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393B1 -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393B1
KR100857393B1 KR1020060138986A KR20060138986A KR100857393B1 KR 100857393 B1 KR100857393 B1 KR 100857393B1 KR 1020060138986 A KR1020060138986 A KR 1020060138986A KR 20060138986 A KR20060138986 A KR 20060138986A KR 100857393 B1 KR100857393 B1 KR 100857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
input
signal
circuit breaker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2840A (ko
Inventor
송민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393B1/ko
Publication of KR20080062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0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remote controlled apparatus; for lines connecting such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기중차단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목적은 원격지에서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게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시스템으로부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동작명령에 따라 중앙처리장치가 트립 제어신호 및 투입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동작상태 판단부가 기중차단기의 현재 동작상태에 따라 투입 상태신호 및 트립 상태신호를 발생한다. 트립 제어신호는 투입 상태신호와 앤드게이트가 논리 곱하여 트립코일로 출력하고, 투입 제어신호는 트립 상태신호와 앤드게이트가 논리 곱하여 투입코일로 출력한다.
기중차단기, 원격제어, 트립코일, 투입코일, 사고 발생, 동작상태 판단부

Description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ir Circuit Breaker}
도 1은 일반적인 기중차단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격 제어장치가 구비된 기중차단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원격 제어방법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전압 검출부 210 : 검출전압 처리부
22 : 중앙처리장치 230 : 트립코일
240 : 투입코일 250 : 통신모듈
260 : 동작상태 판단부 270, 280 : 앤드게이트
본 발명은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에서 제어시스템이 기중차단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는 것을 제어하는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중차단기는 자연 공기 내에서 개방할 때 접점이 떨어지면서 자연 소호되는 방식을 가진 차단기로서 교류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기중차단기는 부하로 전력을 공급할 경우에 전력선을 통해 부하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한 전류로 단락 등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사고의 발생이 판단될 경우에 트립시켜 부하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중차단기는 외부의 제어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여 기중차단기의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고, 전송한 이벤트 정보로 작업자가 기중차단기의 동작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기중차단기를 도 1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중차단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중차단기는 전압 검출부(100), 검출전압 처리부(110), 중앙처리장치(120), 트립코일(130), 투입코일(140) 및 통신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전압검출부(100)는 예를 들면, 전류 트랜스 및 로고스키 코일을 포함하 고 있는 것으로서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공급하는 전류를 전류 트랜스가 검출하고, 전류 트랜스가 검출한 전류를 로고스키 코일이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검출전압 처리부(110)는 예를 들면, 정류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압검출부(100)에서 출력되는 검출전압을 정류기가 정류하여 맥류전압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한 맥류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20)로 출력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20)는 작업자가 명령입력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를 조작하여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부하로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120)는 부하로 전력을 공급할 경우에 상기 검출전압 처리부(110)에서 처리되어 입력되는 검출전압으로 단락 또는 누전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의 발생이 판단될 경우에 부하로 전력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120)는 외부의 제어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여 기중차단기의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제어한다.
상기 트립 코일(13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20)의 제어에 따라 기중차단기를 트립시켜 부하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상기 투입코일(14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2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게 한다.
상기 통신모듈(15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20)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제어시스템(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기중차단기는 작업자가 부하의 전력 공급을 명령할 경우에 중앙처리장치(120)가 투입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투입신호에 따라 투입코일(140)이 구동되어 기중차단기는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압 검출부(100)는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공급하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검출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전압 검출부(100)가 출력하는 검출전압은 검출전압 처리부(110)에 입력되어 정류되고, 디지털 검출전압으로 변환되어 중앙처리장치(120)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20)는 상기 검출전압 처리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검출전압의 레벨로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는지의 판단한다. 즉, 상기 중앙처리장치(120)는 RMS(Root Mean Square) 연산 등과 같은 수학적인 연산과정을 수행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 중앙처리장치(120)는 트립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이로 인하여 트립코일(130)이 구동되지 않아 기중차단기는 계속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판단 결과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중앙처리장치(120)는 트립신호를 발생하고, 그 발생한 트립신호에 따라 트립코일(120)이 구동되어 기중차단기를 트립시키게 되므로 기중차단기는 부하로 공급하던 전력을 차단하여 사고전류로 기중차단기 및 부하 등이 손상되지 않고, 또한 발생한 사고가 파급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20)는 외부에서 제어시스템이 통신모듈(150)을 통해 접속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외부 에서 제어시스템과 통신이 가능할 경우에 상기 중앙처리장치(120)는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기중차단기의 현재 상태 등을 비롯한 각종 이벤트 정보를 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종래의 기중차단기는 작업자가 일일이 명령 입력부를 조작하여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명령함에 따라 중앙처리장치(120)가 투입코일(140) 및 트립코일(130)을 구동시켜 부하로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중차단기의 동작을 원격지에서 제어하지 못하고, 작업자가 일일이 기중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를 방문하고, 명령 입력부를 조작하여 기중차단기의 동작을 명령해야 되므로 작업자에게 많은 번거로움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지에서 기중차단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기중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지에서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지에서 전송되는 동작명령에 따라 기중차단기의 동작에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외부의 제어시스템이 통신모듈을 통해 연결되어 통신이 수행될 경우에 제어시스템으로부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동작명령을 중앙처리장치가 판단하여 트립 제어신호 및 투입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동작상태 판단부가 기중차단기의 현재 동작상태에 따라 투입 상태신호 및 트립 상태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출력하는 트립 제어신호는 상기 동작상태 판단부가 발생하는 투입 상태신호와 앤드게이트가 논리 곱하여 트립코일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기중차단기가 현재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일 경우에 상기 트립 제어신호에 따라 트립코일이 구동되어 기중차단기가 트립되게 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가 출력하는 투입 제어신호는 상기 동작상태 판단부가 발생하는 트립 상태신호와 앤드게이트가 논리 곱하여 투입코일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기중차단기가 현재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은 트립상태일 경우에 상기 투입 제어신호에 따라 투입코일이 구동되어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는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동작명령에 따라 트립 제어신호 및 투 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출력하는 트립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부하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차단하는 트립코일과,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출력하는 투입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부하로 전력이 공급되게 하는 투입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중차단기의 현재 동작상태에 따라 투입 상태신호 및 트립 상태신호를 발생하는 동작상태 판단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출력하는 트립 제어신호 및 상기 동작상태 판단부가 발생하는 투입 상태신호를 논리 곱하여 상기 트립코일로 출력하는 제 1 앤드게이트와,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출력하는 투입 제어신호 및 상기 동작상태 판단부가 발생하는 트립 상태신호를 논리 곱하여 상기 투입코일로 출력하는 제 2 앤드게이트를 더 포함하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하로 전력이 공급될 경우에 부하로 공급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와, 상기 전압 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는 검출전압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검출전압 처리부의 출력전압으로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의 발생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트립코일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전압 처리부는 상기 전압 검출부의 검출전압을 정류하는 정류기와, 상기 정류기의 출력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방법은, 기중차단기의 중앙처리장 치가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수신되는 동작명령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동작명령이 트립명령일 경우에 중앙처리장치가 트립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발생한 트립 제어신호를 동작상태 판단부가 출력하는 투입 상태신호와 논리 곱하여 트립코일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동작명령이 투입명령일 경우에 중앙처리장치가 투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발생한 투입 제어신호를 동작상태 판단부가 출력하는 트립 상태신호와 논리 곱하여 투입코일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코일을 구동시켜 부하로 전력이 공급될 경우에 부하로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한 전압을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연산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고의 발생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트립코일을 구동시켜 트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격 제어장치가 구비된 기중차단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격 제어장치는 전압 검출부(200), 검출전압 처리부(210), 중앙처리장치(220), 트립코일(230), 투입코일(240), 통신모듈(250), 동작상태 판단부(260) 및 앤드게이트(270, 280)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검출부(200)는 예를 들면, 전류 트랜스 및 로고스키 코일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공급하는 전류를 전류 트랜스가 검출하고, 전류 트랜스가 검출한 전류를 로고스키 코일이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검출전압 처리부(210)는 예를 들면, 정류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압검출부(200)에서 출력되는 검출전압을 정류기로 정류하여 맥류전압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한 맥류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20)로 출력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220)는 작업자가 명령입력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를 조작하여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부하로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220)는 부하로 전력을 공급할 경우에 상기 검출전압 처리부(210)에서 처리되어 입력되는 검출전압으로 단락 또는 누전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의 발생이 판단될 경우에 부하로 전력이 공급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220)는 외부의 제어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여 기중차단기의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220)는 외부에서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투입명령 및 트립명령에 따라 투입 제어신호 및 트립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트립 코일(23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220)의 제어 및 상기 앤드게이트(270)의 출력신호에 따라 기중차단기를 트립시켜 부하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상기 투입코일(24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220)의 제어 및 상기 앤드게이트(280)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게 한다.
상기 통신모듈(25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220)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제어시스템(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과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동작상태 판단부(260)는 기중차단기의 현재 동작상태에 따라 투입 상태신호 및 트립 상태신호를 선택적으로 생성한다. 즉, 현재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을 경우에 투입 상태신호를 생성하고,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트립 상태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앤드게이트(27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20)가 생성하는 트립 제어신호와 상기 동작상태 판단부(260)가 생성하는 투입 상태신호를 논리 곱하여 상기 트립코일(230)로 출력한다.
상기 앤드게이트(28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20)가 생성하는 투입 제어신호와 상기 동작상태 판단부(260)가 생성하는 트립 상태신호를 논리 곱하여 상기 트립코일(23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부하의 전력 공급을 명령할 경우에 중앙처리장치(220)가 투입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투입신호에 따라 투입코일(240)이 구동되어 기중차단기는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전압 검출부(200)는 부하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압으로 변환 하고, 그 검출전압은 검출전압 처리부(210)에서 처리된 후 중앙처리장치(220)로 입력되는 것으로서 중앙처리장치(220)는 입력되는 검출전압으로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 중앙처리장치(220)는 트립신호를 발생하지 않아 트립코일(230)이 구동되지 않고, 기중차단기는 계속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게 되며,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중앙처리장치(220)는 트립신호를 발생하여 트립코일(220)이 구동되고, 기중차단기가 트립되어 부하로 공급하던 전력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에서 제어시스템이 통신모듈(250)을 통해 접속될 경우에 중앙처리장치(220)는 통신모듈(250)을 통해 외부에서 제어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기중차단기의 현재 상태 등을 비롯한 각종 이벤트 정보를 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한다.
한편, 동작상태 판단부(260)는 기중차단기의 현재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해당되는 상태신호를 출력한다. 즉, 기중차단기가 현재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을 경우에 동작상태 판단부(260)는 투입 상태신호를 논리 1인 고전위 신호로 출력하고, 트립 상태신호는 논리 0인 저전위 신호로 출력하며, 기중차단기가 현재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상기와는 반대로 동작상태 판단부(260)가 투입 상태신호를 논리 0인 저전위 신호로 출력하고, 트립 상태신호는 논리 1인 고전위 신호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의 제어시스템으로부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라는 투입명령이 통신모듈(250)을 통해 중앙처리장치(220)로 입력될 경우에 중앙처리장치(220)는 투입 제어신호를 논리 1인 고전위로 출력하게 된다.
이 때,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은 트립상태일 경우에 동작상태 판단부(260)가 투입 상태신호를 논리 0인 저전위 신호로 출력하고, 트립 상태신호는 논리 1인 고전위 신호로 출력하고 있으므로 앤드게이트(280)가 고전위를 출력하고, 이로 인하여 투입코일(240)이 구동되어 기중차단기는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이 때, 기중차단기가 현재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여 동작상태 판단부(260)는 투입 상태신호를 논리 1인 고전위 신호로 출력하고, 트립 상태신호는 논리 0인 저전위 신호로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통신모듈(250)을 통해 중앙처리장치(220)로 투입명령이 입력되어 중앙처리장치(220)는 투입 제어신호를 논리 1인 고전위로 출력하여도 앤드게이트(280)가 고전위를 출력하지 않고, 이로 인하여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투입코일(240)이 구동되는 에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외부의 제어시스템으로부터 부하로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라는 트립명령이 통신모듈(250)을 통해 중앙처리장치(220)로 입력될 경우에 중앙처리장치(220)는 트립 제어신호를 논리 1인 고전위로 출력하게 된다.
이 때,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투입상태일 경우에 동작상태 판단부(260)가 투입 상태신호를 논리 1인 고전위 신호로 출력하고, 트립 상태 신호는 논리 0인 저전위 신호로 출력하고 있으므로 앤드게이트(270)가 고전위를 출력하고, 이로 인하여 트립코일(230)이 구동되어 기중차단기는 부하로 공급하던 전력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이 때, 기중차단기가 현재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 동작상태 판단부(260)는 투입 상태신호를 논리 0인 저전위 신호로 출력하고, 트립 상태신호는 논리 1인 고전위 신호로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통신모듈(250)을 통해 중앙처리장치(220)로 트립명령이 입력되어 중앙처리장치(220)는 트립 제어신호를 논리 1인 고전위로 출력하여도 앤드게이트(270)가 고전위를 출력하지 않고, 이로 인하여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트립코일(230)이 구동되는 에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원격 제어방법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중앙처리장치(220)는 통신모듈(250)을 통해 외부의 제어시스템과 통신이 수행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0). 상기 판단 결과 통신이 수행될 경우에 외부의 제어시스템으로부터 트립명령 또는 투입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2, S304).
상기 판단 결과 외부의 제어시스템으로부터 트립명령이 입력될 경우에 중앙처리장치(220)는 트립 제어신호를 발생한다(S306). 그러면, 상기 중앙처리장치(220)가 발생한 트립 제어신호와 동작상태 판단부(260)가 출력하는 상태신호에 따라 트립코일(230)의 구동이 제어된다(S308). 즉, 현재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 을 공급하여 동작상태 판단부(260)가 투입상태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의 제어시스템으로부터 트립명령이 입력되어 중앙처리장치(220)가 트립 제어신호를 발생할 경우에 앤드게이트(270)가 고전위를 출력하면서 트립코일(230)이 구동되어 기중차단기가 트립되고,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판단 결과 외부의 제어시스템으로부터 투입명령이 입력될 경우에 중앙처리장치(220)는 투입 제어신호를 발생한다(S310). 그러면, 상기 중앙처리장치(220)가 발생한 투입 제어신호와 동작상태 판단부(260)가 출력하는 상태신호에 따라 투입코일(240)의 구동이 제어된다(S312). 즉, 현재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 동작상태 판단부(260)가 트립 상태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의 제어시스템으로부터 투입명령이 입력되어 중앙처리장치(220)가 투입 제어신호를 발생할 경우에 앤드게이트(280)가 고전위를 출력하면서 투입코일(230)이 구동되어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중앙처리장치(220)는 현재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14). 상기 판단 결과 현재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중앙처리장치(220)는 단계(S300)로 복귀하여 외부의 제어시스템과 통신이 수행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통신이 수행될 경우에 외부의 제어시스템의 명령에 따라 기중차단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현재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을 경우에 중앙처리장치(220)는 검출전압 처리부(210)가 출력하는 검출전압을 입력하여 연산하 고(S316), 연산 결과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고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18).
상기 판단 결과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 중앙처리장치(220)는 계속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단계(S300)로 복귀하여 외부의 제어시스템과 통신이 수행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통신이 수행될 경우에 외부의 제어시스템의 명령에 따라 기중차단기를 제어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중앙처리장치(220)는 트립코일(230)을 구동시켜 부하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사고의 발생을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고(S320), 외부의 제어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할 경우에 그 저장한 이벤트 정보를 외부의 제어시스템으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322).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의 제어시스템에서 기중차단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기중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관리자가 일일이 기중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를 방문하지 않아도 기중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중차단기의 현재 동작 상태신호와 제어시스템의 동작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조합하여 기중차단기가 부하로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므로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시 전력을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부하로 전 력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에서 다시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에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6)

  1.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동작명령에 따라 트립 제어신호 및 투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
    기중차단기의 현재 동작상태에 따라 투입 상태신호 및 트립 상태신호를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동작상태 판단부;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출력하는 트립 제어신호 및 상기 동작상태 판단부가 발생하는 투입 상태신호를 논리 곱하는 제 1 앤드게이트;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출력하는 투입 제어신호 및 상기 동작상태 판단부가 발생하는 트립 상태신호를 논리 곱하는 제 2 앤드게이트;
    상기 제 1 앤드게이트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부하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차단하는 트립코일; 및
    상기 제 2 앤드게이트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부하로 전력이 공급되게 하는 투입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로 전력이 공급될 경우에 부하로 공급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및
    상기 전압 검출부의 출력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는 검출전압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검출전압 처리부의 출력전압으로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의 발생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트립코일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전압 처리부는;
    상기 전압 검출부의 검출전압을 정류하는 정류기; 및
    상기 정류기의 출력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5. 기중차단기의 중앙처리장치가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수신되는 동작명령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동작명령이 트립명령일 경우에 중앙처리장치가 트립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발생한 트립 제어신호를 동작상태 판단부가 출력하는 투입 상태신호와 논리 곱하여 트립코일을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수신된 동작명령이 투입명령일 경우에 중앙처리장치가 투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발생한 투입 제어신호를 동작상태 판단부가 출력하는 트립 상태신호와 논리 곱하여 투입코일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코일을 구동시켜 부하로 전력이 공급될 경우에 부하로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한 전압을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연산하여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고의 발생이 판단될 경우에 상기 트립코일을 구동시켜 트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방법.
KR1020060138986A 2006-12-29 2006-12-29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57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986A KR100857393B1 (ko) 2006-12-29 2006-12-29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986A KR100857393B1 (ko) 2006-12-29 2006-12-29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840A KR20080062840A (ko) 2008-07-03
KR100857393B1 true KR100857393B1 (ko) 2008-09-05

Family

ID=3981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986A KR100857393B1 (ko) 2006-12-29 2006-12-29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3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149B1 (ko) * 2009-03-05 2009-06-15 대동산전주식회사 차단기 트립회로 감시장치
KR100927462B1 (ko) * 2009-08-06 2009-11-19 (주) 동보파워텍 차단기 진단장치가 내장된 수배전반 및 차단기 진단 방법
KR101970006B1 (ko) 2017-04-10 2019-04-17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차단기오동작차단장치 및 방법
CN114019872B (zh) * 2021-11-05 2023-11-14 中冶赛迪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断路器分合闸时序及其故障判断逻辑控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544A (ko) * 2001-09-06 2003-03-15 엘지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상태 및 고장알림 장치 및 방법
US20030222509A1 (en) 2002-02-25 2003-12-0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node electronics unit architecture
KR20050036325A (ko) * 2003-10-15 2005-04-20 김순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기분전반의 차단기와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544A (ko) * 2001-09-06 2003-03-15 엘지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상태 및 고장알림 장치 및 방법
US20030222509A1 (en) 2002-02-25 2003-12-0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node electronics unit architecture
KR20050036325A (ko) * 2003-10-15 2005-04-20 김순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기분전반의 차단기와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840A (ko)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618B1 (ko) 기중차단기의 보호장치
JP6076499B2 (ja) 電子式回路遮断器
US20080112100A1 (en) Digital electric leakage detecting and monitoring device
KR100857393B1 (ko) 기중차단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27208B1 (ko)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갖는 누전차단기
KR100813798B1 (ko) 기중차단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EP3796498A1 (en) Self-power relay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thereof
KR20150017256A (ko) 밸브 베이스 일렉트로닉스 장치의 시험 장치
JP2006115577A (ja) 待機電流遮断装置、及び待機電流遮断システム
US20020069373A1 (en) Safe shutdown device for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system and method for safely shuting down a UPS system
JP2002186054A (ja) 機器制御装置
KR100653284B1 (ko) 3상 디지털 유피에스 시스템
KR19990085704A (ko) 디지털 계전 계측장치
KR100285269B1 (ko) 누전 검출 시스템
CA2396450A1 (en) Method and network for providing backup power to networked devices
JPH07333272A (ja) 監視装置
KR100441947B1 (ko) 계기용변류기 및 3상불평형 이상검출장치
KR101213037B1 (ko) 원격전원점검장치 및 이의 전원 점검 방법
CN110907800B (zh) 基于电压判断的逆变电源电压检测电路故障诊断方法及系统
KR200350414Y1 (ko) 이에스에스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
KR200347633Y1 (ko) 고장 검출 및 선택적 자동재폐로를 위한 디지털 전력보호 감시제어장치의 하드웨어 구조
JPH0645969A (ja) 伝送器システム
US822379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line signals via a line device, and transmission apparatus
KR100575958B1 (ko) 전원감지장치 및 방법
JP4137772B2 (ja) 分岐装置および整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