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767B1 - 초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초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767B1
KR102143767B1 KR1020180105869A KR20180105869A KR102143767B1 KR 102143767 B1 KR102143767 B1 KR 102143767B1 KR 1020180105869 A KR1020180105869 A KR 1020180105869A KR 20180105869 A KR20180105869 A KR 20180105869A KR 102143767 B1 KR102143767 B1 KR 102143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egar
choran
days
egg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8259A (ko
Inventor
강우봉
강윤석
Original Assignee
강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우봉 filed Critical 강우봉
Publication of KR20190138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57Birds; Materials from birds, e.g. eggs, feathers, egg white, egg yolk or endothelium corneum gigeriae gall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란의 흰자에 산약초 식초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초란 숙성물은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개선에 효과적이므로,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치료제, 항 당뇨병성 족부궤양용 피부외용제 또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초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diabetic foot ulcer containing vinegar pickled egg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초란의 흰자에 산약초 식초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초란 숙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성 족부병증이란 당뇨병을 가진 사람의 발에 생기는 모든 문제를 말하며, '당뇨 발'이라고도 한다. 당뇨병 환자의 발에 생길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문제는 발의 피부 또는 점막조직이 헐어서 생기는 발 궤양이며, 당뇨병성 족부병증을 좁은 범위로 한정하면 발에 생기는 궤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당뇨병성 족부병증의 가장 대표적인 병변이기 때문이다.
당뇨병이 있으면 점차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된다. 하지로 가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면 발은 혈류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한다. 영양분이나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노폐물의 이동과 배출이 어렵게 되어 궤양이 잘 발생하게 된다. 또한, 당뇨병성 신경병증 때문에 발의 감각이 둔해지면 상처를 쉽게 입어 궤양 발생이 쉬워지며, 신경 이상으로 발에 변형이 잘 일어나고 보행 시 체중 부하가 정상과는 달라져 발 일부분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궤양이 호발하는 조건이 된다. 게다가 당뇨병 자체는 상처 치유를 지연시키기 때문에 발의 외상성 병변이 한 번 생기면 자가 회복이 더디게 되어 궤양이 쉽게 발생하고 치유가 늦어진다.
전체 족부질환 중 약 47% 정도가 당뇨병성 족부병증이고, 당뇨병 환자의 약 15%가 일생동안 한번 이상은 족부궤양을 앓게 되며, 그 중 1~3% 정도의 환자가 다리 일부를 절단하는 수술을 받는다. 당뇨병으로 인한 족부궤양을 한번 앓고 나면 재발하는 경우가 흔해, 1년 내에 약 30%의 환자가 재발을 경험하고, 당뇨병성 족부궤양으로 인해 수술을 받은 사람의 절반 이상이 수술 후 4년 이내에 반대쪽에 대해서도 수술을 받게 된다. 특히 당뇨병 환자가 병원에 입원하게 되는 원인의 약 40%가 당뇨병성 족부병증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외상으로 인한 경우를 제외한, 다리 일부를 절단하게 되는 원인 중 절반 이상이 당뇨병성 족부궤양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처럼 당뇨병성 족부궤양은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매우 중요한 원인이다.
족부궤양의 치료 목표는 첫째, 궤양을 예방하고, 둘째, 일단 궤양이 발생하면 조기에 치료함으로써 감염과 괴사로 진행하는 것을 최소화하며, 셋째, 감염과 괴사가 발생한 경우에도 가능하면 절단하지 않거나 또는 절단을 최소화하여 궁극적으로 기능이 좋은 발이 되도록 치료하는 것이다.
족부궤양에 접근하는 전통적인 치료법에는, 썩은 살의 제거(desloughing) 및 병변절제(debridement), 압박 해소(예, 휴식, 특별한 신발류 및 신발 삽입물 및 캐스팅), 감염의 항생제 치료 및 상처 드레싱이 포함된다.
본 발명자들은 당뇨병성 족부궤양을 조기에 치료하여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천연 원료의 안전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한편, 초란은 달걀을 식초에 담가 껍질을 녹여 만든 식품이다. 달걀을 5∼6일간 식초 속에 담가두면 껍질이 식초에 녹아 부드러워지고 흰자위는 수화되어 부풀며 노란자위는 반숙란처럼 굳어지는 상태가 되는데, 이것을 초란이라 부른다. 달걀껍질이 녹아 부드러워지는 것은 식초의 주성분인 식초산이 석회분을 용해시키기 때문이며, 노란자위가 굳어지는 것은 산응고 현상으로 식초에는 단백질이 잘 굳게 하는 작용이 있다.
달걀에는 안티트립신이라는 성분이 들어있어 단백질 소화를 저해하므로 소화력이 약한 유아나 노인 또는 소화기 계통의 환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으며, 또한 흰자위에 들어있는 아비딘이라는 물질은 비타민의 하나인 비오틴의 작용을 방해하여 피부염이나 탈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초란은 식초의 작용으로 이와 같은 달걀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한 식품이라고 할 수 있다.
초란은 소화흡수가 잘 되며, 약해진 체력을 정상으로 되돌리는데 효과가 있고 대사 기능의 원활화를 도와주기 때문에 그 효용범위가 크다. 의학의 시조인 히포크라테스도 그의 저서에서 회복기의 환자에게 초란이 좋다고 지적하고 있는데, 이로 미루어 볼때 초란의 효능은 이미 2천년 전부터 인정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이밖에도 초란은 고혈압, 동맥경화 예방, 위하수, 간장염, 당뇨병(장기 복용시) 등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란은 식초에 담가 만든 것을 그대로, 즉 껍질이 부드러워진 것은 껍질째 먹고, 그렇지 않은 것은 껍질을 버리고 노른자위와 흰자위를 섞어 먹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고, 본 발명자들에 의해 초란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이 개발되었으나, 초란을 이용한 당뇨병성 족부궤양 치료제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63875호에는 초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534468호에는 식용밀랍; 및 황금, 황련, 황백, 지렁이 및 앵속각의 참기름 오일 추출물로 구성된 당뇨병성 궤양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초란, 특히 초란의 흰자에 산약초 식초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초란 숙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해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초란의 흰자에 산약초 식초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초란 숙성물이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당뇨병성 족부궤양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초란의 흰자에 산약초 식초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초란 숙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란의 흰자에 산약초 식초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초란 숙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란의 흰자에 산약초 식초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초란 숙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초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초란의 흰자에 산약초 식초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초란 숙성물은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개선에 효과적이므로,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외용제 또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남성, 78세)의 환부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하여 개선효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2는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남성, 62세)의 환부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하여 개선효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3은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여성, 64세)의 환부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하여 개선효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4는 스트렙토조토신으로 유발한 당뇨병 동물모델의 혈당을 확인한 결과로, 약물 처치 전(a) 및 약물 처치 후 혈당(b)을 측정한 결과이다. *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군의 혈당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음을 의미하며, p<0.05이다.
도 5는 약물 처치 경과에 따른 창상 부위 변화를 사진으로 나타낸 결과이다.
도 6은 창상 부위의 크기를 도식화한 결과로, (a)는 실험 기간에 따른 창상 부위 크기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일자별 창상 부위 크기 변화를 약물 처리 군별로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군의 창상 부위 크기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5이다. #은 당뇨군에 비해 마데카솔 또는 실험예 2 처리군의 창상 부위 크기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5이다.
본 발명은 초란의 흰자에 산약초 식초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초란 숙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초란의 흰자와 산약초 식초는 0.8~1.2:0.8~1.2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초란의 흰자는
(a) 달걀의 표면을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세척하고 건조한 달걀을 감식초 및 동아식초 혼합물에 6~8일 동안 담근 후 건져낸 후, 사용하지 않은 감식초 및 동아식초의 혼합물로 달걀의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세척한 달걀을 산약초 식초에 6~8일 동안 침지하여 초란을 제조한 후, 산약초 식초를 제거하고, 사용하지 않은 신선한 산약초 식초를 이용하여 초란의 표면을 세척하는 과정을 1~3회 반복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 이후에, 초란으로부터 흰자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a) 달걀의 표면을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세척하고 건조한 달걀을 감식초와 동아식초를 0.8~1.2:0.8~1.2 중량비로 혼합한 감식초 및 동아식초 혼합물에 6~8일 동안 담근 후 건져낸 후, 사용하지 않은 감식초 및 동아식초의 혼합물로 달걀의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세척한 달걀을 산약초 식초에 6~8일 동안 침지하여 초란을 제조한 후, 산약초 식초를 제거하고, 사용하지 않은 신선한 산약초 식초를 이용하여 초란의 표면을 세척하는 과정을 1~3회 반복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 이후에, 초란으로부터 흰자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a) 달걀의 표면을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세척하고 건조한 달걀을 감식초와 동아식초를 1:1 중량비로 혼합한 감식초 및 동아식초 혼합물에 7일 동안 담근 후 건져낸 후, 사용하지 않은 감식초 및 동아식초의 혼합물로 달걀의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세척한 달걀을 산약초 식초에 7일 동안 침지하여 초란을 제조한 후, 산약초 식초를 제거하고, 사용하지 않은 신선한 산약초 식초를 이용하여 초란의 표면을 세척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 이후에, 초란으로부터 흰자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초란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b)단계의 감식초와 동아식초는 각각 원료인 감 또는 동아(동아호박)를 이용하여 1년 이상 초산발효하여 제조된 식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산약초 식초는 산약, 칡, 황칠, 어성초, 삼백초, 인동초, 도라지, 결명자, 인삼, 율무, 유근피, 맥문동, 감초, 황기, 당귀, 다시마, 우슬, 복분자, 비파엽, 고로쇠물 및 흑설탕을 혼합한 후 초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켜 제조된 식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초란의 흰자에 산약초 식초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초란 숙성물은
(a) 달걀의 표면을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세척하고 건조한 달걀을 감식초 및 동아식초 혼합물에 6~8일 동안 담근 후 건져낸 후, 사용하지 않은 감식초 및 동아식초의 혼합물로 달걀의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세척한 달걀을 산약, 칡, 황칠, 어성초, 삼백초, 인동초, 도라지, 결명자, 인삼, 율무, 유근피, 맥문동, 감초, 황기, 당귀, 다시마, 우슬, 복분자, 비파엽, 고로쇠물 및 흑설탕을 혼합한 후 초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산약초 식초에 6~8일 동안 침지하여 초란을 제조한 후, 산약초 식초를 제거하고, 사용하지 않은 신선한 산약초 식초를 이용하여 초란의 표면을 세척하는 과정을 1~3회 반복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 이후에, 초란으로부터 흰자를 분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초란 흰자에, 상기 단계 (c)의 산약초 식초를 첨가한 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 달걀의 표면을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세척하고 건조한 달걀을 감식초와 동아식초를 0.8~1.2:0.8~1.2 중량비로 혼합한 감식초 및 동아식초 혼합물에 6~8일 동안 담근 후 건져낸 후, 사용하지 않은 감식초 및 동아식초의 혼합물로 달걀의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세척한 달걀을 산약, 칡, 황칠, 어성초, 삼백초, 인동초, 도라지, 결명자, 인삼, 율무, 유근피, 맥문동, 감초, 황기, 당귀, 다시마, 우슬, 복분자, 비파엽, 고로쇠물 및 흑설탕을 혼합한 후 초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산약초 식초에 6~8일 동안 침지하여 초란을 제조한 후, 산약초 식초를 제거하고, 사용하지 않은 신선한 산약초 식초를 이용하여 초란의 표면을 세척하는 과정을 1~3회 반복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 이후에, 초란으로부터 흰자를 분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초란 흰자에, 상기 단계 (c)의 산약초 식초를 0.8~1.2:0.8~1.2 중량비가 되도록 첨가한 후 3~4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a) 달걀의 표면을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세척하고 건조한 달걀을 1:1 중량비의 감식초 및 동아식초 혼합물에 7일 동안 담근 후 건져낸 후, 사용하지 않은 감식초 및 동아식초의 혼합물로 달걀의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세척한 달걀을 산약, 칡, 황칠, 어성초, 삼백초, 인동초, 도라지, 결명자, 인삼, 율무, 유근피, 맥문동, 감초, 황기, 당귀, 다시마, 우슬, 복분자, 비파엽, 고로쇠물 및 흑설탕을 혼합한 후 초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산약초 식초에 7일 동안 침지하여 초란을 제조한 후, 산약초 식초를 제거하고, 사용하지 않은 신선한 산약초 식초를 이용하여 초란의 표면을 세척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 이후에, 초란으로부터 흰자를 분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초란 흰자에, 상기 단계 (c)의 산약초 식초를 1:1 중량비가 되도록 첨가한 후 3~4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의 경우,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 정맥 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이 당뇨병성 족부궤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적용되는 점을 감안하면,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치료 목적, 환자의 상태, 필요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 범위의 농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주사제, 크림,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란의 흰자에 산약초 식초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초란 숙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환부에 직접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경피 투여에 적합한 담체로서 천연 오일(oil), 지방산(fatty acid), 전분(starch) 등을 추가로 더 배합하여 피부 외용제를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피부외용제는 외용산제, 외용정제, 외용액제, 연고제, 크림제, 겔제, 경고제, 드레싱제, 패취제 또는 스프레이제의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초란의 흰자에 산약초 식초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초란 숙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또는 음료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인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제조예 1. 산약초 식초의 제조
산약, 칡, 황칠, 어성초, 삼백초, 인동초, 도라지, 결명자, 인삼, 율무, 유근피, 맥문동, 감초, 황기, 당귀, 다시마, 우슬, 복분자, 비파엽, 고로쇠물 및 흑설탕을 각각 10kg씩 혼합한 후 초산균을 첨가하여 1년 동안 발효시켜 산약초 식초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초란 및 산약초를 혼합한 초란 숙성물의 제조
달걀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물로 깨끗하게 세척한 후 표면의 물기를 건조하였다. 이후 감식초와 동아식초를 1:1 중량비로 혼합한 감식초 및 동아식초 혼합물에 상기 건조된 달걀을 7일 동안 침지한 후 건져낸 다음 사용하지 않은 감식초 및 동아식초 혼합물로 달걀의 표면을 세척하였다.
상기 감식초 및 동아식초 혼합물로 세척한 달걀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산약초 식초에 7일 동안 침지하여 초란을 제조한 후, 산약초 식초를 제거하고, 사용하지 않은 신선한 산약초 식초를 이용하여 초란의 표면을 세척하였으며, 산약초 식초를 이용하여 달걀을 침지 및 세척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그 후 제조된 초란으로부터 흰자만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초란 흰자에 상기 제조예 1의 산약초 식초를 1:1 중량비로 첨가한 후 3~4일 동안 숙성시켰다.
실시예 1: 피부 자극 시험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초란 숙성물(이하, 실험예 1)과 제조예 2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산약초 식초 대신 감식초를 이용하여 숙성한 초란 숙성물(이하, 비교예 2) 및 초란으로 제조되지 않은 달걀 흰자에 산약초 식초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숙성물(이하, 비교예 1) 각각에 대한 피부 자극 시험을 조사하기 위해 피부 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피검자는 15~30세의 시험 부위에 피부 질환이 없는 사람으로 선정하였으며 각각 15명에게 실시하였다. 첩포부위인 상박부를 70%(v/v)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후, 샘플을 0.1g씩 가하여 인체 상박부에 24시간 첩포하고, 첩포 제거 후 1시간 이내에 1차 피부 반응을 확인하고, 첩포 제거 48시간 후 다시 검사하여 표 1에 개시하였다. 피부 반응 판정은 하기 검사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 피부 반응 검사기준
- : 반응 없음
± : 미약한 양성 반응(홍반)
+ : 양성 반응(홍반)
++ : 강한 양성 반응(홍반, 부종)
+++ : 심한 양성 반응(홍반, 부종, 수포)
피부 자극 시험 판정결과(n=피검자 수)
처방
시험자수
(명)
판정 결과
- ± + ++ +++
비교예 1 15 13 2 0 0 0
비교예 2 15 7 4 3 1 0
실험예 1 15 15 0 0 0 0
그 결과, 상기 표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실험예 1은 피부 자극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나, 달걀 흰자를 이용한 비교예 1은 미약한 홍반반응을 나타낸 피검자가 약 13% 나타났고, 감식초를 이용하여 숙성시킨 비교예 2는 피검자의 절반 이상에서 피부에 홍반을 동반하여 피부 자극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당뇨병성 족부궤양 개선효과
중증 당뇨병을 앓으며, 족부궤양이 나타난 총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예 1에서 피부 홍반반응이 거의 나타나지 않은 본 발명의 실험예 1 또는 비교예 1을 연고제의 제형으로 제조한 후 환부에 도포하여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환자들은 실시기간 동안 금연 및 금주를 약속하였다. 1군 15명은 상기 실험예 1(초란의 흰자에 산약초 식초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초란 숙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연고제의 형태로 제조(이하, 실험예 2)하여 도포하였으며, 2군 15명은 상기 비교예 1(초란으로 제조되지 않은 달걀 흰자에 산약초 식초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숙성물)을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고제의 형태로 제조(비교예 3)한 후 도포하였다.
실험예 2 또는 비교예 3은 족부궤양이 발생한 환자의 환부를 생리식염수로 닦아 낸 후 환부에 1일 1~2회 도포하였으며, 최대 60일 동안 도포하며 도포 전·후 족부궤양의 모습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험예 2의 연고제를 도포한 경우 비교예 3을 도포한 경우에 비해 대부분의 통증이 사라지고, 족부궤양이 개선되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 도포에 의한 족부궤양 개선 효과(n=피검자 수)
매우 개선 경미한 개선 변화없음 악화
비교예 3 0 2 12 1
실험예 2 10 3 2 0
이하는 개선효과를 나타낸 피검자 중 대표사례 3명을 설명한다.
<개선 사례 1>
대상: 남성, 78세
치료기간: 2017.07.03~2017.07.30
치료방법: 환부를 생리식염수로 닦아내고 본 발명의 실험예 2의 연고를 1일 1~2회 도포하였다.
치료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의 환부가 본 발명의 실험예 2의 연고를 도포한 후 27일째 확연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선 사례 2>
대상: 남성, 62세
치료기간: 2017.05.10~2017.07.01
치료방법: 환부를 생리식염수로 닦아내고 본 발명의 실험예 2의 연고를 1일 1~2회 도포하였다.
치료 결과: 생계때문에 환부를 거즈로 덮어놓고 양말 및 워커를 신고 일한 관계로 치료효과가 지연되었으나,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자의 환부가 본 발명의 실험예 2의 연고를 도포한 후 51일째 확연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선 사례 3>
대상: 여성, 64세
치료기간: 2017.11.25~2017.12.07
치료방법: 환부를 생리식염수로 닦아내고 본 발명의 실험예 2의 연고를 1일 1~2회 도포하였다.
치료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자의 환부가 본 발명의 실험예 2의 연고를 도포한 후 12일째 확연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당뇨병 동물모델에서의 창상 치유 지연에 대한 개선효과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병을 유발시킨 동물모델에 창상을 유발한 후, 당뇨병성 족부궤양 개선효과가 우수하였던 상기 실험예 2의 연고를 처리하여 당뇨병성 족부궤양에서 나타나는 유사 임상증상인 창상 치유 지연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1) 재료 및 방법
- 시험 약물
상기 실험예 2의 연고는 상온보관하였으며, 50%(w/w) 실험예 2는 부형제인 1%(w/w) 카보폴 하이드로겔(carbopol hydrogel, sigma, USA)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대조 약물은 마데카솔(동국제약(주), 한국)을 사용하였다.
- 실험동물 사육 및 실험 디자인
생후 6주령 수컷 SD 랫트(코아텍, 한국)를 1주일 동안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사료와 음용수는 자유 급식하였다. 1주일 후 16시간 동안 절식하게 하고, 그 후 당뇨 유발을 위해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을 구연산염 버퍼(citrate buffer, pH 3.0)에 희석하여 60㎎/㎏의 농도로 복강 투여하였다. 정상동물에는 구연산염 버퍼만 동량 투여하였다.
1주일 후 꼬리에 있는 미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을 측정하고 300㎎/㎗ 이상의 혈당 개체들만 선별한 후 군 당 평균 혈당이 동일하도록 무작위로 선별하여 하기 표 3과 같이 군을 분리하였다.
시험군 투여물질 도포량
(μL/skin)
동물수
G1 정상군
(NOR)
카보폴 하이드로겔 50 9
G2 당뇨군
(DM)
카보폴 하이드로겔 50 9
G3 당뇨+마데카솔 마데카솔연고 50 9
G4 당뇨+50%(w/w) 실험예 2 50%(w/w) 실험예 2 50 9
G5 당뇨+실험예 2 원액 실험예 2 원액 50 9
족부궤양이 발생하는 유사환경을 유발하기 위해 군 분리 후 피부에 궤양성 상처를 유발하였다.
각각의 실험동물을 아이소플루레인(isoflurane, 포란, 중외제약)으로 마취시킨 후 등 부위 피부의 털을 전기이발기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면도날을 사용하여 깨끗이 면도한 다음 70%(v/v) 에탄올로 소독하였다. 요추에서 외측으로 1.5cm 떨어진 부위에 8mm 생체검사 펀치(Biopsy punch, Ziefel, Germanay)를 사용하여 전층 절제(Full-thickness excision) 상처를 만들었다. 절제 후 2차 치유를 유도하기 위하여 봉합은 실시하지 않았다. 상처를 유발한 당일부터 표 3의 투여물질을 창상 부위에 1일 1회씩 도포하였다.
- 창상 치유율(wound closure) 평가
창상을 유발한 직후부터 최종 약물 처치 직후까지 3일 간격으로 동일한 시간대에 상처부위의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0.05mm 단위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캘리퍼(Mitutoyo Co., Kawasaki, Japan)를 사용하여 육안으로 관찰되는 원형 상처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약물 도포 약 2주일 후에 부검을 실시하였으며, 창상 부위의 피부는 절개하여 10%(v/v) 중성화 포르말린에 고정하여 보관하였다.
2) 결과
- 당뇨 유발 및 혈당의 변화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가 유발된 동물모델의 혈당을 측정한 후, 도 4(a)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각 군별로 평균 혈당이 약 430mg/dl이 되도록 군을 분리하였다. 그 후 2주 동안 스트렙토조토신 및 약물을 처리한 후 혈당을 측정한 결과, 도 4(b)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평균 혈당이 약 510mg/dl으로 나타나, 창상에 약물을 도포하는 것은 혈당에는 영향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 창상 치유 촉진효과 분석
당뇨가 유발된 동물에 8mm 크기의 전층 절제를 통해 창상을 유발한 후 2주 동안 각 군에 해당하는 약물을 1일 1회 환부에 도포한 후 3~4일 간격으로 창상 부위를 촬영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당뇨에 의해 지연되던 창상 치유 효과가 실험예 2의 연고를 도포한 경우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창상 부위는 3일~ 13일이 경과하면서 환부의 크기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정상군의 경우 창상을 유발한 13일 후 환부가 모두 치료되어 창상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없었다. 이에 반해 당뇨군의 경우에는 7일이 지난 시점에도 환부의 크기가 크게 감소하지 않았으며, 13일이 지난 시점에도 창상의 치료가 완료되지 않아 환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실험예 2를 처치한 동물의 창상 부위는 당뇨군에 비해 창상의 크기가 확연히 빠르게 작아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더욱 정확한 분석을 위해 창상 부위의 크기를 측정하여 정량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정상군의 창상의 크기가 빠르게 감소한 반면, 당뇨군의 경우 모든 측정 시점에서 정상군에 비해 환부의 크기가 컸으며, 13일 지난 시점에도 당뇨군의 창상 크기가 정상군에 비해 2배 이상 큰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실험예 2를 처치한 군의 경우, 당뇨군에 비해 창상의 치료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으며, 13일이 지난 시점에 창상 부위의 크기는 당뇨군 대비 40% 정도 감소해 있었다.

Claims (5)

  1. (a) 달걀의 표면을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세척하고 건조한 달걀을 감식초와 동아식초를 0.8~1.2:0.8~1.2 중량비로 혼합한 감식초 및 동아식초 혼합물에 6~8일 동안 담근 후 건져낸 후, 사용하지 않은 감식초 및 동아식초의 혼합물로 달걀의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세척한 달걀을 산약, 칡, 황칠, 어성초, 삼백초, 인동초, 도라지, 결명자, 인삼, 율무, 유근피, 맥문동, 감초, 황기, 당귀, 다시마, 우슬, 복분자, 비파엽, 고로쇠물 및 흑설탕을 혼합한 후 초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켜 제조된 산약초 식초에 6~8일 동안 침지하여 초란을 제조한 후, 산약초 식초를 제거하고, 사용하지 않은 신선한 산약초 식초를 이용하여 초란의 표면을 세척하는 과정을 1~3회 반복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 이후에, 초란으로부터 흰자를 분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초란 흰자에, 상기 단계 (c)의 산약초 식초를 0.8~1.2:0.8~1.2 중량비가 되도록 첨가한 후 3~4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초란 숙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a) 달걀의 표면을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세척하고 건조한 달걀을 감식초와 동아식초를 0.8~1.2:0.8~1.2 중량비로 혼합한 감식초 및 동아식초 혼합물에 6~8일 동안 담근 후 건져낸 후, 사용하지 않은 감식초 및 동아식초의 혼합물로 달걀의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세척한 달걀을 산약, 칡, 황칠, 어성초, 삼백초, 인동초, 도라지, 결명자, 인삼, 율무, 유근피, 맥문동, 감초, 황기, 당귀, 다시마, 우슬, 복분자, 비파엽, 고로쇠물 및 흑설탕을 혼합한 후 초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켜 제조된 산약초 식초에 6~8일 동안 침지하여 초란을 제조한 후, 산약초 식초를 제거하고, 사용하지 않은 신선한 산약초 식초를 이용하여 초란의 표면을 세척하는 과정을 1~3회 반복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 이후에, 초란으로부터 흰자를 분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초란 흰자에, 상기 단계 (c)의 산약초 식초를 0.8~1.2:0.8~1.2 중량비가 되도록 첨가한 후 3~4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초란 숙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외용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는 외용산제, 외용정제, 외용액제, 연고제, 크림제, 겔제, 경고제, 드레싱제, 패취제 또는 스프레이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외용제.
  5. (a) 달걀의 표면을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세척하고 건조한 달걀을 감식초와 동아식초를 0.8~1.2:0.8~1.2 중량비로 혼합한 감식초 및 동아식초 혼합물에 6~8일 동안 담근 후 건져낸 후, 사용하지 않은 감식초 및 동아식초의 혼합물로 달걀의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세척한 달걀을 산약, 칡, 황칠, 어성초, 삼백초, 인동초, 도라지, 결명자, 인삼, 율무, 유근피, 맥문동, 감초, 황기, 당귀, 다시마, 우슬, 복분자, 비파엽, 고로쇠물 및 흑설탕을 혼합한 후 초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켜 제조된 산약초 식초에 6~8일 동안 침지하여 초란을 제조한 후, 산약초 식초를 제거하고, 사용하지 않은 신선한 산약초 식초를 이용하여 초란의 표면을 세척하는 과정을 1~3회 반복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 이후에, 초란으로부터 흰자를 분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초란 흰자에, 상기 단계 (c)의 산약초 식초를 0.8~1.2:0.8~1.2 중량비가 되도록 첨가한 후 3~4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초란 숙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80105869A 2018-06-04 2018-09-05 초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3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64355 2018-06-04
KR1020180064355 2018-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259A KR20190138259A (ko) 2019-12-12
KR102143767B1 true KR102143767B1 (ko) 2020-08-12

Family

ID=6900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869A KR102143767B1 (ko) 2018-06-04 2018-09-05 초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7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09690A1 (en) * 2019-11-18 2022-12-29 U Pong KANG Composition, comprising vinegar pickled egg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diabetic foot ulc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875B1 (ko) * 2011-06-29 2011-09-15 강우봉 초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2578B1 (ko) * 2011-06-29 2012-01-06 강우봉 기능성 초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초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6450A (ja) * 1998-02-06 1999-10-19 Toyama Chem Co Ltd 抗潰瘍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875B1 (ko) * 2011-06-29 2011-09-15 강우봉 초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2578B1 (ko) * 2011-06-29 2012-01-06 강우봉 기능성 초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초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259A (ko)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688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225566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EP0867187B1 (en) Propolis extract with improved water-solubility
KR102204346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102143767B1 (ko) 초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5246B1 (ko) 갱년기 관련 질환 또는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38612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3245B1 (ko) 감국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70067542A (ko) 팥 추출물을 함유하여 슬리밍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US2022040969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vinegar pickled egg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diabetic foot ulcer
KR20050067837A (ko) 슬리밍용 조성물
KR102141623B1 (ko)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5136B1 (ko)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US9364510B2 (en) Botanical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CN108619486B (zh) 一种治疗皮肤病的软膏剂及其制备方法
KR101544000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54194B1 (ko) 칠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00132261A (ko) 싸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75268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101946813B1 (ko)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946811B1 (ko)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132873B1 (ko) 청대, 오약, 천초 및 파고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7819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101439792B1 (ko) 저체중 개선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이로부터 추출된 약재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