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757B1 - 잔디 채취기용 커터와 그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잔디 채취기용 커터와 그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757B1
KR100855757B1 KR1020060125865A KR20060125865A KR100855757B1 KR 100855757 B1 KR100855757 B1 KR 100855757B1 KR 1020060125865 A KR1020060125865 A KR 1020060125865A KR 20060125865 A KR20060125865 A KR 20060125865A KR 100855757 B1 KR100855757 B1 KR 100855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coupling
blade portion
lower blade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3840A (ko
Inventor
나종권
Original Assignee
나종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종권 filed Critical 나종권
Priority to KR1020060125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757B1/ko
Publication of KR2008005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13Cutting apparatus
    • A01D34/17Holding-down devices for the knif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02Carriers for the transport of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06Carriers for the transport of harvesters or mowers for lawn-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1/00Lawn-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디 채취기용 커터와 그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커터는 칼날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된 하부 칼날부분과, 하부 칼날 부분의 양단에서 하부 칼날부분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하부 칼날부분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하부 칼날부분의 칼날이 형성된 선단 보다 더 전방으로 연장되어 종단에 상하방향을 따라 칼날이 형성된 측면 칼날부분과, 측면 칼날부분의 종단 맞은편에서 더 연장되어 잔디 채취기의 가동 프레임에 형성된 착탈장치에 착탈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는 가장자리라인을 따라 상호 이격되되 외측 방향으로 열린 복수개의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홈 형성 위치의 사이에서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홈에 대해 삼각점을 이루는 위치상에 관통되게 형성된 서브 결합홀을 갖는다. 이러한 커터가 회전이 억제되는 방향으로 3점 지지되면서도 하나의 볼트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상의 편리함이 향상되고, 커터의 나사풀림도 억제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잔디 채취기용 커터와 그 착탈장치{blade of sod cutter and attatchment apparatus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디 채취기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터 착탈장치로부터 커터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커터 착탈장치와 커터와의 결합상태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발췌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커터가 제1 및 제2 지지구에 지지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커터와 착탈플레이트부분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간격유지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간격유지구가 커터와 착탈 플레이트 부분 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커터 착탈장치에 커터를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발췌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본체 115: 엔진
125: 가동프레임 132: 착탈플레이트부분
135: 메인 결합홀 141: 제1지지바
142: 제2지지바 143: 보조지지바
150: 커터 157: 결합부
158: 제1결합가이드홈 159: 제2결합가이드홈
160: 서브 결합홀
본 발명은 잔디 채취기용 커터와 그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커터의 착탈이 용이한 잔디 채취기용 커터와 그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잔디는 주로 조경의 목적으로 이용되며 주택, 공원, 경기장, 골프장 등 그 이용범위가 다양하다.
이러한 잔디는 대량으로 재배된 후 이식 또는 증식의 목적으로 통상 '떼'라고 불리는 형태로 분할되어 유통된다.
여기서 떼는 잔디의 뿌리와 함께 토양으로부터 일정크기로 떠어낸 것을 말한다.
이러한 떼를 뜨는 기계인 잔디 채취기는 잔디가 재배된 토양에 일정깊이 커터를 삽입상태로 이송하면서 떼를 뜰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12803호에는 칼날이 교체가능한 잔디 채취기용 커 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커터는 잔디 채취기의 가동 프레임에 3개의 나사를 이용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커터의 착탈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커터는 떼를 뜨는 과정에서 토사에 섞여 있는 자갈 등에 의해 칼날의 마모가 빠르게 진행됨으로써 칼날의 교체 주기가 매우 짧기 때문에 작업중에도 커터를 자주 교체해 주지 않으면 떼가 불규칙하게 절단됨으로써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커터의 착탈이 보다 용이한 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종래의 커터는 가동프레임과 밀접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서만 지지되게 결합되기 때문에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홀과 볼트와의 유격에 의해 커터의 왕복운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볼트의 풀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커터의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커터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잔디 채취기용 커터와 그 착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잔디 채취기용 커터는 칼날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된 하부 칼날부분과, 상기 하부 칼날 부분의 양단에서 상기 하부 칼날부분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칼날부분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 칼날부분의 상기 칼날이 형성된 선단 보다 더 전방으로 연장되어 종단에 상하방향을 따라 칼날이 형성된 측면 칼날부분과, 상기 측면 칼날부분의 상기 종단 맞은편에서 더 연장되어 잔디 채취기의 가동 프레 임에 형성된 착탈장치에 착탈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된 잔디 채취기용 커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가장자리라인을 따라 상호 이격되되 외측 방향으로 열린 복수개의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홈 형성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홈에 대해 삼각점을 이루는 위치상에 관통되게 형성된 서브 결합홀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 홈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착탈플레이트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봉형 형태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바에 대해 일정깊이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되되 진입상태에서 상기 하부 칼날부분의 진행방향 맞은편에서 외력이 인가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에 지지되어 후퇴 및 회전이 억제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브 결합홀을 중심으로 상방에 위치한 제1결합가이드홈은 상기 제1지지바의 전방부분이 일정부분 열리고 상기 제1지지바의 후방부분을 일정부분 감싸게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브 결합홀을 중심으로 후방에 위치한 제2결합가이드홈은 상기 제2지지바의 상방부분이 일정부분 여리고 상기 제2지지바의 전방 및 하방부분을 일정부분 감싸게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잔디 채취기의 커터 착탈장치는 왕복운동하는 잔디채취기의 가동프레임에 커터를 착탈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프레임 상에 형성된 잔디 채취기의 커터 착탈장치에 있어서, 가장자리라인을 따라 상호 이격되되 외측 방향으로 열린 복수개의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홈 형성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홈에 대해 삼각점을 이루는 위치상에 관통되게 형성된 서브 결합홀을 갖는 커터를 착탈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프레임의 착탈플레이트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결합가이드홈이 일정깊이 진입될 수 있게 상호 이격되게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바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 형성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에 대해 삼각점을 이루며 상기 서브 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상에 상기 착탈플레이트부분을 관통되게 형성된 메인 결합홀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2 지지바를 잇는 선상에 대해 상기 메인 결합홀 맞은 편에 돌출되게 형성된 보조 지지바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와 상기 보조 지지바의 상단을 상호 일체로 결합하되 상기 메인 결합홀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형성된 마감플레이트;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커터의 서브결합홀과 상기 메인결합홀을 통해 삽입된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각형 너트가 일정깊이 삽입되어 회전이 억제될 수 있게 상기 착탈플레이트의 배면에 상기 메인결합홀과 연통되게 형성된 너트삽입홀;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탈플레이트와 상기 커터의 결합부 사이에 삽입할 수 간격 유지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간격유지구는 상기 커터의 결합부에 형성된 상기 서브결합홀과 상기 제1 및 제2결합가이드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잔디 채취기 및 이에 적용되는 커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디 채취기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터 착탈장치로부터 커터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커터 착탈장치와 커터와의 결합상태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발췌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잔디 채취기(100)는 커터 착탈장치(130)와 커터(150)를 구비한다.
잔디채취기(100)의 본체(110)는 엔진(115)과, 엔진(115)에서 발생된 동력을 변환하여 가동 프레임(125)을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가동 프레임(125)은 일단이 힌지(123)에 의해 본체에 결합되어 있고, 하단에는 본체(110)의 엔진(115)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크랭크축에 편심되게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크랭크 아암(122)에 결합되어 크랭크 아암의 편심운동에 대응되게 힌지(123)를 중심으로 진퇴된다. 참조부호 126은 크랭크 아암(122)과 힌지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이다.
커터 착탈장치(130)는 가동프레임(125)에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착탈플레이트 부분(132)에 커터(150)를 착탈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커터 착탈장치(140)는 착탈플레이트부분(132), 제1 및 제2 지지바(141)(142), 보조 지지바(143) 마감플레이트(145) 및 배면 플레이트(147)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지지바(141)(142)는 커터(150)의 결합부(157)가 밀착되는 착탈플레이트 부분(132)에 대해 외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봉형 형태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지지바(141)(142)의 돌출길이는 다양한 치수의 커터(150)를 장착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착탈플레이트부분(132)에는 제1 및 제2 지지바(141)(142) 형성 위치를 잇는 선의 전방에서 제1 및 제2 지지바(141)(142)에 대해 삼각점을 이루는 위치상에 관통되게 메인 결합홀(135)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결합홀(135)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 및 제2 지지바(141)(142)와 메인 결합홀(135)의 형성 위치를 상호 연결하면 삼각형이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지지바(141)(142)와 메인 결합홀(135)과의 사이각은 90도 이상 180 미만의 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보조 지지바(143)는 제 1 및 제2 지지바(141)(142)를 잇는 선상에 대해 메인 결합홀(135) 맞은 편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보조 지지바(143)는 커터(150)로부터 제1 및 제2 지지바(141)(142)를 통해 인가되는 충격력을 마감플레이트(145)를 통해 분산할 수 있도록 적용된 것이다.
마감 플레이트(145)는 제1 및 제2 지지바(141)(142)와 보조 지지바(143)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마감 플레이트(145)는 도시된 측면위치에서 보았을 때 메인 결합홀(135)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마감 플레이트(145)는 메인 관통홀(135)을 통해 볼트(162)를 진입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상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동시에 지지바(141)(142)(143)의 외부로부터의 보호 및 커터(150)에 대한 안전기능을 한다.
배면 플레이트(147)는 착탈플레이트부분(132)에 대해 마감 플레이트(145) 맞은편에서 착탈플레이트부분(132)과 일체로 접합되어 있고, 메인 관통홀(135)에 대응되는 위치에 메인 관통홀(135)과 연통되게 각형 너트(164)를 구속되게 삽입할 수 있는
너트 삽입홀(148)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배면 플레이트(147)는 생략되고 착탈플레이트부분(132)에 메인관통홀(135) 및 너트삽입홀(147)을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볼트(162)와 너트(164)는 외력에 의한 나사선 마모시 교체가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커터(150)는 하부 칼날부분(152), 측면 칼날부분(154) 및 결합부(157)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부 칼날부분(152)은 잔디채취기(100)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되며 선단에 칼날(153)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 칼날부분(154)은 하부 칼날 부분(152)의 양단에서 각각 하부 칼날부분(152) 상방으로 연장되되 하부 칼날부분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하부 칼날부분(152)의 선단 보다 전방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종단에 상하 방향을 따라 칼날(155)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 칼날부분(154)의 종단에 형성되는 칼날(155)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 다.
결합부(157)는 측면 칼날부분(154)의 종단 맞은편에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착탈 플레이트부분(132)과 밀착될 수 있게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57)에는 가장자리라인을 따라 상호 이격되되 외측 방향으로 열린 복수개의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 홈(158)(15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157)에는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홈(158)(159) 형성위치의 사이에서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홈(158)(159)에 대해 하방에서 삼각점을 이루는 위치상에 관통되게 형성된 서브 결합홀(160)을 갖는다.
여기서, 제1 및 제2 지지바(141)(142)와 메인 관통홀(135)의 각 중심위치는 제1결합 가이드홈(158)과, 제2결합가이드홈(159) 및 서브 관통홀(160)의 중심위치와 일치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1결합가이드홈(158)과 제2결합가이드홈(159)은 제1 및 제2 지지바(141)(142)에 진입시킨 상태에서 하부 칼날부분(152)의 진행방향 맞은편에서 외력이 인가될 때 제1 및 제2 지지바(141)(142)에 지지되어 후퇴 및 회전이 억제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결합홀(160)을 중심으로 상방에 위치한 제1결합가이드홈(158)은 제1지지바(141)의 전방부분이 일정부분 열리고, 제1지지바(141)의 하방 및 후방부분을 일정부분 감싸게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서브 결합홀(160)을 중심으로 후방에 위치한 제2결합가이드홈(159)은 제2지지바(142)의 상방부분이 일정부분 열리고 제2지지바(142)의 하방 및 전방부분 을 일정부분 감싸게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결합가이드홈(158)(159)과 제1 및 제2지지바(141)(142)의 밀착결합상태에서는 커터(150)에 대해 후방으로 외력이 인가시 커터(150)와 지지구(141)(142)와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커터(150)의 왕복운동시 볼트(162)의 풀림현상이 억제된다.
즉, 작업시 하부 칼날부분(152)의 진행방향 맞은편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될 때 서브 결합홀(160)을 중심으로 회전토크가 발생되는되 이때 제1 및 제2 지지바(141)(142)가 토크인가방향에 대해 회전이 억제되게 일정부분 감싸고 있는 제1 및 제2결합가이드홈(158)(159)에 의해 후퇴 및 회전이 억제된다.
또한, 제1결합가이드홈(141)과 제2결합가이드홈(142) 사이를 연결하는 가장자리라인은 제1 및 제2지지바(141)(142)에 제1결합가이드홈(141) 및 제2결합가이드홈(142)이 진입되게 결합 및 결합상태에서 분리시 제1 및 제2 지지바(141)(142)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호형궤적으로 적절하게 형성하면 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1결합가이드홈(158)과 제2결합가이드홈(159)은 반원형 형태로 형성된 것이 적용되었고, 도시된 예와 다른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 경우 지지바(141)(142)도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 된다.
한편, 적용되는 커터(150)의 길이 즉, 하부 칼날부분(152)의 길이는 상호 다르게 제작된게 적용될 수 있고, 커터(150)의 길이가 착탈 플레이트부분(132)의 이격 폭 보다 큰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간격 유지구(200)를 결합부(157)와 착탈플레이트부분(132)에 삽입하여 사용하면 되고 그 장착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간격 유지구(200)는 앞서 설명된 결합부(15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간격 유지구(200)는 서브 결합홀(160)에 대응되는 크기의 관통홀(210)과 관통홀(210)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결합가이드홈(158)(159)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 및 제2 보조 결합 가이드홈(218)(219)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커터(150)의 착탈장치(130)와의 결합 및 분리 과정을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150)의 제1결합가이드홈(158)이 제1지지바(141)에 밀착 진입되게 하부에서 삽입한 다음 제2지지바(142)에 제2결합가이드홈(159)이 삽입되게 회전시킨다.
이후, 동심상으로 배치된 서브 결합홀(160)로부터 메인 결합홀(135)을 통해 볼트(162)를 삽입하고 배면 플레이트(147)의 너트 삽입홀(148)에 삽입된 너트(164)를 통해 볼트(162)로 고정하면 된다.
한편, 볼트(162)와 결합부(157) 사이에는 풀림방지용 스프링 와셔가 더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커터(150)의 길이가 착탈플레이트부분(132)의 폭보다 큰 경우 간격 유지구(200)를 커터(150)와 착탈플레이트부분(132) 사이에 삽입하여 앞서 설명된 방법으로 조립하면 된다.
또한, 커터(150)를 분리시에는 볼트(162)를 너트(164)로부터 풀어 빼낸 다음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홈(158)(159)이 제1 및 제2 지지바(141)(142)로부터 분리되 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디 채취기용 커터와 그 착탈장치에 의하면, 커터가 회전이 억제되는 방향으로 3점 지지되면서도 하나의 볼트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상의 편리함이 향상되고, 커터의 나사풀림도 억제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5)

  1. 칼날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된 하부 칼날부분과, 상기 하부 칼날 부분의 양단에서 상기 하부 칼날부분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칼날부분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 칼날부분의 상기 칼날이 형성된 선단 보다 더 전방으로 연장되어 종단에 상하방향을 따라 칼날이 형성된 측면 칼날부분과, 상기 측면 칼날부분의 상기 종단 맞은편에서 더 연장되어 잔디 채취기의 가동 프레임에 형성된 착탈장치에 착탈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된 잔디 채취기용 커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가장자리라인을 따라 상호 이격되되 외측 방향으로 열린 복수개의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홈 형성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홈에 대해 삼각점을 이루는 위치상에 관통되게 형성된 서브 결합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채취기용 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 홈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착탈플레이트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봉형 형태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바에 대해 일정깊이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되되 진입상태에서 상기 하부 칼날부분의 진행방향 맞은편에서 외력이 인가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에 지지되어 후퇴 및 회전이 억제될 수 있게 상기 서브 결합홀을 중심으로 상방에 위치한 상기 제1결합가이드홈은 상기 제1지지바의 전방부분이 일정부분 열리고 상기 제1지지바의 후방부분을 일정부분 감싸게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브 결합홀을 중심으로 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2결합가이드홈은 상기 제2지지바의 상방부분이 일정부분 열리고 상기 제2지지바의 전방 및 하방부분을 일정부분 감싸게 지지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채취기용 커터.
  3. 왕복운동하는 잔디채취기의 가동프레임에 커터를 착탈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프레임 상에 형성된 잔디 채취기의 커터 착탈장치에 있어서,
    가장자리라인을 따라 상호 이격되되 외측 방향으로 열린 복수개의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홈 형성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가이드홈에 대해 삼각점을 이루는 위치상에 관통되게 형성된 서브 결합홀을 갖는 커터를 착탈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프레임의 착탈플레이트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결합가이드홈이 일정깊이 진입될 수 있게 상호 이격되게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바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 형성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에 대해 삼각점을 이루며 상기 서브 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상에 상기 착탈플레이트부분을 관통되게 형성된 메인 결합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채취기의 커터 착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2 지지바를 잇는 선상에 대해 상기 메인 결합홀 맞은 편에 돌출되게 형성된 보조 지지바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와 상기 보조 지지바의 상단을 상호 일체로 결합하되 상기 메인 결합홀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형성된 마감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채취기의 커터 착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의 서브결합홀과 상기 메인결합홀을 통해 삽입된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각형 너트가 일정깊이 삽입되어 회전이 억제될 수 있게 상기 착탈플레이트의 배면에 상기 메인결합홀과 연통되게 형성된 너트삽입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채취기용 커터 착탈장치.
KR1020060125865A 2006-12-11 2006-12-11 잔디 채취기용 커터와 그 착탈장치 KR100855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865A KR100855757B1 (ko) 2006-12-11 2006-12-11 잔디 채취기용 커터와 그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865A KR100855757B1 (ko) 2006-12-11 2006-12-11 잔디 채취기용 커터와 그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840A KR20080053840A (ko) 2008-06-16
KR100855757B1 true KR100855757B1 (ko) 2008-09-03

Family

ID=39801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865A KR100855757B1 (ko) 2006-12-11 2006-12-11 잔디 채취기용 커터와 그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7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023Y1 (ko) * 2010-05-07 2010-11-18 정민수 잔디 채취장치
KR200474624Y1 (ko) 2013-01-24 2014-10-02 정종천 승차식 제초기의 커팅장치
KR101880853B1 (ko) * 2017-06-14 2018-07-20 이동기 잔디 뜨는 채취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701U (ko) * 1989-06-19 1991-01-31
JPH0337805U (ko) * 1989-08-21 1991-04-12
JP2001061303A (ja) 1999-08-26 2001-03-13 Seirei Ind Co Ltd 農作業機のリアヒッチ
KR200312803Y1 (ko) 2003-02-12 2003-05-13 전민경 칼날이 교체가능한 잔디 채취기 커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701U (ko) * 1989-06-19 1991-01-31
JPH0337805U (ko) * 1989-08-21 1991-04-12
JP2001061303A (ja) 1999-08-26 2001-03-13 Seirei Ind Co Ltd 農作業機のリアヒッチ
KR200312803Y1 (ko) 2003-02-12 2003-05-13 전민경 칼날이 교체가능한 잔디 채취기 커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023Y1 (ko) * 2010-05-07 2010-11-18 정민수 잔디 채취장치
KR200474624Y1 (ko) 2013-01-24 2014-10-02 정종천 승차식 제초기의 커팅장치
KR101880853B1 (ko) * 2017-06-14 2018-07-20 이동기 잔디 뜨는 채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840A (ko) 200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5757B1 (ko) 잔디 채취기용 커터와 그 착탈장치
CN102668742A (zh) 一种振动式深松机
KR101939980B1 (ko) 굴삭기용 예초기
US6338237B1 (en) Portable reaper
KR100981213B1 (ko)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
KR102524444B1 (ko) 예초기용 강선 와이어 커터의 고정구조
CN211792742U (zh) 开沟刀具及田园管理机
CN210694811U (zh) 一种振动型起膜铲
CN111955144A (zh) 一种可调节式不易损坏刀片的割草机
KR20100005590A (ko) 제초수단을 갖는 굴삭기
JP3614504B2 (ja) 管理機のダッシュ防止装置
KR200424648Y1 (ko) 제초기
KR20160026115A (ko) 굴삭기용 제초기
CN221081922U (zh) 旋耕机挡泥c形结构
CN212887513U (zh) 一种园艺机械维修用工作台
CN220798979U (zh) 一种多用组合犁
CN205040262U (zh) 一种带有绕桩割头的割草机
CN217985907U (zh) 旋耕开沟一体机
KR20200045130A (ko) 예초기
CN212116221U (zh) 一种用于除草机的刀具
CN220511592U (zh) 一种开荒机的滚筒切割齿
CN204362511U (zh) 一种松土覆土系统
JP5264795B2 (ja) タインホルダーのロックピン固定構造
CN217608369U (zh) 一种沟垄间作保护的杀秧机
KR100609464B1 (ko) 휴대용 동력기기에 사용되는 잔디깎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