사용되는 일측지대치가 최후방치일 경우 일측지대치를 설측과 협측 및 원심측을 동시에 감싸도록 배치되며 키퍼 바닥부의 치아상실부 한가운데 결합부인 키퍼메일(101)을 포함하고 있는 키퍼(100); 타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동시에 감싸면서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상기 키퍼메일(101)과 마찰저항으로 결합되는 바디 피메일(301)을 인공치 내부(303) 구비된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을 제공한다. 상기 키퍼는 상기 양측 지대치가 형성하는 치아 상실부에 안착되도록 된 키퍼바닥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바디바닥부에는 상기 키퍼바닥부가 끼워지는 끼움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찰저항을 위한 키퍼메일은 끼움요부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퍼바닥부에는 키퍼 홈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 끼움요부에는 이와 대응되도록 끼움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으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키를 이용한 구치부 전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무삭제 구치부 전체 사시도이며 , 도 6은 본 발명의 키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키를 이용한 전치부의 조립도이며,도7b는 설측 절단면에서 본 키 형성부,도7c는 키를 이용한 전치부 바디 설측도, 도 8a는 무삭제 전치부 조립도이며,도8b는 설측 절단면에서 본 무삭제 치아상태이며, 도8c는 무삭제 형식의 전치부 바디 설측도이고,도9a는 각종 키퍼 바닥부 모양을 나타내는 상면도이고,도9b는 각종 키퍼메일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10은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각종 키퍼메일(101)의 단면도이다.도11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키퍼 바닥부 설명도, 도11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바닥부 설명도, 도12는 구치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의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필수적이지 않은 부분은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생략된 부분은 통상의 치과용 보철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따른다.
다음으로서 본 보철물의 제작과정을 설명하면,
병원에서는 주모형을 복제하여 매몰재 모형을 만든 다음, 그 위에 키퍼 플레이트와 키퍼외벽 그리고 키퍼메일을 각종 wax를 이용하여 조각한다. 키퍼 플레이트는 24게이지 시트왁스(sheet wax)를 이용하여 간단히 조각하고 키퍼 외벽과 키퍼 메일을 타측 지대치의 내사면과 같은 각도의 삽입로를 가진다. 이때 무삭제인 경우는 키가 형성되지 않고, 소량삭제의 경우에는 일측 지대치의 내사면에는 가느다란 반원추형의 유지부가 형성되며, 이때 전치부의 경우에는 키퍼 외벽의 연장부인 순측 유지부를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보철물을 얻을 수 있다. 조각이 완성되면 통상의 방법으로 스푸루(sprue)를 형성하고 매몰재로 매몰하여 주조하게 된다. 주조된 키퍼는 연마과정을 거쳐 주모형에 안착되고, 앞선 출원이 볼트의 위치 재현에 정확성을 꾀하기 위해 고도의 숙련이 필요한 섬세한 복제과정을 거치것에 비해 이번 발명은 아주 단순한 복제 방법으로 주 모형에 안착된 키퍼 전체를 주모형과 함께 복제하여 생긴 매몰제 모형에서 바디를 조각하게 되는데 바디 외벽과 바디 피메일은 키퍼 외벽과 키퍼 플레이트가 복제된 매몰제 모형위에 서 바로 조각하게 되므로 키퍼 외벽과 키퍼 메일과 같은 삽입로를 가진 바디 외벽과 바디 피메일이 자동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바디 플레이트도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24게이지 시트왁스로 조각하고 전치부의 키(key)가 형성된 경우에는 순측 유지부를 최소화 하여 형성한다. 그 다음 금속 결합부인 경우에는 왁스로 교합면을 형성하고 레진교합면이나 도재교합면일 경우 레진이나 도재가 올려질 부분을 감안하여 교합부를 형성하고, 특히 레진 교합부인 경우에는 레진과 금속의 기계적 결합을 위한 유지부분이 추가로 형성된다. 모든 왁스 작업이 완료되면 통상의 방법으로 스푸루를 형성하고 매몰하여 주조한 다음 연마하여, 키퍼메일을 포함한 키퍼와 바디 피메일을 포함한 바디의 결합 보철물이 완성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무삭제 치과용 보철물 제1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과용 구치부 보철물은 일측의 지대치(410)를 설측과 협측에서 감싸는 키퍼(keeper, 100), 타측의 지대치(420)를 설측과 협측에서 감싸며 손상 치아 상실부(430)를 포함한 바디(body,300)로 이루어진다.
키퍼(100)에는 볼트의 결합력을 대신하는 키퍼메일(101)이 있고, 바디(300)에는 키퍼메일과 마찰저항으로 결합하는 바디 피메일(301)이 있다.
키퍼(100)및 바디(300)는 양측 지대치(410.420)모두를 협측과 설측에서 감싸고 있는 바 ,키퍼메일과 바디 피메일의 마찰 저항으로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부위가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순차적으로 조립되므로 지대치(410,420)의 무삭제로 환자의 불편함이 최소화되며, 조립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4의 소량 삭제 방식으로 양쪽 지대치의 내사면에 형성된 유지부(419),(429)에 대응하여 키퍼와 바디에 형성된 키(key),(180),(380) 부위의 견고한 지지로 전치부에 있어서 심미적인 부분을 극대화할 수 있다.
각 부위를 도 4,5,6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6에는 본 발명의 키퍼(100)가 개시되어 있다. 키퍼(100)는 크게 키퍼벽(110), 키퍼바닥부(120) 및 키퍼플레이트(130)와 키퍼 메일(101)로 구성된다. 키퍼플레이트(130) 와 키퍼벽(110) 내면이 일측 지대치(410)의 협설측과 내사면(418) 전부를 실질적으로 감싸며, 키퍼벽(110)의 하단에는 키퍼바닥부(120)가 연결된다. 키퍼바닥부(120)는 상실부(430)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부위로서 통상의 인상, 왁스업(wax up), 주조 등을 포함하는 보철 제조법에 따라 상실부(430)의 모양을 불편함 없이 모사하도록 제조되어 접촉한다. 키퍼벽(110)의 외면은 타측 지대치(420)의 내사면(428) 경사에 해당하는 삽입로를 갖고 지대치(410) 측면에 위치한다. 또한 이에 대한 바디의 외측벽(310)에도 키퍼의 외벽과 같은 삽입로가 형성되어 바디 본체끝(310)에 형성된다. 키퍼벽(110) 내면은 통상의 보철 제조법에 따라 지대치(410)의 언더컷(undercut)을 그대로 모사하도록 제작되며, 치아 소량 삭제 방식의 경우 이미 지대치의 내사면에 형성된 가느다란 반원추형의 유지부(419)를 충실히 모사한 키(key)(180)가 더 포함되어 제작된다.
상기 키퍼벽(110) 내면의 키(180)과 지대치(410)의 유지부(419)와의 긴밀한 접촉에 의하여 보철물의 지지력이 일층 향상된다. 한편, 키퍼 플레이트(130)는 지대치(410)을 협측과 설측에서 감싸며 키퍼벽(110)과 마찬가지로 지대치(410)의 모양을 충실히 모사하도록 제작되며, 양쪽 키퍼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키퍼의 내사면에는 앞서 지대치 내사면에 형성된 가느다란 반원추형의 유지부(419)를 충실히 모사한 키(180)가 더 포함하여 제작된다.
키퍼바닥부(120)는 바디(300)끼움요부에 끼워지는 부위로서 적정한 위치에 키퍼메일을 구비한다. 키퍼바닥부(120)에는 바닥사면(121)이 형성되어 있어 바디(300)와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키퍼바닥부(120)는 상실부(430)의 형태 및 위치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실부(430)의 폭에 따라 키퍼바닥부(120)의 길이가 달라지고 상실부(430)가 구부러져 있는 경우 곡선 형태의 키퍼바닥부(120)가 채용된다. 키퍼(100)는 통상의 보철물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8,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디(300) 구조를 자세히 설명한다. 바디(300)는 상실된 치아를 대신하는 부분으로 심미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제조한다. 바디(300)는 키퍼(100)에 올려져 결합되는 바디본체(310)의 상실 치아를 대신하여 교합면을 형성하는 교합부(320) 및 바디플레이트(340)로 구성되며 소량삭제 방식의 경우 양쪽 바디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바디의 내사면에는 앞서 지대치 내사면에 형성된 가느다란 반원추형의 유지부(429)를 충실히 모사한 키(380)가 더 포함하여 제작된다. 무삭제 방식의 경우는 상기의 키를 가지지 아니한다. 바디본체(310)는 키퍼(100)위에 올려지며 키퍼벽(110)에 꼭 맞추어지도록 통상의 보철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또한 키퍼위에 올려지는 바디 본체의 기저부는 키퍼의 모양과 똑같은 끼움요부가 형성된다.상기 바디본체(310) 위에 광중합 레진 혹은 세라믹재의 교합부(320) 형성 시에 교합부(320)와 바디본체(310) 사이에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핀(309)을 두어 제작한다. 상기 유지핀(309)은 바디본체(310)에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본체(310)의 기저부에는 지대치(420)를 협측과 설측에서 감싸며 키퍼메일과 마찰저항으로 결합하는 바디 피메일(301)이 끼움요부 일측끝 공간(303)에 위치된다. 또한 바디 본체에는 협측과 설측에서 감싸는 바디 플레이트가 있다. 키퍼(100)의 키퍼플레이트(130)가 지대치(410)를 협측과 설측에서 감싸는 바, 전후치 방향으로의 고정력이 시메팅력에 더하여 배가되고 양쪽 키퍼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키퍼의 내사면에는 앞서 지대치 내사면에 형성된 가느다란 반원추형의 유지부(419)를 충실히 모사한 키(180)가 더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4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치과에 보철물이 도착하면 구강 내에서 만족할 만한 접합을 확인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지대치를 청소하여 시멘팅 준비를 한다. 준비완료 후, 키퍼(100)의 키퍼벽(110) 및 키퍼플레이트(130)에 치과용 레진(resin)등의 접착제를 바르고 일측 지대치(410)에 접착한다. 키퍼벽(110), 키퍼플레이트(130) 및 키퍼바닥부(120)가 지대치(410) 및 상실부(430)를 그대로 모사하도록 제작되었으므로 긴밀한 접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키퍼(100)상부에 바디(300)를 조립한다. 바디플레이트(340)에 접착제를 바르고 지대치(420)를 설측과 협측에서 감싸도록 접착한다. 바디(300)또 한 키퍼(100) 접촉 부위를 그대로 모사하도록 제조되므로 긴밀한 접착이 가능하다. 이 경우 바디 피메일(301)은 키퍼메일(101)과 정확히 일치하여 마찰 저항으로 조립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철물이 두부분으로 나누어져 조립되므로 지대치(410,420)의 무삭제나 소량 삭제로 이에 따라 환자의 불편 및 고통과 2차적인 문제점들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시멘팅과 더불어 마찰저항으로 조립되는 방식으로서 끼워 맞춤식보철물에 비하여 조립 정확도 및 접착력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조립 정확도의 향상에 따라 자연스러운 교합 감각을 유지할 수 있고, 치과 의사가 교합 감각을 자연스럽게 하기 위한 작업 시간도 최소화 될 수 있다.
상기 키퍼바닥부(120) 해당하는 플라스틱 패턴은 치아 상실부(530)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도 9와 같이 여러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적정하게 선택되어야 함음 당연하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키퍼(100)의 키퍼바닥부(120)에 다양한 형태의 키퍼홈(123)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같다. 키퍼(100)와 바디(300)는 키퍼바닥부(120)와 바디바닥부(320)의 끼움요부(321)가 끼워 맞추어짐에 따라 상대적인 운동을 할 가능성은 없다. 그러나 상실치가 두 개 이상이 되는 경우 결합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퍼 바닥부(120)의 바닥사면(121)에 다양한 형태의 키퍼홈(123)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 때 바디(300)의 끼움요부(321)에는 이와 치합되는 끼움돌부(322)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끼움홈(123) 및 끼움돌부(322)를 형성할 때 언더컷이 없도록 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제3 실시예)
키퍼가 올려질 지대치가 최후방치일 경우 [도12] 협측과 설측의 키퍼플레이트를 원심까지 연결시키므로써 교합지지력을 훨씬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때에는 지대치 원심측에 언터컷이 없어야 한다. 이하 바디제작공정은 앞의 구치부 작업공정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크라운 브릿지 보철물 구성도
도 2은 종래의 인레이형 보철물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끼워 맞춤식 보철물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키를 이용한 구치부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삭제 구치부 전체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의 키퍼 협측 정면도
도 7 a 키를 이용한 전치부 조립도
도 7 b 설측 절단면에서 본 키 형성부
도 7 c 키를 이용한 전치부 바디 설측도
도 8 a 무삭제 형식의 전치부 조립도
도 8 b 설측 절단면에서 본 무삭제 치아 상태도
도 8 c 무삭제 형식의 전치부 바디 설측도
도 9 a 각종 키퍼 바닥부 모양을 나타내는 상면도
도 9 b 키퍼 메일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는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각종 키퍼메일의 단면도
도 11 a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키퍼 바닥부 설명도
도 11 b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바디 바닥부 설명도
도 12는 구치부의 다른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키퍼 101: 키퍼메일
110: 키퍼벽 120: 키퍼 바닥부
121: 키퍼바닥사면 130: 키퍼플레이트
180: 키퍼에 형성된 키 300: 바디
301: 바디피메일 310: 바디본체
320: 교합부 321: 키퍼바닥부에 올려질 바디 바닥 기저부
340: 바디플레이트
380: 바디에 형성된 키 418,428: 지대치 내사면
419,429: 치아에 형성된 키 형성부 430: 치아 결손 부위

Claims (23)

  1. 상실치를 수복하기 위한 치과용 구치 보철물로써, 일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동시에 감싸며 키퍼 바닥부의 치아상실부 한가운데 결합부인 메일을 가지고배치되는 키퍼; 타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감싸며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상기키퍼의 키퍼메일과 마찰 저항으로 결합되는 바디피메일을 인공치 내부에 구비된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 보철물.
  2. 제 1항에 있어서
    키퍼로 사용될 지대치가 최후방 지대치일 경우 최후방 지대치인 일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 원심면을 감싸며 키퍼 바닥부의 치아상실부 한가운데 결합부인 메일을 가지고 배치되는 키퍼; 타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감싸며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상기 키퍼의 키퍼메일과 마찰 저항으로 결합되는 바디피메일을 인공치 내부에 구비된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 보철물.
  3. 상실치를 수복하기 위한 치과용 전치 보철물로서, 일측 지대치를 설측과 순측 인접면을 동시에 감싸며 키퍼 바닥부의 치아상실부 한가운데 결합부인 메일을 가지고 배치되는 키퍼; 타측 지대치를 설측과 순측 인접면을 감싸며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상기키퍼의 키퍼메일과 마찰 저항으로 결합되는 바디피메일을 인공치 내부에 구비된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 보철물.
  4.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퍼는 상기 양측 지대치가 형성하는 치아 상실부에 안착되도록 된 키퍼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상기 키퍼바닥부를 감싸도록 된 바디바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바닥부에는 상기 키퍼바닥부가 끼워지는 끼움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 피메일은 끼움요부 부위의 안쪽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키퍼 바닥부에는 키퍼 홈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끼움 요부에는 이와 대응되도록 바디의 끼움돌부가 형성된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7.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퍼의 키퍼벽은 타측 지대치의 내사면 경사와 같은 삽입로를 갖추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측 지대치의 내사면 경사와 같은 삽입로를 구비한 키퍼의 벽에 대응하여 결합하며 일측 지대치 끝에 위치한 키퍼벽 끝에 위치하고, 키퍼 벽과 똑같은 삽입로를 가진 바디 외측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9. 상실치를 수복하기 위한 치과용 구치 보철물로써, 일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동시에 감싸며 키퍼 바닥부의 치아상실부 한가운데 결합부인 메일을 가지고 배치되는 키퍼; 타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감싸며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상기키퍼 의 키퍼메일과 마찰 저항으로 결합되는 바디피메일을 인공치 내부에 구비된 바디; 를 포함하며 키퍼와 바디의 내사면에는 이미 지대치의 내사면에 형성된 가느다란 반원추형의 유지부를 충실히 모사한 키(key)를 더 포함하는것이 특징인 치과 보철물.
  10. 제 9항에 있어서
    키퍼로 사용될 지대치가 최후방 지대치일 경우 최후방 지대치인 일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 원심면을 감싸며 키퍼 바닥부의 치아상실부 한가운데를 결합부인 메일을 가지고 배치되는 키퍼; 타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감싸며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상기 키퍼의 키퍼메일과 마찰 저항으로 결합되는 바디피메일을 인공치 내부에 구비된 바디; 를 포함하는 키퍼와 바디의 내사면에는 이미 지대치의 내사면에 형성된 가느다란 반원추형의 유지부를 충실히 모사한 키(key)를 더 포함하는것이 특징인 치과 보철물.
  11. 상실치를 수복하기 위한 치과용 전치 보철물로서, 일측 지대치를 설측과 순측 인접면을 동시에 감싸며 키퍼 바닥부의 치아상실부 한가운데 결합부인 메일을 가지고 배치되는 키퍼; 타측 지대치를 설측과 순측 인접면을 감싸며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상기키퍼의 키퍼메일과 마찰 저항으로 결합되는 바디피메일을 인공치 내부에 구비된 바디; 를 포함하며 키퍼와 바디의 내사면에는 이미 지대치의 내사면에 형성된 가느다란 반원추형의 유지부를 충실히 모사한 키(key)를 더 포함하는것이 특징인 치과 보철물.
  12. 제 9항, 제 10항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퍼는 상기 양측 지대치 사이에 위치하는 치아 상실부에 안착되도록 된 키퍼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상기 키퍼바닥부를 감싸도록 된 바디바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13. 삭제
  14. 삭제
  15. 제 9항, 제 10항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퍼의 키퍼벽은 타측 지대치의 내사면 경사와 같은 삽입로를 갖추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16. 제 9항, 제 10항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측 지대치의 내사면 경사와 같은 삽입로를 구비한 키퍼의 벽에 대응하여 결합하며 일측 지대치 끝에 위치한 키퍼벽 끝에 위치하고 키퍼 벽과 똑같은 삽입로를 가진 바디 외측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1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찰 저항으로 결합하는 키퍼메일과 바디 피메일의 삽입로는 타측 지대치의 내사면과 같은 삽입로를 가진 키퍼외벽과 바디 외측벽의 삽입로와 같은 경사의 삽입로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18. 재 4항에 있어서 마찰 저항으로 결합하는 키퍼메일과 바디 피메일의 삽입로는 타측 지대치의 내사면과 같은 삽입로를 가진 키퍼외벽과 바디 외측벽의 삽입로와 같은 경사의 삽입로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19. 제 7항에 있어서 마찰 저항으로 결합하는 키퍼메일과 바디 피메일의 삽입로는 타측 지대치의 내사면과 같은 삽입로를 가진 키퍼외벽과 바디 외측벽의 삽입로와 같은 경사의 삽입로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20. 제 8항에 있어서 마찰 저항으로 결합하는 키퍼메일과 바디 피메일의 삽입로는 타측 지대치의 내사면과 같은 삽입로를 가진 키퍼외벽과 바디 외측벽의 삽입로와 같은 경사의 삽입로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21. 제 12항에 있어서 마찰 저항으로 결합하는 키퍼메일과 바디 피메일의 삽입로는 타측 지대치의 내사면과 같은 삽입로를 가진 키퍼외벽과 바디 외측벽의 삽입로와 같은 경사의 삽입로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22. 제 15항에 있어서 마찰 저항으로 결합하는 키퍼메일과 바디 피메일의 삽입로는 타측 지대치의 내사면과 같은 삽입로를 가진 키퍼외벽과 바디 외측벽의 삽입로와 같은 경사의 삽입로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23. 제 16항에 있어서 마찰 저항으로 결합하는 키퍼메일과 바디 피메일의 삽입로는 타측 지대치의 내사면과 같은 삽입로를 가진 키퍼외벽과 바디 외측벽의 삽입로와 같은 경사의 삽입로를 가지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KR1020070103924A 2007-03-16 2007-10-16 투피스 메일 브릿지 KR100863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924A KR100863655B1 (ko) 2007-10-16 2007-10-16 투피스 메일 브릿지
PCT/KR2008/001472 WO2008114974A1 (en) 2007-03-16 2008-03-14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A2790010A CA2790010A1 (en) 2007-03-16 2008-03-14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U2008227304A AU2008227304A1 (en) 2007-03-16 2008-03-14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0880003373A CN101626737A (zh) 2007-03-16 2008-03-14 牙齿修复体及其加工方法
US12/529,696 US8221120B2 (en) 2007-03-16 2008-03-14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1210349986.4A CN104287852A (zh) 2007-03-16 2008-03-14 一种牙齿修复体的内螺纹的制造方法
CA2672880A CA2672880C (en) 2007-03-16 2008-03-14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9553524A JP2010521218A (ja) 2007-03-16 2008-03-14 歯科用補綴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13/517,504 US20120286440A1 (en) 2007-03-16 2012-06-13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3041693A JP2013135896A (ja) 2007-03-16 2013-03-04 歯科用補綴物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924A KR100863655B1 (ko) 2007-10-16 2007-10-16 투피스 메일 브릿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3655B1 true KR100863655B1 (ko) 2008-10-15

Family

ID=4015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924A KR100863655B1 (ko) 2007-03-16 2007-10-16 투피스 메일 브릿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6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215B1 (ko) 2010-11-08 2011-05-20 김종우 치과용 보철물
KR101037558B1 (ko) * 2009-11-19 2011-05-31 이일홍 복합형 치아 보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1480A1 (fr) * 1987-10-08 1989-04-14 Segura Claude Prothese dentaire conjointe de type colle et son procede de montage
KR20070008374A (ko) * 2005-07-12 2007-01-17 권오달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1480A1 (fr) * 1987-10-08 1989-04-14 Segura Claude Prothese dentaire conjointe de type colle et son procede de montage
KR20070008374A (ko) * 2005-07-12 2007-01-17 권오달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558B1 (ko) * 2009-11-19 2011-05-31 이일홍 복합형 치아 보철
KR101036215B1 (ko) 2010-11-08 2011-05-20 김종우 치과용 보철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3856B2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US10980618B2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US20180353270A1 (en) Dental prosth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6224374B1 (en) Fixed, splinted and removable prosthesis attachment
JP2010521218A (ja) 歯科用補綴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11690700B2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JPS62502243A (ja) 歯冠構成用リング及び同リング使用の歯の復元方法
CN101203191A (zh) 牙科修复体和它的制作方法
US4744758A (en) Partial denture attachment appliance
KR100788794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US5951290A (en) Procedure for the preparation of fixed dental prostheses made of resin, inserts for the same and fixed prostheses obtained in this way
Ibbetson Clinical considerations for adhesive bridgework
KR100785246B1 (ko) 카본 혹은 세라믹 볼트가 채용된 주조법을 이용한 키브릿지
JP2004523290A (ja) ピン保持インレーブリッジ及びその製造及び装着方法
CA3017503C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KR100863655B1 (ko) 투피스 메일 브릿지
KR100758781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85247B1 (ko) 카본 혹은 세라믹 볼트가 채용된 주조법을 이용한 무삭제치과용 보철물
KR20050014391A (ko) 의치 브릿지 조립체
JP3777314B2 (ja) 暫定義歯
US5213501A (en) Mechanically retained fixed partial denture
KR101060707B1 (ko) 치아 보철물을 위한 연결 고정체/연결 고정체 고정방법 및 연결 고정체의 보조물
JP3626752B1 (ja) 人工歯複合体の製造方法
RU2373894C2 (ru) Зубной протез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090024599A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