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371B1 -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371B1
KR100860371B1 KR1020080020459A KR20080020459A KR100860371B1 KR 100860371 B1 KR100860371 B1 KR 100860371B1 KR 1020080020459 A KR1020080020459 A KR 1020080020459A KR 20080020459 A KR20080020459 A KR 20080020459A KR 100860371 B1 KR100860371 B1 KR 100860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lide
coupled
arm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Priority to KR1020080020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01B17/10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by intermediate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애자에 연결되어 전력선을 연결하는 점프선의 경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은 슬라이드블록(30)의 위치를 조절하여, 보조 애자(6)가 고정되는 회동아암(2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점프선(5)이 다른 전력선(4) 등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점프선(5)이 요동칠 때, 지지아암(50)이 신축되어 충격을 흡수하므로써, 충격이 보조 연수애자나 완금(2)에 직접 전달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transmission tower having Insulator}
본 발명은 보조 애자에 연결되어 전력선을 연결하는 점프선의 경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탑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구성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설치된 완금(2)과, 상기 완금(2)의 양측에 연결된 한쌍의 애자(3)가 구비되어, 상기 완금(2) 양측의 애자(3)에 전력선(4)을 연결하고 전력선(4)을 점프선(5)으로 상호 연결하여, 전력선(4)을 가설한다. 이때, 완금(2)의 하부에는 상기 점프선(5)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보조 애자(6)가 구비되어, 바람에 의해 점프선(5)이 흔들려 본체(1) 또는 완금(2)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와같이 전력선(4)을 가설 할 때, 점프선(5)이 다른 전력선(4)이나 나무 등에 닿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다른 전력선(4)의 연결방향과 같은 주변의 상황을 고려하여, 점프선(5)이 지나는 경로는 결정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 점프선(5)은 완금(2)의 하부에 연결된 보조 애자(6)에 의해 지지되므로, 경로를 자유롭게 바꾸는 것이 매우 어려워서, 점프선(5)의 경로를 적당히 설정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따라 전기안전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보조 애자(6)에는 어떠한 완충장치 없이, 점프선(5)에 연결되어 점프선(5)을 지지하므로, 바람에 의해 점프선(5)이 요동칠 때, 충격이 보조 애자(6)나 완금(2)에 직접 전달되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전탑에 구비된 점프선의 경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조 애자에 의해 지지된 점프선이 바람에 의해 요동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된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길게 구성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설치된 완금(2)과; 상기 완금(2)의 양측에 구비되어 전력선(4)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한쌍의 애자(3)와; 상기 완금(2)에 구비되며 애자(3)에 연결된 전력선(4)을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점프선(5)을 지지하는 보조 애자(6)를 포함하는 송전탑에 있어서,
상기 완금(2)에 고정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점프선(5)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의 장공(11)이 형성된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장공(11)에 삽입되는 나사축(31,61)이 구비되어 지지대(10)에 장공(11)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블록(30,60)과; 상기 나사축(31,61)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슬라이드블록(30,60)이 슬라이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너트부재(40)와; 기단이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3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하향연장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보조 애자(6)가 결합된 회동아암(20)과; 기단이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6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며 선단의 둘레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로드(51)와, 상기 지지로드(51)의 선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한쌍의 지지부재(52)와, 길이방향 중간부 외측에 플랜지(53a)가 구비된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5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로드(51)의 선단부 외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슬라이드통체(53)와, 상기 슬라이드통체(53)의 플랜지(53a)와 지지부재(5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끼워지는 한쌍의 스프링(54)과, 기단부는 상기 슬라이드통체(53)에 연결되고 선단부는 상기 지지로드(51)의 선단부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동아암(20)의 중간부에 힌지결합되는 연결패널(55)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드통체(53)가 상기 스프링(5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로드(5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전체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된 지지아암(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은 제1 및 제2 슬라이드블록(30,60)의 위치를 조절하여, 보조 애자(6)가 고정되는 회동아암(2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점프선(5)이 다른 전력선(4) 등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점프선(5)이 요동칠 때, 지지아암(50)이 신축되어 충격을 흡수하므로써, 충격이 보조 연수애자나 완금(2)에 직접 전달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는 도 2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구성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설치된 완금(2)과; 상기 완금(2)의 양측에 구비되어 전력선(4)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한쌍의 애자(3)와; 상기 완금(2)에 구비되며 애자(3)에 연결된 전력선(4)을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점프선(5)을 지지하는 보조 애자(6)를 포함하는 송전탑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완금(2)에 고정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점프선(5)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의 장공(11)이 형성된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장공(11)에 삽입되는 나사축(31,61)이 구비되어 지지대(10)에 장공(11)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블록(30,60)과; 상기 나사축(31,61)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슬라이드블록(30,60)이 슬라이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너트부재(40)와; 기단이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3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하향연장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보조 애자(6)가 결합된 회동아암(20)과;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60)과 회동아암(20)의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아암(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길이가 길고 상부가 오목한 채널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면에는 완금(2)에 관통결합되는 고정나사(14)가 구비되어, 상기 점프선(5)이 연장된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완금(2)의 하측면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완금(2)의 바닥면에 걸리는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지지대(10)의 상면과 완금(2)의 바닥면 사이에 상기 나사축(31)과 너트부재(4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장공(11)은 지지대(10)의 바닥면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지지대(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블록(30,60)은 상기 지지아암(50)의 선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오목부(32,62)가 하부면에 구비된 사각 금속블록으로서, 상면에 구비된 나사축(31,61)이 상기 지지대(10)의 장공(11)에 삽입되어, 각각 별로도 지지대(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너트부재(40)는 상기 지지대(1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나사축(31,61)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너트부재(40)를 조여 제1 및 제2 슬라이드블록(30,6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회동아암(20)은 원형봉형상으로 구성되어, 회동되도록 상기 지지대(10) 의 길이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기단부가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30)의 오목부(32)에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중간부에는 상기 지지아암(50)이 결합되는 힌지축(21)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아암(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이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60)의 오목부(6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며 선단의 둘레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로드(51)와, 상기 지지로드(51)의 선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한쌍의 지지부재(52)와, 길이방향 중간부 외측에 플랜지(53a)가 구비된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5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로드(51)의 선단부 외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슬라이드통체(53)와, 상기 슬라이드통체(53)의 플랜지(53a)와 지지부재(5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끼워지는 한쌍의 스프링(54)과, 기단부는 상기 슬라이드통체(53)에 연결되고 선단부는 상기 지지로드(51)의 선단부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동아암(20)의 중간부에 힌지결합되는 연결패널(55)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로드(51)는 원형의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기단부가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60)의 오목부(62)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지지부재(52)는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너트형상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지지부재(52)를 회전시키면, 지지부재(52)가 지지로드(51)를 따라 전후진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지지부재(52)를 회전시켜 지지부재(52)의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54)을 가압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 라 상기 스프링(54)에 의해 지지되는 슬라이드통체(5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패널(55)의 선단부에는 상기 회동아암(20)이 삽입되는 절개부(55a)와, 연결패널(55)의 선단부를 원형통형으로 벤딩하여 이루어진 결합부(55b)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55b)가 상기 회동아암(20)의 힌지축(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패널(55)과 회동아암(20)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통체(53)가 상기 스프링(54)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로드(5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지지아암(50)의 전체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공(11)을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30)을 위치이동시키거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공(11)을 따라 제2 슬라이드블록(60)을 위치이동시키면, 상기 회동아암(20)이 지지아암(5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기울어져 각도가 바뀌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드블록(30)을 슬라이드시켜 회동아암(20)과, 회동아암(20)에 결합되는 보조 애자(6)의 각도를 조정하고, 상기 너트부재(40)를 조여, 슬라이드블록(30)을 고정시키므로써, 회동아암(20)과 보조 애자(6)의 각도를 고정한 후, 지지대(10)를 완금(2)에 고정하므로써, 점프선(5)이 보조 애자(6)에 의해 지지되어 경로가 조정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블록(30,60)을 모두 위치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전력선(4)이나 기타 주변환경에 맞게 점프선(5)의 경로를 자유 롭게 조절하므로써, 점프선(5)이 다른 전력선이나 기타 방해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아암(50)은 스프링(54)에 의해 슬라이드통체(53) 및 연결패널(55)이 지지되어, 전체길이가 탄성적으로 신축되므로, 바람에 의해 점프선(5)이 진동되면 상기 지지아암(50)이 탄성적으로 신축되므로써 회동아암(20)이 적절한 각도 범위내에서 회동되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진동이 보조 애자(6)나 완금(2)에 전달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스프링(54)은 지지로드(51)에 나사결합된 한쌍의 지지부재(52)에 지지되므로, 작업자가 지지부재(52)를 회전시키므로써, 스프링(54)에 가해지는 힘을 조절하므로써, 상기 슬라이드통체(53)에 가해지는 저항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한쌍의 지지부재(52)의 위치를 모두 조절하므로써, 상기 슬라이드통체(53)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송전탑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의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Claims (1)

  1. 상하로 길게 구성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설치된 완금(2)과; 상기 완금(2)의 양측에 구비되어 전력선(4)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한쌍의 애자(3)와; 상기 완금(2)에 구비되며 애자(3)에 연결된 전력선(4)을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점프선(5)을 지지하는 보조 애자(6)를 포함하는 송전탑에 있어서,
    상기 완금(2)에 고정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점프선(5)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의 장공(11)이 형성된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장공(11)에 삽입되는 나사축(31,61)이 구비되어 지지대(10)에 장공(11)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블록(30,60)과;
    상기 나사축(31,61)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슬라이드블록(30,60)이 슬라이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너트부재(40)와;
    기단이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3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하향연장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보조 애자(6)가 결합된 회동아암(20)과;
    기단이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6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며 선단의 둘레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로드(51)와, 상기 지지로드(51)의 선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한쌍의 지지부재(52)와, 길이방향 중간부 외측에 플랜지(53a)가 구비된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5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로드(51)의 선단부 외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슬라이드통체(53)와, 상기 슬라이드통체(53)의 플랜지(53a)와 지지부재(5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끼워지는 한쌍의 스프링(54)과, 기단부는 상기 슬라이드통체(53)에 연결되고 선단부는 상기 지지로드(51)의 선단부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동아암(20)의 중간부에 힌지결합되는 연결패널(55)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드통체(53)가 상기 스프링(5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로드(5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전체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된 지지아암(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
KR1020080020459A 2008-03-05 2008-03-05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 KR100860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459A KR100860371B1 (ko) 2008-03-05 2008-03-05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459A KR100860371B1 (ko) 2008-03-05 2008-03-05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371B1 true KR100860371B1 (ko) 2008-09-25

Family

ID=4002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459A KR100860371B1 (ko) 2008-03-05 2008-03-05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3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979B1 (ko) 2009-11-10 2010-06-15 (주)삼우기술단 배전용 가공전선의 애자 링커
KR101200472B1 (ko) 2012-05-21 2012-11-12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특고압 전기 배전선 절연애자
KR101493677B1 (ko) 2014-12-10 2015-02-23 이호성 배전선로 내의 점퍼선 지지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214Y1 (en) 1996-05-14 1999-09-01 Daewon Electric Co Ltd Connection structure for jump line electronic pole for power line
KR200184037Y1 (ko) 1999-12-24 2000-06-01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점프선 지지애자
KR200185358Y1 (ko) 1999-12-24 2000-06-15 한국전력공사 점프선 지지애자 고정장치
JP2003224925A (ja) * 2002-01-28 2003-08-08 Fujikura Ltd 架空送電線のジャンパ装置
KR20050002773A (ko) * 2004-12-15 2005-01-10 김길평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214Y1 (en) 1996-05-14 1999-09-01 Daewon Electric Co Ltd Connection structure for jump line electronic pole for power line
KR200184037Y1 (ko) 1999-12-24 2000-06-01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점프선 지지애자
KR200185358Y1 (ko) 1999-12-24 2000-06-15 한국전력공사 점프선 지지애자 고정장치
JP2003224925A (ja) * 2002-01-28 2003-08-08 Fujikura Ltd 架空送電線のジャンパ装置
KR20050002773A (ko) * 2004-12-15 2005-01-10 김길평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979B1 (ko) 2009-11-10 2010-06-15 (주)삼우기술단 배전용 가공전선의 애자 링커
KR101200472B1 (ko) 2012-05-21 2012-11-12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특고압 전기 배전선 절연애자
KR101493677B1 (ko) 2014-12-10 2015-02-23 이호성 배전선로 내의 점퍼선 지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214B1 (ko) 가공전선 고정용 애자를 갖춘 송배전용 철탑
KR101469492B1 (ko) 와이어 이동형 로봇
KR100704995B1 (ko) 송전탑에 설치되는 애자 고정대
KR101335928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0860371B1 (ko) 원거리 송전탑의 특고압전선 고정기구
CN202707709U (zh) 一种变径抱箍
JP5306031B2 (ja) 間接活線工具支持具
KR101746372B1 (ko)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
CN104279411A (zh) 摄像机固定装置
KR100869363B1 (ko) 송전탑용 현수애자의 각도보정장치
KR100840351B1 (ko) 고압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고정장치
KR200491747Y1 (ko) 길이조절이 용이한 방진용 배관지지장치
CN209592805U (zh) 用于电缆敷设的支撑架
CN209183343U (zh) 防风型绝缘子
CN211377530U (zh) 一种10kv配电线路附加保护装置
KR102460176B1 (ko)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CN108922799A (zh) 活动抓手令克棒
KR100860580B1 (ko)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대
JP2012195119A (ja) 可変向型支持装置
CN105679614A (zh) 用于远程操作断路器的手柄的装置
KR101111619B1 (ko) 배전선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애자고정용 링커
CN109066452A (zh) 一种绝缘子卡具
CN214100774U (zh) 用于间隔棒的三维阻尼装置及间隔棒
KR20070111186A (ko) 송전선로의 점퍼지지대 겸용 아킹혼 장치
KR200488049Y1 (ko) 파라솔 설치용 삼각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