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155B1 -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 Google Patents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155B1
KR100857155B1 KR1020060131881A KR20060131881A KR100857155B1 KR 100857155 B1 KR100857155 B1 KR 100857155B1 KR 1020060131881 A KR1020060131881 A KR 1020060131881A KR 20060131881 A KR20060131881 A KR 20060131881A KR 100857155 B1 KR100857155 B1 KR 100857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tube voltage
warning means
voltage detector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938A (ko
Inventor
최재덕
Original Assignee
루멘전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멘전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루멘전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1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155B1/ko
Publication of KR20080057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H05B41/298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988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lamp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정류전원을 이용하여 고주파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고주파 스위칭 신호에 매치되어 램프의 구동을 위한 발진전압을 출력하는 공진출력부와, 상기 공진출력부의 출력에 의해 램프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부를 포함하는 안정기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수명 말기를 경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고수단과, 상기 램프의 양단 중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연결되어 램프의 관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으로 상승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관전압 검출부와, 상기 관전압 검출부에 연결되며 관전압 검출부에서 관전압 상승이 검출되면 상기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는 경고수단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고수단은 1차 경고수단과 2차 경고수단이 각기 별도로 구성되고, 상기 관전압 검출부는 램프의 관전압을 각기 다른 레벨로 검출하는 1차 관전압 검출부와 2차 관전압 검출부가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경고수단 구동부는 1차 관전압 검출부의 출력에 의해 1차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는 1차 경고수단 구동부와 2차 관전압 검출부의 출력에 의해 2차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는 2차 경고수단 구동부가 별도로 구비되되, 상기 1차 관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관전압의 전압레벨에 비해 상기 2차 관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관전압의 전압레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램프의 관전압을 검출하여 램프의 수명 말기를 사용자에게 경고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시에 램프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60131881
관전압 검출부, 경고수단 구동부, LED, 부저, 회로차단부, 피드백회로부

Description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Ballast having lamp replacement indicat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회로구성 예시를 보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1차 경고수단 11 : 2차 경고수단
12 : 1차 관전압 검출부 13 : 2차 관전압 검출부
14 : 1차 경고수단 구동부 15 : 2차 경고수단 구동부
18 : 회로차단부 20 : 정류부
22 : 공진출력부 24 : 램프 구동부
26 : 램프 28 : 피드백회로부
본 발명은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의 관전압을 검출하여 램프의 수명 말기를 사용자에게 경고하며, 램프의 교체를 단계적으로 경고하여 램프가 적시에 교체되도록 하거나, 램프이 수명 말기를 경고한 후 안정기 회로를 차단하여 램프의 수명 말기에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된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램프는 필라멘트에서 전자를 방출하면, 방출된 전자가 관체 내를 유동하면서 관체 내에 봉입된 방전가스와 충돌하여 자외선을 방출하고, 방출된 자외선이 관체 내벽의 형광체를 여기시켜 점등하는 조명기구이다. 이러한 형광램프의 수명은 통상 방전가스의 소진 또는 필라멘트 표면에 형성된 에미션 파우더의 소진에 의해 만료된다. 이와 같이 형광램프의 수명이 만료되는 경우, 램프는 적시에 교체되어야 한다. 만약, 적시에 램프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형광램프의 점등불량 및 안정기의 효율 저하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필라멘트가 과열되어 램프 양단의 전극핀이 녹음으로 인해 램프가 소켓으로부터 낙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램프의 수명 말기에 따른 교체는, 통상 빌딩 내 전기시설 안전관리자가 주기적으로 빌딩 내부를 순회하면서 육안으로 램프의 휘도 저하나 흑화현상 등을 체크하여, 상태가 불량한 램프에 대하여 교체를 실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안전관리자의 순회가 수시로 이루어지긴 어려워, 램프의 수명이 만료되어 점등되지 않을 때까지 조명기구가 방치되는 경우가 빈번하며, 따라서, 많은 수의 조명기구들 이 상기와 같은 램프 수명 말기의 문제점들에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램프 양단의 관전압을 검출하여 램프의 수명 말기를 사용자에게 경고하여 램프가 적시에 교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램프의 수명 말기에 발생되는 안정기 효율 저하 및 램프 낙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된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램프의 수명 말기를 시각적으로 1차 경고하고 청각적으로 2차 경고하여, 램프의 수명 말기에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램프의 수명 말기를 시각적으로 1차 경고하고, 이후 램프가 교체되지 않아 수명이 더욱 진행되면 안정기 회로를 차단하여 램프 수명 말기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램프의 관전압을 검출하여 램프의 수명 말기를 경고하는 동시에, 부하측 전류 상승분에 대응하여 공진출력부의 스위칭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부하측 이상전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정류전원을 이용하여 고주파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고주파 스위칭 신호에 매치되어 램프의 구동을 위한 발진전압을 출력하는 공진출력부와, 상기 공진출력부의 출력에 의해 램프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부를 포함하는 안정기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수명 말기를 경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고수단과, 상기 램프의 양단 중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연결되어 램프의 관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으로 상승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관전압 검출부와, 상기 관전압 검출부에 연결되며 관전압 검출부에서 관전압 상승이 검출되면 상기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는 경고수단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고수단은 1차 경고수단과 2차 경고수단이 각기 별도로 구성되고, 상기 관전압 검출부는 램프의 관전압을 각기 다른 레벨로 검출하는 1차 관전압 검출부와 2차 관전압 검출부가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경고수단 구동부는 1차 관전압 검출부의 출력에 의해 1차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는 1차 경고수단 구동부와 2차 관전압 검출부의 출력에 의해 2차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는 2차 경고수단 구동부가 별도로 구비되되, 상기 1차 관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관전압의 전압레벨에 비해 상기 2차 관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관전압의 전압레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전압 검출부는 램프 양단의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역바이어스 연결된 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경고수단 구동부는 상기 제너다이오드가 항복될 때 트리거되어 경고수단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칭되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경고수단은 1차 경고수단과 2차 경고수단이 각기 별도로 구성되고, 상기 관전압 검출부는 램프의 관전압을 각기 다른 레벨로 검출하는 1차 관전압 검출부와 2차 관전압 검출부가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경고수단 구동부는 1차 관전압 검출부의 출력에 의해 1차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는 1차 경고수단 구동부와 2차 관전압 검출부의 출력에 의해 2차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는 2차 경고수단 구 동부가 별도로 구비되되, 상기 1차 관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관전압의 전압레벨에 비해 상기 2차 관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관전압의 전압레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경고수단은 램프의 수명 말기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LED이며, 상기 2차 경고수단은 램프의 수명 말기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부저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관전압 검출부는 램프 양단의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역바이어스 연결된 제1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1차 경고수단 구동부는 제1제너다이오드가 항복될 때 트리거되어 1차 경고수단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칭되는 제1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2차 관전압 검출부는 램프 양단의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역바이어스 연결되되 상기 제1제너다이오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정격의 제2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2차 경고수단 구동부는 제2제너다이오드가 항복될 때 트리거되어 2차 경고수단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칭되는 제2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1차 경고수단 및 2차 경고수단에 의해 램프의 수명 말기를 단계적으로 경고하도록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관전압 검출부는 램프의 관전압을 각기 다른 레벨로 검출하는 1차 관전압 검출부와 2차 관전압 검출부가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1차 관 전압 검출부의 후단에는 상기 경고수단 구동부 및 경고수단이 연결되며, 상기 2차 관전압 검출부 후단에는 2차 관전압 검출부에 의해 관전압 상승이 검출되면 공진출력부를 정지시키는 회로차단부가 연결되되, 상기 1차 관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관전압의 전압레벨에 비해 상기 2차 관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관전압의 전압레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경고수단은 램프의 수명 말기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LED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관전압 검출부는 램프 양단의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역바이어스 연결된 제1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수단 구동부는 제1제너다이오드가 항복될 때 트리거되어 경고수단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칭되는 제1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2차 관전압 검출부는 램프 양단의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역바이어스 연결되되 상기 제1제너다이오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정격의 제2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차단부는 제2제너다이오드가 항복될 때 트리거되어 공진출력부의 발진자에 인가되는 전류를 접지측으로 바이패스시키도록 스위칭되는 제2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경고수단에 의해 램프의 수명 말기를 시각적으로 경고하고, 이후 램프의 관전압이 더욱 상승되면 상기 회로차단부에 의해 공진출력부를 정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정기는 부하측 전류를 검출하고 부하측 전류값에 대응하여 공진출력부의 출력전압을 피드백 조절하는 피드백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드백회로부는 램프 일측에 연결된 트랜스와, 이 트랜스 2차측에 역바이어스 연결된 제너다이오드와, 이 제너다이오드가 항복될 때 턴온되어 공진출력부의 발진전압을 다운시키도록 스위칭되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로구성 예시를 보인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통상의 형광램프 점등을 위한 안정기에 있어서, 램프 양단의 관전압을 검출하고 관전압 상승시 램프의 수명 말기를 LED 및 부저와 같은 경고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하여 램프가 적시에 교체되도록 하거나, 램프의 수명 말기를 경고한 후 회로를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종래 안정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하며, 경고수단(10, 11), 관전압 검출부(12, 13), 경고수단 구동부(14, 15), 회로차단부(18)와 같은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블록도 및 도 2의 회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정기는 정류부(20), 공진출력부(22), 램프 구동부(24), 경고수단(10, 11), 관전압 검출부(12, 13), 경고수단 구동부(14, 15)로 구성된다.
도 2의 회로도를 참조하면, 상기 정류부(20)는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수단으로서, 전원입력측 서지전압을 흡수하는 바리스터(VA1), 노이즈필터(LF1),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콘덴서(CC1, CC2), 브릿지 다이오드(D1-D4), 역률 조정을 위한 코일(LF2)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진출력부(22)는 정류부(20)에서 정류된 전원을 이용하여 고주파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에 매치되어 램프 구동용 발진전압을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콘덴서(MC1)의 충방전에 의해 한 쌍의 스위칭소자(Q1, Q2) 게이트 단자에 트리거 신호가 인가되면, 한 쌍의 스위칭소자(Q1, Q2)가 상호 교번으로 고주파 스위칭되며, 이에 매치되어 발진자(OSC)가 발진되면서 램프(26) 구동용 발진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램프 구동부(24)는 공진출력부(22)에서 출력되는 발진전압을 램프(26)에 인가하는 수단으로서, 공진출력부(22)의 발진전압에 의해 램프(26)를 점등시키고, 이후 램프(26) 양단에 연결된 콘덴서(C4)에 의해 이상전압을 흡수하여 램프(26)가 지속하여 안정적으로 점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정류부(20), 공진출력부(22), 램프 구동부(24)는 통상의 안정기 구성과 다름없는 것으로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경고수단(10, 11)은 램프(26)의 수명 말기를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LED 또는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부저이다. 이러한 경고수단(10, 11)은 본 발명의 안정기가 장착되는 조명기구의 외부, 즉, 외함 등의 외부에 노출 설치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고수단(10, 11)은 1차 경고수단(10)과 2차 경고수단(11)이 각각 별도로 설치된다. 일예로서, 1차 경고수단(10)은 사용자에게 램프(26)의 수명 말기를 시각적으로 알리는 LED이며, 2차 경고수단(11)은 램프(12)의 수명 말기를 청각적으로 알리는 부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26)의 수명 말기가 도래하면, 1차 경고수단(10)인 LED가 먼저 작동되며, 이후 시간차를 두어 2차 경고수단(11)인 부저가 작동되는 단계적 경고시스템을 가지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관전압 검출부(12, 13)는 램프(26)의 수명 말기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램프 양단의 관전압 상승 여부를 통해 램프(26) 수명 말기를 검출한다. 이를 위하여, 관전압 검출부(12, 13)는 램프(26) 양단의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설치된다. 도 2의 회로도를 참조하면, 관전압 검출부(12, 13)는 상기 경고수단(10, 11)에 대응하여, 1차 관전압 검출부(12)와 2차 관전압 검출부(13)가 각기 별도로 설치된다. 1차 관전압 검출부(12)는 램프(26)의 양단 중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역바이어스 연결되는 제1제너다이오드(ZD4)를 포함한다. 이 제1제너다이오드(ZD4)는 램프(26)의 관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으로 상승될 때 항복된다. 상기 2차 관전압 검출부(13)는 마찬가지로 램프(26)의 양단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역바이어스 연결되는 제2제너다이오드(ZD5)를 포함하며, 이 제2제너다이오드(ZD5)는 램프(26)의 관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으로 상승될 때 항복된다. 이때, 1차 경고수단(10)과 2차 경고수단(11)의 작동간에 시간차를 두기 위하여, 제1제너다이오 드(ZD4)에 비해 제2제너다이오드(ZD5)의 정격이 높은 것으로 선택된다. 예컨대, 제1제너다이오드(ZD4)가 11V의 항복전압을 갖는다면, 제2제너다이오드(ZD5)는 12V의 항복전압을 가짐으로써, 1차 경고수단(10)인 LED로 램프(26)의 수명 말기를 1차 경고하며, 이후 램프(26)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아 램프(26)의 관전압이 더욱 상승하면, 2차 경고수단(11)인 부저로 2차 경고를 실시한다.
상기 경고수단 구동부(14, 15)는 관전압 검출부(12, 13)에 연결되어, 관전압 검출부(12, 13)에서 관전압 상승이 검출되면 경고수단(10, 11)을 구동하는 것이다. 경고수단 구동부(14, 15) 역시 1차 경고수단(10) 및 2차 경고수단(11)에 대응하여, 1차 경고수단 구동부(14)와 2차 경고수단 구동부(15)가 각기 별도로 설치된다. 1차 경고수단 구동부(14)는 1차 관전압 검출부(12)의 제1제너다이오드(ZD4)가 항복될 때 트리거되어 DC 전원을 1차 경고수단(10)에 공급하도록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소자(Q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스위칭소자(Q5)는 SCR이며, 이 SCR의 게이트 단자에 제1제너다이오드(ZD4)의 항복전압이 인가되고, SCR의 애노드 단자에 DC전원 및 1차 경고수단(10)이 연결되고, SCR의 캐소드 단자는 접지된다. 따라서, 1차 경고수단 구동부(14)는 제1제너다이오드(ZD4)의 항복시 트리거되어 1차 경고수단(10)인 LED를 점등시킨다. 이때, 1차 경고수단(10)에 연결되는 DC전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기 회로의 DC측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으나, 다른 예로서, 1차 경고수단(10)에 공급되는 전원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AC 220V 전원에 별도로 연결된 정전압 레귤레이터로부터 공급받아, 안정기 회로와 전원을 분리 설계할 수도 있다. 2차 경고수단 구동부(15) 역시, 1차 경고수단 구동부(14)와 마 찬가지로 2차 관전압 검출부(13)의 제2제너다이오드(ZD5)가 항복될 때 트리거되어 2차 경고수단(11)을 구동시키는 제2스위칭소자(Q5)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안정기에는 부하측 전류를 검출하여 부하측 전류값에 대응하여 공진출력부(22)의 출력전압을 피드백 조절하는 피드백회로부(28)가 더 부가될 수 있다. 이 피드백회로부(28)는 부하측 전류 상승시 공진출력부(22)의 출력을 다운시켜 부하측 전류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램프(26) 일측에 연결된 트랜스(L1)와, 이 트랜스(L1) 2차측에 역바이어스 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ZD3)와, 이 제너다이오드(ZD3)가 항복될 때 턴온되는 스위칭소자(Q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피드백회로부(28)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부하측 전류가 상승되어 트랜스(L1) 2차측 유기전류가 기준레벨 이상으로 올라가면, 제너다이오드(ZD3)가 항복되면서, 스위칭소자(Q3)가 턴온된다. 이에 따라 공진출력부(22)의 스위칭소자(Q2)에 인가되는 바이어스전압이 다운되면서, 발진자(OSC)의 발진전압이 다운된다. 이후, 부하측 전류가 안정되면, 피드백회로부(28)의 스위칭소자(Q3)가 턴오프되면서, 공진출력부(22)는 다시 정상적인 고주파 전압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램프(26)의 수명 말기에 1차 경고수단(10)인 LED로 1차 시각적 경고를 실시하고, 이후 램프(26)가 교체되지 않아 램프(26)의 관전압이 더욱 상승될 때 2차 경고수단(11)인 부저로 2차 청각적 경고를 실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램프(26)의 교체시기를 보다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1차 및 2차 경고수단(10, 11)을 통해 램프(26)의 교체시기를 경고하는 동시에, 피드백회로 부(28)에서 부하측 전류 상승시 공진출력부(22)의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부하측에 이상전류가 유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의 회로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는 램프(26)의 수명 말기를 LED와 같은 경고수단(10)으로 1차 경고하고, 이후 램프(26)가 교체되지 않아 관전압이 더욱 상승하면 공진출력부(22)를 정지시켜 램프 수명 말기에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정기 구성 중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에에서, 램프(26) 양단의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1차 관전압 검출부(12) 및 2차 관전압 검출부(13)가 각기 별도로 설치되는 것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때, 각 관전압 검출부(12, 13)는 각기 램프(26)측에 역바이어스 연결된 제1제너다이오드(ZD4) 및 제2제너다이오드(ZD5)를 포함하며, 제1제너다이오드(ZD4)에 비해 제2제너다이오드(ZD5)의 정격이 높은 것으로 선택된다. 1차 관전압 검출부(12)의 후단에는 경고수단(10)을 구동하기 위한 경고수단 구동부(14)가 연결되며, 이 경고수단 구동부(14)는 제1제너다이오드(ZD4)가 항복될 때 트리거되어 경고수단(1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칭되는 제1스위칭소자(Q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고수단(10)은 램프(26)의 수명 말기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LED이다.
상기 2차 관전압 검출부(13)의 후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차단 부(18)가 연결된다. 이 회로차단부(18)는 2차 관전압 검출부(13)의 제2제너다이오드(ZD5)가 항복될 때 트리거되는 제2스위칭소자(Q5)를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제2스위칭소자(Q5)는 SCR이며, 이 SCR의 게이트단자에 제2제너다이오드(ZD5)의 항복전압이 인가되고 SCR이 트리거되면, 공진출력부(22)의 발진자(OSC)에 인가되는 전류를 접지측으로 바이패스시켜 공진출력부(22)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공진출력부(22)의 발진자(OSC)측으로 역전압이 유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진출력부(22)의 발진자(OSC) 입력단과 회로차단부(18)의 제2스위칭소자(Q5) 애노드단자 사이에는 순방향으로 다이오드(D13)가 연결되며, 바이패스 전류에 의해 제2스위칭소자(Q5)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이오드(D13)와 제2스위칭소자(Q5) 사이에는 저항(R15)이 직렬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램프(26)의 수명 말기에 경고수단(10)인 LED로 시각적 경고를 실시하고, 이후 램프(26)가 교체되지 않아 램프(26)의 관전압이 더욱 상승될 때 회로차단부(18)가 작동되어 공진출력부(22)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램프(26)의 수명 말기에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부가되는 피드백회로부(28)의 구성 및 작용은 앞선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는 램프의 수명이 만료됨에 따라 램프의 관전압이 상승되는 것을 검출하여, 램프의 수명 말기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고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시에 램프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램프의 수명 말기에 발생되는 안정기 효율 저하 및 램프 낙하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의 수명 말기를 LED 등과 같은 1차 경고수단으로 1차 경고하고, 이후 램프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아 램프가 수명 말기에도 계속 사용중인 경우, 부저와 같은 2차 경고수단으로 2차 경고함으로써, 즉, 시각적 경고와 청각적 경고를 단계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램프 수명 말기를 보다 확실하게 경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의 수명 말기를 LED와 같은 경고수단으로 경고하고, 이후 램프의 교체되지 않아 램프가 수명 말기에도 계속 사용중인 경우, 회로차단부에서 공진출력부를 강제 정지시킴으로써, 램프 수명 말기에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원천 봉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램프의 관전압을 검출하여 램프의 수명 말기를 경고하는 동시에, 부하측 전류 상승분에 대응하여 공진출력부의 발진전압을 조절함으로써, 부하측 이상전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정류전원을 이용하여 고주파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고주파 스위칭 신호에 매치되어 램프의 구동을 위한 발진전압을 출력하는 공진출력부와, 상기 공진출력부의 출력에 의해 램프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부를 포함하는 안정기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수명 말기를 경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고수단과, 상기 램프의 양단 중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연결되어 램프의 관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으로 상승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관전압 검출부와, 상기 관전압 검출부에 연결되며 관전압 검출부에서 관전압 상승이 검출되면 상기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는 경고수단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고수단은 1차 경고수단과 2차 경고수단이 각기 별도로 구성되고, 상기 관전압 검출부는 램프의 관전압을 각기 다른 레벨로 검출하는 1차 관전압 검출부와 2차 관전압 검출부가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경고수단 구동부는 1차 관전압 검출부의 출력에 의해 1차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는 1차 경고수단 구동부와 2차 관전압 검출부의 출력에 의해 2차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는 2차 경고수단 구동부가 별도로 구비되되, 상기 1차 관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관전압의 전압레벨에 비해 상기 2차 관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관전압의 전압레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경고수단은 램프의 수명 말기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LED이며, 상기 2차 경고수단은 램프의 수명 말기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부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5. 제 4에 있어서,
    상기 1차 관전압 검출부는 램프 양단의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역바이어 스 연결된 제1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1차 경고수단 구동부는 제1제너다이오드가 항복될 때 트리거되어 1차 경고수단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칭되는 제1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2차 관전압 검출부는 램프 양단의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역바이어스 연결되되 상기 제1제너다이오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정격의 제2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2차 경고수단 구동부는 제2제너다이오드가 항복될 때 트리거되어 2차 경고수단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칭되는 제2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1차 경고수단 및 2차 경고수단에 의해 램프의 수명 말기를 단계적으로 경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6.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정류전원을 이용하여 고주파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고주파 스위칭 신호에 매치되어 램프의 구동을 위한 발진전압을 출력하는 공진출력부와, 상기 공진출력부의 출력에 의해 램프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부를 포함하는 안정기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수명 말기를 경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고수단과, 상기 램프의 양단 중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연결되어 램프의 관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으로 상승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관전압 검출부와, 상기 관전압 검출부에 연결되며 관전압 검출부에서 관전압 상승이 검출되면 상기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는 경고수단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전압 검출부는 램프의 관전압을 각기 다른 레벨로 검출하는 1차 관전압 검출부와 2차 관전압 검출부가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1차 관전압 검출부의 후단에는 상기 경고수단 구동부 및 경고수단이 연결되며, 상기 2차 관전압 검출부 후단에는 2차 관전압 검출부에 의해 관전압 상승이 검출되면 공진출력부를 정지시키는 회로차단부가 연결되되, 상기 1차 관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관전압의 전압레벨에 비해 상기 2차 관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관전압의 전압레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경고수단은 램프의 수명 말기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8. 제 7에 있어서,
    상기 1차 관전압 검출부는 램프 양단의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역바이어스 연결된 제1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수단 구동부는 제1제너다이오드가 항복될 때 트리거되어 경고수단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칭되는 제1스위칭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2차 관전압 검출부는 램프 양단의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역바이어스 연결되되 상기 제1제너다이오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정격의 제2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차단부는 제2제너다이오드가 항복될 때 트리거되어 공진출력부의 발진자에 인가되는 전류를 접지측으로 바이패스시키도록 스위칭되는 제2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경고수단에 의해 램프의 수명 말기를 시각적으로 경고하고, 이후 램프의 관전압이 더욱 상승되면 상기 회로차단부에 의해 공진출력부를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9. 상용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정류전원을 이용하여 고주파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고주파 스위칭 신호에 매치되어 램프의 구동을 위한 발진전압을 출력하는 공진출력부와, 상기 공진출력부의 출력에 의해 램프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부를 포함하는 안정기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수명 말기를 경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고수단과, 상기 램프의 양단 중 어느 일측과 접지측 사이에 연결되어 램프의 관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으로 상승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관전압 검출부와, 상기 관전압 검출부에 연결되며 관전압 검출부에서 관전압 상승이 검출되면 상기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는 경고수단 구동부를 포함하며,
    부하측 전류를 검출하고 부하측 전류값에 대응하여 공진출력부의 출력전압을 피드백 조절하는 피드백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회로부는 램프 일측에 연결된 트랜스와, 이 트랜스 2차측에 역바이어스 연결된 제너다이오드와, 이 제너다이오드가 항복될 때 턴온되어 공진출력부의 발진전압을 다운시키도록 스위칭되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KR1020060131881A 2006-12-21 2006-12-21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KR100857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881A KR100857155B1 (ko) 2006-12-21 2006-12-21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881A KR100857155B1 (ko) 2006-12-21 2006-12-21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938A KR20080057938A (ko) 2008-06-25
KR100857155B1 true KR100857155B1 (ko) 2008-09-05

Family

ID=3980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881A KR100857155B1 (ko) 2006-12-21 2006-12-21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1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198A (ko) 2009-10-26 2011-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의 사용시간 산출 방법, 이를 이용한 광원의 수명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607B1 (ko) * 1995-07-27 1998-12-15 김광호 전자식 안정기의 제어회로
KR200193174Y1 (ko) 2000-03-14 2000-08-16 엘지전자주식회사 엘씨디 백라이트용 인버터 보호장치
KR20010010746A (ko) * 1999-07-22 2001-02-15 김승곤 조명기구의 보호장치
KR20040043320A (ko) * 2002-11-18 2004-05-24 주식회사 대한트랜스 고압방전램프용 자기 차단장치
KR20050014083A (ko) * 2003-07-30 2005-02-07 주식회사 대한트랜스 고압 방전램프용 안정기의 자기 차단회로
KR20050101246A (ko) * 2004-04-16 2005-10-21 오현우 고압방전등용 안정기의 착탈식 점등장치 및 그 표시회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607B1 (ko) * 1995-07-27 1998-12-15 김광호 전자식 안정기의 제어회로
KR20010010746A (ko) * 1999-07-22 2001-02-15 김승곤 조명기구의 보호장치
KR200193174Y1 (ko) 2000-03-14 2000-08-16 엘지전자주식회사 엘씨디 백라이트용 인버터 보호장치
KR20040043320A (ko) * 2002-11-18 2004-05-24 주식회사 대한트랜스 고압방전램프용 자기 차단장치
KR20050014083A (ko) * 2003-07-30 2005-02-07 주식회사 대한트랜스 고압 방전램프용 안정기의 자기 차단회로
KR20050101246A (ko) * 2004-04-16 2005-10-21 오현우 고압방전등용 안정기의 착탈식 점등장치 및 그 표시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938A (ko)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4149C (zh) 用于气体放电灯供电和启动的电源
EP1471777B1 (en)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JP4586567B2 (ja) 照明器具
JP4543062B2 (ja) 蛍光ランプの寿命末期検出回路
WO2006046364A1 (ja) 放電灯点灯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WO2011040512A1 (ja) 蛍光灯駆動装置及び蛍光灯駆動装置の保護回路
KR100857155B1 (ko)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JP4206914B2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および無電極放電灯装置
KR101598415B1 (ko) 엘이디 램프 구동장치
JP5108405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車載用照明器具
JP2006236634A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4304493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JP4281574B2 (ja) 放電灯点灯装置並びに照明器具
JP4314715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784443B1 (ko) 조명기구 부착형 램프 교체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조명기구
JP4432537B2 (ja) 放電灯点灯装置並びに照明器具
JP3832053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2007066628A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0908437B1 (ko) 전자식 안정기의 보호회로
KR20090092994A (ko) 비상구 유도등 장치
JP5275116B2 (ja) 光源灯点灯回路ならびに光源点灯方法
JP3840724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2004119166A (ja) 放電灯点灯装置
JP2005310677A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照明システム
JP5660770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及び調光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