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918B1 -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 및 이를 사용하는 DVB-T베이스밴드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 및 이를 사용하는 DVB-T베이스밴드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918B1
KR100862918B1 KR1020070043661A KR20070043661A KR100862918B1 KR 100862918 B1 KR100862918 B1 KR 100862918B1 KR 1020070043661 A KR1020070043661 A KR 1020070043661A KR 20070043661 A KR20070043661 A KR 20070043661A KR 100862918 B1 KR100862918 B1 KR 100862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slave device
dsp
main processor
dv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동
이승훈
김종철
홍병주
이숙윤
조군식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43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76Architectures of general purpose stored program computers
    • G06F15/78Architectures of general purpose stored program computers comprising a single central processing unit
    • G06F15/7807System on chip, i.e. computer system on a single chip; System in package, i.e. computer system on one or more chips in a single pack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07Interfacing a plurality of external cards, e.g. through a DVB Common Interface [DVB-C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recording or reproducing the baseband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 Processors (AREA)
  • Bu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 및 이를 사용하는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은 제1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프로세서와; 상기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상기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프로세서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통신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프로세서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크로스바 스위칭 방식에 따라 연결하는 CI(Communication Interface)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크로스바 스위치(Crossbar switch)를 이용하여 고속 연산에 적합하면서도 유연성을 갖는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 및 이를 사용하는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MULTIPROCESSOR SoC PLATFORM AND DVB-T BASEBAND RECEIV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AMBA AHB(Advanced Microcontroller Bus Architecture Advanced High-performance Bus) 기반의 듀얼 프로세서 플랫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의 단위 크로스바 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단위 크로스바 셀의 cell part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라운드 로빈(Round robin) 우선순위 정책에 따른 CI 제어부의 상태도(State machine)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의 전원이 인가될 때 동기화하는 중의 알고리즘의 스케줄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스케줄일 이후의 스케줄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프로세서 20a,20b,20c : 제2 프로세서
30a,30b,30c,30d,30e,30f : 슬레이브 디바이스
40 : CI 유닛 41 : CI 제어부
42 : 크로스바 스위치 43 : 단위 크로스바 셀
본 발명은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 및 이를 사용하는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스바 스위치(Crossbar switch)를 이용하여 고속 연산에 적합하면서도 유연성을 갖는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 및 이를 사용하는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향후의 IT 시장의 급증하는 부분을 차지하는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은 큰 시스템 안에서 주어진 특정한 기능을 후행하기 위해서 삽입되는 서브 시스템의 형태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임베디드 시스템은 소프트웨어적인 요소와 하드웨어적인 요소를 동시에 요구하고 있으며, SoC(System on Chip)의 형태로 제작된다.
여기서, SoC(System on Chip)의 개발은 타겟 시스템을 모델링해서 시뮬레이션하기 힘들 뿐 아니라 디버깅할 수 있는 환경이 열악하며 TTM(Time To-Market)이 짧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동시 작업과 설계가 요구된다.
따라서 칩의 적을 최소화하고 성능을 최대화하며 게이트 수순의 최적화를 통한 기존의 셀 기반 설계 방법으로는 설계의 생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SoC(System on Chip) 설계 방법인 IP(Intellectual Property) 재사용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 기반 설계가 제시되었다.
여기서, VSIA(Virtual Socket Interface Alliance)에서는 플랫폼을 미리 정형화되고 통합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IP(Intellectual Property) 블록이나 모델 및 설계 도구로 정의하고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응용의 경우에는 멀티태스킹 환경이 일반적이고, 새로운 표준의 등장과 기존 표준의 확장이 빈번하여 소프트웨어 중심의 SoC(System on Chip) 설계가 더욱 중요하게 된다.
디지털 신호처리는 더 많은 복소 연산과 고속의 데이터 처리를 요구하게 되었고, 이에 맞는 타겟 시스템은 고속의 데이터 처리와 복수의 복소 연산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요구되어 졌다. 또한, 디지털 신호처리 시스템의 요구되어진 성능을 만족하기 위해 이질적인(heterogeneous) 멀티프로세서 사용이 늘어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AMBA AHB(Advanced Microcontroller Bus Architecture Advanced High-performance Bus) 기반의 듀얼 프로세서 플랫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듀얼 프로세서 플랫폼에서는 프로세서로 ARM(Advanced RISC Machines) 프로세서와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것일 예로 하고 있고, ARM(Advanced RISC Machines) 프로세서로는 ARM926ejs를 사용하고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는 Teak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는 공유 메모리(Shared memory), IP(Intellectual Property) 블록들, DMA(Direct Memory Access) 등이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듀얼 프로세서 플랫폼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UX 구조의 버스인 AMBA AHB(Advanced Microcontroller Bus Architecture Advanced High-performance Bus)를 사용하고 있는 데, AMBA AHB(Advanced Microcontroller Bus Architecture Advanced High-performance Bus) 자체의 한계로 인해 하나의 마스터인 프로세서가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만 접근하더라도 다른 마스터는 접근 중이 아닌 다른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의 접근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는 프로세서의 처리 속도와 직결되어 전체 처리 속도의 저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로스바 스위치(Crossbar switch)를 이용하여 고속 연산에 적합하면서도 유연성을 갖는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 및 이를 사용하는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에 있어서, 제1 프로 세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프로세서와; 상기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상기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프로세서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통신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프로세서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크로스바 스위칭 방식에 따라 연결하는 CI(Communication Interface)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CI(Communication Interface) 유닛은 상기 크로스바 스위칭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프로세서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통신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단위 크로스바 셀로 구성된 크로스바 스위치와; 상기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프로세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접근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의 통신 경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크로스바 스위치를 제어하는 CI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I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프로세서 중 적어도 2 이상으로부터 하나의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기 정의된 우선순위 정책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의 접근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I 컨트롤러는 라운드 로빈(Round robin) 우선순위 정책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의 접근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프로세서의 총 개수가 n개이고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총 개수가 m개인 경우, 상기 단위 크로스바 셀의 개수는 n×m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전체 스케줄링을 관리하며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주관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로세서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ARM(Advanced RISC Machines)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 Institute)의 EN(European Norm) 300 744 규격에 따라 스케줄링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Intellectual Property)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에 있어서, 전체 스케줄링을 관리하며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주관하는 메인 프로세서와;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통신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크로스바 스위칭 방식에 따라 연결하는 CI(Communication Interface)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I(Communication Interface) 유닛은 상기 크로스바 스위칭 방식에 따라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통신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단위 크로스바 셀로 구성된 크로스바 스위치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의 통신 경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크로스바 스위치를 제어하는 CI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I 컨트롤러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 중 적어도 2 이상으로부터 하나의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기 정의된 우선순위 정책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의 접근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I 컨트롤러는 라운드 로빈(Round robin) 우선순위 정책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의 접근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의 총 개수가 n개이고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총 개수가 m개인 경우, 상기 단위 크로스바 셀의 개수는 n×m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ARM(Advanced RISC Machines)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 Institute)의 EN(European Norm) 300 744 규격에 따라 스케줄링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Intellectual Property)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이 DVB-T 베이스밴드(Baseband) 수신장치에 적용된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로세서(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프로세서(20a,20b,20c),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 및 CI(Communication Interface) 유닛(40)을 포함한다.
제1 프로세서(10)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의 전체 스케줄링을 관리하며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주관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에서는 메인 프로세서로 ARM(Advanced RISC Machines) 프로세서가 사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프로세서는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 Institute)의 EN(European Norm) 300 744 규격에 따라 스케줄링을 관리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2 프로세서(20a,20b,20c)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0) 및 제2 프로세서(20a,20b,20c)는 CI(Communication Interface) 유닛(40)을 통해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로 접근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메모리(Shared memory)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Intellectual Property)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P(Intellectual Property) 블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FT(Fast Fourier Transform) 블록, 주파수 보정(Freq. Compensate) 블록, 빅 알고리즘(Beek algorism)을 이용한 파인 주파수 동기(Fine frequency synchronization) 블록, 클라센 알고리즘(Classen algorism)을 이용한 코스 주파수 동기(Coarse frequency synchronization) 블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I(Communication Interface) 유닛(40)은 제1 프로세서(10) 및 제2 프로세서(20a,20b,20c)와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CI(Communication Interface) 유닛(40)은 크로스바 스위칭(Crossbar switching) 방식에 따라 제1 프로세서(10) 및 제2 프로세서(20a,20b,20c)와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를 연결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CI(Communication Interface) 유닛(40)은 크로스바 스위치(42)와, CI 제어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크로스바 스위치(42)는 크로스바 스위칭 방식에 따라 제1 프로세서(10) 및 제2 프로세서(20a,20b,20c)와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 간의 통신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단위 크로스바 셀(43)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로세서(10) 및 제2 프로세서(20a,20b,20c)로 구성된 마스터의 총 개수가 n개이고,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의 총 개수가 m개인 경우, 단위 크로스바 셀(43)의 개수는 n×m개로 마련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크로스바 셀(43)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크로스바 셀(43)은 wdata cell part, rdata cell part, write cell part, 및 address cell part로 구성될 수 있다. 각 cell part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입력과 두 개의 출력을 가지며, switch control 신호(도 5의 'sel_con', 이하 동일)가 '0'일 경우 아래의 단위 크로스바 셀(43)과 연결되고, switch control 신호가 'l'일 경우 오른쪽의 단위 크로스바 셀(43)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크로스바 스위칭 방식을 통해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를 마스터인 제1 프로세서(10) 또는 제2 프로세서(20a,20b,20c)가 동시에 사용하지 않는 한 다른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를 각각의 마스터가 독립적인 버스를 통해 연결 가능해지며, 하나의 마스터로 인한 버스의 병목현상을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CI 제어부(41)는 제1 프로세서(10) 및 제2 프로세서(20a,20b,20c) 중 어느 하나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로의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접근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로의 통신 경로가 형성되도록 크로스바 스위치(42)를 제어한다.
또한, CI 제어부(41)는 제1 프로세서(10) 및 제2 프로세서(20a,20b,20c) 중 2 이상으로부터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로 동시에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기 정의된 우선순위 정책에 따라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로의 접근 순서를 결정하여, 마스터인 제1 프로세서(10) 및 제2 프로세서(20a,20b,20c)의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에 대한 점유권을 마스터에게 재분배하는 중재 기능을 한다.
여기서, CI 제어부(41)는 제1 프로세서(10) 및 제2 프로세서(20a,20b,20c) 중 2 이상으로부터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로 동시에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라운드 로빈(Round robin) 우선순위 정책에 따라 해당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로의 접근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라운드 로빈(Round robin) 우선순위 정책에 따른 CI 제어부(41)의 상태도(State machine)이다. 여기서, 4개의 마스터(제1 프로세서(10) 1개 및 제2 프로세서(20a,20b,20c) 3개)와 6개의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가 크로스바 스위치(42)로 연결된 경우을 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dle state
CI 제어부(41)의 초기화 상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이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에 적용된 경우,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의 전원이 인가될 때, 또는 reset이 실행된 후에 CI 제어부(41)는 Idle state에 존재한다. Idle state에서는 항상 마스터인 제1 프로세서(10) 또는 제2 프로세서(20a,20b,20c)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공유메모리 및 IP 블록) 접근에 대한 요구(request)를 입력받아 처리한다.
M1_req state(Master1 request state)
M1_req state는 마스터 1이 CI 제어부(41)에 접근 요구를 보낸 상태이다. 마스터 1은 해당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의 ID를 CI 제어부(41)에 보내 접근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를 CI 제어부(41)에 알려준다. 여기서, CI 제어부(41)는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의 ID를 판단하여 M1_S1_req, M2_req, M3_req, M4_req 등의 상태로 천이된다. M2_req, M3_req, M4_req state도 M1_req state에서 처리하는 것과 같다.
S1_pro state(Slave1 process)
S1_pro state는 각 마스터가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 '1'에 접근을 요구한 상태이다. 예를 들어, 마스터 1만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 1에 접근을 요구하였을 때는 M1_grant state(마스터 1 접근 허가)로 천이된다. 하지만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 1에 여러 개의 마스터가 접근을 요구하였을 때는 마스터에 대한 우선순위, 즉 전술한 라운드 로빈(Round robin) 우선순위 정책에 따른 우선순위를 따져 접근 허가를 주게 된다. 나머지 S2_pro, S3_pro, S4_pro, S5_pro, S6_pro state도 S1_pro state 천이와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S1_pro 상태에 종속되는 상태로 이하에서 설명할 M1_grant state, M1_grant_end state, Round robin state가 있다.
M1_grant state(Master1 grant)
M1_grant state는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 1에 대해 마스터 1의 접근이 허가된 상태이다. M1_grant state에서는 해당 마스터에게 grant 신호를 보내 알려주게 된다. 그리고, 크로스바 스위치(42)가 마스터 1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 1로 연결되도록 CI 제어부(41)가 크로스바 스위치(42)를 제어하여 통신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M1_grant_end state(Master1 grant end)
M1_grant_end state는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 1에 대해 마스터 1의 접근이 끝난 상태이다. 마스터 1로부터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 1에 대한 접근 end 신호를 받아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 1에 대한 grant 신호를 non_active 상태로 만들고 다음 상태로 천이된다.
Round robin state
Round robin state에서는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 1에 대한 다른 마스터 접근 요구가 없으면 Idle state로 천이된다. 다른 마스터 접근 요구가 대기 중인 상태면 라운드 로빈(Round robin) 우선순위 정책으로 그 다음 마스터에게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 1에 대한 접근 허가를 준다. 이는, 라운드 로빈(Round robin) 우선순위 정책을 통해 어떤 하나의 마스터만이 우선순위를 가져 계속적인 접근을 막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마스터 1이 접근을 허가 받고 마스터 2,3,4가 대기 중인 상태에서 마스터 1의 접근이 끝나면 마스터 2가 접근을 허가 받게 된다. 이때 또 다시 마스터 1이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 1에 접근을 요구한 경우 라운드 로빈(Round robin) 우선순위 정책에 따라 대기 중인 마스터의 순번은 마스터 3, 마스터 4 그리고 마스터 1이 된다. 슬레이브 디바이스(30a,30b,30c,30d,30e,30f)1로의 접근에 대한 마스터의 요구가 없으면 Idle State로 천이된다.
한편, 도 9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의 전원이 인가될 때 동기화하는 중의 알고리즘의 스케줄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 이후의 스케줄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의 각 블록은 전술한 바와 같이,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 Institute)의 EN(European Norm) 300 744 규격에 만족하도록 스케줄링되며, 이는 8MHz 채널에서 2k 모드면서 보호구간 1/8인 경우 전체 심볼 주기는 252us임을 의미하며, 전체적으로 파이프라인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제2 프로세서(20a,20b,20c), 즉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 각각들 간의 세부 알고리즘은 병렬적으로 수행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크로스바 스위치(Crossbar switch)를 이용하여 고속 연산에 적합하면서도 유연성을 갖는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 및 이를 사용하는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에 있어서,
    전체 스케줄링을 관리하며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주관하는 메인 프로세서와;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통신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크로스바 스위칭 방식에 따라 연결하는 CI(Communication Interface)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I(Communication Interface) 유닛은
    상기 크로스바 스위칭 방식에 따라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통신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단위 크로스바 셀로 구성된 크로스바 스위치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의 통신 경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크로스바 스위치를 제어하는 CI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I 컨트롤러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 중 적어도 2 이상으로부터 하나의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접근 요청이 있는 경우, 기 정의된 우선순위 정책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의 접근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I 컨트롤러는 라운드 로빈(Round robin) 우선순위 정책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의 접근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프로세서의 총 개수가 n개이고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총 개수가 m개인 경우, 상기 단위 크로스바 셀의 개수는 n×m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ARM(Advanced RISC Machines)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 Institute)의 EN(European Norm) 300 744 규격에 따라 스케줄링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유 메모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Intellectual Property)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B-T 베이스밴드 수신장치.
KR1020070043661A 2007-05-04 2007-05-04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 및 이를 사용하는 DVB-T베이스밴드 수신장치 KR100862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661A KR100862918B1 (ko) 2007-05-04 2007-05-04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 및 이를 사용하는 DVB-T베이스밴드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661A KR100862918B1 (ko) 2007-05-04 2007-05-04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 및 이를 사용하는 DVB-T베이스밴드 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918B1 true KR100862918B1 (ko) 2008-10-13

Family

ID=40153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661A KR100862918B1 (ko) 2007-05-04 2007-05-04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 및 이를 사용하는 DVB-T베이스밴드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9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2572A2 (en) * 2009-04-20 2010-10-28 Dhoot Pradeepkumar Nandlal Integrated digital television
US9270659B2 (en) 2013-11-12 2016-02-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Open connection manager virtualization at system-on-chip
US9456071B2 (en) 2013-11-12 2016-09-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xtensible kernel for adaptive application enhance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1871A1 (en) 2003-07-25 2005-01-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contained processor subsystem as component for system-on-chip design
KR20060071075A (ko) * 2004-12-21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온-칩 네트워크를 구비한 동영상 인코딩 장치 및 그 설계방법
KR20070059899A (ko) * 2005-12-07 2007-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에 적합한 크로스바 스위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1871A1 (en) 2003-07-25 2005-01-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contained processor subsystem as component for system-on-chip design
KR20060071075A (ko) * 2004-12-21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온-칩 네트워크를 구비한 동영상 인코딩 장치 및 그 설계방법
KR20070059899A (ko) * 2005-12-07 2007-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에 적합한 크로스바 스위치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대한전자공학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2572A2 (en) * 2009-04-20 2010-10-28 Dhoot Pradeepkumar Nandlal Integrated digital television
WO2010122572A3 (en) * 2009-04-20 2011-01-27 Dhoot Pradeepkumar Nandlal Integrated digital television
US9270659B2 (en) 2013-11-12 2016-02-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Open connection manager virtualization at system-on-chip
US9456071B2 (en) 2013-11-12 2016-09-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xtensible kernel for adaptive application enhancement
US9667629B2 (en) 2013-11-12 2017-05-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Open connection manager virtualization at system-on-chip
US9832669B2 (en) 2013-11-12 2017-11-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xtensible kernel for adaptive application enhanc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260B1 (ko) 오토믹 세마포어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0499556C (zh) 异构多核处理器高速异步互连通信网络
US6275891B1 (en) Modular and scalable system for signal and multimedia processing
WO2001037088A3 (en) Programmable multi-tasking memory management system
EP3238390B1 (en) Combined guaranteed throughput and best effort network-on-chip
EP2250569B1 (en) Sharing bandwidth of a single port sram between at least one dma peripheral and a cpu operating with a quadrature clock
US11876732B2 (en) Method for managing the configuration of access to peripherals and their associated resources of a system on chip, and corresponding system on chip
US91709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rrupt signal that supports multi-processor
KR100862918B1 (ko) 멀티프로세서 SoC 플랫폼 및 이를 사용하는 DVB-T베이스밴드 수신장치
Hessien et al. The best of all worlds: Improving predictability at the performance of conventional coherence with no protocol modifications
CN116028413A (zh) 一种总线仲裁器、总线仲裁的方法、装置及介质
CN102063337B (zh) 多处理器核的信息交互和资源分配的方法及系统
GB2396450A (en) Data bus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cross-access between buses
US20090144480A1 (en) Multi-processor system on chip platform and dvb-t baseband receiver using the same
KR100630693B1 (ko) 소비 전력을 절감시키는 버스 중재 시스템 및 방법
EP0886218B1 (en) Time multiplexed scheme for deadlock resolution in distributed arbitration
Seceleanu The SegBus platform–architecture and communication mechanisms
JPH0210459A (ja) バス使用権決定方式
KR100307620B1 (ko) 백플레인버스를시분할방식으로사용하기위한버스용모듈
JPS59223827A (ja) バスア−ビトレ−シヨン回路
Poornima et al. Mailbox based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in SoC
KR100243868B1 (ko) 주 전산기에서의 중재로직 방법
KR950012498B1 (ko) 내부 버스 중재기
Ma et al. A parallel low latency bus on chip for packet processing MPSoC
JPS6160162A (ja) バス調停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