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496B1 -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496B1
KR100858496B1 KR1020030018967A KR20030018967A KR100858496B1 KR 100858496 B1 KR100858496 B1 KR 100858496B1 KR 1020030018967 A KR1020030018967 A KR 1020030018967A KR 20030018967 A KR20030018967 A KR 20030018967A KR 100858496 B1 KR100858496 B1 KR 100858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nchor bolt
indoor unit
washer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4135A (ko
Inventor
김형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8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496B1/ko
Publication of KR2004008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면 상측에 고정된 앵커볼트에 실내기를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측의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내장되면서 천정면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실내기 본체와, 상기 실내기 본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을 관통하고 상기 천정면 상측에 상단이 고정된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에 브래킷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브래킷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체결되는 상측 고정너트 및 하측 고정너트와, 하측 고정너트와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하는 홀부가 구비된 하측 와셔와, 상측 고정너트와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고 중앙의 홀부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끼움 관통되는 끼움홀이 형성된 상측 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측 와셔의 일면에 층상으로 덮힘된 절연부재가 상측 와셔의 홀부에 십자 형상의 끼움홀을 형성하여 상기 상측 와셔가 앵커볼트의 일측에 고정되므로, 실내기의 설치시 상기 상측 와셔와 하측 와셔 사이에 설치공간이 확보되어 상기 앵커볼트에 실내기 본체의 브래킷을 설치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 앵커볼트, 브래킷, 고정너트, 와셔, 절연부재

Description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 {Inlet unit mounting structure of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일예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가 도시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가 도시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측 와셔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측 와셔의 형상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실내기 본체 52 : 브래킷
54 : 앵커볼트 56 : 상측 고정너트
58 : 하측 고정너트 60 : 하측 와셔
62 : 끼움홀 64 : 상측 와셔
68 : 절연부재
본 발명은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정면 상측에 고정된 앵커볼트에 실내기를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측의 공기를 열교환하도록 실내 열교환기가 포함되면서 천정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실외의 공기와 열교환하기 위한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가 포함되는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이점 때문에 그 이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일예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가 도시된 상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면(2)의 개구홀에 삽입 설치되고 저면이 개방된 캐비닛(4)과, 상기 캐비닛(4)의 개방된 저면에 장착되고 흡입구(미도시) 및 토출구(6)가 형성된 프론트 패널(8)과, 상기 캐비닛(4)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 열교환기(10)와, 상기 흡입구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내 열교환기(10)를 통과시킨 후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6)로 토출하는 송풍팬(12) 및 송풍모터(14)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10)의 하측에 배치되어 냉매와 실내공기 사이의 열교환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드레인 팬(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패널(8)은 중앙에 흡입그릴(18)이 장착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둘레에는 네 방향으로 상기 토출구(6)가 각각 형성되며, 전면부가 실내측으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4)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돌출 형성된 브래킷(20)과, 상기 브래킷(20)에 삽입 관통되고 상기 천정면(2)의 상측에 위치된 천정벽(22)에 상단이 고정된 앵커볼트(24)와, 상기 앵커볼트(24)에 브래킷(2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체결되는 고정너트(26)와, 상기 고정너트(26)와 브래킷(20) 사이에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앵커볼트(24)가 관통하는 홀부(28)가 구비된 와셔(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앵커볼트(24)는 상기 브래킷(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20)의 일측에는 상기 앵커볼트(24)가 관 통되게 삽입되도록 삽입홈(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나사(26)와 와셔(30)는 상기 브래킷(2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고정나사(26a) 및 상측 와셔(30a)와, 상기 브래킷(20)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고정나사(26b) 및 하측 와셔(30b)로 구성되어 상기 브래킷(20)을 앵커 볼트(24)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설치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앵커볼트(24)에 상측 고정나사(26a), 상측 와셔(30a), 하측 와셔(30b), 하측 고정나사(30b) 순으로 고정나사(26)와 와셔(30)를 결합한 후 천정면(2)의 개구홀로 실내기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의 브래킷(20)이 상측 와셔(30a)와 하측 와셔(30b)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래킷(20)의 삽입홈(32)에 상기 앵커볼트(24)를 삽입하고, 상기 상측 고정나사(26a)와 하측 고정나사(26b)를 회전시켜서 상기 브래킷(20)을 상기 앵커볼트(24)의 일측에 체결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개의 브래킷(20)을 대응되는 각각의 앵커볼트(24)에 체결 고정시킴으로서, 상기 실내기는 천정면(2)의 상측에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는 상기 고정너트(26)와 와셔(30)가 결합된 앵커볼트(24)에 상기 브래킷(20)을 고정시 키는 과정에서 상기 상측 와셔(30a)가 앵커볼트(24)를 따라 하측(A)으로 이동되고, 그로 인해 상기 상측 와셔(30a)와 하측 와셔(30b) 사이에는 상기 브래킷(20)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실내기를 설치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상기 상측 와셔(30a)의 위치를 작업자가 일일이 고정하면서 상기 브래킷(20)을 상기 앵커볼트(24)에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실내기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성이 저하되므로 설치에 필요한 작업시간 및 작업자수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앵커볼트에 결합된 상측 와셔가 상기 앵커볼트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앵커볼트에 실내기 본체의 브래킷을 체결하는 것이 용이하고, 그로 인해 천정면 상측에 실내기를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측의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내장되면서 천정면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실내기 본체와, 상기 실내기 본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을 관통하고 상 기 천정면 상측에 상단이 고정된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에 브래킷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브래킷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체결되는 상측 고정너트 및 하측 고정너트와, 하측 고정너트와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하는 홀부가 구비된 하측 와셔와, 상측 고정너트와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고 중앙의 홀부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끼움 관통되는 끼움홀이 형성된 상측 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가 도시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측 와셔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측 와셔의 형상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구조에 대한 구성 이외는 종래와 동일하고, 이하 동일 부호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의 공기를 열교환하도록 실내 열교환기(10) 및 송풍팬(12)이 내장되고 천정면(2)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실내기 본체(50)와, 상기 실내기 본체(50)의 둘레를 따라 외측면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된 브래킷(52)과, 상기 브래킷(52)에 삽입 관통되고 상기 천정면(2)의 상측에 상단이 고정된 앵커볼트(54)와, 상기 앵커볼트(54)에 브래킷(52)이 고정되도록 상기 브래킷(52)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체결되는 상측 고정너트(56) 및 하측 고정너트(58)와, 상기 하 측 고정너트(58)와 브래킷(52) 사이에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앵커볼트(54)가 관통하는 홀부(60a)가 구비된 하측 와셔(60)와, 상측의 고정너트(56)와 브래킷(52) 사이에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앵커볼트(54)가 관통하는 홀부(64a)가 구비된 상측 와셔(64)와, 상기 상측 와셔(64)의 일면에 덮힘되어 중앙의 홀부(64a)에 상기 앵커볼트(54)가 끼움 관통되는 끼움홀(62)을 형성하는 절연부재(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앵커볼트(54)는 상기 실내기 본체(50)의 브래킷(52)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실내기 본체(50)는 상기 브래킷(52)이 복수개의 앵커볼트(54)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천정면(2)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브래킷(52)의 일측에는 상기 앵커볼트(54)가 삽입되는 삽입홈(66)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66)은 상기 앵커볼트(54)가 삽입된 후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와셔(64)는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절연부재(68)가 층상으로 덮힘되고, 상기 절연부재(68)는 상측 와셔(64)의 홀부(64a)에 상기 앵커볼트(54)가 끼움 관통되는 끼움홀(62)을 형성한다.
이런 끼움홀(62)은 상기 절연부재(68)가 십자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앵커볼트(54)가 억지 끼움되고, 절개된 부분의 절연부재(68)는 상기 앵커볼트(54)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 절연부재(68)는 고무와 합성수지 중 어느 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끼움홀(62)에 관통된 앵커볼트(54)의 외주면에 압착되고, 따라서 상기 앵커볼 트(54)와 절연부재(68)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되어 상기 상측 와셔(64)는 앵커볼트(54)의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설치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앵커볼트(54)에 상측 고정나사(56)를 체결하고, 상측 와셔(64)와 하측 와셔(60)를 차례대로 끼운 후 하측 고정나사(58)를 체결한다.
이때, 상기 상측 와셔(64)는 홀부(64a)에 형성된 끼움홀(62)로 상기 앵커볼트(54)가 끼움 관통되고, 이런 앵커볼트(54)의 외주면에는 상기 끼움홀(62)을 형성하는 절연부재(68)가 압착된다.
따라서, 종래의 상측 와셔(30a)가 자체의 하중에 의해 앵커볼트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었지만, 본 발명의 상측 와셔(64)는 상기 절연부재(68)와 앵커볼트(54)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로 인해 상기 앵커볼트(54)의 일측에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상측 와셔(64)와 하측 와셔(6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 유지된다.
한편, 실내기 본체(50)는 천정면(2)의 개구홀에 삽입되고, 상기 실내기 본체(50)의 브래킷(52)은 상측 와셔(64)와 하측 와셔(60)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상기 앵커볼트(54)에 설치된다.
이런 브래킷(52)은 삽입홈(66)에 상기 앵커볼트(54)를 삽입한 후 상기 상측 고정너트(56) 및 하측 고정너트(58)가 상측과 하측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앵커볼트(54)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개의 브래킷(52)을 대응되는 앵커볼트(54)에 체결 고정하면, 상기 실내기 본체(50)는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는 상측 와셔의 일면에 층상으로 덮힘된 절연부재가 상측 와셔의 홀부에 십자 형상의 끼움홀을 형성하여 상기 상측 와셔가 앵커볼트의 일측에 고정되므로, 실내기의 설치시 상기 상측 와셔와 하측 와셔 사이에 설치공간이 확보되어 상기 앵커볼트에 실내기 본체의 브래킷을 설치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앵커볼트에 브래킷을 설치하는 작업이 간편해져 실내기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성이 향상되고, 따라서 상기 실내기를 적은 인원으로도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에 필요한 작업인원 및 작업시간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내장되고 천정면의 상측으로 삽입 설치되는 실내기 본체와;
    상기 실내기 본체의 측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관통되고 상기 천정면의 상측에 상단이 고정된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에 브래킷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브래킷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체결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고정너트와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하는 홀부가 구비된 와셔와;
    상기 와셔 중 브래킷의 상측에 배치된 상측 와셔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덮힘되고, 중앙에 상기 앵커볼트가 억지 끼워 맞춤되는 끼움홀이 형성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홀은 상기 절연부재가 절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홀은 십자 형상으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고무와 합성수지 중 어느 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
KR1020030018967A 2003-03-26 2003-03-26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 KR100858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967A KR100858496B1 (ko) 2003-03-26 2003-03-26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967A KR100858496B1 (ko) 2003-03-26 2003-03-26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135A KR20040084135A (ko) 2004-10-06
KR100858496B1 true KR100858496B1 (ko) 2008-09-16

Family

ID=37367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967A KR100858496B1 (ko) 2003-03-26 2003-03-26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075B1 (ko) * 2015-06-04 2016-04-27 주식회사 인팩 모터용 댐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684A (ko) * 2000-04-11 2001-11-07 구자홍 천정 매립 덕트형 공기 조화기의 마운팅 구조
KR100293703B1 (ko) 1998-10-30 2001-11-26 구자홍 에어컨의실내기설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703B1 (ko) 1998-10-30 2001-11-26 구자홍 에어컨의실내기설치장치
KR20010095684A (ko) * 2000-04-11 2001-11-07 구자홍 천정 매립 덕트형 공기 조화기의 마운팅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135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488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20210404673A1 (en) External-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ventilation system
KR100858496B1 (ko)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
KR20070066393A (ko) 천장덕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하우징
JPH0126998Y2 (ko)
CN217057716U (zh) 空调室内机
JP3842920B2 (ja) 空気調和機
JP5101333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20090044504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베이스어셈블리
JPH0410500Y2 (ko)
JP3265855B2 (ja) 空気調和装置の内部機器支持構造
KR20050064963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배관 지지구조
JPH11256753A (ja) 建築用内装パネルの取替え施工構造
CN215336758U (zh) 空调室外机
KR100579558B1 (ko) 서비스밸브유닛이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4093674B2 (ja) かしめナット取付構造及び空気調和機
KR100293792B1 (ko) 멀티형룸에어콘의실내기장착구조
JPH0138437Y2 (ko)
JPH045937Y2 (ko)
JP3647949B2 (ja) 空気調和装置の天井埋込型室内ユニット
JP2000234847A (ja) プレハブ低温貯蔵庫
JP2006097937A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JPH0410498Y2 (ko)
KR20020052823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설치구조
JPH0423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