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597B1 -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597B1
KR100863597B1 KR1020020060325A KR20020060325A KR100863597B1 KR 100863597 B1 KR100863597 B1 KR 100863597B1 KR 1020020060325 A KR1020020060325 A KR 1020020060325A KR 20020060325 A KR20020060325 A KR 20020060325A KR 100863597 B1 KR100863597 B1 KR 100863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shaft
handle
hing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885A (ko
Inventor
김형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597B1/ko
Publication of KR20040029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on the right-hand as well as the left-hand side; Convertible right-hand or left-hand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2Doors that can be pivoted either left-handed or right-han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양면 개폐가 가능한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냉장고의 도어(D) 양측에 구비되는 핸들(45a,45b)의 하부에는 핸들랙(47a,47b)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핸들랙(47a,47b)은 탄성부재(63a,63b)가 설치되는 축(A1,A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핸들피니언(49a,49b)에 각각 맞물린다. 상기 핸들피니언(49a,49b)의 일측면에는, 상, 하부 힌지축랙(53a,53b,53c,53d) 한쌍이 각각 맞물리는 힌지축피니언(51a,51b)이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상, 하부 힌지축랙(53a,53b,53c,53d)은 상, 하부 힌지축(55a,55b,55c,55d)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힌지축(55a,55b,55c,55d)의 양측에는 한쌍의 수직가이드(65a,65b,65c,65d)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힌지축(55a,55b,55c,55d)은 냉장고 케이스(31)의 양측 상, 하면에 구비된 케이스측 부시(33a,33b,33c,33d)에 성형된 힌지홈(36a,36b,36c,36d)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상부 힌지축(55a,55b)의 상단부와 하부 힌지축(55c,55d)의 하단부 및 상기 원형가이드(37a,37b,37c,37d)의 일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테이퍼처리된 경사부(60a,60b,60c,60d;38a,38b,38c,38d)가 각각 형성된다.
냉장고, 냉장고 케이스, 도어, 랙, 피니언

Description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Support apparatus for door of refrigera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 케이스와 도어의 지지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회동하는 도어 일측의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경우에 회전중심이 되는 도어의 타측의 단면도.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서 보인 실시예의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회동하는 도어 일측 힌지부분의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경우에 회전 중심이 되는 도어 타측 힌지부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냉장고 케이스 33a,33b,33c,33d: 케이스측 부시
34a,34b,34c,34d: 돌출부 35a,35b,35c,35d: 반원형홈
36a,36b,36c,36d: 힌지홈 37a,37b,37c,37d: 원형가이드
38a,38b,38c,38d: 경사부 D: 도어
41a,41b: 통과공 43a,43b,43c,43d: 관통홀
45a,45b: 핸들 47a,47b: 핸들랙
49a,49b: 핸들피니언 51a,51b: 힌지축피니언
53a,53b,53c,53d: 힌지축랙 55a,55b,55c,55d: 힌지축
57a,57b,57c,57d: 경사부 61a,61b,61c,61d: 도어측 부시
62a,62b,62c,62d: 돌출부 63a,63b: 탄성부재
65a,65b,65c,65d: 수직가이드
A1,A2: 축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전면의 양측에 각각 핸들을 설치하고, 상기 도어 내부의 양측에는 각각 수직으로 힌지축을 설치한 뒤,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상기 힌지축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도어의 양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냉장고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2)의 내부에는 냉동실(미도시)과 냉장실(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2)의 전면에는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2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도어(20,22)는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22)의 타측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20a,22a)이 구비된다.
도 2에는 종래의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 케이스(12)의 일측의 상, 하면에는 힌지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힌지는, 아래에서 설명할 힌지홈(24)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힌지축(14)과, 상기 냉장고 케이스(12) 일측의 상, 하면에 고정되는 플렌지(1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14)은 상기 플렌지(16)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축(14)이 끼워지는 힌지홈(24)은 상기 도어(20)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14)이 상기 힌지홈(24)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도어(20)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냉장고 케이스(12)와 도어(20)는 상기 힌지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상기 힌지는 상기 도어(20) 일측의 상하면에만 구비되므로 도어(20)는 일측을 중심으로 한쪽 방향으로만 개폐가 가능하다. 따라서 냉장고를 설치할 경우에 장소선택에 많은 제약이 따르고, 냉장고를 설치한 후에도 사용자 및 주변상황에 따라서 냉장고를 사용할 때 불편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양면 개폐가 가능한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 전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회동가능 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핸들과; 상기 핸들의 하부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전후방으로 직선운동을 하며, 상기 도어 내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핸들랙과; 상기 핸들랙에 각각 맞물리고, 상기 핸들랙이 직선운동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하도록 상기 도어 내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핸들피니언과; 상기 핸들피니언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피니언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힌지축피니언과; 상기 힌지축피니언에 각각 맞물리고, 상기 힌지축피니언이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하 직선운동을 하며, 상기 도어 내부의 양측 상부에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 힌지축랙과; 상기 힌지축피니언에 각각 맞물리고, 상기 힌지축피니언이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하 직선운동을 하며, 상기 도어 내부의 양측 하부에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하부 힌지축랙과; 상기 상부 힌지축랙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부 힌지축랙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상하 직선운동을 하여서 상기 도어 상면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도어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도어 내부의 양측 상부에 수직으로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상부 힌지축과; 상기 하부 힌지축랙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하부 힌지축랙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상하 직선운동을 하여서 상기 도어 하면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도어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도어 내부의 양측 하부에 수직으로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하부 힌지축; 그리고 상기 상부 힌지축의 상단부와 하부 힌지축의 하단부가 끼워지고, 냉장고 케이스 양측의 상하면에 각각 성형되는 힌지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핸들피니언 및 힌지축피니언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 으로 상기 핸들피니언 및 힌지축피니언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힌지축의 양측에는 상기 힌지축의 상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수직가이드가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힌지홈의 외주면에는 상기 냉장고 케이스의 상하면에서 상기 도어의 상, 하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원형가이드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 힌지축의 상단부와 하부 힌지축의 하단부 및 상기 상부 힌지축 및 하부 힌지축에 각각 맞닿는 상기 원형가이드의 일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며 경사지도록 테이퍼처리된 경사부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힌지홈은, 상기 냉장고 케이스 양측의 상,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케이스측 부시의 중앙에 성형되고, 상기 케이스측 부시에는 상기 힌지홈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형가이드의 외측으로 반원형의 돌출부와, 상기 원형가이드의 외주면과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 사이에 반원형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양측 상, 하면에는 도어측 부시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측 부시에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반원형홈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도어가 회동하면 상기 반원형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반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는, 냉장고 도어를 양측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므로 냉장고 설치장소의 선택이 자유롭고, 냉장고를 설치한 다음에는 사용자 및 주변상황에 따라서 상기 도어를 좌우 양면으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와 도 3b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회동하는 도어의 일측과 그 경우 회전중심이 되는 타측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a 및 도 3b에서 보인 실시예의 평면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a와 도 5b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회동하는 도어의 일측과 그 경우의 회전중심이 되는 타측 힌지부분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는 좌, 우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고, 상기 도어는 양면으로 개폐가 가능하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D) 좌측의 핸들(45a)을 도어(D)의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도어(D)는 도어(D) 우측의 힌지축(55b,55d)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도어(D) 우측의 핸들(45b)을 도어(D)의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도어(D)는 도어(D) 좌측의 힌지축(55a,55c)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의 우측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의 좌측을 회동시킨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도 3a와 도 5a는 회동하는 도어의 좌측을 도시한 것이고, 도 3b와 도 5b는 회전중심이 되는 도어의 우측을 도시한 것이 된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도어(D)의 전면 양측에는 한쌍의 핸들(45a,45b)이 구비되는데, 상기 핸들(45a,45b)은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소정의 각도로 상기 도어(D)의 전방(도면상 우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D)의 전면 양측에는 통과공(41a,41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핸들(45a,45b)의 하부에는 핸들랙(47a,47b)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핸들랙(47a,47b)은 상기 도어(D)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통과공(41a,41b)을 통과하여 상기 핸들(45a,45b)의 하부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D) 좌측의 핸들(45a)을 상기 도어(D)의 전방(도면상 우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핸들(45a)의 하부가 상기 도어(D)의 전방으로 회동하고, 상기 핸들(45a)에 연결된 핸들랙(47a)은 상기 도어(D)의 전방(도면상 우측)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핸들랙(47a,47b)에는 핸들피니언(49a,49b)이 각각 맞물린다. 상기 핸들피니언(49a,49b)은 상기 도어(D)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핸들랙(47a,47b)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상기 도어(D)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축(A1,A2)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D) 좌측의 핸들랙(47a)이 상기 도어(D)의 전방(도면상 우측)으로 직선운동을 하면, 상기 핸들랙(47a)에 맞물린 상기 핸들핀니언(49a)은 회전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피니언(49a,49b)의 일측면에는 힌지축피니언(51a,51b)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힌지축피니언(51a,51b)은, 상기 핸들피니언(49a,49b)의 일측면에 각각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핸들피니언(49a,49b)의 일측면에 각각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D) 좌측의 핸들피니언(49a)이 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핸들피니언(49a)에 설치된 힌지축피니언(51a)도 상기 축(A1)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피니언(49a)과 동일한 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핸들피니언(49a,49b) 및 상기 힌지축피니언(51a,51b)의 회전중심이 되는 상기 축(A1,A2) 상에는, 탄성부재(63a,63b)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63a,63b)는, 예를 들면, 토션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핸들(45a,45b)의 회동에 의한 상기 핸들피니언(49a,49b) 및 상기 힌지축피니언(51a,51b)의 회전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의 반대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상기 핸들피니언(49a,49b) 및 상기 힌지축피니언(51a,51b)에게 각각 부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D) 좌측의 핸들(45a)을 잡아당겨서 상기 도어(D)의 전방(도면상 우측)으로 회동시켰다가 상기 핸들(45a)을 놓게 되면, 상기 핸들(45a)의 회동에 의하여 회전을 하였던 상기 핸들피니언(49a) 및 상기 힌지축피니언(51a)이 상기 탄성부재(63a)로부터 부여받은 탄성력에 의하여 최초의 회전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의 반대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D) 좌측의 핸들피니언(49a)이 최초의 회전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과 반대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핸들피니언(49a)에 맞물린 핸들랙(47a)도 이동한다. 또한 상기 핸들랙(47a)에 연결된 상기 핸들(45a)도 도어(D)의 후방(도면상 좌측)으로 회동한다.
상기 힌지축피니언(51a,51b)에는 힌지축랙(53a,53b,53c,53d)이 각각 맞물린다. 상기 힌지축랙(53a,53b,53c,53d)은, 상기 도어(D) 내부 양측의 상, 하부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부 힌지축랙(53a,53b)과 하부 힌지축랙(53c,53d)으로 구성 되고, 상기 힌지축피니언(51a,51b)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각각 상하로 직선운동을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힌지축랙(53a,53b)의 상단부는, 상부 힌지축(55a,55b)의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하부 힌지축랙(53c,53d)의 하단부는, 하부 힌지축(55c,55d)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상부 힌지축랙(53a,53b)과 하부 힌지축랙(53c,53d)이 각각 연결되는 상부 힌지축(55a,55b)과 하부 힌지축(55c,55d)은, 상기 도어(D) 내부 양측의 상, 하부에 수직으로 각각 설치된다. 상기 힌지축(55a,55b,55c,55d)은, 상기 도어(D)를 상기 냉장고 케이스(3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도어(D)의 양측 상, 하면에 형성된 관통홀(43a,43b)을 관통하여 힌지홈(36a,36b,36c,36c)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55a,55b,55c,55d)은, 도어(D)가 회동하면 상기 힌지축랙(53a,53b,53c,53b)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상하로 직선운동을 한다. 즉 상기 힌지축(55a,55b,55c,55d)은, 상기 핸들(45a,45b)의 회동에 의한 상기 힌지축랙(53a,53b,53c,53d)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상하로 각각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힌지홈(36a,36b,36c,36d)에서 탈거되어 각각 상기 도어(D)의 내부로 삽입된다. 한편 상기 힌지축(55a,55b,55c,55d)의 양측에는, 상기 힌지축(55a,55b,55c,55d)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수직가이드(65a,65b,65c,65d)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힌지축(55a,55b,55c,55d)이 수평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도어(D) 우측의 상부 힌지축(55c)의 상단부와 하부 힌지축(55d)의 하단부는, 도어(D)의 우측 상, 하면에 형성된 관통홀(43b,43d)을 각각 통과하여, 상기 냉장고케이스(31)의 우측 상, 하면에 구비되는 힌지홈(36b,36d)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힌지축(55b,55d)이 상기 도어(D)가 우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D) 좌측의 힌지축(55a,55c)은, 상기 핸들(45a)의 회동에 의한 상기 힌지축랙(53a,53c)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상하로 각각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냉장고케이스(31)의 좌측 상, 하면에 구비된 힌지홈(36a,36c)에서 탈거되어 각각 상기 도어(D)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상부 힌지축(55a,55c)의 상단부와 상기 하부 힌지축(55b,55d)의 하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상기 힌지홈(36a,36b,36c,36d)은, 상기 냉장고케이스(31)의 양측 상, 하면에 설치되는 케이스측 부시(33a,33b,33c,33d)의 중앙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홈(36a,36b,36c,36d)의 외주면에는 원형가이드(37a,37b,37c,37d)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원형가이드(37a,37b,37c,37d)는 상기 도어(D)의 상면과 하면을 향하여 각각 돌출된다.
한편 상기 도어(D)가 닫힐 때 상기 힌지축(55a,55b,55c,55d)에 맞닿는 상기 원형가이드(37a,37b,37c,37d)의 일측면에는, 상기 힌지축(55a,55b,55c,55d)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각각 테이퍼처리된 경사부(38a,38b,38c,38d)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38a,38b,38c,38d)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힌지축(55a,55b)의 상단부와 상기 하부 힌지축(55c,55d)의 하단부에도 상기 도어(D)의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각각 테이퍼처리된 경사부(57a,57b,57c,57d)가 각각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D)가 닫힐 때, 상기 도어(D) 좌측의 힌지축(55a,55c)의 경사부(57a,57c)와, 상기 냉장고케이스(31)의 좌측 상, 하면에 구비된 원형가이드(37a,37c)의 경사부(38a,38b)가 서로 접촉하여 미끄러짐으로써 상기 힌지축(55a,55c)이 상기 힌지홈(36a,36c)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도 5a와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케이스(31)의 양측 상, 하면에 설치된 케이스측 부시(33a,33b,33c,33d)에는, 상기 힌지홈(36a,36b,36c36d)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형가이드(37a,37b,37c,37d) 외측에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돌출부(34a,34b,34c,34d)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측 부시(33a,33b,33c,33d)에는, 상기 원형가이드(37a,37b,37c,37d)의 외주면과, 상기돌출부(34a,34b,34c,34d)의 내주면 사이에 반원형홈(35a,35b,35c,35d)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D)의 양측 상, 하면에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돌출부(62a,62b,62c,62d)가 형성된 도어측 부시(61a,61b,61c,61d)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돌출부(62a,62b,62c,62d)는, 상기 도어(D)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반원형홈(35a,35b,35c,35d)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도어(D)가 회동하면, 상기 반원형홈(35a,35b,35c,35d)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D)의 좌측 상, 하면에 각각 설치된 도어측 부시(61a,61c)의 돌출부(62a,62c)는, 상기 냉장고케이스(31)의 좌측 상, 하면에 각각 설치된 케이스측 부시(33a,33c)의 반원형홈(35a,35c)에 삽입되지 않으므로, 상기 도어(D)의 좌측이 회동하여 상기 도어(D)가 개방되는 것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D)의 우측 상, 하면에 각각 설치된 도어측 부시(61b,61d)의 돌출부(62b,62d)는, 상기 냉장고케이스(31)의 우측 상, 하면에 각각 설치된 케 이스측 부시(33b,33d)의 반원형홈(35b,35d)에 삽입되어 회전하므로, 상기 힌지축(55b,55d)이 상기 힌지홈(36b,36d)으로부터 탈거되더라도, 회전중심이 되는 상기 도어(D)의 우측이 상기 냉장고 케이스(3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개폐동작을 도 3a 및 도 3b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D)를 열기 위하여 상기 도어(D)의 전면 좌측에 구비된 핸들(45a)을 잡아당기면, 핸들(45a)의 하부는, 상기 핸들(45a)의 상부를 중심으로 상기 도어(D)의 전방(도면상 좌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도어(D) 좌측의 핸들(45a)이 회동하면, 이에 연결된 핸들랙(47a)이 상기 핸들(45a)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도어(D)의 전방(도면상 좌측)을 향하여 직선운동을 하고, 상기 핸들랙(47a)에 맞물린 핸들피니언(49a)이 축(A1)을 중심으로 회전을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D) 좌측의 핸들피니언(49a)이 축(A1)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 상기 핸들피니언(49a)의 일측면에 설치된 힌지축피니언(51a)도 상기 핸들피니언(49a)과 동일한 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이에 맞물린 힌지축랙(53a,53c)도 각각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여 상기 상부 힌지축랙(53a)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 힌지축랙(53c)은 상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도어(D) 좌측의 힌지축랙(53a,53c)이 각각 하방과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상부 힌지축랙(53a)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부 힌지축(55a)과 상기 하부 힌지축랙(53c)의 하단부에 연결된 하부 힌지축(55c)도 각각 하방과 상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D) 좌측의 상부 힌지축(55a)의 상단부와 하부 힌지축(55c)의 하 단부는, 냉장고케이스(31)의 좌측 상, 하면에 구비된 힌지홈(36a,36c)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홈(36a,36c)에서 탈거되고 도어(D)의 좌측 상, 하면에 형성된 관통홀(43a,43c)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D)의 내부로 각각 삽입된다.
결국 상기 도어(D)는, 상기 도어(D) 우측의 힌지축(55b,55d)에 의해서만 냉장고케이스(31)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D)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D) 좌측의 핸들(45a)을 잡아당기는 힘에 의하여, 상기 도어(D) 우측의 힌지축(55b,55d)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D)가, 상기 도어(D) 우측의 힌지축(55b,55d)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상기 도어(D)의 우측 상, 하면에 설치된 도어측 부시(61b,61d)의 돌출부(62b,62d)가, 상기 냉장고케이스(31)의 우측 상, 하면에 설치된 케이스측 부시(33b,33d)의 반원형홈(35b,35d)에 삽입되어 회동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D)의 회전중심이 되는 도어(D) 우측의 힌지축(55b,55d)이, 상기 냉장고케이스(31)의 우측 상, 하면에 구비된 힌지홈(36b,36d)에서 탈거된다 하더라도, 상기 도어(D)의 우측 상, 하면에 설치된 도어측부시(61b,61d)의 돌출부(62b,62d)가 상기 냉장고케이스(31)의 우측 상, 하면에 형성된 상기 반원형홈(35b,35d)에 삽입되므로, 상기 도어(D)가 상기 냉장고케이스(3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D)의 내부에 삽입되는 도어(D) 좌측의 힌지축(55a,55c) 양측에는, 수직가이드(65a,65c)가 각각 설치되어서 상기 힌지축(55a,55c)의 상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여 수평이동 및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도어(D)를 닫기 위하여 도어(D)의 전방(도면상 우측) 으로 잡아당겼던 상기 도어(D) 좌측의 핸들(45a)을 놓게 되면, 상기 핸들(45a)에 연결된 핸들랙(47a)이 맞물린 핸들피니언(49a)과, 상기 핸들피니언(49a)에 설치된 힌지축피니언(51a)은, 상기 축(A1)에 설치된 탄성부재(63a)로부터 부여받은 탄성력에 의하여 도어(D)를 개방할 때의 회전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의 반대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을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D) 좌측의 핸들피니언(49a)에 맞물린 상기 핸들랙(47a)과, 상기 힌지축피니언(51a)에 맞물린 힌지축랙(53a,53c)도, 도어(D)를 열 때의 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직선운동을 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D) 좌측의 핸들랙(47a)에 연결된 상기 핸들(45a)은, 상기 핸들랙(47a)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상기 도어(D)의 후방(도면상 좌측)으로 회동하여 다시 최초의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D) 좌측의 상부 힌지축랙(53a)에 연결된 상부 힌지축(55a)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 힌지축랙(53c)에 연결된 하부 힌지축(55c)은 하방으로 이동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D) 좌측의 상부 힌지축(55a)의 상단부와 상기 하부 힌지축(55c)의 하단부는, 상기 도어(D)의 좌측 상, 하면에 형성된 관통홀(43a,43c)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D)의 좌측 상, 하면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사용자가 상기 도어(D)를 밀게 되면, 상기 도어(D)는 개방되는 경우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닫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D)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D) 좌측의 상부 힌지축(55a)의 상단부와 하부 힌지축(55c)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경사부(57a,57c)와, 상기 냉장고케이스(31)의 좌측 상, 하면에 구비된 원형가이드(37a,37c)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된 경사부(38a,38c)는, 서로 접촉하여 미끄러짐으로써 상기 도어(D) 좌측의 힌지축(55a,55c)이 상기 힌지홈(36a,36b)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 도어 전면의 양측에 한쌍의 핸들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내부의 양측에는 한쌍의 상, 하부 힌지축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핸들과 힌지축을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상기 도어가 좌, 우 양면으로 개폐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핸들은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회동하도록 설치되었으나, 하부를 중심으로 상부가 회동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일측면을 중심으로 타측면이 회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힌지축랙과 하부 힌지축랙은 하나의 피니언에 맞물려져 있으나 2개의 피니언을 구비하여 각각 다른 피니언에 맞물리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힌지축의 상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수직가이드를 사용하였지만, 수직가이드를 대신하여 상기 힌지축과 상기 도어의 내부에 홈과 돌출부(또는 돌출부와 홈)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힌지축의 회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측 부시와 힌지측 부시도 2개 이상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측 부시와 상기 도어측 부시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는, 각각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지만, 반원보다 작은 중심각을 가지는 원주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는, 도어의 양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므로 냉장고의 설치 장소의 선택이 자유롭고, 냉장고를 설치한 후에도 냉장고의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Claims (6)

  1. 냉장고 도어 전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부를 중심으로 하부가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핸들과;
    상기 핸들의 하부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전후방으로 직선운동을 하며, 상기 도어 내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핸들랙과;
    상기 핸들랙에 각각 맞물리고, 상기 핸들랙이 직선운동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하도록 상기 도어 내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핸들피니언과;
    상기 핸들피니언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피니언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힌지축피니언과;
    상기 힌지축피니언에 각각 맞물리고, 상기 힌지축피니언이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하 직선운동을 하며, 상기 도어 내부의 양측 상부에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 힌지축랙과;
    상기 힌지축피니언에 각각 맞물리고, 상기 힌지축피니언이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하 직선운동을 하며, 상기 도어 내부의 양측 하부에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하부 힌지축랙과;
    상기 상부 힌지축랙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부 힌지축랙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상하 직선운동을 하여서 상기 도어 상면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도어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도어 내부의 양측 상부에 수직으로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상부 힌지축과;
    상기 하부 힌지축랙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하부 힌지축랙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상하 직선운동을 하여서 상기 도어 하면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도어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도어 내부의 양측 하부에 수직으로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하부 힌지축과;
    상기 상부 힌지축의 상단부와 하부 힌지축의 하단부가 끼워지고, 냉장고 케이스 양측의 상하면에 각각 성형되는 힌지홈; 그리고
    상기 힌지홈의 외주면에 상기 도어의 상면과 하면을 향하여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원형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피니언 및 힌지축피니언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핸들피니언 및 힌지축피니언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한쌍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힌지축의 상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수직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축의 상단부와 하부 힌지축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기 도어의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각각 테이퍼처리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힌지축 및 하부 힌지축에 맞닿는 상기 원형가이드의 일측면에는 상기 힌지축의 경사부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축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각각 테이퍼처리된 경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홈은, 상기 냉장고 케이스 양측의 상,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케이스측 부시의 중앙에 성형되고, 상기 케이스측 부시에는 상기 힌지홈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형가이드의 외측으로 반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가이드의 외주면과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 사이에 반원형홈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양측 상, 하면에는 도어측 부시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측 부시에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반원형홈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도어가 회동하면 상기 반원형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반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
KR1020020060325A 2002-10-02 2002-10-02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 KR100863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325A KR100863597B1 (ko) 2002-10-02 2002-10-02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325A KR100863597B1 (ko) 2002-10-02 2002-10-02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885A KR20040029885A (ko) 2004-04-08
KR100863597B1 true KR100863597B1 (ko) 2008-10-15

Family

ID=37331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325A KR100863597B1 (ko) 2002-10-02 2002-10-02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5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4091A (ja) * 1996-03-29 1997-10-07 Midorikawa Kasei Kogyo Kk 両開き押しドア
KR19990013174A (ko) * 1997-07-31 1999-02-25 배순훈 좌우개폐형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KR19990041799A (ko) * 1997-11-24 1999-06-15 최진호 쇼케이스의 도어 개폐장치
KR19990041797A (ko) * 1997-11-24 1999-06-15 최진호 쇼케이스의 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4091A (ja) * 1996-03-29 1997-10-07 Midorikawa Kasei Kogyo Kk 両開き押しドア
KR19990013174A (ko) * 1997-07-31 1999-02-25 배순훈 좌우개폐형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KR19990041799A (ko) * 1997-11-24 1999-06-15 최진호 쇼케이스의 도어 개폐장치
KR19990041797A (ko) * 1997-11-24 1999-06-15 최진호 쇼케이스의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885A (ko)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7841B1 (en) Refrigerator with two-axis door hinge
EP3034973B1 (en) Refrigerator
US20060255045A1 (en) Hinge device for storage cases and storage case having the same
KR20060049176A (ko) 로크기구
US4828236A (en) Damper device for a door having dual-direction operating biasing spring means
KR101266871B1 (ko) 냉장고
EP3441679B1 (en)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wo-way openable door
KR100863597B1 (ko) 냉장고 도어의 지지장치
KR20110139362A (ko) 고정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KR200266486Y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20220085384A (ko) 냉장고
KR100187204B1 (ko) 냉장고 도어의 힌지 장치
KR102593128B1 (ko) 가구 도어의 양방향 개폐 장치
KR100607678B1 (ko) 냉장고
KR100748970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200271181Y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100260916B1 (ko) 냉장고의 도어 록킹장치
KR200166856Y1 (ko) 양방향으로개폐가능한냉장고도어
JP3098054U (ja) すべり出し窓用開閉装置
KR100900952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0613866B1 (ko) 김치저장고의 힌지조립체
JPH04227421A (ja) 電子レンジのドア開閉装置
KR200390088Y1 (ko) 힌지 움직임 방지 리브를 구비한 김치냉장고의 힌지조립체
KR200350174Y1 (ko) 김치냉장고
KR102499758B1 (ko)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