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815B1 - 무선 조정형 캐리지 윈치 - Google Patents

무선 조정형 캐리지 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815B1
KR100859815B1 KR1020080054255A KR20080054255A KR100859815B1 KR 100859815 B1 KR100859815 B1 KR 100859815B1 KR 1020080054255 A KR1020080054255 A KR 1020080054255A KR 20080054255 A KR20080054255 A KR 20080054255A KR 100859815 B1 KR100859815 B1 KR 100859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lutch
winch
wire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철호
임광석
심광섭
황동철
이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채철호
이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채철호, 이병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Priority to KR1020080054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2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eparate haulage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조정형 캐리지 윈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발점과 도착점의 고저 차가 심하거나 장애물을 건너야 하는 경우에 무선으로 조정하며 주엔진이 정지하는 경우 클러치장치를 통하여 보조장치의 동력을 사용하여 운반 중간에 멈추지 않고 효과적으로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조정형 캐리지 윈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엔진 고정대(22)에 설치한 보조 엔진(21)에 연결한 체인(38)이 동력축(31)에 설치한 클러치(33a)와 연결하며, 상기 동력축(31)에 설치한 스플라인(32)에 클러치(33)를 연결하고 클러치(33)에는 워엄기어(36)와 고정된 작동대(34)를 연결한 후 워엄기어(36)에 워엄(37)을 연결한 클러치장치(30)와;
상기 엔진 고정대(22)에 송수신장치(25)와 밧데리(24)를 설치하여 리모트 콘트롤로 원격조정하며;
상기 엔진 고정대(22)의 한 부분에 고정한 설치대(44)에 드럼 모터(41)가 연결된 드럼(42)에 적재 와이어(43)를 연결한 윈치(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무선조정, 캐리지 윈치, 클러치

Description

무선 조정형 캐리지 윈치{Carriage winch for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무선 조정형 캐리지 윈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발점과 도착점의 고저 차가 심하거나 장애물을 건너야 하는 경우에 무선으로 조정하며 주엔진이 정지하는 경우 클러치장치를 통하여 보조장치의 동력을 사용하여 운반 중간에 멈추지 않고 효과적으로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조정형 캐리지 윈치에 관한 것이다.
송전선로를 시설하기 위해 송전탑을 산에 건설하는 경우 송전탑 건설 부자재를 차량으로 운반하기 위해 산에 임도를 건설하고 있으나, 임도 건설은 건설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산림파괴가 발생하고 원상회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송전탑 설치장소와 산아래 지점에 고정대를 설치하여 케이블로 연결하되 중간에 받침대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블에 짐을 매달 수 있는 캐리지를 설치하여 케이블카와 같이 왕복 이동되게 함으로써 임도를 내지 않고도 송전탑 건설 부자재를 운반할 수 있으나, 기존 방식은 두 지점 사이에 고정 설치된 케이블 을 필요로 하고, 상기 케이블에 걸린 캐리지에 두 개의 와이어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캐리지에 연결된 하나의 와이어는 산 아래에서 송전탑 건설위치까지 캐리지를 당기기 위한 당김 와이어이고, 또 하나의 와이어는 캐리지에 물건을 싣는 후크 또는 캐비티를 지상으로 내려준 후 물건이 실리면 캐리지까지 끌어올리기 위한 권양 와이어이다.
당김 와이어와 권양 와이어를 설치하면 와이어 무게에 의해 케이블에 고장력을 필요로 하고 또한 송전탑 설치장소에서는 각각의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주기 위한 2개의 윈치를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또한, 무게를 지탱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의 와이어는 그 두께가 32∼36mm에 이르게 되므로 5톤까지의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도록 하기 위한 작업 기간이 15∼20일이 소요되고, 기계적으로 운반해야만 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단주식 삭도는 한 선을 이용하여 운반하는 것이었으며, 하나의 주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운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하나의 엔진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중량물을 적재한 후 운반하는 도중에 엔진이 정지하게 되는 경우에는 운반 작업을 더 이상 계속할 수 없게 되며, 설치한 와이어를 풀어 엔진을 수리하거나 새로운 엔진 또는 밧데리를 교체한 후 사용하는 것이므로 작업의 지연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와이어 한 선으로 왕복이 가능하며, 리모트 콘트롤에 의한 원격 조작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엔진을 사용하여 구동하다가 정지하면 보조엔진으로 클러치에 의해 동력원이 제공되어 계속 사용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와이어 한 선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하며, 리모트 콘트롤에 의해 소정의 거리에서 원격 조작하면서 중량물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주엔진을 사용하여 구동하다가 운전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정지하면 이를 감지하여 클러치에 의해 보조엔진을 구동시켜 동력원으로 제공되어 계속 구동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 선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이송장치로 왕복 이동 가능한 것이며, 리모트 콘트롤에 의해 소정의 거리에서 원격 조작을 통하여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 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주엔진을 사용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며, 운전중에 운전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여 주엔진이 정지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클러치에 의해 보조엔진을 구동시켜 동력원을 제공하므로 운전중에 정지하지 않고 계속해서 운전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얇은 와이어를 사용하여 약 1톤 정도의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를 위한 작업 시간이 짧고 신속하게 운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측으로 1톤 정도의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12∼16mm 정도의 굵기를 갖는 와이어(50)가 관통하는 이송장치(10)가 설치되어 와이어(50)에 결합하여 왕복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장치(10)는 기둥(17)에 후레임(11)이 연결되어 있으며, 후레임(11)의 중앙 상측으로 메인 로울러(12)가 설치되어 있고, 메인 로울러(12)의 후방에는 유압 회전장치(13)가 설치되어 동력 공급장치(25)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메인 로울러(12)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후레임(11)에는 메인 로울러(12)의 하측 중앙에서 양쪽으로 대칭되도록 보조 로울러(14, 15)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방에서 로울러 연결대(16)로 연결되어 있어서 와이어(50)가 보조 로울러(14)와 메인 로울러(12) 및 보조 로울러(15)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이송장치(10)는 기둥(17)을 통하여 엔진 고정대(22)와 연결되며, 엔진(20)의 일측으로 동력축(31)을 통하여 동력 공급장치(25)와 연결되어 있다.
엔진(20)과 동력 공급장치(25)는 클러치 장치(3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클러치 장치(30)는 동력축(31)에 스플라인(32)을 설치하고, 스플라인(32)의 외경에 이동 가능하도록 클러치(33)를 설치한다.
상기 클러치(33)의 동일축 선단에는 클러치(33a)를 고정식으로 설치하여 클러치(33)와 결합 및 분리 되도록 한다.
상기 클러치(33)에는 하측으로 작동대(34)를 설치하여 워엄기어(36)와 연결하여 연결되도록 하였으며, 워엄기어(36)는 안내축(35)에 결합되어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워엄기어(36)에는 워엄(37)이 연결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20)이 정지하는 경우 분리되었던 클러치(33, 33a)가 결합 되도록 한다.
상기 클러치(33a)에는 체인(38)이 연결되어 보조 엔진(21)의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엔진 고정대(22)에는 보조 엔진(21)이 설치되어 있으며, 엔진 고정대(22)의 한 부분에는 송수신 장치(23)를 설치하여 도시하지 않은 리모콘에 의해 콘트롤 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한 부분에는 밧데리(24)를 설치하여 보조 엔진(21)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엔진 고정대(22)의 한 부분에는 설치대(44)가 고정되어 드럼(4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드럼(42)에는 드럼 모터(41)가 연결되어 드럼(42)에 감겨있는 적재 와이어(43)를 감거나 풀어 공급할 수 있도록 윈치(4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출발점과 도착점의 고도가 심하거나 강과 같은 장매물을 건너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산악지역이나, 늪지대 또는 하천 등에 일시적으로 설치하여 영구적인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작업을 하거나 또는 일정기간 동안 필요한 시설물 등을 설치하고 철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한시적인 기간 동안 활용하는 것이다.
출발점과 도착점 또는 출발점과 도착점 사이의 어느 한 부분에 각각 지주와 중간지주를 설치하여 와이어(50)를 연결한다.
상기 와이어(50)는 이송장치(10)의 보조 로울러(14)와 메인 로울러(12) 그리고 보조 로울러(15)를 통과하도록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하는 것이다.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윈치(40)의 드럼 모터(41)를 구동시켜 드럼(42)에 감겨진 적재 와이어(43)를 적당량 풀어주어 적재할 중량물을 연결한 후 적재 와이어(43)가 소정의 길이만 돌출되어 운반시에 바닥이나 나무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윈치(40)에 중량물을 연결한 후에는 엔진(20)의 시동을 걸어 엔진(20)에서 제공하는 동력이 동력축(31)에 공급된다.
그러면 동력축(31)을 통하여 제공하는 동력은 동력 공급장치(25)를 통하여 이송장치(10)의 유압 회전장치(13)에 공급되므로 유압 회전장치(13)와 연결된 메인 로울러(12)가 구동하게 된다.
메인 로울러(12)가 구동하면서 와이어(50)를 타고 이송하게 되며, 양쪽의 보조 로울러(14, 15)는 와이어(50)가 연결되어 정상적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동은 도시하지 않은 리모콘을 이용하여 송수신장치(23)에 입력되어 리모트 콘트롤 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진, 정지, 후진, 상승, 하강, 정지, 엔진시동, 비상시동, 비상전환, 비상정지, 예비와 같은 기능을 원격조작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리모트 콘트롤은 약 500m의 거리까지 동작 가능하다.
엔진(20)의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운반하는 것이며, 소정의 목적지에 도착하는 경우 이동을 중단하고 윈치(40)의 드럼 모터(41)를 구동하여 드럼(42)에 감겨있는 적재 와이어(43)를 풀어 중량물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오 같이 엔진(20)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운반 및 와이어(50)에 연결되어 왕복 이동을 하던 도중 엔진(20)이 정지하는 경우 리모트 콘트롤을 통하여 원격으로 보조엔진(21)의 시동을 걸며, 클러치장치(30)를 구동하여 보조엔진(21)의 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조엔진(21)의 시동이 걸리면서 워엄(37)이 회전하면서 워엄기어(36)가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좌측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워엄기어(36)의 직선 이동은 안내축(35)에서 안내하는 것이며, 워엄기어(36)와 연결된 작동대(34)가 클러치(33)를 좌측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므로 스플라인(32) 에 연결된 클러치(33)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클러치(33a)와 결합되는 것이다.
클러치(33, 33a)가 결합하게 되면 보조엔진(21)의 동력이 체인(38)을 통하여 클러치(33a)에 공급되므로 동력축(31)을 회전시키게 되어 결국 동력공급장치(25)를 구동시키게 되므로 유압 회전장치(13)를 통해 메인 로울러(12)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되어 리모트 콘트롤을 통하여 캐리지를 운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출발점과 도착점에 도로를 건설하지 않고 캐리지를 리모트 콘트롤에 의해 운행하되, 중량물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엔진이 운행중에 정지하는 경우에도 원격 조정에 의해 보조 엔진을 구동시켜 계속해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엔진과 보조 엔진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엔진과 동력공급장치에 대한 연결상태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클러치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클러치장치에 대한 작동상태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이송장치에 대한 연결상태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이송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측면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윈치에 대한 설치상태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송장치 11 : 후레임
12 : 메인 로울러 13 : 유압 회전장치
14, 15 : 보조 로울러 16 : 로울러 연결대
17 : 기둥 20 : 엔진
21 : 보조 엔진 22 : 엔진 고정대
23 : 송수신장치 24 : 밧데리
25 : 동력 공급장치 30 : 클러치장치
31 : 동력축 32 : 스플라인
33, 33a : 클러치 34 : 작동대
35 : 안내축 36 : 워엄기어
37 : 워엄 38 : 체인
40 : 윈치 41 : 드럼 모터
42 : 드럼 43 : 적재 와이어
50 : 와이어

Claims (2)

  1. 후레임(11)의 중앙 상측에 메일 로울러(12)와 유압 회전장치(13)를 설치하고 메인 로울러(12)의 하측에서 양쪽에 보조 로울러(14, 15)를 설치한 이송장치(10)가 기둥(17)으로 엔진 고정대(22)에 연결하며, 엔진 고정대(22)에는 엔진(20)와 동력 공급장치(25)를 동력축(31)으로 연결하여 출발점과 도착점을 와이어(50)로 연결하여 왕복 이동하는 캐리지 윈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 고정대(22)에 설치한 보조 엔진(21)에 연결한 체인(38)이 동력축(31)에 설치한 클러치(33a)와 연결하며, 상기 동력축(31)에 설치한 스플라인(32)에 클러치(33)를 연결하고 클러치(33)에는 워엄기어(36)와 고정된 작동대(34)를 연결한 후 워엄기어(36)에 워엄(37)을 연결한 클러치장치(30)와;
    상기 엔진 고정대(22)에 송수신장치(25)와 밧데리(24)를 설치하여 리모트 콘트롤로 원격조정하며;
    상기 엔진 고정대(22)의 한 부분에 고정한 설치대(44)에 드럼 모터(41)가 연결된 드럼(42)에 적재 와이어(43)를 연결한 윈치(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조정형 캐리지 윈치.
  2. 제 1항에 있어서, 클러치장치(30)는 작동대(34)와 고정한 워엄기어(36)가 안내축(35)에 왕복 이동하도록 연결하고, 클러치(33, 33a)가 원격조정으로 연결 및 분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조정형 캐리지 윈치.
KR1020080054255A 2008-06-10 2008-06-10 무선 조정형 캐리지 윈치 KR100859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255A KR100859815B1 (ko) 2008-06-10 2008-06-10 무선 조정형 캐리지 윈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255A KR100859815B1 (ko) 2008-06-10 2008-06-10 무선 조정형 캐리지 윈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815B1 true KR100859815B1 (ko) 2008-09-24

Family

ID=4002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255A KR100859815B1 (ko) 2008-06-10 2008-06-10 무선 조정형 캐리지 윈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8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8714A (zh) * 2016-11-05 2018-05-22 陈祥辉 多能源双电机三绳轮自行缆车
CN110994460A (zh) * 2019-12-27 2020-04-10 安徽天卓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线缆巡检机器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877Y1 (ko) 2003-10-02 2003-12-24 김송조 케이블 캐리지 이송장치
KR200372073Y1 (ko) 2004-10-14 2005-01-10 현 우 김 케이블 운반캐리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877Y1 (ko) 2003-10-02 2003-12-24 김송조 케이블 캐리지 이송장치
KR200372073Y1 (ko) 2004-10-14 2005-01-10 현 우 김 케이블 운반캐리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8714A (zh) * 2016-11-05 2018-05-22 陈祥辉 多能源双电机三绳轮自行缆车
CN110994460A (zh) * 2019-12-27 2020-04-10 安徽天卓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线缆巡检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7390C (zh) 用于将导轨安装在电梯竖井内的方法和装置
CN102471042B (zh) 移动式起重机
RU242135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коп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подвесной канатной дороги в накопительной зоне
WO20091013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erection of a drilling rig
CN104140037B (zh) 墙板吊装系统
CN201240487Y (zh) 船艉结构安装装置
CN208037868U (zh) 一种桥梁护栏模板安拆及转运装置
GB2439133A (en) Lifting and rotating mechanism
CN105152042A (zh) 建筑用装卸车
KR100859815B1 (ko) 무선 조정형 캐리지 윈치
CN107893430A (zh) 预制综合管廊拼装用的安装车
CN102602398B (zh) 一种可折式临时索道快速运输方法及其装置
CN204506935U (zh) 矿用高通过性较重载荷运输人力推车
CN100575241C (zh) 自升降载重装置
CN107473111B (zh) 车载移动式多功能重物吊装设备
CN104310232A (zh) 变幅式龙门吊装置
CN204487829U (zh) 混凝土搅拌机料斗多方位刹车装置及其混凝土搅拌机
CN104444843A (zh) 一种全回转小吊
CN101823677B (zh) 自升降载重装置
CN115045283A (zh) 一种快速浇筑和吊装设备及其操作方法
CN108661327A (zh) 预制轻质墙板安装机器
CN108100896B (zh) 一种管道提升输送装置及方法
CN201458566U (zh) 集装箱轻型旋转吊具的平衡机构
CN203373028U (zh) 一种窗台式小吊车
CN201095871Y (zh) 一种带起重装置的布料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