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756B1 - Dc/dc 업/다운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및휴대용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Dc/dc 업/다운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및휴대용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756B1
KR100860756B1 KR1020027012233A KR20027012233A KR100860756B1 KR 100860756 B1 KR100860756 B1 KR 100860756B1 KR 1020027012233 A KR1020027012233 A KR 1020027012233A KR 20027012233 A KR20027012233 A KR 20027012233A KR 100860756 B1 KR100860756 B1 KR 100860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means
state
down converter
coi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6646A (ko
Inventor
슬루이즈스페르디난드제이
하트코넬리즈엠
Original Assignee
엔엑스피 비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엑스피 비 브이 filed Critical 엔엑스피 비 브이
Publication of KR20020086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2Buck-boost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9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controlled outp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유도성 에너지 저장 수단(L)과, 스위칭 수단(S1,S2,S3)과, 제어 수단(40)을 포함하는 DC/DC 업/다운 변환기(30)에 관한 것이다. 제어 수단(40)은 다운 변환 모드에서는 DC/DC 변환기(30)의 제 1 출력부(Vout1)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며 업 변환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출력부(Vout1)로부터 DC/DC 변환기(30)의 제 2 출력부(Vout2)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스위칭 수단(S1,S2,S3)을 동작적으로(operatively) 제어한다.

Description

DC/DC 업/다운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및 휴대용 전자 장치{A DC/DC UP/DOWN CONVERTER}
본 발명은 유도성 에너지 저장 수단, 스위칭 수단 및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DC/DC 업/다운 변환기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제어 수단은 소정 량의 전기 에너지를 상기 에너지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DC/DC 변환기의 출력부에 전달하는 스위칭 수단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킨다.
이러한 타입의 DC/DC 업/다운 변환기는 본 출원인의 명의로 국제 특허 출원 번호 WO 95/43121에 알려져 있다.
실제로, DC/DC 업 변환기에 비해, 다운/업 변환기는 통상적으로 업/다운 기능을 실현하는 두 개의 추가적인 스위칭 수단을 필요로 한다. 이는 세가지 주요 단점을 갖는다. 첫번째 단점은 보다 큰 칩 면적이 집적 회로 DC/DC 변환기 내에서 필요하다는 것이며, 두번째 단점은 회로의 직렬 저항이 전체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이며, 세번째 단점은 특히 반도체 스위치의 경우에 보다 높은 스위칭 손실이 발행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DC/DC 업/다운 변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운 변환 모드에서는 DC/DC 변환기의 제 1 출력부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며 업 변환 모드에서는 전기 에너지를 제 1 출력부에서 DC/DC 변환기의 제 2 출력부로 전달하기 위해 DC/DC 변환기의 스위칭 수단을 동작적으로(operatively)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DC/DC 업/다운 변환기로 성취된다.
본 발명에 따라, 두 출력부가 구현된다. 즉, 다운 변환 모드로 동작되는 제 1 출력부 및 업 변환 모드로 동작되는 제 2 출력부이다. 제 2 출력 전압은 2 스텝 변환 사이클(two-step conversion cycle)로 제공되는데, 여기서 제 1 출력부로부터의 에너지는 제 2 출력부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DC/DC 업/다운 변환기는 제 1 및 제 2 입력 단자와, 제 1 및 제 2 출력 단자와, 제 3 및 제 4 출력 단자와, 제 1 및 제 2 접속 단부(상기 제 2 접속 단부는 상기 제 1 출력 단자와 접속됨)를 갖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제 1 접속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입력 단자까지의 도전 경로를 제공하도록 동작적으로 접속된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코일의 제 1 접속 단부로부터 상기 제 3 출력 단자까지의 도전 경로를 제공하도록 동작적으로 접속된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1 입력 단자로부터 상기 코일의 제 1 접속 단부까지 의 도전 경로를 제공하도록 동작적으로 접속된 제 3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제 4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코일의 제 1 접속 단부까지의 도전 경로를 제공하는 제 1 다이오드 수단과,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코일의 제 1 접속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출력 단자까지의 도전 경로를 제공하는 제 2 다이오드 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및 제 3 스위칭 수단을 폐쇄 또는 도전 상태 및 개방 또는 비도전성 상태로 동작적으로 스위칭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DC/DC 업/다운 변환기는 하나의 스위치가 줄어들더라도 실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집적 회로 변환기의 경우에 칩 면적을 줄이며 특히 반도체 스위칭 수단의 경우에는 스위칭 수단의 도전 경로의 비제로 저항(non-zero resistance)으로 인해 스위칭 손실 및 출력 직렬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DC/DC 업/다운 변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수단은 다음의 7 개의 상이한 상태를 포함하는 변환 사이클로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데, 제 1 상태에서는 상기 제 3 스위칭 수단이 도전성 상태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 수단은 비도전성 상태가 되며, 제 2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은 도전성 상태이며 상기 제 2 및 제 3 스위칭 수단은 비도전성 상태가 되며, 제 3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은 도전성 상태이며 상기 제 2 및 제 3 스위칭 수단은 비도전성 상태가 되며, 제 4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은 도전성 상태이며 상기 제 1 및 제 3 스위칭 수단은 비도전성 상태━코일에서의 전류 흐름이 상기 제 2 상태에 비하여 반대 방향이 됨━가 되며, 제 5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및 제 3 스위치가 비도전성 상태가 되며, 제 6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및 제 3 스위치가 비도전성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코일에서의 전류 흐름이 상기 제 5 상태에 비하여 반대 방향이 되며, 제 7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및 제 3 스위치가 비도전성 상태가 되며 코일을 통해 어떤 전류도 흐르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MOS(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스위칭 수단이 사용되며, 상기 스위칭 수단은 트랜지스터의 도전성 또는 비도전성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에 접속된 제어 단자(게이트)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DC/DC 업/다운 변환기는 제 1 및 제 2 출력부의 출력 단자 양단에 접속된 평활 캐패시터(smoothing capacitors)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된 DC/DC 업/다운 변환기를 포함하며, 그의 입력부로 DC 입력 전압 Vin을 수신하는 전원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제어 수단은, 사용 시에 DC/DC 변환기의 제 1 출력부가 전압 Vout1을 제공하며 DC/DC 변환기의 제 2 출력부가 전압 Vout2(여기서 Vout1〈Vin 이며 Vout2 〉Vout1 임)을 제공하도록, 소정량의 전기 에너지를 입력부로부터 에너지 저장 수단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DC/DC 변환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배터리 전력 장치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사용되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 DC/DC 업 변환기의 회로도,
도 2는 종래 기술 DC/DC 업/다운 변환기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C/DC 업/다운 변환기의 회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DC/DC 업/다운 변환기 내에서의 코일 전류의 그래프.
도 1은 단일 출력을 갖는 종래 기술 DC/DC 업 변환기(1)의 기본 회로를 도시한다.
변환기(1)는 제 1 및 제 2 접속 단부를 갖는 코일(L)의 형태를 취하는 유도성 에너지 저장 수단을 포함한다. 코일(L)의 제 1 접속 단부는 제 1 입력 단자(2)에 접속되며 코일(L)의 제 2 접속 단부는 제 1 스위칭 수단(S1)에 의해 제 2 입력 단자(3)에 접속된다. 또한, 코일(L)의 제 2 접속 단부는 제 2 스위칭 수단(S2)에 의해 제 1 출력 단자(4)에 접속된다. 다이오드(D)는 제 2 스위칭 수단(S2)에 병렬 접속되어, 다이오드(D)의 순방향에서 코일(L)의 제 2 접속 단부로부터 제 1 출력 단자(4)까지의 도전 경로를 제공한다. 평활 캐패시터(C)는 제 1 출력 단자(4) 및 제 2 출력 단자(5)에 접속된다. 제 2 입력 단자(3) 및 제 2 출력 단자(5)는 가령 전자 장치의 어쓰(earth) 또는 매스(mass)(9)와 같은 공통 도전 경로를 통해 접속된다.
변환기(1)는 입력 단자(2)에서의 입력 전압 Vin에 응답하여 출력 단자(4,5) 에서의 제어된 또는 조정된 출력 전압 Vout을 제공하도록 동작된다. 이를 위해, 제어기 또는 제어 수단(6)이 PFM(펄스 주파수 변조) 및/또는 PWM(펄스 폭 변조) 제어 방식에 따라 스위칭 수단(S1,S2)을 동작시키도록 제공되며, 여기서 출력 전압 Vout는 입력 전압 Vin보다 높다. 스위칭 수단(S1,S2)의 제어는 화살표(11,12)에 의해 표시된다. 제어 수단(6)에 의한 출력 전압 Vout의 측정은 점선 화살표(10)에 의해 표시된다.
통상적인 PFM 동작 모드에서, 제 1 상태에서는, 스위칭 수단(S1)은 폐쇄되며 즉 전류 도전 상태이며, 제 2 스위칭 수단(S2)은 개방되며 즉 전류 비도전성 상태가 된다. 이 제 1 상태 동안에는, 전류는 오직 그 내부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는 코일(L)을 통해서만 흐른다.
제 1 상태 이후의 제 2 상태 동안, 스위칭 수단(S1)은 개방되며 스위칭 수단(S2)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는, 코일(L)에 저장된 에너지는 출력 단자(4,5)에 제공되어, 출력 전압 Vout가 입력 전압 Vin보다 높아지게 된다.
일단 측정된 출력 전압 Vout가 제어 수단(6)에 의해 제어되는 세트된 기준 전압 아래로 떨어지면, 새로운 스위칭 사이클이 시작된다.
PWM 모드에서는, 코일 전류(L)는 제로가 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 1 상태 동안 에너지가 코일(L)에 저장되거나 비축되며, PWM 스위칭 사이클의 이후의 제 2 상태에서는, 저장된 에너지가 변환기(1)의 출력 단자(4,5)로 전달된다. 출력 전압 Vout가 기준 전압 이하로 떨어질 때마다, 새로운 스위칭 사이클이 시작된다.
도 2는 업 변환기(1)를 기반으로 하는, 종래 기술 DC/DC 업/다운 변환기(20) 의 구현의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업 변환기(1) 이외에, 업/다운 변환기(20)는 제 3 스위칭 수단(S3)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3 스위칭 수단에 의해 코일(L)의 제 1 접속 단부가 제 1 입력 단자(2)에 접속되며, 제 4 스위칭 수단(S4)은 코일(L)의 제 1 접속 단부를 변환기(20)의 제 1 입력 단자(3)에 접속시킨다. 또한, 제 1 다이오드 수단(D1)은 제 4 스위칭 수단(S4)에 병렬 접속되어, 제 2 출력 단자(5)에서 코일(L)의 제 1 접속 단부로의 순방향으로의 도전 경로를 제공한다. 제어 수단(15)이 각기 화살표(11,12,13,1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수단(S1,S2,S3,S4)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변환기(20)의 통상적인 변환 사이클에서, 제 1 상태 동안, 제 1 스위칭 수단(S1) 및 제 3 스위칭 수단(S3)이 도전성 상태가 되며, 제 2 스위칭 수단(S2) 및 제 4 스위칭 수단(S4)이 비도전성 상태가 된다. 이 제 1 상태 동안, 에너지는 코일(L)에 저장된다.
스위칭 사이클의 제 2 상태에서는, 제 1 스위칭 수단(S1) 및 제 4 스위칭 수단(S4)은 비도전성 상태가 되며, 제 2 스위칭 수단(S2) 및 제 3 스위칭 수단(S3)은 도전성 상태가 된다. 이 상태 동안, 코일 전류는 안정하게 유지되며 에너지는 출력 단자(4,5)에 전달되어, 출력 전압 Vout를 형성한다.
제 3 상태에서는, 제 1 스위칭 수단(S1) 및 제 3 스위칭 수단(S3)이 비도전성 상태가 되며 제 2 스위칭 수단(S2) 및 제 4 스위칭 수단(S4)이 도전성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코일 전류는 감소하는데, 그 이유는 어떤 에너지도 입력부로부터 코일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이며, 에너지는 출력부로 전달된다.
코일(L)에 공급된 에너지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출력 전압 Vout가 입력 전압 Vin보다 더 높아질 수 있어서, 즉, 업 변환 모드가 되거나, 출력 전압 Vout가 입력 전압 Vin보다 더 낮아질 수 있어서, 즉, 변환기(20)의 다운 변환 모드가 될 수 있다.
도 3은 제 1 및 제 2 입력 단자(31,32)로 구성되는 입력부와, 제 1 및 제 2 출력 단자(33,34)로 구성되는 제 1 출력부와, 제 3 및 제 4 출력 단자(35,36)로 구성되는 제 2 출력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DC/DC 업/다운 변환기(3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2 입력 단자(32) 및 제 2 및 제 4 출력 단자(34,36)는 전자 장치(50)의 접지 또는 매스(37)와 같은 공통 도전 경로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환기(30)는 제 1 스위칭 수단(S1)을 통해 제 2 및 제 4 출력 단자(34,36)에 접속되는 제 1 접속 단부를 갖는, 코일(L)의 형태로 된 에너지 저장 수단을 포함한다. 코일(L)의 제 2 접속 단부는 제 1 출력 단자(33)에 접속된다. 코일(L)의 제 1 접속 단부는 제 2 스위칭 수단(S2)을 통해 제 3 출력 단자(35)에 접속되며 스위칭 수단(S3)을 통해 제 1 입력 단자(31)에 접속된다. 도 2의 업/다운 변환기와 관련되어 개시된 바처럼, 제 1 다이오드 수단(D1)은 제 1 스위칭 수단(S1)에 병렬 접속되며, 제 2 다이오드 수단(D2)은 제 2 스위칭 수단(S2)에 병렬 접속된다. 평활 캐패시터(C1,C2)는 각기 출력 단자(33,34) 사이 및 출력 단자(34,35)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스위칭 수단(S2)은 선택사양적이며 DC/DC 변환기의 전력 변환 효율을 높이는 데 사용된다.
제어 수단(40)은 점선 화살표(38)에 의해 표시된, 제 1 출력부에서의 출력 전압 Vout1을 측정하며, 점선 화살표(39)에 의해 표시된, 제 2 출력부에서의 출력 전압 Vout2를 측정한다. 제어 수단(40)에 의한 제 1 및 제 2 및 제 3 스위칭 수단(S1,S2,S3)의 제어는 화살표(41,42,43)에 의해 각기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출력 DC/DC 업/다운 변환기(30)의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최상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도 4에서 시간 t에 대한 코일 전류 I가 PFM 모드 또는 불연속 모드에서 통상적인 스위칭 사이클로 도시되며, 코일(L)을 통한 전류 I는 제로가 된다. 통상적인 스위칭 사이클은 다음과 같은 7 개의 상이한 상태를 포함한다.
φ0: 스위칭 수단(S3)은 도전성 즉 폐쇄된 상태이며, 스위칭 수단(S1,S2)은 비도전성 상태 즉 개방 상태여서, 입력 전압 Vin을 공급하는 입력 전압 소스로부터의 에너지는 코일(L) 내에 저장되며 제 1 출력부에 공급되어 출력 전압 Vout1을 형성한다.
φ1: 스위칭 수단(S1)은 폐쇄되며 스위칭 수단(S2,S3)은 개방되어, 코일(L) 내의 에너지는 제 1 출력부로 전달된다.
φ2: 스위칭 수단(S1)은 폐쇄되며 스위칭 수단(S2,S3)은 개방되어, 에너지가 제 1 출력부에서 코일(L)로 전달된다. 코일(L) 내의 전류는 φ0 및 φ1에 비하여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φ3: 스위칭 수단(S2)은 폐쇄되며 스위칭 수단(S1,S3)은 개방되며, 코일(L)로부터 및 제 1 출력부(1)로부터의 에너지는 제 2 출력부(2)에 전달되어, 출력 전압 Vout(2)을 생성한다.
φ4: 모든 스위치가 개방되어, 코일(L) 내의 잔류 에너지는 다이오드(D1)를 통해 제 1 출력부로 전달된다.
φ5: 모든 스위치가 개방되어, 코일(L) 내의 잔류 에너지가 제 2 출력부로 전달된다. 코일 내의 전류 흐름(I)은 상태 φ4에 비하여 반대 방향이 된다.
φ6: 모든 스위치는 개방되고, 코일을 통한 전류 I는 제로가 된다.
Vout1〈 Vin 이며 Vout2 〉Vout1이 되도록, 제어 수단(40)은 기준 전압 Vref1 및 Vref2(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동일한 측정을 함으로써 바람직한 출력 전압 Vout1 및 Vout2에 따라 스위칭 수단(S1,S2,S3)을 제어한다.
도 2 및 도 3의 DC/DC 업/다운 변환기를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환기(30)는 종래 기술 변환기(20)보다 스위치 하나가 적게 구현됨을 알 수 있다. MOS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트랜지스터 스위칭 수단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변환기(30)의 스위칭 손실 및 총 직렬 저항이 종래 기술 변환기(30)에 비해 감소된다. 집적 회로 변환기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변환기(30)는 변환기(20)에 비해 더 작은 칩 면적을 필요로 하는데, 그 이유는 스위칭 수단의 수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동작하는 DC/DC 업/다운 변환기는 휴대용 전자 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50) 내에서 사용되거나, 도 3에서 점선 블록(45)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개별 전원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Claims (8)

  1. DC/DC 업/다운 변환기(30)로서,
    유도성 에너지 저장 수단, 스위칭 수단(S1,S2,S3), 제어 수단(40)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수단(40)은 소정량의 전기 에너지를 상기 에너지 저장 수단(L)으로부터 상기 DC/DC 업/다운 변환기(30)의 출력부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스위칭 수단(S1,S2,S3)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고,
    상기 제어 수단(40)은 다운 변환 모드에서는 전기 에너지를 상기 DC/DC 업/다운 변환기(30)의 제 1 출력부(Vout1)로 전달하고 업 변환 모드에서는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제 1 출력부(Vout1)로부터 상기 DC/DC 업/다운 변환기(30)의 제 2 출력부(Vout2)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스위칭 수단(S1,S2,S3)을 동작적으로(operatively) 제어하는
    DC/DC 업/다운 변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입력 단자(31,32)와,
    제 1 및 제 2 출력 단자(33,34)와,
    제 3 및 제 4 출력 단자(35,36)와,
    제 1 및 제 2 접속 단부━상기 제 2 접속 단부는 상기 제 1 출력 단자(33)와 접속됨━를 갖는 코일(L)과,
    상기 코일(L)의 제 1 접속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입력 단자(32)까지의 도전 경로를 제공하도록 동작적으로 접속된 제 1 스위칭 수단(S1)과,
    상기 코일(L)의 제 1 접속 단부로부터 상기 제 3 출력 단자(35)까지의 도전 경로를 제공하도록 동작적으로 접속된 제 2 스위칭 수단(S2)과,
    상기 제 1 입력 단자(31)로부터 상기 코일(L)의 제 1 접속 단부까지의 도전 경로를 제공하도록 동작적으로 접속된 제 3 스위칭 수단(S3)과,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S1)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제 4 출력 단자(36)로부터 상기 코일(L)의 제 1 접속 단부까지의 도전 경로를 제공하는 제 1 다이오드 수단(D1)과,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S2)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코일(L)의 제 1 접속 단부로부터 상기 제 3 출력 단자(35)까지의 도전 경로를 제공하는 제 2 다이오드 수단(D2)과,
    상기 제 1 및 제 2 및 제 3 스위칭 수단(S1,S2,S3)을 폐쇄 상태 또는 도전 상태 및 개방 상태 또는 비도전성 상태로 동작적으로 스위칭하는 제어 수단(40)을 포함하는
    DC/DC 업/다운 변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40)은 변환 사이클(conversion cycle)에서 상기 스위칭 수단(S1,S2,S3)을 제어하되,
    상기 변환 사이클은,
    상기 제 3 스위칭 수단(S3)이 도전성 상태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 수단(S1,S2)은 비도전성 상태가 되는 제 1 상태(φ0)와,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S1)은 도전성 상태이며 상기 제 2 및 제 3 스위칭 수단(S2,S3)은 비도전성 상태가 되는 제 2 상태(φ1)와,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S1)은 도전성 상태이며 상기 제 2 및 제 3 스위칭 수단(S2,S3)은 비도전성 상태가 되는 제 3 상태(φ2)━상기 코일(L) 내의 전류 흐름(I)은 상기 제 2 상태(φ1)에 비하여 반대 방향이 됨━와,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S2)은 도전성 상태이며 상기 제 1 및 제 3 스위칭 수단(S1,S3)은 비도전성 상태가 되는 제 4 상태(φ3)와,
    상기 제 1 및 제 2 및 제 3 스위칭 수단(S1,S2,S3)이 비도전성 상태가 되는 제 5 상태(φ4)와,
    상기 제 1 및 제 2 및 제 3 스위칭 수단(S1,S2,S3)이 비도전성 상태가 되는 제 6 상태(φ5)━상기 코일(L) 내의 전류 흐름(I)은 상기 제 5 상태(φ4)에 비하여 반대 방향이 됨━와,
    상기 제 1 및 제 2 및 제 3 스위칭 수단(S1,S2,S3)이 비도전성 상태가 되며 상기 코일(L)을 통해 어떤 전류도 흐르지 않는 제 7 상태(φ6)를 포함하는
    DC/DC 업/다운 변환기(30).
  4. 제 2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S1,S2,S3)은 반도체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DC/DC 업/다운 변환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 단자(33,34) 및 상기 제 3 및 제 4 출력 단자(35,36)와 병렬 접속된 캐패시터(C1;C2)를 더 포함하는
    DC/DC 업/다운 변환기.
  6. 제 1 항에 따른 DC/DC 업/다운 변환기(30)를 포함하며, 상기 DC/DC 업/다운 변환기(30) 입력부에서 DC 입력 전압 Vin을 수신하는 전원(power supply)(45)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40)은, 사용 시에 상기 DC/DC 업/다운 변환기(30)의 제 1 출력부가 전압 Vout1을 제공하며 상기 DC/DC 업/다운 변환기(30)의 제 2 출력부가 전압 Vout2━여기서, Vout1〈Vin 이며 Vout2 〉Vout1 임━을 제공하도록, 소정량의 전기 에너지를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에너지 저장 수단(L)으로 전달하는
    전원.
  7. 제 1 항에 따른 DC/DC 업/다운 변환기(30)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50).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스위칭 수단은 MOS(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 수단을 포함하는
    DC/DC 업/다운 변환기.
KR1020027012233A 2001-01-18 2001-12-17 Dc/dc 업/다운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및휴대용 전자 장치 KR100860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200169.9 2001-01-18
EP01200169 2001-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646A KR20020086646A (ko) 2002-11-18
KR100860756B1 true KR100860756B1 (ko) 2008-09-29

Family

ID=817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233A KR100860756B1 (ko) 2001-01-18 2001-12-17 Dc/dc 업/다운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및휴대용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37838B2 (ko)
EP (1) EP1356579B1 (ko)
JP (1) JP4216599B2 (ko)
KR (1) KR100860756B1 (ko)
AT (1) ATE484096T1 (ko)
DE (1) DE60143220D1 (ko)
WO (1) WO20020582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6820B2 (en) * 2001-09-12 2005-09-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 for providing controlled voltages
JP3556652B2 (ja) * 2002-09-27 2004-08-18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WO2004066050A1 (en) * 2003-01-17 2004-08-05 Freescale Semiconductor, Inc. Power management system
JP4498037B2 (ja) * 2003-07-11 2010-07-0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制御回路を備えた半導体装置
ATE472847T1 (de) * 2004-01-05 2010-07-15 Nxp Bv Verfahren zum betrieb eines gleichstrom/gleichstrom-aufwärts/abwärts-wandle s
JP3889011B2 (ja) * 2004-03-26 2007-03-07 ローム株式会社 昇圧電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機器
DE102004031395A1 (de) * 2004-06-29 2006-02-02 Infineon Technologies Ag Gleichspannungswandler
US7466112B2 (en) * 2005-02-08 2008-12-16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Variable frequency current-mode control for switched step up-step down regulators
US7365525B2 (en) * 2005-02-08 2008-04-29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Protection for switched step up/step down regulators
US7256570B2 (en) 2005-02-08 2007-08-14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Light load current-mode control for switched step up-step down regulators
US7394231B2 (en) * 2005-02-08 2008-07-01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Current-mode control for switched step up-step down regulators
GB2449914B (en) * 2007-06-07 2012-01-18 Wolfson Microelectronics Plc Improved buck-boost converter
US7741736B2 (en) * 2007-10-09 2010-06-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sense point voltage regulation
US8164378B2 (en) * 2008-05-06 2012-04-2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Device and technique for transistor well biasing
TWI411212B (zh) * 2009-10-20 2013-10-01 Alpha & Omega Semiconductor 電感式轉換裝置及能量控制方法
US9210519B2 (en) 2010-04-22 2015-12-08 Sonova Ag Hear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US9374648B2 (en) 2010-04-22 2016-06-21 Sonova Ag Hear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JP5919516B2 (ja) 2010-07-26 2016-05-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多入力雑音抑圧装置、多入力雑音抑圧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FR2965127B1 (fr) * 2010-09-16 2014-07-18 Thales Sa Systeme d'alimentation regulee a grande dynamique d'entree de tension
TWI427908B (zh) * 2010-12-30 2014-02-21 Realtek Semiconductor Corp 單電感雙輸出電源轉換器與其驅動方法
US10574132B2 (en) * 2018-03-14 2020-02-25 Alpha And Omega Semiconductor (Cayman) Limited Inductor with bypass switc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4647A (ja) * 1985-01-17 1986-07-25 Toyota Motor Corp 排気ガス浄化用触媒
JPH07107739A (ja) * 1993-10-04 1995-04-21 Tamura Seisakusho Co Ltd Dc/dcコンバータ
JPH08205528A (ja) * 1995-01-26 1996-08-09 Nec Kansai Ltd 昇降圧型スイッチング電源
US5977753A (en) 1998-01-23 1999-11-02 Astec International Limited Buck regulator with plural output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3540A1 (de) * 1987-04-22 1988-11-10 Siemens Ag Kombinierter sekundaerschalter
JP2706740B2 (ja) * 1990-05-16 1998-01-28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H05137267A (ja) * 1991-11-12 1993-06-01 Dia Semikon Syst Kk 電源装置
EP0712547B1 (en) 1994-06-03 1999-11-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wer supply with improved efficiency, transmitter comprising such a power supply
US5923545A (en) 1998-05-18 1999-07-1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output voltages from a voltage regulator
IT1308448B1 (it) * 1999-04-23 2001-12-17 Magneti Marelli Spa Convertitore dc/dc a piu' uscite, particolarmente per l'impiego abordo di autoveicoli
EP1095445A1 (en) * 1999-05-04 2001-05-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c-dc conver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4647A (ja) * 1985-01-17 1986-07-25 Toyota Motor Corp 排気ガス浄化用触媒
JPH07107739A (ja) * 1993-10-04 1995-04-21 Tamura Seisakusho Co Ltd Dc/dcコンバータ
JPH08205528A (ja) * 1995-01-26 1996-08-09 Nec Kansai Ltd 昇降圧型スイッチング電源
US5977753A (en) 1998-01-23 1999-11-02 Astec International Limited Buck regulator with plural outpu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43220D1 (de) 2010-11-18
EP1356579A1 (en) 2003-10-29
JP4216599B2 (ja) 2009-01-28
WO2002058221A1 (en) 2002-07-25
JP2004518393A (ja) 2004-06-17
US20020113580A1 (en) 2002-08-22
US6737838B2 (en) 2004-05-18
KR20020086646A (ko) 2002-11-18
EP1356579B1 (en) 2010-10-06
ATE484096T1 (de) 201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756B1 (ko) Dc/dc 업/다운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및휴대용 전자 장치
KR100702721B1 (ko) Dc/dc 업/다운 컨버터와 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및 휴대용 전자 기기
KR100849355B1 (ko) 제어된 다중-출력 dc/dc 컨버터
US10468988B2 (en) Three-level converter using an auxiliary switched capacitor circuit
US6271651B1 (en) Inductor shorting switch for a switching voltage regulator
US7256568B2 (en) Single induct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witching converter and method of use
US20060109698A1 (en) Self-driven synchronous rectifier circuit
US20140241012A1 (en) Isolated boost flyback power converter
KR20020092995A (ko) 디지털적으로 제어되는 dc/dc 컨버터
US7135847B2 (en) Serial connected low-loss synchronously switchable voltage chopper
CN110875686B (zh) 电子转换器和操作电子转换器的方法
US20090230935A1 (en) Step-down switching dc-dc converter
CN110994995A (zh) 一种适于四开关升降压变换器的自举驱动电路
US20020074977A1 (en) Multi-output DC-DC convert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EP2216877B1 (en) DC/DC conver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C/DC converter
US6657872B2 (en) Voltage converter
KR100860757B1 (ko) Dc/dc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및 휴대용 전자장치
JP2006087189A (ja) チョッパ型dc−dcコンバータ
CN110071634A (zh) 自举式电路及使用该电路的关联的直流转直流转换器
JP2001309649A (ja) 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