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247B1 - 카본 혹은 세라믹 볼트가 채용된 주조법을 이용한 무삭제치과용 보철물 - Google Patents

카본 혹은 세라믹 볼트가 채용된 주조법을 이용한 무삭제치과용 보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247B1
KR100785247B1 KR1020070071458A KR20070071458A KR100785247B1 KR 100785247 B1 KR100785247 B1 KR 100785247B1 KR 1020070071458 A KR1020070071458 A KR 1020070071458A KR 20070071458 A KR20070071458 A KR 20070071458A KR 100785247 B1 KR100785247 B1 KR 100785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eper
abutment
prosthesis
lingual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완영
Original Assignee
장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완영 filed Critical 장완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247B1/ko
Priority to US12/529,696 priority Critical patent/US8221120B2/en
Priority to AU2008227304A priority patent/AU2008227304A1/en
Priority to CA2790010A priority patent/CA2790010A1/en
Priority to JP2009553524A priority patent/JP2010521218A/ja
Priority to CN200880003373A priority patent/CN101626737A/zh
Priority to PCT/KR2008/001472 priority patent/WO2008114974A1/en
Priority to CA2672880A priority patent/CA2672880C/en
Priority to CN201210349986.4A priority patent/CN104287852A/zh
Priority to US13/517,504 priority patent/US20120286440A1/en
Priority to JP2013041693A priority patent/JP2013135896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3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to residual teeth by using bolt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1Making teeth by casting or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3Porcelain or ceramic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 A61C2013/2753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ridging b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 특허출헌 10-2007-0026075(2007.03.16)
출원인 장완영 본인의 개량 특허 출원이며 앞선 발명이 세부분(3piece)으로 제작된 것에 비해, 이번 발명은 두 부분(2piece)으로 나누어 더욱 간편하게 제작되어 정밀도를 향상 시켜 더욱더 견고하고 작업공정을 낮춤으로서 제작비를 현저히 줄일수 있는 이점으로 지대치(자연치)의 무삭제가 가능하고 간편하게 설치되며 교합 압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는 나사 체결식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카본 혹은 세라믹 볼트를 채용한 나사 체결식 보철물의 주조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치부의 경우 일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동시에 감싸도록 배치되는 키퍼; 타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동시에 감싸면서 인공치로 작용하며 상기 키퍼와 나사로 결합되는 바디;를 포함하는 치과용 보철물로 특정지울 수 있으며, 전치부의 경우 일측 지대치를 설측과 순측 인접면을 동시에 감싸도록 배치되는 키퍼;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타측 지대치의 설측과 순측 인접면을 동시에 감싸면서 상기 키퍼와 나사로 결합되는 바디; 를 포함하는 치과용 보철물로 특정 지을수 있다.
보철물, 카본, 세라믹, 볼트, 주조

Description

카본 혹은 세라믹 볼트가 채용된 주조법을 이용한 무삭제 치과용 보철물{Dental prosthesis}
치과용 보철물
크라운 브릿지, 메릴랜드 브릿지, 투키 브릿지
본 발명은 치과용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부분(2piece)으로 나누어 제작되어 지대치(자연치)의 무삭제가 가능하고, 간편하게 설치되며, 교합압력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는 체결식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카본 혹은 세라믹 볼트를 채용한 나사 체결식 보철물의 주조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상의 질병으로 치아가 상하거나 손실되는 경우 보철을 행한다. 보철은 약한 치아를 감싸거나 상실된 부위를 수복하는 것인데, 그 중에서 상실된 치아의 측면에 위치하는 자연치를 지대치로 활용하는 크라운 브릿지(crown brige)가 가장 일반적이다. 크라운 브릿지는 도 1과 같이 상실되 치아가 있던 부위에 인공치(12)를 위치시키고, 측면 지대치(10)를 일부 삭제한 후 지대치(10)에 크라운(11)을 씌워 고정하는 보철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크라운 브릿지는 삭제(프랩)작업시 환자의 고통을 초래하고, 지대치의 치질 삭제량이 많아 치수의 변성 등 2차적인 문제를 초래하여, 치수의 노출 및 과민반응 등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지대치의 교합면이 삭제되는 것이므로 종전과 같은 자연스러운 교합면의 수복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단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와 같은 인레이형 보철물이 사용되기도 한다. 인레이형 보철물은 치아 상실 부위에 인공치(20)을 끼워 지지시키되, 측부 지대치에 고정되는 인레이(22)를 인공치(20)의 요입흠(21)에 끼워 맞춰 지지하는 방식의 보철물이다. 지대치(도1의 10참조)에 인레이(22)의 돌기(24) 가 끼워지도록 구멍을 낸 후, 상기 구멍에 인레이(22)를 삽입, 접착(시멘트)시키고 인레이(22)의 삽입부(27)가 인공치(20)의 요입흠(21)에 끼워지도록 상부로부터 삽입한다. 상기 인레이형 보철물은 지대치(10)에 구멍을 정밀하게 뚫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지대치에 형성되는 구멍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우 교합 이상이 발생하고 환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인레이형 보철물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끼워 맞춤식 보철물이 공지 되었다. 끼워 맞춤식 보철물은 복수의 유지부(33)가 지대치(38)의 자체(36)에 끼워 맞춤으로서 고정하는 방식이다. 상기 유지부(33)는 필요에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어 조립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끼워 맞춤식 보철물은 지대치(38)를 삭제하지 않는 방식이라 교합성이 좋고 환자의 고통을 감소시키는 장점은 있었으나, 끼워 맞추어 접합하는 방식이므로 접합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보철물을 조립하여 시술하는 과정에서 유지부(33)를 지대치(38)에 접착하여 유지한 상태에서 인공치(35)를 끼워 넣게 되므로 웅체(37)와 자체(36)가 정밀하게 맞아 들어가지 않으면 교합에 문제점이 발생하거나 교합압을 지탱하지 못해 장기간 사용시 보철물의 변형이 우려되는 단점이 있다.또한 본인이 개발한 세 부분으로 된 무삭제 보철물도 세 부분으로 제작되므로 인해 발생하는 작업공정의 복잡함을 줄이고 제작비를 낮춤으로서 작업의 효율성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대치를 삭제하지 않는 무삭제 방식으로서, 두 부분으로 간편하게 설치되며 교합 압력이 고르게 분산 될 수 있는 나사 체결식 보철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앞서 출원이 세부분으로 나누어 진 것에 비해 두부분으로 제작되어 더욱 간편하게 제작 되며 더욱 견고하고, 공정이 줄어 제작비가 현저히 감소하며 정밀도가 더욱더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치과용 보철물이 제공됨에 따라, 지대치의 삭제가 불필요하여 환자의 고통 및 2차적인 문제점 발생이 최소화되고, 간편하게 설치 가능하며, 교합 압력 또한 고르게 분산될 수 있는 치과 치료가 가능해 진다. 또한 특별히 안출된 티타늄 혹은 세라믹 볼트의 활용으로 정확한 나사 결합 구멍의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실치를 수복하기 위한 치과용 보철물로써, [도4]의 구치부인 경우 일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감싸도록 배치되는 키퍼; 타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감싸면서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상기 키퍼와 나사로 결합되는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을 제공한다.
[도7]의 전치부의 경우 일측 지대치를 설측과 순측 인접면을 동시에 감싸도록 배치되는 키퍼;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타측 지대치의 설측과 순측 인접면을 동시에 감싸면서 상기 키퍼와 나사로 결합되는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을 제공한다. [도16]은 구치부의 다른 실시예로 키퍼로 사용되는 일측지 대치가 최후방치일 경우 일측지대치를 설측과 협측 및 원심측을 동시에 감싸도록 배치되는 키퍼; 타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동시에 감싸면서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상기 키퍼와 나사로 결합되는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을 제공한다. [도17]은 전치부의 다른 실시예로 양쪽 지대치의 내사면의 언더컷 상태가 거의 없는 경우 양 지대치의 설측을 동시에 감싸며 일체로 된 키퍼;에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지대치로 사용되는 양쪽 순면의 인접면을 감싸며 키퍼와 나사로 결합되는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을 제공한다. 상기 키퍼는 상기 양측 지대치가 형성하는 치아 상실부에 안착되도록 된 키퍼바닥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바디바닥부에는 상기 키퍼바닥부가 끼워지는 끼움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구멍은 끼움요부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퍼바닥부에는 키퍼 홈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 끼움요부에는 이와 대응되도록 끼움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조법을 보면 바디의 주조를 위한 복제모델을 구성하는 단계가 나사 결합을 위해 키퍼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티타늄 볼트를 끼우는 제1단계 ,인상을 행하는 제2단계, 인상체 경화 후 티타늄 볼트와 인상대상인 주모형 및 먼저 제작된 키퍼를 제거하는 제3단계, 티타늄 볼트가 제거된 자리에 카본 또는 세라믹 볼트를 끼워 넣는 제4단계, 조각 및 매몰을 통한 주조의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티타늄 볼트에는 복제 재료 주입지시부위가 표시되어 있어 상 기 제2단계에서 상기 주입지시부위까지 인상재를 주입하고, 상기 세라믹 볼트에는 위치지시부위가 표시되어 있어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위치지시부위까지 끼워 넣는 것이 유리 할 수 있다.
또한, 압축 성형된 카본과 세라믹을 선반 가공하여 카본 볼트와 세라믹 볼트를 얻은 다음 이를 이용한 주조로 치과용 보철물에 암나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으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구치부 전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는 1개 상실 구치부 상면 조립도이며 , 도 6은 본 발명의 키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전치부의 조립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2개 상실 구치부 상면 조립도이고, 도9내지 도10, 도12는 본 발명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16은 구치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17은 전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한편, 도 13과 도 15는 본 발명의 주조에 사용되는 복제용 및 주조용 볼트 측면도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의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필수적이지 않은 부분은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생략된 부분은 통상의 치과용 보철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따른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나사 체결식 무삭제 치과용 보철물 제1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과용 구치부 보철물은 일측의 지대치(410)를 설측과 협측에서 감싸는 키퍼(keeper, 100), 타측의 지대치(420)를 설측과 협측에서 감싸며 손상 치아 상실부(430)를 포함한 바디(body,300)로 이루어진다.
키퍼(100)및 바디(300)에는 각 부위를 관통하는 볼트 체결용 홀이 세라믹 볼트를 이용한 주조법으로 구비되고, 상기 홀들은 직선 상으로 정렬되어 체결용 볼트(350)로 체결된다.
키퍼(100)및 바디(300)는 양측 지대치(410.420)모두를 협측과 설측에서 감싸고 있는 바 , 공통의 홀에 의한 나사 체결에 의하여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부위가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순차적으로 조립되므로 지대치(410,420)의 삭제(프랩)는 불필요하고 환자의 불편함이 최소화되며, 조립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각 부위를 도 4,5,6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6에는 본 발명의 키퍼(100)가 개시되어 있다. 키퍼(100)는 크게 키퍼벽(110), 키퍼바닥부(120) 및 키퍼플레이트(130)로 구성된다. 키퍼플레이트(130) 와 키퍼벽(110) 내면이 일측 지대치(410)의 협설측과 내사면(418) 전부를 실질적으로 감싸며, 키퍼벽(110)의 하단에는 키퍼바닥부(120)가 연결된다. 키퍼바닥부(120)는 상실부(430)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부위로서 통상의 인상, 왁스업(wax up), 주조 등을 포함하는 보철 제조법에 따라 상실부(430)의 모양을 불편함 없이 모사하도록 제조되어 접촉한다. 키퍼벽(110)의 외면은 타측 지대치(420)의 내사면(428) 경사에 해당하는 삽입로를 갖고 지대치(410) 측면에 위치한다. 또한 이에 대한 바디의 외측벽(310)에도 키퍼의 외벽과 같은 삽입로가 형성되어 바디 본체끝(310)에 형성된다. 키퍼벽(110) 내면은 통상의 보철 제조법에 따라 지대치(410)의 언더컷(undercut)을 그대로 모사하 도록 제작된다.
상기 키퍼벽(110) 내면과 지대치(410) 언더컷의 긴밀한 접촉에 의하여 보철물의 지지력이 일층 향상된다.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추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키퍼 플레이트(130)는 지대치(410)을 협측과 설측에서 감싸며 키퍼벽(110)과 마찬가지로 지대치(410)의 모양을 충실히 모사하도록 제작된다. 키퍼바닥부(120)는 바디(300)끼움요부에 끼워지는 부위로서 적정한 위치에 키퍼홀(140)을 구비한다. 키퍼홀(140)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결합용 볼트(350)가 끼워질 수 있다. 키퍼바닥부(120)에는 바닥사면(121)이 형성되어 있어 바디(300)와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키퍼바닥부(120)는 상실부(430)의 형태 및 위치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실부(430)의 폭에 따라키퍼바닥부(120)의 길이가 달라지고 상실부(430)가 구부러져 있는 경우 곡선 형태의 키퍼바닥부(120)가 채용된다. 키퍼(100)는 통상의 보철물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나, 키퍼홀(140)의 정확한 위치 설정을 위하여 카본 혹은 세라믹 볼트를 활용하여 제조한다. 자세한 제조 방법은 추후 설명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디(300) 구조를 자세히 설명한다. 바디(300)는 상실된 치아를 대신하는 부분으로 심미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제조한다. 바디(300)는 키퍼(100)에 올려져 결합되는 바디본체(310)의 상실 치아를 대신하여 교합면을 형성하는 교합부(320) 및 바디플레이트(340)로 구성된다. 바디본체(310)는 키퍼(100)위에 올려지며 키퍼벽(110)에 꼭 맞추어지도록 통상의 보철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또한 키퍼위에 올려지는 바디 본체의 기저부는 키퍼의 모양과 똑같은 끼움요부가 형성된다.상기 바디본체(310) 위에 광중합 레진 혹은 세라믹재의 교합부(320) 형성 시에 교합부(320)와 바디본체(310) 사이에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핀(309)을 두어 제작한다. 상기 유지핀(309)은 바디본체(310)에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본체(310)의 일측에는 지대치(420)를 협측과 설측에서 감싸며 이와 나사 결합되는 키퍼(100)의 키퍼플레이트(130)가 지대치(410)를 협측과 설측에서 감싸는 바, 전후치 방향으로의 고정력이 시메팅력에 더하여 배가된다. 한편, 교합부(320) 및 바디본체(310)에는 이를 관통하는 결합용 바디홀(360)을 형성하여 볼트(350)가 나삽되도록 한다. 상기 바디홀(360)에도 암나사가 형성되어 나사 결합력이 선택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
도 4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삭제 보철물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치과에 보철물이 도착하면 구강 내에서 만족할 만한 접합을 확인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지대치를 청소하여 시멘팅 준비를 한다. 준비완료 후, 키퍼(100)의 키퍼벽(110) 및 키퍼플레이트(130)에 치과용 레진(resin)등의 접착제를 바르고 일측 지대치(410)에 접착한다. 키퍼벽(110), 키퍼플레이트(130) 및 키퍼바닥부(120)가 지대치(410) 및 상실부(430)를 그대로 모사하도록 제작되었으므로 긴밀한 접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키퍼(100)상부에 바디(300)를 조립한다. 바디플레이트(340)에 접착제를 바르고 지대치(420)를 설측과 협측에서 감싸도록 접착한다. 바디(300)또 한 키퍼(100) 접촉 부위를 그대로 모사하도록 제조되므로 긴밀한 접착이 가능하다. 이 경우 바디홀(360)은 키퍼홀(140)과 정확히 일치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테인레스제 혹은 티타늄 재질의 볼트(350)로 바디홀(360), 키퍼홀(140)을 관통하여 체결하고, 볼트 출입구멍은 광중합 레진으로 마무리함으로써 작업이 종료된다.
상기와 같이 보철물이 두부분으로 나누어져 조립되므로 지대치(410,420)의 삭제는 불필요하고, 이에 따라 환자의 불편 및 고통과 2차적인 문제점들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시멘팅과 더불어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서 끼워 맞춤식보철물에 비하여 조립 정확도 및 접착력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조립 정확도의 향상에 따라 자연스러운 교합 감각을 유지할 수 있고, 치과 의사가 교합 감각을 자연스럽게 하기 위한 작업 시간도 최소화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도 10, 도 1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무삭제 보철물의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보철물의 제작공정은 인상과정, 워킹캐스트(working cast)제작과정, 왁스업 과정, 매몰과정, 소환과정, 주조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의 제작 방법 또한 이와 유사하나 다만, 정확한 나사 결합용 홀을 제작하기 위하여 카본 혹은 세라믹 볼트를 활용하는 점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먼저 환자의 구강 내를 복제하여 생긴 주모형(stone model)을 인상재로 복제하여 내화모형(500)을 제작한다. 다음으로 내화모형(500)의 지대치(510)에 평행측정기(suybey, 600)를 이용해 키퍼벽(110)에 해당하는 플라스틱 패턴(plastic pattern) 을 왁스(wax)로 부착한다. 이 때 플라스틱 패턴에는 플라스틱제의 홀더(610)가 일체형으로 붙여 있어 홀더(610)를 평행측정기(600)에 끼운 후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켜 부착시킬 수 있다. 플라스틱 패턴의 부착이 완료되면 홀더(610)를 커팅시킨후 24게이지 시트 왁스(24 gauge sheet wax)를 이용해 키퍼플레이트(130) 를 조각하여 키퍼벽(110)과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키퍼바닥부(120)에 해당하는 플라스틱 패턴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한다. 상기 플라스틱 패턴에도 플라스틱제 홀더(6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부착 작업이 간편하다. 상기 키퍼바닥부(120) 해당하는 플라스틱 패턴은 치아 상실부(530)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도 11과 같이 여러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적정하게 선택되어야 함음 당연하다. 복제된 내화모형에 상기와 같이 키퍼벽(110), 키퍼플레이트(130) 및 키퍼바닥부(120)에 해당하는 플라스틱 패턴이 모두 부착되고 나면 도 10과 같이 카본 혹은 세라믹 볼트(620)를 이용한 작업을 행한다. 상기 볼트(620)을 이용한 작업나사 결합용 구멍 즉, 키퍼홀(140), 바디홀(360)등을 정확한 위치에 상호 정확히 일치하도록 형성하기 위해 행하는 공정으로서 본 발명의 나사 결합식 보철물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구체적인 세라믹 볼트(620)의 형상이 도 13과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볼트를 이용한 작업 또한 정확한 위치 선정을 위하여 도10에 의한 설명으로, 평행측정기(600)에 세라믹 볼트(620)을 끼우고 키퍼홀(140)이 형성될 위치로 이동시킨 후, 왁스(wax)로 메운 뒤, 스프루(sprue)를 적당한 위치 예컨대, 키퍼벽(110)과 키퍼플레이트(130) 사이 등에 부착하고, 복제된 내화모형과 동일한 재료로 매몰하여 소환하고 1차 주조를 행한다.이와 같이 1차 주조에 의하여 키퍼(100)가 완성된다.
다음으로 2차 주조에 의한 바디(300)의 제작을 설명한다. 1차 주조에 의해 제작된 키퍼(100)에는 키퍼홀(140)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와 정확히 일치하도록 바디홀(360)을 형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상기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 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13, 도 15에 도시된 복제용 티타늄 볼트(630) 및 주조용 세라믹 볼트(620)를 이용한다. 주모형에 금속으로 주조된 키퍼(100)의 키퍼홀(140)에 복제용 티타늄볼트(630)를 도 12와 같이 끼워 넣은 후, 실리콘 인상재로 전체 복제를 행한다. 이 때, 도 13, 도15에 도시한 주입 지시부위까지만 인상 채득용 재료를 주입하고 경화시킨다. 경화가 완료되면 육각렌치를 이용하여 복제용 티타늄 볼트(630)를 돌려 제거한 후, 인상체에서 주모형과 키퍼를 제거하고 티타늄볼트가 있던 자리에 주조용 세라믹 볼트(620)를 볼트 지시부위에 맞추어 돌려 끼우고 매몰재를 주입한다. 매몰재의 경화가 완료되고 인상체에서 이를 분리시키면 매몰재 복제모델상에 복제용 티타늄 볼트(630)와 똑같은 위치에 주조용 볼트(620)가 위치하게 되고 2차구조물의 제작 준비가 완료된다. 2차 복제모델 상에서 프리 왁스업(free wax up)방법으로 상실치가 형성될 구조물을 조각한다. 이때 교합면을 형성하는 교합부(320)는 금속교합면, 광중합 교합면, 도재(porcelain)교합면 등을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기공 방법을 따르되 결합용 볼트가 채워질 바디홀(360)을 반드시 확보한다. 24게이지 시트 왁스로 바디플레이트(340)을 조각하고 마무리한다. 다음으로 스프루(sprue)를 식립하고 매몰, 주조를 행한다. 주조 후 금속교합면을 그대로 마무리하고 레진이나 도재 교합면의 경우, 레진이나 도재로 교합면을 형성 한 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2차 주조 공정이 완료되면 키퍼홀(140),바디홀(360)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보철물을 얻을 수 있다. 도13, 도15과 같이 특별히 제작된 세라믹 볼트(620) 및 복제용 티타늄 볼트(630)를 교대로 활용하여 각 주조 공정을 행함에 따라 정확한 나사 구멍의 제작이 가능하고, 이는 조립 상의 간편함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편안한 보철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장점은 종래의 끼워 맞춤식(도 3 참조)보철물 등이 갖는 단점에 비하여 획기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 1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무삭제 보철물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키퍼(100)의 키퍼바닥부(120)에 다양한 형태의 키퍼홈(123)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같다. 키퍼(100)와 바디(300)는 키퍼바닥부(120)와 바디바닥부(320)의 끼움요부(321)가 끼워 맞추어짐에 따라 상대적인 운동을 할 가능성은 없다. 그러나 상실치가 두 개 이상이 되는 도8과 같은 경우 결합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퍼 바닥부(120)의 바닥사면(121)에 다양한 형태의 키퍼홈(123)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 때 바디(300)의 끼움요부(321)에는 이와 치합되는 끼움돌부(322)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끼움홈(123) 및 끼움돌부(322)를 형성할 때 언더컷이 없도록 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키퍼홀(140), 바디홀(360)의 내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는 키퍼(100) 및 바디(300)의 주조 시에 체결용 볼트(350)와 같은 형상의 세라믹 볼트를 이용함로서 자동으로 형성된다.
(제3 실시예)
키퍼가 올려질 지대치가 최후방치일 경우 [도16] 협측과 설측의 키퍼플레이 트를 원심까지 연결시키므로써 교합지지력을 훨씬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때에는 지대치 원심측에 언터컷이 없어야 한다. 이하 바디제작공정은 앞의 구치부 작업공정과 같다.
(제4 실시예)
[도 17]에서와 같이 전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대치로 사용 될 양쪽 치아의 결손부 인접면에 언더컷이 없을경우 키퍼가 양 설측을 동시에 감싸면서 진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키퍼와 나사 결합하는 바디도 양쪽 지대치 순면의 인접면을 동시에 감싸면서 진입할 수 있다. 이는 언터컷이 있는 경우 사용하는 제1 실시예의 전치부 보철방법과는 다르다.
도 1은 종래의 크라운 브릿지 보철물 구성도
도 2은 종래의 인레이형 보철물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끼워 맞춤식 보철물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치부 전체 사시도
도 5 a 본 발명의 1개 상실 구치부 상면 조립도
도 5 b 키퍼외벽과 결합되는 부분에서 본 바디본체 단면도와 형성될 교합부
도 6은 본 발명의 키퍼 협측 정면도
도 7 a 전치부 조립도
도 7 b 전치부 바디 설측도
도 8은 본 발명의 2개 상실 구치부 상면 조립도
도 9는 본 발명의 1차 주조를 위한 플라스틱 키퍼 부착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1차 주조를 통해 키퍼 암나사 형성을 위한 세라믹 볼트 위치 선정 작업 설명도
도 11은 각종 키퍼 바닥부 모양을 나타내는 상면도
도 12는 2차 주조를 위한 복제 모델 작업 설명도
도 13은 복제용 및 주조용 볼트 측면도
도 14 a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키퍼 바닥부 설명도
도 14 b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바디 바닥부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복제용 및 주조용 볼트 측면도
도 16은 구치부의 다른 실시예
도 17은 전치부의 다른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키퍼 110: 키퍼벽
120: 키퍼 바닥부 130: 키퍼플레이트
140: 키퍼홀 300: 바디
310: 바디본체 320: 교합부
350: 볼트 340: 바디플레이트

Claims (9)

  1. 상실치를 수복하기 위한 치과용 구치 보철물로써, 일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동시에 감싸도록 배치되는 키퍼; 타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감싸며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상기키퍼와 나사로 결합되는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 보철물.
  2. 제 1항에 있어서
    키퍼로 사용될 지대치가 최후방 지대치일 경우 일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 원심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키퍼; 타측 지대치를 설측과 협측에서 감싸며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상기 키퍼와 나사로 결합되는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 보철물.
  3. 상실치를 수복하기 위한 치과용 전치 보철물로서, 일측 지대치를 설측과 순측 인접면을 동시에 감싸도록 배치되는 키퍼; 타측 지대치를 설측과 순측 인접면에서 감싸며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상기키퍼와 나사로 결합되는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 보철물.
  4.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퍼는 상기 양측 지대치 사이에 위치하는 치아 상실부에 안착되도록 된 키퍼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인공치로 작용하면서 상기 키퍼바닥부를 감싸도록 된 바디바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바닥부에는 상기 키퍼바닥부가 끼워지는 끼움요부가 형성되고 상기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 구멍은 끼움요부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키퍼 바닥부에는 키퍼 홈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끼움 요부에는 이와 대응되도록 바디의 끼움돌부가 형성된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7.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퍼의 키퍼벽은 타측 지대치의 내사면 경사와 같은 삽입로를 갖추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측 지대치의 내사면 경사와 같은 삽입로를 구비한 키퍼의 벽에 대응하여 결합하며 키퍼 벽과 똑같은 삽입로를 가진 바디 외측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치과용 보철물.
  9. 삭제
KR1020070071458A 2007-03-16 2007-07-18 카본 혹은 세라믹 볼트가 채용된 주조법을 이용한 무삭제치과용 보철물 KR100785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349986.4A CN104287852A (zh) 2007-03-16 2008-03-14 一种牙齿修复体的内螺纹的制造方法
JP2009553524A JP2010521218A (ja) 2007-03-16 2008-03-14 歯科用補綴物及びその製造方法
AU2008227304A AU2008227304A1 (en) 2007-03-16 2008-03-14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A2790010A CA2790010A1 (en) 2007-03-16 2008-03-14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2/529,696 US8221120B2 (en) 2007-03-16 2008-03-14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0880003373A CN101626737A (zh) 2007-03-16 2008-03-14 牙齿修复体及其加工方法
PCT/KR2008/001472 WO2008114974A1 (en) 2007-03-16 2008-03-14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A2672880A CA2672880C (en) 2007-03-16 2008-03-14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3/517,504 US20120286440A1 (en) 2007-03-16 2012-06-13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3041693A JP2013135896A (ja) 2007-03-16 2013-03-04 歯科用補綴物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7394 2007-05-16
KR1020070047394 2007-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247B1 true KR100785247B1 (ko) 2007-12-12

Family

ID=3914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458A KR100785247B1 (ko) 2007-03-16 2007-07-18 카본 혹은 세라믹 볼트가 채용된 주조법을 이용한 무삭제치과용 보철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2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476B1 (ko) 2010-07-23 2012-10-12 박수철 브릿지
KR101205904B1 (ko) 2010-08-05 2012-11-28 박숙규 치과용 어태치먼트
KR101476698B1 (ko) * 2013-10-23 2014-12-30 남관우 치과용 보철물과 그 연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351A (ja) 1998-04-03 1999-10-26 Jiro Saito 部分床義歯
KR200303425Y1 (ko) 2002-11-05 2003-02-07 옌-핑 라이 의치 착탈 구조
JP2004321645A (ja) * 2003-04-28 2004-11-18 Koichi Suginaka 可撤性義歯用の係止方法及び装置
KR20050014391A (ko) * 2003-07-31 2005-02-07 친-생 이 의치 브릿지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351A (ja) 1998-04-03 1999-10-26 Jiro Saito 部分床義歯
KR200303425Y1 (ko) 2002-11-05 2003-02-07 옌-핑 라이 의치 착탈 구조
JP2004321645A (ja) * 2003-04-28 2004-11-18 Koichi Suginaka 可撤性義歯用の係止方法及び装置
KR20050014391A (ko) * 2003-07-31 2005-02-07 친-생 이 의치 브릿지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476B1 (ko) 2010-07-23 2012-10-12 박수철 브릿지
KR101205904B1 (ko) 2010-08-05 2012-11-28 박숙규 치과용 어태치먼트
KR101476698B1 (ko) * 2013-10-23 2014-12-30 남관우 치과용 보철물과 그 연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3856B2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US10980618B2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JP2010521218A (ja) 歯科用補綴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10212804A1 (en) Overdenture and Dental Implant Framework
US11690700B2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US10426711B2 (en) Dental implant framework
KR19990087401A (ko) 단일 치아 복구 시스템
KR100903779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JP4088038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要素
KR100785246B1 (ko) 카본 혹은 세라믹 볼트가 채용된 주조법을 이용한 키브릿지
US4689013A (en) Modular system for restorative dentistry
CN105167869A (zh) 一种局部义齿成品树脂牙的制作工艺
WO2019003409A1 (ja) 連結人工歯列
CA3017503C (en) Dental framework and prosthesis
KR100785247B1 (ko) 카본 혹은 세라믹 볼트가 채용된 주조법을 이용한 무삭제치과용 보철물
US11364101B2 (en) Dental implant framework
JP5465974B2 (ja) 天然歯における歯冠補綴構造
KR20050014391A (ko) 의치 브릿지 조립체
KR100863655B1 (ko) 투피스 메일 브릿지
US2889598A (en) Dental pattern
KR20090024599A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WO2007111438A1 (en) Dental prosthe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60302894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prostheses
US3430344A (en) Precision dental attachment
CN214342717U (zh) 植牙二阶印模辅助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