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038B1 - 자전거 커넥터 - Google Patents

자전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038B1
KR100858038B1 KR1020080016576A KR20080016576A KR100858038B1 KR 100858038 B1 KR100858038 B1 KR 100858038B1 KR 1020080016576 A KR1020080016576 A KR 1020080016576A KR 20080016576 A KR20080016576 A KR 20080016576A KR 100858038 B1 KR100858038 B1 KR 100858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shaft
bicyc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윤정
Original Assignee
장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윤정 filed Critical 장윤정
Priority to KR1020080016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2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to a tandem
    • B62K13/025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to a tandem from two or more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2대 이상의 자전거를 상호연결하는 자전거 커넥터에 있어서, 외주연에 고정편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며 내측에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안장을 고정지지하는 지지축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지지축의 외주연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밴드와; 상기 고정밴드의 고정편에 일측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되는 좌우이동축과; 상기 좌우이동축의 타측에 일측에 형성된 고정편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되고, 단면이 타원형상인 상하이동축과; 상기 상하이동축의 고정편과 상기 좌우이동축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상하이동축의 고정편을 상기 좌우이동축의 타측에 축고정시키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축의 고정편을 상기 좌우이동축의 타측에 조임고정시키는 고정레버와; 상기 상하이동축이 내부로 인입출되고, 단면이 타원형상이며 타측이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에 연결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에 축고정된 앞바퀴를 일정높이로 상승시키는 높이조절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밴드의 고정편에 일측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된 상기 좌우이동축으로 인해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가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주행방향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자연스럽게 주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높이조절관의 타측이 상기 상하이동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앞바퀴를 일정높이로 상승시키기 때문에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앞바퀴가 좌우로 회전되어도 전방에 위치하여 주행중인 자전거에 급제동이 일어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한 안전사고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80016576
고정밴드, 좌우이동축, 상하이동축, 고정레버, 높이조절관

Description

자전거 커넥터{BICYCLES CONNECTOR}
본 발명은 2대 이상의 자전거를 상호연결하는 자전거 커넥터에 있어서, 외주연에 고정편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며 내측에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안장을 고정지지하는 지지축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지지축의 외주연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밴드와; 상기 고정밴드의 고정편에 일측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되는 좌우이동축과; 상기 좌우이동축의 타측에 일측에 형성된 고정편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되고, 단면이 타원형상인 상하이동축과; 상기 상하이동축의 고정편과 상기 좌우이동축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상하이동축의 고정편을 상기 좌우이동축의 타측에 축고정시키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축의 고정편을 상기 좌우이동축의 타측에 조임고정시키는 고정레버와; 상기 상하이동축이 내부로 인입출되고, 단면이 타원형상이며 타측이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에 연결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에 축고정된 앞바퀴를 일정높이로 상승시키는 높이조절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밴드의 고정편에 일측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 도록 축고정된 상기 좌우이동축으로 인해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가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주행방향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자연스럽게 주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높이조절관의 타측이 상기 상하이동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앞바퀴를 일정높이로 상승시키기 때문에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앞바퀴가 좌우로 회전되어도 전방에 위치하여 주행중인 자전거에 급제동이 일어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한 안전사고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자전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페달을 밟는 힘에 의해 주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써, 통상 페달축에 결합된 스프로킷과 바퀴축에 결합된 스프로킷을 체인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변속 구조의 경우에는 상기 페달축 및 바퀴축상에 기어수가 다른 일련의 스프로킷을 결합하여 변속레버에 의해 체인이 걸리는 스프로킷을 선택함으로써, 저단 및 고단기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2대 이상의 자전거를 상호연결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가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커넥터가 제안된 바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전거 커넥터는 크게,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안장을 고정지지하는 지지축에 연결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이 내부로 인입출 되고,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에 연결고정되는 고정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가 원형 또는 곡선방향 등으로 주행할 경우 통상적으로 후방에 위치한 자전거가 전방에 위치하여 원형 또는 곡선방향으로 주행하는 자전거의 주행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주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안장에 앉은 탑승자 특히, 유아가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을 사용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앞바퀴를 좌우로 회전시킬 경우 전방에 위치하여 주행중인 자전거에 급제동이 일어날 우려가 다분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고정밴드의 고정편에 일측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된 좌우이동축으로 인해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가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주행방향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자연스럽게 주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조절관의 타측이 상하이동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앞바퀴를 일정높이로 상승시키기 때문에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앞바퀴가 좌우로 회전되어도 전방에 위치하여 주행중인 자전거에 급제동이 일어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한 안전사고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자전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2대 이상의 자전거를 상호연결하는 자전거 커넥터에 있어서, 외주연에 고정편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며 내측에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안장을 고정지지하는 지지축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지지축의 외주연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밴드와; 상기 고정밴드의 고정편에 일측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되는 좌우이동축과; 상기 좌우이동축의 타측에 일측에 형성된 고정편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되고, 단면이 타원형상인 상하이동축과; 상기 상하이동축의 고정편과 상기 좌우이동축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상하이동축의 고정편을 상기 좌우이동축의 타측에 축고정시키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축의 고정편을 상기 좌우이동축의 타측에 조임고정시키는 고정레버와; 상기 상하이동축이 내부로 인입출되고, 단면이 타원형상이며 타측이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에 연결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에 축고정된 앞바퀴를 일정높이로 상승시키는 높이조절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커넥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하이동축과 상기 높이조절관상에는 일정간격으로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에는 상기 높이조절관의 내부로 인입출되는 상기 상하이동축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핀이 삽입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관의 타측 내부에는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 외주연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에 단차부가 형성되는 단면이 타원형상인 고정관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관의 단차부에 상기 높이조절관의 타측을 밀착시켜 상기 높이조절관의 고정공과 상기 고정관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공을 일직선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관의 고정공과 상기 고정관의 고정공에는 상기 높이조절관의 타측 내부에 삽입된 상기 고정관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삽입고정되며, 상기 고정관의 단차부상에는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 외주연에 밀착되는 고정판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은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 외주연에 밀착고정되는 별도의 고정밴드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안장을 고정지지하는 지지축의 외주연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밴드의 고정편에 일측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된 좌우이동축으로 인해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가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주행방향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자연스럽게 주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에 연결고정된 높이조절관의 타측이 상하이동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에 축고정된 앞바퀴를 일정높이로 상승시키기 때문에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안장에 앉은 탑승자 특히, 유아가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을 사용하여 앞바퀴를 좌우로 회전시켜도 전방에 위치하여 주행중인 자전거에 급제동이 일어날 우려를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한 안전사고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이동축과 높이조절관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길이조절핀으로 인해 상기 높이조절관의 내부로 인입출되는 상기 상하이동축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 외주연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관의 타측에 상기 높이조절관의 타측이 밀착되는 단차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관의 타측 내부에 상기 고정관이 삽입될 경우 상기 높이조절관과 고정관의 고정공이 일직선으로 일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높이조절관의 타측 내부에 삽입 된 고정관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상기 높이조절관과 고정관의 고정공에 보다 쉽게 삽입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인 자전거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자전거 커넥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밴드(10), 좌우이동축(30), 상하이동축(50), 고정레버(70) 및 높이조절관(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고정밴드(10)는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 예를 들어 성인용 자전거(도 3의 3)의 안장을 고정지지하는 지지축(도 3의 3a)의 외주연에 밀착고정되는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연에 고정편(17)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밴드(10)는 예를 들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 정밴드(10)를 관통하는 조임볼트(11)와, 상기 조임볼트(11)와 나사결합되는 너트(13)와, 상기 너트(13)의 풀림을 방지하는 와셔(15)에 의해 상기 지지축(3a)의 외주연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3)의 지지축(3a)이 상기 고정밴드(1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13)와 나사결합되는 상기 조임볼트(11)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고정밴드(10)의 내경은 점차 작아지게 되고, 이때 상기 고정밴드(10)는 상기 지지축(3a)의 외주연에 견고하게 밀착고정된다.
상기 고정밴드(10)는 탄성력을 지닌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3)의 지지축(3a) 외주연에 견고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밴드(10)의 형상 및 구조 또한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3)의 지지축(3a) 외주연에 견고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좌우이동축(30)은 상기 고정밴드(10)의 고정편(17)에 일측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되는 것으로써, 상기 좌우이동축(30)의 일측은 예를 들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밴드(10)의 고정편(17)과 상기 좌우이동축(30)의 일측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고정축(31)과, 상기 고정축(31)과 나사결합되는 너트(33)와, 상기 너트(33)의 풀림을 방지하는 와셔(35)에 의해 상기 고정밴드(10)의 고정편(17)에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축(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측이 상기 고정밴드(10)의 고정편(17)에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이동축(50)은 상기 좌우이동축(30)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되는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 형성된 고정편(51)이 상기 좌우이동축(30)의 타측에 축고정되고,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고정편(51)은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고정편(51)과 상기 좌우이동축(30)의 타측을 관통하는 상기 고정레버(70)에 의해 상기 좌우이동축(30)의 타측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좌우이동축(30)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레버(70)는 상기 상하이동축(50)을 상기 좌우이동축(30)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시키는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고정편(51)과 상기 좌우이동축(30)의 타측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축이 형성된 레버부재(71)와; 상기 레버부재(71)의 축에 나사결합되는 너트캡(73)과; 상기 너트캡(73)의 풀림을 방지하는 와셔(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부재(71)의 축이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고정 편(51)과 상기 좌우이동축(30)의 타측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상기 너트캡(73)과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캡(73)이 유동되지 못하도록 위치고정시킨 뒤 상기 레버부재(7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고정편(51)은 상기 좌우이동축(30)의 타측에 조임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상하이동축(5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한 상태로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레버(70)가 반드시 상기 레버부재(71), 너트캡(73) 및 와셔(75)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하이동축(50)을 상기 좌우이동축(30)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고정편(51)을 상기 좌우이동축(30)의 타측에 조임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더불어, 상기 고정레버(70)의 형상 및 구조 또한 도 1 및 도 2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하이동축(50)을 상기 좌우이동축(30)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3은 도 1의 A - 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에 고정된 앞바퀴(5b)가 일정높이로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 외주연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관(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고정판(110a)을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 외주면에 위치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밴드(1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관(90)은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도 3의 5) 예를 들어, 유아용 자전거(5)의 핸들축(도 3의 5a)에 축고정된 앞바퀴(5b)를 일정높이로 상승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상하이동축(50)이 내부로 인입출되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관(90)이 단면과 상기 상하이동축(50)의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높이조절관(90)과 상기 높이조절관(90)의 내부로 인입출되는 상기 상하이동축(5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관(90)의 타측이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에 연결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레버(70)에 의해 견고하게 위치고정되는 상기 상하이동축(5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할 경우 상기 높이조절관(90)의 타측은 상기 상하이동축(5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고, 이때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에 축고정된 앞바퀴(5b)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높이로 상승된다.
이와 같이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에 축고정된 앞바퀴(5b)가 일정높이로 상승되기 때문에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안장에 앉은 탑승자 특히, 유아가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을 사용하여 앞바퀴(5b)를 좌우로 회전시켜도 전방에 위치하여 주행중인 자전거(3)에 급제동이 일어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관(9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에 축고정된 앞바퀴(5b)를 일정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이동축(50)과 상기 높이조절관(90)상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공(53, 9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53, 91)에는 상기 높이조절관(90)의 내부로 인입출되는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핀(93)이 삽입고정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2에서는 상기 상하이동축(50)상에 3개의 고정공(53)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관(90)상에 1개의 고정공(91)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조절관(90)의 내부로 인입출되는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길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상하이동축(50)과 상기 높이조절관(90)상에 상기 고정공(53, 91)이 각각 복수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핀(93)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관(90)과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고정공(53)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고정핀(93a)과; 상기 고정핀(93a)의 일측에 형성되는 헤드부(93b)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고정핀(93a)의 타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핀(93a)의 타측에 형성된 홈(93c)에 걸림고정되는 탄성력을 가진 금속재질의 고정 링(93d);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상기 길이조절핀(93)이 반드시 상기 고정핀(93a)과 고정링(93d)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높이조절관(90)과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고정공(53, 91)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높이조절관(90)의 내부로 인입출되는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핀(93)의 형상 및 구조 역시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높이조절관(90)과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고정공(53, 91)에 삽입고정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축(50)과 높이조절관(90)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공(53, 91)에 상기 길이조절핀(93)이 삽입고정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관(90)의 내부로 인입출되는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상술된 바와 달리, 상기 상하이동축(50)의 일면에는 레칫기어(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관(90)의 일측에는 상기 높이조절관(9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미도시)으로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관(90)의 내부로 인입출되는 상기 상하이동축(50)의 레칫기어(미도시)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된 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축(미도시)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될 경우 상기 회전축(미도시)에 형성된 걸림고정부(미도시)는 상기 회전축(미도시)를 따라 회전이동하여 상기 높이조절관(9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미도시)에 삽입됨과 동시 에 상기 높이조절관(90)의 내부로 인입출되는 상기 상하이동축(50)의 레칫기어(미도시)에 걸림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축(50)의 일면에 형성된 레칫기어(미도시)에 상기 회전축(미도시)의 걸림고정부(미도시)가 걸림고정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관(90)의 내부로 인입출되는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길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관(90)의 타측 내부에는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 외주연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높이조절관(90)의 타측이 밀착되는 단차부(110)가 형성되는 단면이 타원형상인 고정관(100)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관(100)의 타측에 상기 단차부(11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관(90)의 타측 내부에 상기 고정관(100)이 삽입될 경우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관(90)과 고정관(100)의 고정공(91, 113)이 일직선으로 일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높이조절관(90)의 타측 내부에 삽입된 고정관(100)을 위치고정시키는 후술할 고정부재(115)가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관(90)과 고정관(100)의 고정공(91, 113)에 보다 쉽게 삽입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관(90)의 단면과 상기 고정관(100)의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높이조절관(90)과 상기 높이조절관(90)의 타측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관(10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 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높이조절관(90)의 타측 내부에 상기 고정관(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관(90)의 타측을 상기 고정관(100)의 단차부(110)에 밀착시키게 되면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관(90)의 고정공(91)과 상기 고정관(100)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공(113)은 일직선으로 일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관(90)의 고정공(91)과 상기 고정관(100)의 고정공(113)에는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관(90)의 타측 내부에 삽입된 상기 고정관(100)을 위치고정시키는 상기 고정부재(115)가 삽입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15)는 상기 높이조절관(90)과 상기 고정관(100)의 고정공(91, 113)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고정축(115a)과; 상기 고정축(115a)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축(115a)의 하단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위치고정되는 이탈방지핀(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115a)의 하단에는 상기 이탈방지핀(미도시) 대신에 앞서 상술한 상기 길이조절핀(93)이 상기 고정축(115a)의 하단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위치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관(100)의 단차부(110)상에는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 외주연에 밀착되는 고정판(110a)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판(110a)은 내측에 상기 고정판(110a)을 수용한 상태로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 외주연에 밀착고정되는 별도의 고정밴드(130) 에 의해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110a)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 외주연에 밀착고정되는 별도의 상기 고정밴드(130)는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3)의 지지축(3a)의 외주연에 밀착고정되는 상기 고정밴드(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단부에 걸림턱(131a)이 형성된 일측고정밴드(131)와; 상기 일측고정밴드(131)의 걸림턱(131a)과 대응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131a)이 걸림고정되는 관통구(133a)가 단부에 형성되고,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 외주연상에 일체형 또는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타측고정밴드(133);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 외주연에 밀착고정되는 별도의 상기 고정밴드(130)가 상기 일측고정밴드(131)와 타측고정밴드(133)로 이루어질 경우 별도의 상기 고정밴드(130)가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 핸들축(5a) 외주연에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고정밴드(131)와 타측고정밴드(133)는 예를 들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고정밴드(131)와 타측고정밴드(133)를 관통하는 조임볼트(135)와, 상기 조임볼트(135)와 나사결합되는 너트(137)와, 상기 너트(137)의 풀림을 방지하는 와셔(139)에 의해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 핸들축(5a) 외주연에 견고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3)의 안장을 고정지지하는 지지축(3a)의 외주연에 밀착고정되는 상기 고정밴드(10)의 고정편(17) 에 일측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된 상기 좌우이동축(30)으로 인해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가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3)의 주행방향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자연스럽게 주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에 연결고정된 상기 높이조절관(90)의 타측이 상기 상하이동축(5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에 축고정된 앞바퀴(5b)를 일정높이로 상승시키기 때문에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안장에 앉은 탑승자 특히, 유아가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을 사용하여 앞바퀴(5b)를 좌우로 회전시켜도 전방에 위치하여 주행중인 자전거(3)에 급제동이 일어날 우려를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한 안전사고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인 자전거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 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에 고정된 앞바퀴가 일정높이로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 외주연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고정판을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핸들축 외주면에 위치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30; 고정밴드, 11, 135; 조임볼트,
13, 33, 137; 너트, 15, 35, 75, 139; 와셔,
17, 51; 고정편, 30; 좌우이동축,
31; 고정축, 50; 상하이동축,
53, 91, 113; 고정공, 70; 고정레버,
71; 레버부재, 73; 너트캡,
90; 높이조절관, 93; 길이조절핀,
93a; 고정핀, 93b; 헤드부,
93c; 홈, 93d; 고정링,
100; 고정관, 110; 단차부,
110a; 고정판, 115; 고정부재,
115a; 고정축, 131; 일측고정밴드,
131a; 걸림턱, 133; 타측고정밴드,
133a; 관통구.

Claims (3)

  1. 2대 이상의 자전거를 상호연결하는 자전거 커넥터에 있어서,
    외주연에 고정편(17)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며 내측에 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3)의 안장을 고정지지하는 지지축(3a)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지지축(3a)의 외주연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밴드(10)와; 상기 고정밴드(10)의 고정편에 일측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되는 좌우이동축(30)과; 상기 좌우이동축(30)의 타측에 일측에 형성된 고정편(51)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고정되고, 단면이 타원형상인 상하이동축(50)과;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고정편(51)과 상기 좌우이동축(30)의 타측을 관통하여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고정편(51)을 상기 좌우이동축(30)의 타측에 축고정시키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고정편(51)을 상기 좌우이동축(30)의 타측에 조임고정시키는 고정레버(70)와; 상기 상하이동축(50)이 내부로 인입출되고, 단면이 타원형상이며 타측이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에 연결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축(5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에 축고정된 앞바퀴(5b)를 일정높이로 상승시키는 높이조절관(9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하이동축(50)의 일면에는 레칫기어(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관(90)의 일측에는 상기 높이조절관(9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미도시)으로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관(90)의 내부로 인입출되는 상기 상하이동축(50)의 레칫기어(미도시)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된 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이동축(50)과 상기 높이조절관(90)상에는 일정간격으로 고정공(53, 9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53, 91)에는 상기 높이조절관의 내부로 인입출되는 상기 상하이동축(5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핀(93)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높이조절관(90)의 타측 내부에는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 (5a)외주연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에 단차부(110)가 형성되는 단면이 타원형상인 고정관(100)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관(100)의 단차부(110)에 상기 높이조절관(90)의 타측을 밀착시켜 상기 높이조절관(90)의 고정공(91)과 상기 고정관(100)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공(113)을 일직선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관(90)의 고정공(91)과 상기 고정관(100)의 고정공(113)에는 상기 높이조절관(90)의 타측 내부에 삽입된 상기 고정관(100)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115)가 삽입고정되며, 상기 고정관(100)의 단차부(110)상에는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 외주연에 밀착되는 고정판(110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10a)은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 외주연에 밀착고정되는 별도의 고정밴드(130)에 의해 위치고정되고,
    별도의 상기 고정밴드(130)는 단부에 걸림턱(131a)이 형성된 일측고정밴드(131)와; 상기 일측고정밴드(131)의 걸림턱(131a)과 대응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131a)이 걸림고정되는 관통구(133a)가 단부에 형성되고, 후방에 위치하는 자전거(5)의 핸들축(5a) 외주연에 일체형 또는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타측고정밴드(1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커넥터.
  2. 삭제
  3. 삭제
KR1020080016576A 2008-02-25 2008-02-25 자전거 커넥터 KR100858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576A KR100858038B1 (ko) 2008-02-25 2008-02-25 자전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576A KR100858038B1 (ko) 2008-02-25 2008-02-25 자전거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8038B1 true KR100858038B1 (ko) 2008-09-10

Family

ID=4002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576A KR100858038B1 (ko) 2008-02-25 2008-02-25 자전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0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0500A1 (de) * 2017-08-22 2019-04-15 Woom Gmbh Verbindungsvorrichtung, Anordnung und Fahrrad
AT520502A1 (de) * 2017-08-22 2019-04-15 Woom Gmbh Klappbare Verbindungsvor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2710A (en) 1995-08-25 1998-12-01 France Couture Coupling device for bicycles
KR200280156Y1 (ko) 2002-03-15 2002-07-02 김충기 오토바이 자물쇠 안전보관구
US6623021B1 (en) 2002-03-19 2003-09-23 Edward Scott Nelson Automated bicycle steering lock
US6983947B2 (en) * 1997-03-10 2006-01-10 Scott Guy Asbury Bicycle tow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2710A (en) 1995-08-25 1998-12-01 France Couture Coupling device for bicycles
US6983947B2 (en) * 1997-03-10 2006-01-10 Scott Guy Asbury Bicycle towing device
KR200280156Y1 (ko) 2002-03-15 2002-07-02 김충기 오토바이 자물쇠 안전보관구
US6623021B1 (en) 2002-03-19 2003-09-23 Edward Scott Nelson Automated bicycle steering loc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0500A1 (de) * 2017-08-22 2019-04-15 Woom Gmbh Verbindungsvorrichtung, Anordnung und Fahrrad
AT520502A1 (de) * 2017-08-22 2019-04-15 Woom Gmbh Klappbare Verbindungsvorrichtung
AT520502B1 (de) * 2017-08-22 2023-05-15 Woom Gmbh Klappbare Verbindungs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7914B2 (en) Bicycle rear derailleur guard
EP1739000B1 (en) Control device for a bicycle derailleur
TWI666144B (zh) 自行車用組件
JP2004148982A (ja) 自転車用リアディレーラ
JP5576931B2 (ja) 自転車のハンドル位置の調節機構
US9168969B2 (en) Eccentric bottom bracket assembly
WO1998012102A1 (en) A guide assembly for a bicycle
KR100858038B1 (ko) 자전거 커넥터
TW202106558A (zh) 自行車用踏板裝脫組件以及自行車
US20080251555A1 (en) Carbon fiber accessory mounting bracket
JP6402108B2 (ja) 互いに連結可能な自転車
US9610805B2 (en) Hub system and vehicle
US20060046548A1 (en) Bicycle electrical wire cover apparatus
KR200401366Y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JP5841219B1 (ja) 自転車のサイドブレーキ
CA2487487A1 (en) Motor vehicle of saddle riding type
KR200265939Y1 (ko)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879236B1 (ko) 자전거용 이륜구동형 구동구조
US4891036A (en) Modified derailleur
EP2562074A1 (en) Tensioner for bicycle transmission
KR200341599Y1 (ko)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된 유아용 자전거
KR100975963B1 (ko) 자전거 체인링
DE102019201221B4 (de) Gesatteltes Fahrzeug
KR200247216Y1 (ko) 자전거의 조향핸들잠금장치
JPS622039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