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991B1 -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991B1
KR100855991B1 KR1020070030048A KR20070030048A KR100855991B1 KR 100855991 B1 KR100855991 B1 KR 100855991B1 KR 1020070030048 A KR1020070030048 A KR 1020070030048A KR 20070030048 A KR20070030048 A KR 20070030048A KR 100855991 B1 KR100855991 B1 KR 100855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pillar
layer
doped layer
memory device
nonvolatil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희
김지영
김정우
왕강롱
마시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전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전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0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991B1/ko
Priority to JP2008084147A priority patent/JP2008244486A/ja
Priority to US12/056,374 priority patent/US2009000135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2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7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8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subgroups of the same main 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4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harge-trapp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33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e.g. MN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9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e.g. MNOS-memory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9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e.g. MNOS-memory transistors
    • H01L29/7926Vertical transistors, i.e. transistors having source and drain not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3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1614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3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3214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2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1Wire or wire-like electrical connections from device to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17Bump or bump-like direct electrical connections from device to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2Bump or bump-like direct electrical connections from substrate to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41Conductive via connections through the device, e.g. vertical interconnects, through silicon via [TS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4/10, H01L24/18, H01L24/26, H01L24/34, H01L24/42, H01L24/50, H01L24/63, H01L24/7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9Potassium [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ball array, e.g. BG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고집적화가 용이하면서도 높은 신뢰성을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제 1 도핑층은 기판 상에 제공되고 제 1 도전형을 갖는다. 반도체 기둥은 상기 제 1 도핑층으로부터 상기 기판 위로 상향 신장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의 반대인 제 2 도전형을 갖는다. 제어 게이트 전극은 상기 반도체 기둥의 측벽을 한바퀴 둘러싼다. 전하 저장층은 상기 반도체 기둥 및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제 2 도핑층은 상기 반도체 기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반도체 기둥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을 갖는다.

Description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보여주는 부분 절단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II-II'선에서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III-III'선에서 절취한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를 저장하고 판독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대용량 휴대용 전자 장치, 예컨대 디지털 카메라, MP3 재생기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더욱 소형화되면서도 더불어 더욱 고용량화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소형화 및 고용량화는 이들 전자 장치 에 이용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고집적화 및 고용량화를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고집적 패턴 형성을 통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고집적화는 공정 기술의 한계로 인해 빠르게 그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통상적인 평면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들은 그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단채널 효과로 인한 성능 저하가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평면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서 그 고집적화는 신뢰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집적화가 용이하면서도 높은 신뢰성을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가 제공된다. 제 1 도핑층은 기판 상에 제공되고 제 1 도전형을 갖는다. 반도체 기둥은 상기 제 1 도핑층으로부터 상기 기판 위로 상향 신장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의 반대인 제 2 도전형을 갖는다. 제어 게이트 전극은 상기 반도체 기둥의 측벽을 한바퀴 둘러싼다. 전하 저장층은 상기 반도체 기둥 및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제 2 도핑층은 상기 반도체 기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반도체 기둥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을 갖는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핑층은 상기 반 도체 기둥의 바닥면의 중심부를 덮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 1 도핑층은 상기 반도체 기둥의 바닥면을 덮을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다른 예에 있어서, 터널링 절연층은 상기 전하 저장층 및 상기 반도체 기둥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블로킹 절연층은 상기 전하 저장층 및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가 제공된다. 제 1 도핑층은 기판 상에 제공되면, 제 1 도전형을 갖는다. 반도체 기둥은 상기 제 1 도핑층으로부터 상기 기판 위로 상향 신장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의 반대인 제 2 도전형을 갖는다. 제어 게이트 전극은 상기 반도체 기둥의 측벽을 한바퀴 둘러싼다. 전하 저장층은 상기 반도체 기둥 및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의 상면 및 바닥면을 덮는다. 그리고, 제 2 도핑층은 상기 반도체 기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반도체 기둥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을 갖는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기판 상에 제 1 도전형을 갖는 제 1 도핑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도핑층으로부터 상기 기판 위로 상향 신장되도록, 상기 제 1 도전형의 반대인 제 2 도전형을 갖는 반도체 기둥을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 기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반도체 기둥 상에, 상기 제 1 도전형을 갖는 제 2 도핑층을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 기둥의 측벽을 한바퀴 둘러싸는 전하 저장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기둥 반대편의 상기 전하 저장층 상에 제어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둥은 나노와이어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핑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반도체 기둥의 측벽을 둘러싸는 스페이서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도핑층을 형성하는 단계 후 상기 스페이서 절연막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절연막은 상기 반도체 기둥의 측벽을 열산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가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보여주는 부분 절단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II-II'선에서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III-III'선에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도핑층(115) 및 제 2 도핑층(130) 사이에 개재된 반도체 기둥(120)이 제공된다. 제 1 도핑층(115) 및 제 2 도핑층(130)은 제 1 도전형을 갖고, 반도체 기둥(120)은 제 1 도전형과 반대인 제 2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제 1 도전형 및 제 2 도전형은 n형 및 p형에서 각각 선택된 서로 다른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핑층(115) 및 제 2 도핑층은 제 1 도전형의 불순물로 고농도 도핑될 수 있고, 반도체 기둥(120)은 제 2 도전형의 불순물로 저농도 도핑될 수 있다.
제 1 도핑층(115) 및 제 2 도핑층(130)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서 소오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으로 기능할 수 있다. 소오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은 그 기능에 따라서 서로 바꾸어 불리거나 혼용될 수도 있다. 반도체 기둥(120)은 채널 영역(미도시)을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기둥(120)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온-오프(On-Off) 동작에 따라서 제 1 도핑층(115) 및 제 2 도핑층(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개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핑층(115)은 기판(105)의 일부분에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고농도 도핑하여 한정될 수 있다. 기판(105)은 반도체 물질로 구성되고, 단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도핑층(115)은 기판(105) 상에 에피택셜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도핑층(115)은 기판(105)의 격자에 맞추어 형성되고, 따라서 기판(105)과 같은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 도핑층(115)의 측벽은 소자분리막(110)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자분리막은 산화막, 질화막 또는 저유전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저유전율막은 산화막보다 그 유전 상수가 낮은 절연막을 지칭할 수 있다.
반도체 기둥(120)은 제 1 도핑층(115)으로부터 기판(105) 위로 상향 신장될 수 있다. 반도체 기둥(120)은 반도체 물질이 기둥 모양으로 배치된 것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물질은 실리콘, 실리콘게르마늄 또는 게르마늄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기둥(120)은 수직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반도체 기둥(120)은 기판(105) 상으로 비스듬하게 상향 신장될 수도 있다.
반도체 기둥(120)은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도체 물질의 나노와이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나노와이어란, 나노미터 스케일의 직경을 갖는 선 모양을 지칭할 수 있다. 나노와이어는 나노테크 분야에서 통칭적으로 사용되며, 그 단면은 원기둥 외에 다각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에서 반도체 기둥(120)은 편의를 위해 원기둥의 절반만이 도시되었으나, 도 3은 원래의 원형 단면을 도시하였다. 나아가, 반도체 기둥(120)의 직경 또는 폭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반도체 기둥(120)은 기판(105) 위로 갈수록 직경 또는 폭이 커지는 방사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반도체 기둥(120)은 제 1 도핑층(115) 상에 에피택셜층으로 제공되고, 바닥면(1201), 측벽(1202) 및 상면(120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핑층(115)은 반도체 기둥(120)의 바닥면(1201)의 적어도 중심 부근을 덮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도핑층(115)은 반도체 기둥(120)의 바닥면(1201)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제 2 도핑층(130)은 반도체 기둥(120) 상에 에피택셜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도핑층(130), 반도체 기둥(120) 및 제 1 도핑층(115)은 동일한 결 정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컨대 단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2 도핑층(130)은 반도체 기둥(120)의 상면(1203)을 덮을 수 있다.
제 2 도핑층(130)은 반도체 기둥(120) 및 제 1 도핑층(115)보다 큰 직경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폭은 기판(105)과 나란한 방향의 길이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도핑층(130)은 반도체 기둥(120)의 상면(1203)으로부터 위로 갈수록 그 반경 또는 폭이 큰 방사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어 게이트 전극(150a)은 반도체 기둥(120)의 측벽(1202)을 적어도 한바퀴 둘러쌀 수 있다. 제어 게이트 전극(150a)은 기판(105) 상에 상향 배치될 수 있고, 바닥면(1501) 및 상면(15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게이트 전극(150a)은 워드 라인의 일부로 이용될 수 있다.
전하 저장층(140a)은 제어 게이트 전극(150a) 및 반도체 기둥(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터널링 절연층(135a)은 반도체 기둥(120) 및 전하 저장층(140a)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블로킹 절연층(145a)은 전하 저장층(140a) 및 제어 게이트 전극(150a)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링 절연층(135a), 전하 저장층(140a) 및/또는 블로킹 절연층(145a)은 반도체 기둥(120)의 측벽(1202)을 둘러쌀 수 있다. 나아가, 터널링 절연층(135a), 전하 저장층(140a) 및/또는 블로킹 절연층(145a)은 제어 게이트 전극(150a)의 바닥면(1501) 및 상면(1503)을 덮도록 더 신장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따라서 터널링 절연층(135a), 전하 저장층(140a) 및 블로킹 절연층(145a)의 적층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리 절연층(135a) 및 블로킹 절연층(145a)은 산화막, 질화막 또는 고유전율막을 포함할 수 있다. 고유전율막은 산화막 및 질화막보다 유전 상수가 큰 절연막을 지칭할 수 있다. 전하 저장층(140a)은 전하 트랩이 가능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하 저장층(140a)은 질화막, 도트(dots) 구조 및 나노크리스탈(nanocrystals)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트 구조 및 나노크리스탈 구조는 도전층, 예컨대 금속 또는 실리콘의 미세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 라인 전극(160)은 콘택 플러그(155)를 이용하여 제 2 도핑층(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택 플러그(155)는 제 2 도핑층(130) 상에 배치되고, 비트 라인 전극(160)은 콘택 플러그(15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데이터 저장 매체에 이용될 수 있다. 데이터 프로그램은 터널링 또는 채널 열전자 주입(channel hot electron injection; CHEI)을 이용하여 전하 저장층(140a)에 전하를 저장시켜 수행할 수 있다. 소거 동작은 터널링을 이용하여 전하 저장층(140a)의 전하를 제거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전하의 도전 통로인 채널은 반도체 기둥(120)을 따라서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기둥(1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채널 길이를 용이하게 늘릴 수 있다. 그 결과, 소위 단채널 효과가 억제될 수 있다. 하지만, 반도체 기둥(120)의 바닥면(1201)의 직경 또는 폭을 줄임으로써, 기판(105) 상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집적도를 높이면서도 단채널 효과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집적도가 높아지면 단채널 효과가 심각해지는 통상적인 평면형 구조와 비교될 수 있다.
나아가, 반도체 기둥(1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이를 둘러싸고 있는 전하 저장층(140a)의 면적을 늘릴 수 있다. 전하 저장층(140a)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서, 저장할 수 있는 전하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프로그램 및 리텐션 특성이 개선되고, 이에 따라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동작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나아가, 전하 저장층(140a)을 국부적으로 나누어 데이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멀티비트 동작의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판(105) 상에 제 1 도전형을 갖는 제 1 도핑층(115)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기판(105)에 얕은 트렌치 구조의 소자분리막(110)을 형성하여 제 1 도핑층(115)을 한정한다. 소자분리막(110)의 형성 전 또는 그 후에, 제 1 도핑층(115)은 고농도의 제 1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도핑층(115)은 에피택셜 증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5) 상에 소자분리막(110)을 형성하고, 이어서 소자분리막(110)으로부터 노출된 기판(105) 표면으로부터 제 1 도핑층(115)을 성장할 수 있다. 제 1 도핑층(115)은 성장 동안 또는 성장 후에 고농도의 제 1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도핑층(115)으로부터 기판(105) 위로 상향 신장되고 제 2 도전형을 갖는 반도체 기둥(12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기 둥(120)은 제 1 도핑층(115) 상에 에피택셜 증착법을 이용하여 성장할 수 있다. 반도체 기둥(120)은 성장과 동시에 또는 그 성장 후에 저농도의 제 2 도전형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에피택셜 증착법을 이용하면, 반도체 기둥(120)은 소자분리막(110)으로부터는 성장하지 않고, 제 1 도핑층(115)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성장될 수 있다. 다만, 에피택셜 증착법에 의한 경우에도 측면 방향으로의 성장은 가능하기 때문에, 반도체 기둥(120)은 위로 갈수록 폭 또는 직경이 큰 방사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증착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반도체 기둥(120)이 모양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기둥(120)은 분자빔 에피택시(molecular beam epitaxy; MBE)법 또는 고진공 화학기상증착(UHVCVD)법을 이용하여 반도체 물질의 나노와이어 구조로 성장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둥(120)의 측벽(1202) 상에 스페이서 절연막(125)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 절연막(125)은 반도체 기둥(120)의 측벽(1202)을 열산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페이서 절연막(125)은 반도체 기둥(120)의 측벽(1202) 상에 산화막 또는 질화막을 형성한 후 이를 이방성 식각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둥(120) 상에 제 1 도전형을 갖는 제 2 도핑층(130)을 형성할 수 있다. 반도체 기둥(120)의 상면(1203)은 제 2 도핑층(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도핑층(130)은 에피택셜 증착법을 이 용하여 반도체 기둥(120)으로부터 성장될 수 있다. 스페이서 절연막(125)은 반도체 기둥(120)의 측벽(1202)에 반도체 기둥(120) 성장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반도체 기둥(120)은 성장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고농도의 제 1 도전형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제 2 도핑층(130)은 반도체 기둥(120)의 상면(1203)을 덮을 수 있다. 제 2 도핑층(130)은 반도체 기둥(120)의 상면(1203)으로부터 위로 갈수록 그 폭 또는 직경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도핑층(130)의 폭 또는 직경은 반도체 기둥(120) 및 제 1 도핑층(115)의 폭 또는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2 도핑층(130) 및 반도체 기둥(120)을 둘러싸도록 제 1 물질층(135), 제 2 물질층(140), 제 3 물질층(145) 및 제 4 물질층(150)을 순차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물질층(135) 및 제 3 물질층(145)은 절연층, 예컨대 산화막, 질화막 또는 고유전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물질층(140)은 전하 트랩이 가능한 질화막, 도트 구조 또는 나노크리스탈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제 4 물질층(150)은 도전층, 예컨대 폴리실리콘, 금속, 또는 금속 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 4 물질층(150)은 반도체 기둥(120) 주변 전체를 덮도록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 4 물질층(150)은 반도체 기둥(120)을 둘러싸도록 적절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2 도핑층(130) 위의 제 1 물질층(135), 제 2 물질층(140), 제 3 물질층(145) 및 제 4 물질층(150)을 제거하여, 터널링 절연 층(135a), 전하 저장층(140a), 블로킹 절연층(145a) 및 제어 게이트 전극(150a)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도핑층(130)이 노출될 때가지 제 1 물질층(135), 제 2 물질층(140), 제 3 물질층(145) 및 제 4 물질층(150)을 평탄화할 수 있다. 평탄화는 화학적기계적평탄화(CMP)법 또는 에치백(etch-back)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터널링 절연층(135a), 전하 저장층(140a), 블로킹 절연층(145a) 및 제어 게이트 전극(150a)을 패터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널링 절연층(135a), 전하 저장층(140a), 블로킹 절연층(145a) 및 제어 게이트 전극(150a)은 반도체 기둥(120)을 둘러싸고, 제 2 도핑층(130) 아래로 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터널링 절연층(135a), 전하 저장층(140a), 블로킹 절연층(145a) 및 제어 게이트 전극(150a)은 제 2 도핑층(130)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식각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널링 절연층(135a), 전하 저장층(140a), 블로킹 절연층(145a) 및 제어 게이트 전극(150a)은 반도체 기둥(120)을 둘러싸는 쉘(shell)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어서, 제 2 도핑층(130) 상에 콘택 플러그(155)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콘택 플러그(155) 상에 비트 라인 전극(160)을 형성할 수 있다. 콘택 플러그(155) 및 비트 라인 전극(160)은 도전층, 예컨대 폴리실리콘, 금속 또는 금속 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바에 따라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완성할 수 있다.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등 여러 가지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둥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채널 길이를 용이하게 늘릴 수 있다. 나아가, 반도체 기둥의 직경 또는 폭을 줄임으로써, 기판 상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집적도를 높이면서도 단채널 효과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둥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이를 둘러싸고 있는 전하 저장층의 면적을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프로그램 및 리텐션 특성이 개선되고, 이에 따라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동작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나아가, 전하 저장층을 국부적으로 나누어 데이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멀티비트 동작의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Claims (25)

  1. 기판 상의, 제 1 도전형을 갖는 제 1 도핑층;
    상기 제 1 도핑층으로부터 상기 기판 위로 상향 신장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의 반대인 제 2 도전형을 갖는 반도체 기둥;
    상기 반도체 기둥의 측벽을 한바퀴 둘러싸는 제어 게이트 전극;
    상기 반도체 기둥 및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된 전하 저장층; 및
    상기 반도체 기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반도체 기둥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을 갖는 제 2 도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핑층은 상기 반도체 기둥의 바닥면의 중심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핑층은 상기 반도체 기둥의 바닥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핑층의 측벽을 둘러싸도록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소자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핑층은 상기 기판의 일부분에 상기 제 1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이 도핑되어 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핑층은 상기 기판 상의 에피택셜층으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핑층의 폭은 상기 제 1 도핑층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저장층은 상기 반도체 기둥을 둘러싸고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의 상면 및 바닥면을 덮도록 신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저장층 및 상기 반도체 기둥 사이의 터널링 절연층 및 상기 전하 저장층 및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 사이의 블로킹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링 절연층 및 상기 블로킹 절연층은 상기 반도체 기둥을 둘러싸고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의 상면 및 바닥면을 덮도록 신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둥은 나노와이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핑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비트 라인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3. 기판 상의, 제 1 도전형을 갖는 제 1 도핑층;
    상기 제 1 도핑층으로부터 상기 기판 위로 상향 신장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의 반대인 제 2 도전형을 갖는 반도체 기둥;
    상기 반도체 기둥의 측벽을 한바퀴 둘러싸는 제어 게이트 전극;
    상기 반도체 기둥 및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의 상면 및 바닥면을 덮는 전하 저장층; 및
    상기 반도체 기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반도체 기둥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을 갖는 제 2 도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핑층은 상기 반도체 기둥의 바닥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5. 기판 상에 제 1 도전형을 갖는 제 1 도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도핑층으로부터 상기 기판 위로 상향 신장되도록, 상기 제 1 도전형의 반대인 제 2 도전형을 갖는 반도체 기둥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반도체 기둥 상에, 상기 제 1 도전형을 갖는 제 2 도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둥의 측벽을 한바퀴 둘러싸는 전하 저장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둥 반대편의 상기 전하 저장층 상에 제어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핑층은 상기 기판의 일부분에 상기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을 도핑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핑층은 상기 기판 상에 에피택셜 증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핑층은 상기 기판 상의 소자분리막 사이에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둥은 나노와이어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둥은 상기 제 1 도핑층 상에 에피택셜 증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핑층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반도체 기둥의 측벽을 둘러싸는 스페이서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도핑층을 형성하는 단계 후 상기 스페이서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절연막은 상기 반도체 기둥의 측벽을 열산화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저장층은 상기 제 2 도핑층 및 상기 반도체 기둥을 덮도록 형성한 후, 평탄화 및 이방성 식각을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둥을 둘러싸고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의 상면 및 바닥면을 덮도록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핑층을 형성하는 단계 후,
    상기 반도체 기둥 및 상기 전하 저장층 사이에 개재된 터널링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하 저장층 및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된 블로킹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링 절연층 및 상기 블로킹 절연층은 상기 제 2 도핑층 및 상기 반도체 기둥을 덮도록 각각 형성한 후, 평탄화 및 이방성 식각을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둥을 둘러싸고 상기 제어 게이트 전극의 상면 및 바닥면을 덮도록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70030048A 2007-03-27 2007-03-27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55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048A KR100855991B1 (ko) 2007-03-27 2007-03-27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8084147A JP2008244486A (ja) 2007-03-27 2008-03-27 不揮発性メモリ素子、そ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チップ
US12/056,374 US20090001352A1 (en) 2007-03-27 2008-03-27 Non-Volatile Memor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Pac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048A KR100855991B1 (ko) 2007-03-27 2007-03-27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991B1 true KR100855991B1 (ko) 2008-09-02

Family

ID=3991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048A KR100855991B1 (ko) 2007-03-27 2007-03-27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001352A1 (ko)
JP (1) JP2008244486A (ko)
KR (1) KR100855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010B1 (ko) 2011-02-28 2012-06-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9568B2 (en) 2007-05-25 2016-03-29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SONOS ONO stack scaling
US9431549B2 (en) * 2007-12-12 2016-08-30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Nonvolatile charge trap memory device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blocking region
US8232544B2 (en) * 2008-04-04 2012-07-31 Nokia Corporation Nanowire
KR20100001747A (ko) * 2008-06-27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전 구조물, 이의 형성 방법, 수직 필러 트랜지스터 및이의 제조 방법.
JP2010050127A (ja) * 2008-08-19 2010-03-04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23600A (ja) * 2008-11-17 2010-06-03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5421632B2 (ja) * 2009-03-27 2014-02-19 伊藤忠商事株式会社 電池パック
TWI549227B (zh) * 2015-05-20 2016-09-11 旺宏電子股份有限公司 記憶元件及其製造方法
CN112151595B (zh) * 2019-06-28 2024-01-26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262A (ko) * 2002-11-29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자기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43688A (ko) * 2004-03-17 2006-05-15 후지오 마수오카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53221A (ko) * 2004-10-12 2006-05-19 실리콘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인크 제 2 부분보다 더 깊은 제 1 부분을 가진 트렌치 내비휘발성 메모리 셀, 이 메모리 셀들의 어레이,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3587B2 (en) * 2002-06-21 2005-02-08 Micron Technology, Inc. Vertical NROM having a storage density of 1 bit per 1F2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262A (ko) * 2002-11-29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자기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43688A (ko) * 2004-03-17 2006-05-15 후지오 마수오카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53221A (ko) * 2004-10-12 2006-05-19 실리콘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인크 제 2 부분보다 더 깊은 제 1 부분을 가진 트렌치 내비휘발성 메모리 셀, 이 메모리 셀들의 어레이, 및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010B1 (ko) 2011-02-28 2012-06-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01352A1 (en) 2009-01-01
JP2008244486A (ja)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5991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0658375B2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866966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US9941299B1 (en) Three-dimensional ferroelectric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9659946B2 (en) Self-aligned source for split-gate non-volatile memory cell
KR100604870B1 (ko) 접합 영역의 어브럽트니스를 개선시킬 수 있는 전계 효과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640999B1 (ko) 자기 정렬된 스플릿 게이트 플래시 메모리
US8008706B2 (en) Non-volatile memory cell and non-volatile memory cell array with minimized influence from neighboring cells
JP5806439B2 (ja) メモリ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70062471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WI726125B (zh) 半導體裝置及其製造方法
JP2007511090A (ja) 3つの電気絶縁電極を有するトランジスタ及びトランジスタの形成方法
US20070047304A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58937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related fabrication method
KR20070058906A (ko) 수직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8497545B2 (en) Method of form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floating gate and related device
US7585755B2 (en) Method of fabricat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KR100807221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604535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319107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87918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554518B1 (ko) 수직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제조 방법.
US919649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23262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JP5681761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