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673B1 -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 - Google Patents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673B1
KR100857673B1 KR1020010078543A KR20010078543A KR100857673B1 KR 100857673 B1 KR100857673 B1 KR 100857673B1 KR 1020010078543 A KR1020010078543 A KR 1020010078543A KR 20010078543 A KR20010078543 A KR 20010078543A KR 100857673 B1 KR100857673 B1 KR 100857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furnace
sintering
ignition furnace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8594A (ko
Inventor
주흥락
최혁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8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673B1/ko
Publication of KR20030048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결기 점화로 내부에서 착화가 균일하게 일어나도록 된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결기 점화로에 장입되는 배합원료 중에 혼합되어 있는 분코크스를 착화를 시키는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에 있어서, 소결기 점화로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부에 배합원료가 안착되도록 설치된 대차, 소결기 점화로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대차에 안착된 상기 배합원료를 착화시키는 버너, 버너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판, 회동판에 피스톤로드가 연결 설치되어 회동판을 회동시키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10078543
대차, 버너, 회동판, 구동실린더, 제어수단

Description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APPARATUS FOR IGNITING OF IGNITION FURNACE OF SINTER MACHINE}
도 1은 일반적인 소결기 점화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기 점화로 착화장치의 화염조절작업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화장치가 설치된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작업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너 2 : 소결기 점화로
4 : 대차 6 : 에어노즐
8 : 노즐 11 : 구동실린더
12 : 회동판 13 : 회동축
14 : 분할판 15 : 온도센서
16 : 제어패널
본 발명은 배합원료 중에 혼합되어 있는 분코크스를 착화를 시키는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너의 착화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기 점화로는 내부의 온도에 의한 복사열을 이용하여 점화로 점화하여 내부를 통과하는 소결기 대차의 배합원료 중의 분코크스를 착화시켜 분광을 소성시키므로 소결광을 제조한다.
이러한 소결광 제조 과정 중에서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 기술은 사용
에너지 절감과 소결광의 품질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종래의 소결기 점화로는 도 1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결기 점화로(2)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대차(4)와, 이 대차(4)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버너(1)와, 이 버너(1)로부터 발생된 화염이 고른 분포로 장입원료 표면 착화를 유도하도록 하기 위해서 버너(1)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에어전환댐퍼(7)로 이루어져 1차측에어와 2차측에어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함으로 화염의 길이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에어전환댐퍼의 조작만으로 화염의 길이를 조절하므로 착화가 불량하여 소결기 점화로 내부의 온도를 올리기 위해서 가스의 사용량을 증가 시켜야한다.
따라서 에너지 사용량이 증대되고 소결기 점화로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소결기 점화로 내부의 내화물 원단위가 증대되어 생산원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너지 사용량이 증대됨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증대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염이 널리 전파되지 못하므로 버너의 주변이 고온으로 상승하여 분광이 용해되어 버너 주변에 부착되어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라인을 정지시켜야 하므로 이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결기 점화로 내부의 착화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소결광의 품위 균일하지 못하므로 착화강도가 낮으므로 소결광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결기 점화로 내부에서 착화가 균일하게 일어나도록 된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결기 점화로에 장입되는 배합원료 중에 혼합되어 있는 분코크스를 착화를 시키는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에 있어서, 소결기 점화로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부에 배합원료가 안착되도록 설치된 대차, 소결기 점화로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대차에 안착된 상기 배합원료 를 착화시키는 버너, 버너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판, 회동판에 피스톤로드가 연결 설치되어 회동판을 회동시키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대차의 하부에 설치된 분할판과, 분할판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연산하여 구동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로 이루어지는 제어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여기서 회동판은 내열성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소결기 점화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소결기 점화로 착화장치는 대차를 포함한다.
먼저 대차(4)는 소결기 점화로(2)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대차(4)가 이동함에 따라 대차(4) 상부의 분코크스가 착화하여 분광을 소정의 크기로 소결시킨다.
다음으로 버너(1)는 소결기 점화로(2)의 내측으로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 연료가스가 공급되는 노즐(8)이 형성되고, 주위에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노즐(6)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노즐(8)로는 연료가스가 공급되고, 에어노즐(6)로는 에어가 공급되어 화염을 형성하여 대차(4) 상부의 분코크스를 착화시킨다.
다음으로 회동판(12)은 마주보는 단면이 반원으로 이루어지는 용기로서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판(12)이 복수개로 이루어졌지만 회동판(12)의 개수가 증대되어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회동판(12)이 회동함에 따라 에어의 공급각도가 변동되어 화염의 길이가 조절된다.
또한 회동판(12)은 내열성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내열성재료로는 알루미나계와 실리카계 내화물을 합성한 세라믹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구동실린더(11)는 피스톤로드(11a)가 회동판(12)에 연결 설치되고, 본체는 소결기 점화로(2)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실린더(11)가 신장됨에 따라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판(12)이 회동하여 화염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수단은 소결기 점화로(2)의 하부에 설치된 분할판(14)과, 이 분할판(14)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에 설치되는 온도센서(15)와, 이 온도센서(15)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연산하여 구동실린더(1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1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분할판(14)은 소결기 점화로(2)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되 고, 이 분할판(14)의 높이는 분할판(14)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공간에서 연소가스 배출시 혼합되지 않도록 충분한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센서(15)는 이 분할판(14)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각 분할판(14)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지나는 배출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측정된 온도 데이터는 제어패널(16)에 전달되어 구동실린더(11)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제어패널(16)은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구동실린더(11)의 작동을 제어하므로 회동판(12)이 회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회동판(12)이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화염의 길이가 조절된다.
즉 온도센서(15)로 부터 전달된 신호를 연산한 결과 착화 불량으로 판단되면 구동실린더(12)를 작동시켜 회동판(12)을 회동시키므로 화염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하여 미착화 부분도 착화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기 점화로 착화장치의 화염조절작업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화장치가 설치된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작업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대차(4)에 배합원료를 채운 후 버너(1)에 불을 붙이면 버너(1)에서 화염이 형성되어 소결기 점화로(2)를 통과하는 배합원료의 표층부에 착화가 이루어진 다.
배합원료의 착화는 배합원료 중에 포함되어 있는 분코크스에 버너(1)의 생성 화염이 불을 붙여 소결기 점화로(2) 하부의 흡입 작용에 의해서 분코크스가 타들어 가면서 소결광 제조가 이루어진다.
이 때 버너(1)에서 형성되는 화염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화 상태가 고르지 못 할경우 회동판(12)을 회동시켜 버너(1) 주위에 부착된 부착광의 형성을 방지하고, 형성된 부착광을 제거한다.
또한 소결기 점화로(2) 내부의 분위기 온도와 화염의 분사 위치에 따라 표면 착화 위치가 수시로 변하며, 장입 조건, 에어 압력, 외부의 누풍으로 인해 소결기 점화로(2) 내부의 온도변화에 매우 민감하므로 이를 대응하기 위하여 회동판(12)을 회동시켜 착화거리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착화 거리의 조절은 소결기 점화로(2)의 하부에 설치된 온도센서(15)를 통하여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는 제어패널(16)에 전달된다.
제어패널(16)에서는 온도센서(15)로 부터 전달된 신호를 연산하여 온도 편차에 따라 회동판(12)을 회동시켜 온도가 낮은 방향으로 화염이 집중되도록 조절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는 소결기 점화로의 내부가 균일하게 착화되므로 에너지 사용량이 줄어들어 소결기 점화로 내부의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내부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내화물의 손상을 방지하므로 내화물의 원단위가 감소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사용량이 감소함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줄어되어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화염이 골고루 전파되므로 버너의 주변에 부착광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부착광을 제가하기 위하여 라인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소결기 점화로 내부의 착화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소결광의 품위가 균일하고 착화강도가 큰 소결광이 생산되어 소결광의 품질이 개선된다.

Claims (3)

  1. 소결기 점화로에 장입되는 배합원료 중에 혼합되어 있는 분코크스를 착화시키는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결기 점화로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부에 상기 배합원료가 안착되도록 설치된 대차,
    상기 소결기 점화로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대차에 안착된 상기 배합원료를 착화시키는 버너,
    상기 버너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판,
    상기 회동판에 피스톤로드가 연결 설치되어 회동판을 회동시키는 구동실린더,
    상기 대차의 하부에 설치된 분할판,
    상기 분할판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에 설치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연산하여 상기 구동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로 이루어지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은 내열성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기 점화로 의 착화장치.
KR1020010078543A 2001-12-12 2001-12-12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 KR10085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543A KR100857673B1 (ko) 2001-12-12 2001-12-12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543A KR100857673B1 (ko) 2001-12-12 2001-12-12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594A KR20030048594A (ko) 2003-06-25
KR100857673B1 true KR100857673B1 (ko) 2008-09-08

Family

ID=2957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543A KR100857673B1 (ko) 2001-12-12 2001-12-12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6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4667A (en) * 1977-01-31 1978-06-13 Dravo Corporation Melting of fine particulate material in a high-speed rotary furnace
JPS59215424A (ja) * 1983-05-19 1984-12-05 Kawasaki Steel Corp パレツト上焼結原料着火部の燃焼制御法
JPH1111956A (ja) * 1997-06-16 1999-01-19 Toshiba Ceramics Co Ltd 石英ガラス製ルツボ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0236307B1 (ko) * 1993-12-01 1999-12-15 조안 엠. 젤사 ; 로버트 지. 호헨스타인 ; 도로시 엠. 보어 주조모래상의불순물을열분해시키고,생성된가스를연소시키기위한방법및장치
KR20000041273A (ko) * 1998-12-22 2000-07-15 이구택 초기 소결 조업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4667A (en) * 1977-01-31 1978-06-13 Dravo Corporation Melting of fine particulate material in a high-speed rotary furnace
JPS59215424A (ja) * 1983-05-19 1984-12-05 Kawasaki Steel Corp パレツト上焼結原料着火部の燃焼制御法
KR100236307B1 (ko) * 1993-12-01 1999-12-15 조안 엠. 젤사 ; 로버트 지. 호헨스타인 ; 도로시 엠. 보어 주조모래상의불순물을열분해시키고,생성된가스를연소시키기위한방법및장치
JPH1111956A (ja) * 1997-06-16 1999-01-19 Toshiba Ceramics Co Ltd 石英ガラス製ルツボ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000041273A (ko) * 1998-12-22 2000-07-15 이구택 초기 소결 조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594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14985B (zh) 一种在线烧结点火炉内火焰燃烧均匀度的检测及控制系统
CN101910768B (zh) 用于电弧炉的燃烧器和喷枪组合设备
KR20160089552A (ko) 소결기
KR100857673B1 (ko)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
CN110936478A (zh) 一种陶瓷墨水的有机溶剂加热分解装置
KR101400337B1 (ko) 소결광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6048115A (zh) 一种高炉休风后炉顶点火的方法
CN103189703B (zh) 立式烧制炉
KR20010056253A (ko) 소결광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014202372A (ja) 焼結用点火炉およびその操業方法
KR20090030518A (ko) 소결기용 핫 크러셔의 가이드 블록 조절장치
KR20040001605A (ko) 소결 점화로
JPH05196368A (ja) 焼結用点火炉及びその操業方法
CN114018053B (zh) 一种新建烧结炉烘炉方法
CN114111346B (zh) 一种双膛窑检修后兑火提温快速复产方法
CN102914143A (zh) 环形套筒竖窑利用低热值煤气煅烧方法
CN108759460A (zh) 一种可调焰燃烧器及其安装结构、使用方法
JPH04270884A (ja) ローラーハース連続炉
JPH04149046A (ja) 粉塊状固体物の焼成方法及び装置
CN212021126U (zh) 一种陶瓷墨水的有机溶剂加热分解装置
JPH06330194A (ja) 焼結機の操業方法
JPH06288679A (ja) 竪型焼成炉
JPH06257956A (ja) 焼結機の点火装置
JPH063353Y2 (ja) 焼結機の予熱装置
JPS621949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