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1605A - 소결 점화로 - Google Patents

소결 점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1605A
KR20040001605A KR1020020036865A KR20020036865A KR20040001605A KR 20040001605 A KR20040001605 A KR 20040001605A KR 1020020036865 A KR1020020036865 A KR 1020020036865A KR 20020036865 A KR20020036865 A KR 20020036865A KR 20040001605 A KR20040001605 A KR 20040001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sintering
ignition furnace
air nozzle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배
송병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36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1605A/ko
Publication of KR20040001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60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33Heating elements or systems using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M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OF THE CHARGES OR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 F27M2003/00Type of treatment of the charge
    • F27M2003/04Sin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염(60)의 형상이 소결기 대차의 진입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배합원료(61) 표층부의 높이 변경에 따라 화염(60)의 형상을 적절히 조절하여, 배합원료(61)를 효율적으로 착화시킬 수 있게 하는 소결 점화로(10)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소결기 대차의 진입 방향에 형성되는 방열 플레이트(40)에 설치되는 1차 화염감지센서(70)와; 상기 방열 플레이트(40) 외부에 설치되는 2차 화염감지센서(74)와; 경동축(3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50)와; 상기 1차 화염감지센서(70)에 의해서만 화염(60)이 감지되도록 상기 실린더(5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합원료 표층부의 착화를 균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미소결광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착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표층부의 착화 강도 향상으로, 소결광의 분율발생을 감소시키고, 소결광 회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소결광의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결 점화로{Sinter Machine Ignition}
본 발명은, 소결광 제조 공정에서 소결기 대차에 장입된 배합원료 중에 혼합되어 있는 분코크스를 착화시키는 소결 점화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분코크스를 착화시킬 때 최상의 상태로 착화되도록 최적의 화염 형상을 만들어낼 수 있는 소결 점화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소결광 제조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수평 이동하는 소결기 대차(3)에 원료 투입구(5)를 통해 배합원료가 장입되면, 상기 소결기 대차(3)에 있는 배합원료는 소결기 대차(3)를 따라서 수평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합원료가 소결 점화로(10)를 지날 때, 상기 소결 점화로(10)에서는 화염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결 점화로(10)에서 발생되는 화염은 배합원료에 혼합되어 있는 분코크스를 착화시키고, 소결기 대차(3) 하부에 설치된 윈드박스(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하방으로의 흡입작용에 의해, 배합원료 중 착화된 부분은 점점 하방으로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결 점화로(10)에 의해 착화된 배합원료는 소결기 대차(3)를 따라서 수평 이동하면서 점점 소성되어, 결국 소결기 대차(3)의 끝단부에 도달하면 완전한 소결광으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결광 생산 공정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소결 점화로(10)의 착화 기술은 사용 에너지 절감과 소결광의 품질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소결 점화로(10)에는 반사식 점화로와 직화식 점화로가 있으며, 반사직 점화로는 소결 점화로(10) 내부의 온도에 의해 발생되는 복사열을 이용하여 소결 점화로(10)를 통과하는 소결기 대차(3)의 배합원료를 착화시키며, 직화식 점화로는 소결기 대차(3)가 소결 점화로(10)를 통과할 때 소결 점화로(10)에서 발생되는 화염(불꽃)에 의해서 배합원료를 착화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화염을 발생시키는 직화식 점화로에 대해서만 언급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소결 점화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소결 점화로(10)를 하나의 버너블럭만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의 소결광 생산 공정에서는, 다수개의 버너블럭이 연결된 형태로서 소결기 대차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각 버너에서 하방향으로 발생되는 화염이 소결 점화로(10) 밑을 통과하는 배합원료(1)를 착화시키게 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의 소결 점화로(10)에는, COG(COKE OVEN GAS) 공급관(13)으로부터 COG를 공급받는 가스 노즐(15)이 소결 점화로(10)의 중심부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1차 에어 배관(11)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1차 에어 노즐(16)이, 상기 가스 노즐(15)을 둘러싸고 있는 상태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또한, 2차 에어 배관(12)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2차 에어 노즐(17)이, 상기 1차 에어 노즐(16)을 둘러싸고 있는 상태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1차 에어 노즐(16)의 하측 단부에는 스와일러(16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와일러(16a)는 1차 에어 노즐(16)을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와류를 형성시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소결 점화로(10)는, 소결기 대차 상부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소결 점화로(10)의 하부는 내화물(14)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서 좌우로 회동하지 못하게 된다.
도 2c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소결 점화로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의한 소결 점화로(10)의 가스 노즐(15)에는 복수개의 예컨대, 5개의 가스분출구멍(1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스 노즐(15)은 1차 에어 노즐(16)과 2차 에어 노즐(17)에 의해 각각 둘러싸여 있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소결 점화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3a, 도 3b, 도 3c, 도 3d에는 일반적인 소결 점화로의 화염 형상에 대한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결 점화로(10)에서 발생되는 이상적인 화염(60) 형상은, 소결기 대차의 진입 방향으로 형성되고, 넓게 분포되어서예열부(60b)와 착화부(60a)로 구분될 수 있는 화염(60) 형상이다.
그러나 도 3a, 도 3b,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소결 점화로(10)는 하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소결 점화로(10)에서 발생되는 화염(60)의 형상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화염(60)의 형상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되면, 소결 점화로(10)에서 형성된 화염(60)이 배합원료(61)를 착화시킬 때, 착화가 불량하게 된다.
한편, 소결기 대차에 장입되는 배합원료(61) 표층부의 높이를 소결조업 상황에 따라 높게 또는 낮게 유지하면서 조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도 3a,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합원료(61) 표층부의 높이가 변경됨에 따라 화염(60)의 형상이 변하게 되고, 배합원료(61) 표층부의 비워나감 발생시에도 외부 공기가 침투되어 화염(60)의 형상이 변하게 된다.
즉, 배합원료(61) 표층부와 소결 점화로의 화염(60)이 너무 가까워지거나 너무 멀어져 착화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소결 점화로(10)의 끝단부와 배합원료(61) 표층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화염(60)의 형상이 도 3a에 도시된 화염(60) 형상으로 변하고, 상기 거리가 가까워지면 도 3b에 도시된 화염(60) 형상으로 변하기 때문에, 배합원료(61)에 대한 착화 강도가 우수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소결 점화로(10)에 외부 침입 공기의 양이 증가하면, 화염(60) 형상이 도 3c에 도시된 화염(60) 형상과 같이 소결기 대차의 진행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배합원료(61)의 화염(60) 내부에서의 체류 시간이 짧아져서 착화가 매우 불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착화 상태가 불량하게 되면, 소결 점화로(10) 내부의 온도를 올려서 착화를 조정하는데, 온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가스 사용량을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며, 노내 온도 상승에 의해 소결 점화로(10) 및 내화물(14)에 열부하가 가중되어 설비에 대한 열화 및 파손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합원료(61) 표면에 대한 착화가 불균일하고, 착화 강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배합원료(61) 표층부의 강도 저하에 의해서, 미소결광의 발생량 증가 및 분율 상승, 강도 저하 등의 소결광의 품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발생하게 되고, 소결광 수송시 분진 발생의 증가로 환경 오염이 심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화염(60)의 형상이 소결기 대차의 진입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배합원료(61) 표층부의 높이 변경에 따라 화염(60)의 형상을 적절히 조절하여, 배합원료(61)를 효율적으로 착화시킬 수 있게 하는 소결 점화로(10)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소결광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a는 종래 기술에 의한 소결 점화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소결 점화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c는 종래 기술에 의한 소결 점화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3a, 도 3b, 도 3c, 도 3d는 일반적인 소결 점화로의 화염 형상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소결 점화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소결 점화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소결 점화로를 나타내는 전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소결 점화로를 나타내는 배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소결 점화로21....1차 에어 배관
22....2차 에어 배관23....COG 공급관
24....내화물25....그라스울
26....가스 노즐27....1차 에어 노즐
28....2차 에어 노즐26a...가스분출구멍
27a...스와일러30....경동축
31....스포터40....방열 플레이트
50....실린더60....화염
60a...착화부60b...예열부
70....1차 화염감지센서72....방열 게이트
74....2차 화염감지센서80....연결호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결 점화로는, 소결기 대차의 진입 방향에 형성되는 방열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1차 화염감지센서와; 상기 방열 플레이트 외부에 설치되는 2차 화염감지센서와; 경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와; 상기 1차 화염감지센서에 의해서만 화염이 감지되도록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결 점화로는, 하측 단부에서 소결기 대차의 진입 방향으로 굽어진 형태를 갖는 가스 노즐과 1차 에어 노즐 및 2차 에어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결 점화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소결 점화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소결 점화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소결 점화로의 전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결 점화로(20)에는, COG 공급관(23)으로부터 COG를 공급받는 가스 노즐(26)이 소결 점화로(20)의 중심부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1차 에어 배관(21)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1차 에어 노즐(27)이, 상기 가스 노즐(26)을 둘러싸고 있는 상태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또한, 2차 에어 배관(22)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2차 에어 노즐(28)이, 상기 1차 에어 노즐(27)을 둘러싸고 있는 상태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다만, 상기 가스 노즐(26) 및 1차 에어 노즐(27)과 2차 에어 노즐(28)의 하측 단부는 모두 소결기 대차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예컨대, 20~30도의 각도만큼 굽혀진 형태로 성형되는데, 이는 소결 점화로(20)에서 생성되는 화염(60)이 소결기 대차의 진입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1차 에어 노즐(27)의 하측 단부에는 스와일러(27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와일러(27a)는 1차 에어 노즐(27)을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와류를 형성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소결 점화로(20)는 실린더(5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50)는 상기 소결 점화로(20)를 밀거나 잡아당기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결 점화로(20)가 실린더(50)에 의해 소결기 대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전후방으로 밀리거나 잡아당겨지면, 상기 소결 점화로(20)는 일측 또는 양측에 성형되어 있는 경동축(30)을 축으로 하여 전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동축(30)은 각 소결 점화로(20) 사이에 설치되는 스토퍼(31)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50)의 작용에 의해 소결 점화로(20)가 소결기 대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전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 노즐(26)은 COG 공급관(23)과 플렉시블한 연결호스(80)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1차 에어 노즐(27) 및 2차 에어 노즐(28)도 1차 에어 배관(21) 및 2차 에어 배관(22)과 각각 플렉시블한 연결호스(8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에는 소결 점화로의 하측 부분이 내화물에 의해 고정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소결 점화로(20)의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결 점화로(20)가 전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내화물(24)과 소결 점화로(20) 사이에는 예컨대, 스폰지처럼 복원력을 구비하는 그라스울(25)이 채워져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소결 점화로(20)를 둘러싸고 있는 내화물(24)의 양 끝단에는, 소결 점화로(20)에서 발생되는 화염(60)이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열 플레이트(40)가 설치된다. 상기 방열 플레이트(40) 중 적어도 소결기 대차의 진입 방향측에 설치되는 방열 플레이트(40)의 하단부에는, 각 소결 점화로(20)에서 화염(60)이 발생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1차 화염감지센서(70)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1차 화염감지센서(70)가 설치되는 방열 플레이트(40)의 하단부는 상기 1차 화염감지센서(7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방열 플레이트(40)의 하단부에 1차 화염감지센서(70)가 삽입 설치되면, 화염(60)을 1차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화염(60)이 직접 1차 화염감지센서(70)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 1차 화염감지센서(70)의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방열 플레이트(40)와 소결기 대차에 장입되는 배합원료의 표층부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존재하게 되고, 상기 간극을 통해 화염(60)이 소결 점화로(20)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방열 플레이트(40)의 외측 하단부에는 방열 게이트(72)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 게이트(72)에는, 소결 점화로(20)에서 발생되어 방열 게이트(72) 외부로 분출되는 화염(60)을 감지할 수 있는 2차 화염감지센서(74)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각각의 소결 점화로(20)에는, 실린더(50)와 2개의 화염감지센서(70,74)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결 점화로(20)에는 상기 실린더(50)와 1차 및 2차 화염감지센서(70,74)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포함된다. 즉, 상기 1차 및 2차 화염감지센서(70,74)는일정시간을 주기로 하여 화염(60)을 감지한 후,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와 같이 1차 및 2차 화염감지센서(70,74)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분석하여 화염(60)의 형상이 정상적으로 형성되도록 실린더(50)를 제어하여 소결 점화로(20)를 회동시키게 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 점화로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소결 점화로(20)는, 중심부에 가스 노즐(26)이 설치되고, 상기 가스 노즐(26) 외부에는 1차 에어 노즐(27)이 설치되며, 상기 1차 에어 노즐(27) 외부에는 2차 에어 노즐(28)이 설치된다. 이때, 소결 점화로(20)에서 발생되는 화염(60)의 형상이 보다 넓게 퍼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각 가스 노즐(26)의 배면에는 복수개의 가스분출구멍(26a)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각 가스 노즐(26)의 배면에 지름이 15mm인 가스분출구멍(26a)이 15개씩 2열로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가스분출구멍(26a)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더욱 작은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 점화로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소결기 대차에 배합원료를 채운 후에 소결 점화로(20)에 불을 붙이면, 소결 점화로(20)에서 화염(60)이 형성되어, 상기 소결 점화로(20)를 통과하는 배합원료 표층부에 착화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배합원료의 착화에 의해 배합원료 중에 포함되어 있는 분코크스에 불이 붙게 되면, 소결기 하부에 설치되는 윈드박스의 하(下)방향 흡입 작용에 의해서 분코크스가 타들어가면서 소결광 제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소결 점화로(20)에서 형성되는 화염(불꽃)의 형상은, 도 3d에 도시된 화염(60) 형상과 같이 소결기 대차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넓게 퍼지는 형상이 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근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60)이 넓게 퍼져야 예열부(60b)와 착화부(60a)가 만들어져서, 배합원료에 대한 착화 강도가 높아지고, 균일한 착화가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원리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결 점화로(20)의 가스 노즐(26)과 1차 에어 노즐(27) 및 2차 에어 노즐(28)은 하측 단부에서 소결기 대차의 진입 방향으로 굽어져 있는 형태로 성형된다. 따라서 화염(60)의 형성을 위해 상기 소결 점화로(20)에서 분출되는 COG 및 1차 에어와 2차 에어는, 상기 굽어져 있는 각도 만큼 절곡된 형태로 분출되면서 화염(60)을 형성하게 되므로,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소결 점화로(20)에서 발생되는 화염(60)의 형상은 소결기 대차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넓게 퍼지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착화부(60a)와 예열부(60b)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노즐(26)의 배면에 예컨대, 가스분출구멍(26a)이 15개씩 2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가스분출구멍(26a)에는 복수개의 더욱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각 소결 점화로(20)에서 생성되는 화염(60)의 간격이 더욱 촘촘하게 형성될 수 있어서 배합원료가 균일하게 착화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결기 대차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소결 점화로(20)에서는 하방으로 화염(60)을 내뿜게 되고, 상기 화염(60)은 배합원료의 표층부와 부딪치면서 소결기 대차의 진입 방향으로 유도되며, 상기 1차 및 2차 화염감지센서(70,74)는 일정주기로 예컨대, 10~20초 마다 화염(60)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1차 화염감지센서(70)에서만 화염(60)이 감지되는 것으로 제어부에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화염(60)의 유도거리가 알맞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각 소결 점화로(20)에 설치된 실린더(50)를 구동시키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1차 및 2차 화염감지센서(70,74) 2개에서 동시에 화염(60)이 감지되어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게 되면, 제어부는 상기 화염(60)의 유도거리가 정상적인 경우보다 길어진 경우로 판단하여, 상기 각 소결 점화로(20)의 실린더(50)를 작동시켜서 상기 1차 화염감지센서(70)에서만 화염(60)이 감지될 때까지 즉, 화염(60)이 방열 게이트(72) 밖으로 분출되지 않고 예열부(60b)와 착화부(60a)가 방열 플레이트(40) 내부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소결 점화로(20)가 잡아당겨지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1차 및 2차 화염감지센서(70,74) 2개 모두에서 화염(60)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화염(60)의 유도거리가 정상적인 경우보다 짧은 경우로 판단하여, 각 소결 점화로(20)의 실린더(50)를 작동시켜서 상기 1차 화염감지센서(70)에서 화염(60)이 감지될 때까지 소결 점화로(20)를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소결 점화로(20)에 따르면, 소결기 대차가 진입하는 방향의 방열 플레이트(40)에 설치되는 1차 및 2차 화염감지센서(70,74)가 화염(60)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각소결 점화로(20)에 설치되는 실린더(50)를 작동시켜서 상기 각 소결 점화로(20)의 각도를 조정하여, 화염(60)의 유도거리를 지속적으로 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 점화로는, 배합원료 표층부의 착화를 균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미소결광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착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표층부의 착화 강도 향상으로, 소결광의 분율발생을 감소시키고, 소결광 회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소결광의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결 점화로(20)의 내부 온도를 높이지 않고 화염(60) 형상으로 착화를 조정할 수 있어서, 가스 사용량이 저하되어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미소결광의 발생이 억제됨에 따라서 소결광 수송 과정에서의 분진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환경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소결기 대차의 진입 방향에 형성되는 방열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1차 화염감지센서와;
    상기 방열 플레이트 외부에 설치되는 2차 화염감지센서와;
    경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와;
    상기 1차 화염감지센서에 의해서만 화염이 감지되도록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점화로.
  2. 제1항에 있어서, 하측 단부에서 소결기 대차의 진입 방향으로 굽어진 형태를 갖는 가스 노즐과 1차 에어 노즐 및 2차 에어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점화로.
KR1020020036865A 2002-06-28 2002-06-28 소결 점화로 KR20040001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865A KR20040001605A (ko) 2002-06-28 2002-06-28 소결 점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865A KR20040001605A (ko) 2002-06-28 2002-06-28 소결 점화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605A true KR20040001605A (ko) 2004-01-07

Family

ID=3731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865A KR20040001605A (ko) 2002-06-28 2002-06-28 소결 점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160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00Y1 (ko) * 2009-08-21 2011-06-30 이상탁 안경테의 조립식 경첩돌기 형성구조
KR101368530B1 (ko) * 2012-07-30 2014-03-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결 대차용 부생가스 제공장치
KR20160063104A (ko) * 2014-11-26 2016-06-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결광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80067127A (ko)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포스코 점화로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00Y1 (ko) * 2009-08-21 2011-06-30 이상탁 안경테의 조립식 경첩돌기 형성구조
KR101368530B1 (ko) * 2012-07-30 2014-03-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결 대차용 부생가스 제공장치
KR20160063104A (ko) * 2014-11-26 2016-06-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결광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80067127A (ko)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포스코 점화로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2050A2 (en) Low-NOx staged combustion device for controlled radiative heating in high temperature furnaces
EP2659186B1 (en) Distributed combustion process and burner
KR20160089552A (ko) 소결기
KR20040001605A (ko) 소결 점화로
KR100354688B1 (ko) 환원철 제조장치
US20130137055A1 (en) Combustion Device for Melting Furnace and Melting Furnace
JP5910564B2 (ja) 焼結用点火炉およびその操業方法
US4140480A (en) Hot cupola gas burner
JPH11325740A (ja) グレートキルン方式鉄鉱石ペレット焼成装置
JP2020003123A (ja) ドワイトロイド焼結機
KR100480004B1 (ko) 복사전열관이 부착된 축열식 연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질소 산화물 저감방법
KR101818512B1 (ko) 소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KR100857673B1 (ko) 소결기 점화로의 착화장치
KR100419171B1 (ko) 소결조업에 있어서 점화로 내부 융착광 생성 방지방법
KR19990055427A (ko) 소결광 장치 및 소결광 제조 방법
JP3153019B2 (ja) 燃焼式溶解炉
JPH05215305A (ja) 微粉固体燃料燃焼装置
JP2544059B2 (ja) コ―ナ―ジェットファイヤ―型焼成炉
KR100627452B1 (ko) 소결기 대차의 사행제어장치 및 방법
KR101433531B1 (ko) 양방향 송풍장치
KR101921076B1 (ko) 점화로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방법
JP2004503737A (ja) 供給材料装入装置
JPH09166323A (ja) 炉内制御方法
KR100889678B1 (ko) 점화로용 외부공기 차단장치
JP2016161216A (ja) 加熱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