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349B1 -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349B1
KR100860349B1 KR1020070041110A KR20070041110A KR100860349B1 KR 100860349 B1 KR100860349 B1 KR 100860349B1 KR 1020070041110 A KR1020070041110 A KR 1020070041110A KR 20070041110 A KR20070041110 A KR 20070041110A KR 100860349 B1 KR100860349 B1 KR 100860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air growth
hair
presen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대
이상학
이윤진
조상철
Original Assignee
(주) 신현대한방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현대한방연구소 filed Critical (주) 신현대한방연구소
Priority to KR1020070041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증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서, 애엽 및 당귀의 혼합추출물에 측백엽, 고삼, 백지, 승마, 창출 또는 석류피의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약제의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종래 양약에 근원을 둔 발모제가 갖는 부작용을 최소화 하면서도, 모발생장촉진에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는 점에서 그 이용 가능성이 높다.
탈모증, 생약, 추출물

Description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PTING HAIR GROWTH CONTAINING HERB EXTRA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의 제모된 C57BL/6 마우스의 발모진행 상태를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의 제모된 C57BL/6 마우스의 발모면적을 나타낸 그래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14일째의 제모된 C57BL/6 마우스의 배부 발모상태를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14일째의 제모된 C57BL/6 마우스의 배부 모발밀도, 성모의 수 및 성모비율을 나타낸 그래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14일째의 제모된 C57BL/6 마우스의 H-E염색된 피부조직 사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14일째의 제모된 C57BL/6 마우스의 피부조직에서의 TGF-β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결과를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14일째의 제모된 C57BL/6 마우스의 피부조직에서의 EGF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를 나타낸 사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생장촉진용 화장료조성물을 토끼의 안점막에 점적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도이다.
본 발명은 특정 종류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증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과 남성 호르몬의 과다 정신적 스트레스, 혈액순환장애, 기타 영양장애, 내분비 장애, 노화, 자가면역질환, 환경오염, 염색 등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모발성장주기에 관련된 성장인자들이 탈모에 관여한다고 보고 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만족할 만한 치료방법도 제시되지 않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발모제나 양모제들은 대부분 혈액순환 부전이나 영양장애, 지루성피부염, 스트레스 등 대머리가 되는 간접적 원인들을 호전시킴으로써 탈모방지 및 발모를 유도하는 것들로 그 효과가 완벽하지 못하며 사용을 중단할 경우 다시 모발이 빠지기 시작하여 원래의 탈모된 상태로 되돌아가므로 효과가 지속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 약효가 알려져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 적인 발모제인 미녹시딜(이하 MXD)과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도 발모 및 탈모방지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생 동안 지속적인 사용이 요구되며, 이에 따른 부작용과 지속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는 실정이다.
종래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제들로써, 로즈마리, 녹차, 측백엽, 상백피, 당귀, 인삼, 쑥, 감초 등 여러 생약제가 단독 또는 2 이상이 조합된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모발용 외용제의 개시가 있었지만(등록특허 제0392610호, 등록특허 제070106호, 공개특허 2007-0031978호)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생약제의 특정한 구성과 배합비에서 그 효능이 더욱 뛰어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탈모의 방지 및 발모에 영향을 주며, 생체 안정성도 확보되는 재료들을 천연물에서 선택하여 연구, 검토한바, 이들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모발생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천연물에서 생체에 안전하면서 탈모방지,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조성물은 애엽 및 당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애엽과 당귀의 중량비가 1:0.1∼0.5인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혼합물에 측백엽, 고삼, 백지, 승마, 창출 및 석류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얻어지는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측백엽, 고삼, 백지, 승마, 창출 또는 석류피가 선택적으로 추가되는 경우 그 조성비는 상기 애엽의 중량에 대하여 각각 1:0.001∼0.05인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측백엽, 고삼, 백지, 승마, 창출 또는 석류피가 추가되는 경우 그 조성비는 상기 애엽의 중량에 대하여 각각 1:0.01∼0.03인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틸, 부틸렌글리콜, 에테르 및 클로로포름, 바람직하게는 물을 용매로 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탈모증 치료제는 상기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외용 도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탈모증 치료제는 상기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을 0.00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외용 도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예부터 의료용 및 민간요법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그 유효성과 안전성이 확보된 한방 생약 중에서, 육모촉진 및 기혈보강, 청열해독, 항균작용, 말초 혈액순환 개선작용 등이 예상되는 수종의 약재를 선정하여 상호간의 조화를 이루도록 혼합하여 추출한 것을 외용도포제로 제조함으로써,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탈모증 치료에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들 생약 중에서, 애엽(艾葉)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외용시 피부소양증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주된 약리작용으로는 항균작용이 있으며, 말초혈관 확장 및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으로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있다. 피부소양감 억제와 말초혈액순환 개선 효과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른 약제에 비해 애엽의 구성 비율을 높인 것에 특징이 있다.
당귀(當歸)는 산형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이며, 효능은 보혈, 행혈, 윤장, 조경하고 주된 약리작용으로는 항빈혈, 항균, 항염, 항혈전, 조혈, 혈관신행, 혈관이완, 면역기능 향상, 혈중지질을 낮추는 등의 반응을 나타낸다. 인체의 기혈이 부족해지면 모발이 약해지고 탈락되는데, 당귀는 대표적인 보혈제로 심혈관계에 영향을 보이며 혈관에 대한 작용과 더불어 혈맥에 대한 반응으로 혈관신생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측백엽(側柏葉)은 측백과에 속한 상록교목인 측백나무의 잎으로써, 진해거담작용, 기관지평활근 이완, 안정작용, 항균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있다. 모낭 상피와 말초혈관에 작용하여 모세포를 활성화시켜 모발 생성을 촉진시키고 두피도 개선시키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고삼(苦蔘)은 콩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고삼의 뿌리로써, 이뇨, 항균작용, 거담, 항종양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있다.
백지(白芷)는 산형과에 속한 2-3년생 초본인 구릿대의 뿌리로써, 외용시 항균작용이 있다.
승마(升麻)는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승마의 근경으로써, 항균작용, 혈압 및 심박수 강하, 해열진통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있다.
창출(蒼朮)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삽주의 근경으로써, 발한, 해열, 이뇨, 진통, 건위등의 효능이 있으며, 애엽과 같이 훈연하면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석류피는 석류과에 속한 낙엽소교목인 석류나무의 성숙한 과실의 과피로써, 살충, 항균작용이 있다. 석류피에는 항산화 작용 및 상처치유촉진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조성물은 애엽과 당귀의 중량비가 1:0.1∼0.5인 혼합물에, 4∼6배의 물을 가하고 약 80∼90℃에서 약 6∼8시간 정도 가열하여 추출한 후, 추출액을 냉동건조 또는 가온, 저압, 분무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조성물은 상기 애엽과 당귀의 혼합물에 측백엽, 고삼, 백지, 승마, 창출 또는 석류피를 애엽에 대하여 각각 1:0.001∼0.05의 중량비로 선택적으로 추가하고 4∼6배의 물을 가하고 약 80∼90℃에서 약 6∼8시간 정도 가열하여 추출한 후, 추출액을 냉동건조 또는 가온, 저압, 분무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추출물을 크림 기재 등에 0.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혼합하여 탈모증 치료용 외용 도포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 즉 추출물은 외용제일 경우 1일 1∼10㎎/Kg, 바람직하게는 2∼4㎎/Kg의 양을 2∼3회로 나누어 도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생약 성분의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효과에 대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9 : 생약 추출물의 제조
하기의 표 1과 같은 구성과 비율의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5배의 증류수로 약 80℃에서 약 8시간 정도 가열하여 추출한 후, 추출액을 회전농축기(rotary evaporator)로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였다.
구성 (g)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애엽 430 430 430 430 430 430 430 430 430
당귀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측백엽 10 - - - 10 10 10 10 10
고삼 - 10 - - 10 - 10 10 10
백지 - - 10 - - - 10 - 10
승마 - - - - - - - - 10
창출 - - - - - - - - 10
석류피 - - - 10 - 10 - 10 10
실시예 9에서 제조된 추출물(이하 '본 발명 조성물'이라 함)을 사용하여 시험을 하였다. 실시예 9에 따라 애엽 430g, 당귀 110g, 측백엽 10g, 고삼 10g, 백지 10g, 승마 10g, 창출 10g 및 석류피 10g의 혼합물 총 600g을 3,000㎖의 증류수로 약 80℃에서 약 8시간 정도 가열하여 추출한 후, 추출액을 회전농축기(rotary evaporator)로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107.5g의 분말 건조된 엑기스를 얻었다.
이 엑기스를 생리식염수에 녹여 엑기스용액의 농도가 디지털당도계(PR-201, ATAGO, Japan)로 7.0 Brix가 되도록 만들어 기준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이 기준용액의 100%용액(샘플-I)과 30% 용액(샘플-II)을 각각 피부도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육모상태의 육안적 관찰 및 면적비율의 측정
육모 촉진효능을 관찰하기 위해 제모된 C57BL/6 마우스에 생리식염수를 피부도포한 대조군(Control), 3% 미녹시딜(이하 'MXD' 현대약품, Korea)을 피부도포한 양성대조군(MXD)과 실험군으로서 본 발명 조성물 30% 용액을 피부도포한 샘플-I군 및 본 발명 조성물 100% 용액을 피부도포한 샘플-II군으로 나누어 실험한 후 각 군을 비교하였으며, 각 군은 12마리씩으로 하였다.
육모 촉진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C57BL/6 마우스의 6주령에 배부의 검정색 털을 1차적으로 면도한 다음 니크린 제모약(일동제약, Korea)을 피부도포하여 배부의 털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제모한 다음날부터 매일 오전 10시에 1회씩 2주간 각각의 시료를 충분히 피부도포하였다.
실험 시작 후 1일, 4일, 7일, 10일 및 14일에 털이 자라는 상태를 육안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2% 이소플루란(isoflurane)으로 가볍게 흡입마취한 후 디지털카메라(EOS-10D, Canon, Japan)로 사진 촬영하여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를 도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의하면 제모 이후 생리식염수를 도포한 대조군은 7일 까지 배부 전체가 제모된 상태의 분홍색 피부로 관찰되었고, 10일 째에 털이 자라기 시작하여 부분적으로 회색 피부로 변했으며, 14일 째는 부분적으로는 검정색 털이 자라났으나 여전히 부분적으로는 털이 자라기 시작하는 회색 피부가 관찰되었다. 이에 비하여 3% MXD를 도포한 MXD군은 피부도포 4일 까지는 분홍색 피부가 관찰되었으나 7일 째에는 배부 전체적으로 털이 자라기 시작하는 암청색 피부가 관찰되었고, 10일 째에 이미 배부 전체적으로 검정색 털이 다 자라난 상태가 되어 대조군에 비하여 확연한 발모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 조성물을 피부 도포한 샘플-I군과 샘플-II군은 피부도포 10일과 14일에서 MXD군과 유사한 정도의 발모상태를 나타내었다. 이는 피부도포 본 발명 조성물이 3% MXD와 유사한 정도의 발모촉진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 30% 용액인 샘플-I군과 100%용액인 샘플-II군 모두 피부도포 10일과 14일 째에 유사한 상태의 발모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30% 농도로도 충분한 발모촉진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시험예 2: 발모면적 비율의 변화
상기 시험예 1에서의 육안관찰에 의한 육모상태변화를 수치화하여 비교검증하기 위해서, 디지털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에 입력한 다음 NIH의 ImageJ 1.36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배부에서 털이 자란 부위의 면적비율을 측정하였다. 그 방법으로써 각각의 실험동물에서, 1일 째의 영상에서 제모된 배부의 면적 A를 측정하고, 동일한 실험동물의 14일 째 영상에서 검정색으로 털이 자란 면적 B를 측정한 다음 면적 A에 대한 면적 B의 백분율을 계산하여 자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2, 도2 및 도3에 나타내었다.
제모 이후 14일째에 각각 실험동물 배부에서 검정색 털이 자라난 발모면적 비율을 측정한 결과, 표2의 기재와, 도2의 도시와 같이 생리식염수를 도포한 대조군은 48.0±7.2%인 것에 비하여 MXD군은 86.8±1.9%로 유의성있는 발모면적 비율의 증가가 관찰되었고, 본 발명 조성물을 피부 도포한 샘플-I군은 81.7±3.6%, 샘플-II군은 83.6±2.2%로 역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발모면적 비율의 증가를 나타내었다(p<0.001). 또한, MXD군과 샘플-I군 및 샘플-II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던칸의 다중범위검증 결과 세 군 모두 동일 집단군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육안적인 발모상태의 변화와 일치하는 것으로, 본 발명 조성물의 피부도포가 3% MXD와 유사한 정도의 발모촉진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도 3).
발모면적(%) 던칸 테스트
대조군 48.0±7.2 A
MXD 86.8±1.9* B
샘플-I군 81.7±3.6* B
샘플-II군 83.6±2.2* B
대조군: 제모 후 14일 동안 생리식염수를 도포
MXD: 제모 후 14일 동안 MXD 연고를 도포
샘플-I군: 제모 후 14일 동안 본 발명 조성물 30%용액을 도포
샘플-II군: 제모 후 14일 동안 본 발명 조성물 100%용액을 도포
데이터는 mean±standard error(n=12)를 나타냄.
*:스튜던트 T-테스트 통계적 유의성 (p<0.001)
던칸 다중범위테스트는 p<0.05 수준에서 분석됨
시험예 3: 모발 밀도 및 성모 비율의 변화
실험 14일째에 실험동물을 과용량의 펜토바비탈 나트륨염(sodium pentobarbital)으로 희생시킨 다음 배부의 피부조직을 채취하여 10% 중성 포르말린(neutral formalin)용액으로 고정하고 수세한 다음 탈수과정을 거쳐 파라핀포매 하였다. 파라핀포매한 피부조직은 8㎛의 두께로 절편되었으며, 털의 상태와 모낭을 관찰하기 위하여 헤마톡실린&에오신(H&E)염색을 실시하였다.
H&E 염색을 실시한 피부조직의 100배 영상에서(도5) 일정면적(1.2㎟)내에서 관찰되는 모간의 수와 지름을 ImageJ 1.36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모간의 지름이 30㎛ 이상인 것은 성모로, 지름이 20㎛ 이하인 것은 솜털로 판정하고 각각의 수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제모 이후 14일째에, 각각 실험동물의 조직표본상에서 단위면적당 총 모발 수 즉, 모발 밀도와 모발의 굵기에 따라 구분한 성모의 수 및 이의 비율을 측정한 결과, 표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식염수를 도포한 대조군은 피부조직의 단위면적당 모발의 밀도는 37.3±1.9개이었고, 이 중 성모는 11.5±1.5개로 성모의 비율이 30.8±7.2% 이었다. 이에 비하여 MXD군은 단위면적당 모발의 밀도는 51.5±1.2개, 이 중 성모는 25.3±1.9개로 성모의 비율이 49.1±2.5%로 증가하여 모발의 밀도, 성모의 수 및 성모 비율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01). 본 발명 조성물 30%용액을 14일 간 피부 도포한 샘플-I군은 단위면적당 모발의 밀도는 48.2±1.7개, 이 중 성모는 22.7±2.1개로 성모의 비율은 47.1±3.1%이었고, 본 발명 조성물 100% 용액을 14일간 피부 도포한 샘플-II군은 단위면적당 모발의 밀도는 52.1±1.5개, 이 중 성모는 24.8±2.0개로 성모의 비율은 47.6±2.8%로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01). MXD군과 샘플-I군, 샘플-II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모발밀도(총수) 성모(개수) 성모의 비율(%)
대조군 37.3±1.9 11.5±1.5 30.8±3.3
MXD 51.5±1.2* 25.3±1.9* 49.1±2.5*
샘플-I군 48.2±1.7* 22.7±2.1* 47.1±3.1*
샘플-II군 52.1±1.5* 24.8±2.0* 47.6±2.8*
대조군: 제모 후 14일 동안 생리식염수를 도포
MXD: 제모 후 14일 동안 MXD 연고를 도포
샘플-I군: 제모 후 14일 동안 본 발명 30% 조성물을 도포
샘플-II군: 제모 후 14일 동안 본 발명 100% 조성물을 도포
데이터는 mean±standard error(n=12)를 나타냄.
*:스튜던트 T-테스트 통계적 유의성 (p<0.001)
시험예 4: TGF-β1과 EGF 발현의 변화
피부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싸이토카인(cytokine)들은 모발의 성장주기에 따라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여 양모, 또는 탈모를 유발하므로 탈모의 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 중에서 모발성장을 방해하는 TGF-β1과 모발생장을 촉진하는 EGF를 이용하여 육모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 14일째에 실험동물을 과용량의 펜토바비탈 나트륨염(sodium pentobarbital)으로 희생시킨 다음 배부의 피부조직을 채취하여 드라이아이스-이소펜탄(dry ice-isophentane)으로 동결시켜 면역조직화학염색용으로 사용하였다. 동결 피부조직 절편을 0.05M PBS로 5분간 3회 씻어내고, 1% H2O2에서 10-15분 정도 반응시킨 다음 다시 3회 씻어낸 뒤 10% 말혈청(normal horse serum, Vectastain)과 BSA(bovine serum albumin, Sigm)를 PBS에 섞은 블로킹용액(blocking solution)에 한 시간 정도 반응시켰다. 이후 PBS로 3회 씻어 낸 후, 1차 항체(primary antibody)의 처리는 항-TGF-β1(sc-146, Santa Cruz, USA)와 항-EGF(MAB236, R&D Systems, USA)를 PBS와 트리톤(Triton) X-100을 섞은 용액으로 희석한 후 4℃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조직을 PBS로 씻어내고, 아비딘-비오틴 면역퍼옥시다제(avidin-biotin immunoperoxidase)의 방법(ABC Vectastain Kit)에 따라 각각 한 시간씩 반응시켰다. 다음 NiCl2ㆍH2O(Sigma, USA)를 섞은 디아미노벤지딘 테트라클로라이드(diaminobenzidine tetrachloride, Sigma, USA)에서 5-10분간 발색 반응시키고, 조직을 폴리-L-라이신(poly-L-lysine) 코팅된 슬라이드에 붙인 후 2-3시간 건조시킨 다음 탈수, 봉합하여 조직표본을 제작하였다.
TGF-β1 발현의 결과는 도6에 도시되어 있다.
제모 이후 14일째에, 각각 실험동물의 피부조직을 TGF-β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관찰한 결과 생리식염수를 도포한 대조군, 3% MXD를 도포한 MXD군, 본 발명 조성물을 피부도포한 샘플-I군과 샘플-II군 모두에서 모발의 굵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성모와 굵기가 가는 솜털 모근의 외측 모근초(outer root sheat)와 내측 모근초(inner root sheat)에서 TGF-β1의 발현을 관찰하기 어려웠다. 일부 굵기가 가는 솜털의 내측 모근초(inner root sheat)에서 TGF-β1가 발현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이 역시 MXD군, 샘플-I군 및 샘플-II군 모두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도 6의 화살표 부분). 이는 MXD와 본 발명 조성물이 TGF-β1 발현과 관련이 없거나 또는 발현을 억제한 결과로 추측된다.
EGF 발현의 결과는 도7에 도시되어 있다.
제모 이후 14일 째에, 각각 실험동물의 피부조직을 EGF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관찰한 결과, 생리식염수를 도포한 대조군은 모발의 굵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성모와 굵기가 가는 솜털의 모근 외측모근초(outer root sheat)에서 약한(+) 또는 중등도(++)의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으며, 내측모근초(inner root sheat)에는 음성반응(-)을 나타내었다. MXD군 역시 대조군과 유사한 면역조직화학반응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 조성물을 피부도포한 샘플-I군과 샘플-II군에서는 전체적으로는 대조군 및 MXD군의 면역조직화학반응 양상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굵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성모의 외측모근초(outer root sheat)에서는 EGF에 대하여 강한 (+++)양성 반응을 나타내는 모근들이 관찰되었다(도7). 이러한 관찰결과 본 발명 조성물은 모근의 EGF발현에 영향을 미쳐 육모를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예 5: 안전성 실험
본 발명 조성물 용액이 안 점막에 미치는 영향으로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건강한 토끼를 사용하여 본 발명 조성물 30% 용액 약 1㎖을 30분 간격으로 2회 좌측 안점막에 점적하였다. 이후 각막의 투명도와 염증반응 유무, 결막의 적열상태와 눈곱형성 유무 등을 시간경과에 따라 24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서 1은 본 발명 조성물 30%용액을 안점막에 점적하고 1시간 경과 후의 토끼 우측 눈의 상태를, 2는 점적한 후 1시간 경과 후의 좌측 눈의 상태를, 3은 24시간 경과 후의 우측 눈의 상태를, 4는 24시간 경과 후의 좌측 눈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 조성물 용액을 건강한 토끼의 안점막에 점적한 다음 각막의 투명도와 결막의 적열상태, 눈곱형성 유무 등을 시간경과에 따라 관찰한 결과, 특이한 변화 또는 염증반응이 24시간 이후까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본 발명 조성물이 안점막을 과민자극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0: 외용 크림 기재 처방
실시예 9에서 얻은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을 다음 외용 크림 기재에 4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헤어크림을 제조하였다.
외용크림 기재 처방
경납 4g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6g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6g
폴리에틸렌글리콜 3.5g
글리세롤 19.2g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12㎎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발생장촉진 또는 탈모증 치료용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증 치료제는 생약제를 이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함유함으로써, 종래 양약에 근원을 둔 발모제가 갖는 부작용을 최소화 하면서도, 모발생장촉진에 뛰어난 효과를 가지는데, 이는 모낭에서 TGF-β1의 발현을 억제하고 EGF 발현을 증가시키는 작용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Claims (6)

  1. 애엽, 당귀, 측백엽, 고삼, 백지, 승마, 창출 및 석류피가 각각 1:0.1∼0.5:0.001∼0.05:0.001∼0.05:0.001∼0.05:0.001∼0.05:0.001∼0.05:0.001∼0.0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혼합물에 대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따른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을 전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KR1020070041110A 2007-04-27 2007-04-27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 KR100860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110A KR100860349B1 (ko) 2007-04-27 2007-04-27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110A KR100860349B1 (ko) 2007-04-27 2007-04-27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349B1 true KR100860349B1 (ko) 2008-09-25

Family

ID=4002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110A KR100860349B1 (ko) 2007-04-27 2007-04-27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3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57446A (zh) * 2023-10-25 2024-01-09 广州市碧颜化妆品有限公司 一种防脱发组合物及其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497A (ko) * 2000-05-03 2001-11-14 황인명 약초를 이용한 발모촉진제의 제조방법
JP2003280103A (ja) * 2002-03-22 2003-10-02 Fuji Photo Optical Co Ltd レーザポインタを用いた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30093661A (ko) * 2002-06-04 2003-12-11 황인명 생약재를 이용한 발모촉진제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497A (ko) * 2000-05-03 2001-11-14 황인명 약초를 이용한 발모촉진제의 제조방법
JP2003280103A (ja) * 2002-03-22 2003-10-02 Fuji Photo Optical Co Ltd レーザポインタを用いた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30093661A (ko) * 2002-06-04 2003-12-11 황인명 생약재를 이용한 발모촉진제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15(2), pp. 80-103, 200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57446A (zh) * 2023-10-25 2024-01-09 广州市碧颜化妆品有限公司 一种防脱发组合物及其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010B1 (ko) 소염, 부기제거, 진통에 사용되는 중국 생약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WO2021103581A1 (zh) 具有促进伤口愈合和/或疤痕修复功效的皮肤外用组合物
KR101516536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3544B1 (ko) 호장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1183B1 (ko) 한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WO2017138652A1 (ja) メラニン分解抑制剤
KR20160008055A (ko) 동백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20080138446A1 (en) Herbal Composition
CN104873446A (zh) 一种含肉桂油的牙膏
KR100860350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생장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4041A (ko) 두피재생촉진 모발처리제 조성물
KR100860349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생장촉진용 조성물
ITRM20130657A1 (it) Trattamento delle dermatopatie mediante estratto vegetale di daphne laureola
CN110652552A (zh) 一种伤口愈合配方及制备方法
KR20100088478A (ko) 화상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355125A (zh) 一种防皲裂药膏及其制备方法
CN100486636C (zh) 治疗牙齿敏感证的糊剂及其制备方法
US20080069908A1 (en) Compositions for safe and effective regression of dermal vessel tortuosity in psoriatic lesions
CN104138499B (zh) 一种治疗手足癣和甲癣的中药组合物、其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94823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KR102143767B1 (ko) 초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48939B1 (ko) 발모촉진용 제품의 제조방법
KR20200101080A (ko) 체외충격파 치료법의 남성 성기능 개선효과 또는 남성 불임 치료효과 증진용 약학 조성물
KR101611966B1 (ko) 녹용함유 한약추출물과 엠에스엠을 이용한 약학조성물 제조방법
CN106727943A (zh) 一种治疗肺结核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