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607B1 - 전자식 안정기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전자식 안정기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607B1
KR0150607B1 KR1019950022585A KR19950022585A KR0150607B1 KR 0150607 B1 KR0150607 B1 KR 0150607B1 KR 1019950022585 A KR1019950022585 A KR 1019950022585A KR 19950022585 A KR19950022585 A KR 19950022585A KR 0150607 B1 KR0150607 B1 KR 0150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voltage
unit
fluorescent lamp
ball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2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477A (ko
Inventor
유한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2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607B1/ko
Publication of KR970009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1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 H05B41/2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 H05B41/23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for lamps not having an auxiliary starting electrode
    • H05B41/23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for lamps not having an auxiliary starting electrode for low-pressure lamps
    • H05B41/233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for lamps not having an auxiliary starting electrode for low-pressure lamps using resonance circuitr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광램프(LAMP)의 수명이 다하게 될 경우, 형광램프의 특성으로 필라멘트 코일에 의해서만 램프가 점등되어 고전압이 발생하여 램프(LAMP) 주위의 PTC(필라멘트 예열소자)가 파괴되는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형광램프(LAMP)의 양단의 고전압을 감지하는 트랜스포머, 이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유기된 고전압을 반파정류하는 정류다이오드, 이 정류다이오드를 통과한 전압에 의해 턴(Turn)온동작하는 제너다이오드, 이 제너다이오드의 온동작에 의해 턴온되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전압감지부와, 이 전압감지부의 하이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및 평활부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과, 이 마이컴의 출력신호에 의해 형광램프의 이상유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안정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안정기를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형광램프의 이상시 안정기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으므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Description

전자식 안정기의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안정기 제어회로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블럭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 및 평활부 20 : 스위칭부
30 : 램프부 40 : L.C 공진부
50 : 전압감지부 60 : 마이컴
TRANS : 트랜스포머 D : 정류다이오드
ZD : 제너다이오드 Q : 트랜지스터
LAMP : 형광램프
본 발명은 전자식 안정기의 제어회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를 이용하여 형광램프의 수명이 다할시 발생하는 고전압을 감지하여 안정기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안정기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안정기는 형광램프에 공급되는 방전전류를 항상 일정값으로 안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자려식 안정기와 타려식 안정기의 두가지가 있다.
상기 자려식 안정기는 자기코어에 의해 자력으로 스위칭트랜지스터가 온/오프 동작하도록 되어 있는 반면, 타려식 안정기는 발진 IC등에 의해 타력으로 상기 스위칭트랜지스터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두가지 형태의 전자식 안정기가 사용되었으며, 이 전자식 안정기의 제어회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입력 및 평활부(1)는 안정기에 공급되는 AC전원을 입력하고, 그 입력된 AC신호를 정류 및 평활하여 DC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입력 및 평활부(1)의 DC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칭부(2)는 타려식의 경우 펄스폭변조발진기(PWM IC)에 의해 발생된 하나의 고유 주파수를 보통 2개의 트랜지스터의 온/오프신호로서 인가하여 상기 트랜지스터가 교대로 온/오프 스위칭동작을 하는 반면, 자려식의 경우는 자기코어의 역기전력에 의해서 상기 2개의 트랜지스터가 번갈아 온/오프스위칭 동작을 한다.
그러므로 스위칭부(2)의 트랜지스터가 일정 주파수에 의해 스위칭된 전압, 즉 상기 스위칭부(2)의 구형파신호가 L.C공진부(4)의 콘덴서와 코일의 L.C공진에 의해 정현파로 공진되어 램프부(3)에 인가되면서 형광램프가 점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안정기 제어회로에 있어서, 사익 형광램프는 오랫동안 사용함에 따라 필라멘트에 도포된 전자방출 물질이 비산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형광램프의 수명이 다하게 되는 경우, 상기 특성으로 인하여 전자방출 물질이 모두 비산되면서 도포층이 상실되어 금속의 코일에 의해서만 상기 램프가 점등됨에 따라 상기 형광램프의 양단에 고압의 전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고압에 의해 램프(LAMP) 주위의 PTC(필라멘트 예열소자)에 악영향을 주게 되어 상기 PTC의 기능이 상실되는 결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안정기 제어회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형광램프의 양단전압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에 의해 안정기에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안정기를 보호하고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형광램프의 양단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와, 이 전압감지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안정기의 동작을 온/오프제어하는 마이컴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전압감지부의 트랜스포머(TRANS)에 의해 램프(LAMP)의 양단에 걸리는 고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마이커(60)에 하이신호를 인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 안정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고압의 전압으로부터 PTC의 손상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전자식 안정기의 제어회로를 첨부도면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블록구성도로서, 입력 및 평활부(10), 스위칭부(20), 램프부(30), L.C공진부(40)는 통상적인 구성으로 연결되고, 상기 램프부(30)의 양단에는 램프에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50)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압감지부(50)의 출력단에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및 평활부(10)에 전원전압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60)이 연결되고, 이 마이컴의 출력단에는 램프의 이상유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70)가 연결되어 있다.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안정기의 제어회로의 구체적인 회로도로서, 상기 전압감지부(50)는 램프의 양단에 발생하는 고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소형 강압트랜스포머(TRANS)와, 이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에 유기되어 상기 고전압을 반파정류하는 정류다이오드(D)와, 이 정류다이오드를 통과한 전압에 따라 턴(Turn) 온/오프 동작하는 제너다이오드(ZD)와, 이 제너다이오드의 온/오프동작에 따라 상기 마이컴(6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트랜지스터(Q)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제4도의 제어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램프(LAMP)를 점등시켜 이 램프가 정상적으로 동작될 시에는 전압 감지부(50)의 트랜스포머(TEANS)를 통해 감지된 전압이 제어다이오드(ZD)의 항복전압보다 낮아 상기 제너다이오드(ZD)는 오프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단자에 로우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가 오프된다.
이때, 마이컴(60)은 로우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안정기에 계속해서 안정적인 전원을 인가하도록 입력 및 평활부(10)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형광램프(LAMP)의 수명이 다 되어 필라멘트에 형성된 전자방출 물질이 모두 비산될 경우, 램프(LAMP)는 점등하기 어려운 상태에 놓이게 되고 이때, 램프의 양단전압은 약 500∼1000이상의 고전압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전압감지부(50)의 트랜스포머(TRANS)는 상기 고전압을 2차측으로 유기하며, 상기 고전압은 정류다이오드(D)를 거쳐 반파정류된다.
상기 반파정류된 전압이 제너다이오드(ZD)의 항복전압 이상의 전압이면, 상기 제너다이오드(ZD)는 턴(Turn)온되며,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단자에 하이신호가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가 턴온되어 마이컴(60)에 하이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이 마이컴은 고전압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즉시 안정기에 대한 입력 및 평활부(1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전원 차단후 상기 램프의 수명이 다했다는 표시로 램프 표시부(70)를 동작 시켜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형광등 램프(LAMP)의 교체시기를 알려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안정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안정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형광램프의 이상시 안정기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으므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Claims (2)

  1. 입력 및 평활부(10)와, 스위칭부(20)와, 램프부(30) 및 L.C공진부(40)로 구성되어 상기 램프부(30)의 형광램프(LAMP)에 안정적인 전류를 공급하게 된 안정기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30)에 연결되어 램프의 양단에 발생하는 고전압을 감지하는 트랜스 포머(TRANS), 이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에 유기된 고전압을 반파정류하는 정류다이오드(D), 이 정류다이오드를 통과한 정류된 고전압에 따라 턴(Turn)은 동작하는 제어다이오드(ZD) 및 이 제너다이오드의 온동작에 따라 턴온되어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를 갖춘 전압감지부(50)와 ; 이 전압감지부(50)의 하이(High) 출력신호에 의해 입력 및 평활부(10)에 전원전압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의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60)의 하이(High)의 출력신호에 의해 형광램프(LAMP)의 이상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70)를 부가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의 제어회로.
KR1019950022585A 1995-07-27 1995-07-27 전자식 안정기의 제어회로 KR0150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585A KR0150607B1 (ko) 1995-07-27 1995-07-27 전자식 안정기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585A KR0150607B1 (ko) 1995-07-27 1995-07-27 전자식 안정기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477A KR970009477A (ko) 1997-02-24
KR0150607B1 true KR0150607B1 (ko) 1998-12-15

Family

ID=1942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2585A KR0150607B1 (ko) 1995-07-27 1995-07-27 전자식 안정기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6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635B1 (ko) * 2007-01-24 2007-05-02 주식회사삼명사 안정기의 고장진단 장치
KR100784443B1 (ko) * 2006-12-21 2007-12-11 미미라이팅주식회사 조명기구 부착형 램프 교체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조명기구
KR100857155B1 (ko) * 2006-12-21 2008-09-05 루멘전광 주식회사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360B1 (ko) * 2001-10-26 2004-08-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공이 연결된 세라믹 다공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117613A (ko) * 2003-09-08 2005-12-15 삼손퍼라이트 주식회사 단열성이 우수한 다공질의 세라믹 성형체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443B1 (ko) * 2006-12-21 2007-12-11 미미라이팅주식회사 조명기구 부착형 램프 교체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조명기구
KR100857155B1 (ko) * 2006-12-21 2008-09-05 루멘전광 주식회사 램프 교체 표시기능이 구비된 안정기
KR100713635B1 (ko) * 2007-01-24 2007-05-02 주식회사삼명사 안정기의 고장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477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335156A (ja) 電源装置
KR0150607B1 (ko) 전자식 안정기의 제어회로
JP2006345624A (ja) 制御電源回路の不足・過電圧保護回路
US5872704A (en) Low voltage supply cutoff circuit for an electronic appliance
FI102347B (fi) Lampun tasasuuntauksen tunnistuspiirillä varustettu elektroninen liitä ntälaite
KR100645310B1 (ko) 스위치 오프시 일정시간 임의 조도 유지회로
KR960002708Y1 (ko)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JP2004521467A (ja) 回路装置
KR100202080B1 (ko) 저전압 보호회로
JP2953693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2606459Y2 (ja) 照明装置
KR950007516Y1 (ko) 고압용 안정기의 인버터 보호회로
JPS61165991A (ja) 調理器
JPS59146199A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224938Y1 (ko) 방전램프용 안정기 보호장치
KR0114821Y1 (ko) 스트랜지스터를 사용한 하프 브릿지형 형광등용 안정기의 보호회로
JP4775178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3190459B2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
JPS6251196A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320236B1 (ko) 고효율 전자식 안정기
JP3122146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970010611B1 (ko) 전원공급장치의 고속전원 차단회로
JP3195694B2 (ja) マグネトロン駆動制御回路
JPH0613192A (ja) 放電灯の点灯装置
JPH04324292A (ja) 放電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