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656B1 -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과 이를 이용한 내열성 발포체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과 이를 이용한 내열성 발포체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656B1
KR100855656B1 KR1020080037195A KR20080037195A KR100855656B1 KR 100855656 B1 KR100855656 B1 KR 100855656B1 KR 1020080037195 A KR1020080037195 A KR 1020080037195A KR 20080037195 A KR20080037195 A KR 20080037195A KR 100855656 B1 KR100855656 B1 KR 100855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amine
resin
formaldehyde
condensation product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환업
배종우
김정수
오상택
김구니
Original Assignee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주식회사 동성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주식회사 동성화학 filed Critical 한국신발피혁연구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2/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G12/0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 C08G12/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G12/3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substituted triazines
    • C08G12/32Mel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8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6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 C08J7/18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using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Abstract

본 발명은 (1) 멜라민 혼합수지 86~99.9 몰% 및 반응성 할로겐화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 0.1 내지 14 몰%로 구성되는 수지 혼합물을; (2) 포름알데히드 또는 포름알데히드 제공 화합물과 공중합 축합 반응시킨 것으로서, 상기 (1)의 수지 혼합물과 2)의 포름알데히드의 몰 비는 1 : 2.2 내지 1 :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로서,
상기 멜라민 혼합수지는 멜라민수지 90 내지 99 몰% 및 하기 화학식 1의 치환 멜라민수지 1 내지 10 몰%를 혼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반응성 할로겐화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며 연화점이 6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내열성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28650216-pat00001
상기 화학식 1 중에서,
X, X' 및 X"는 각각 -NH2, -NHR 및 -NR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X, X' 및 X" 중 1개 또는 2개는 -NH2이고,
R 및 R'은 각각 히드록시-C2-C10-알킬, 히드록시-C2-C4-알킬(옥사-C2-C4-알킬)n (여기서, n은 1 내지 5임) 및 아미노-C2-C12-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
[화학식 2]
Figure 112008028650216-pat00002
상기 화학식 2 중에서,
X는 탄화수소 및 할로겐 원소로 구성되며,
탄화수소는 파라핀계, 에틸렌계, 아세틸렌계, 시클로파라핀계 및 나프텐계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할로겐 원소는 할로겐족 원소로부터 선택됨
멜라민, 알데히드, 축합생성물, 할로겐화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 포름알 데히드, 내열성, 발포체

Description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과 이를 이용한 내열성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Condensation products of melamine-melamine and Heat-resistant foams using of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멜라민 혼합수지 및 반응성 할로겐화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를 포름알데히드와의 공중합 반응을 통해 생성된 축합생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내열성이 우수한 발포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과 이를 이용한 내열성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축합생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포체는 유기계 발포체로서 우수한 난연성과 흡음성을 동시에 갖기 때문에 각종 건자재나, 자동차용 내장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난연성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연구개발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연구 개발된 기술 내용들을 살펴보면, 미국 특허공보 제 4,511,678호(1985. 4. 16 공고)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축합생성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발포체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발포체의 경우에는 그 화학 조성으로 인해 우수한 난연 성능을 갖지만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축합 생성물의 내열 성능이 낮아 300℃ 이상에서는 급격하게 분해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발포체는 건설 분야에서 요구되는 발포체의 내열 조건에 대해서는 다소 그 성능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98612호(2001. 11.8 공개)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발포체에 난연제인 인산염, 특히 오르토인산암모늄 및 폴리인산암모늄 1 내지 50 중량% 농도, 특히 5 내지 30 중량% 농도의 수용액을 침투시켜 내화성을 향상한 멜라민 수지 발포체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멜라민 수지 발포체는 난연제인 인산염, 특히 오르소인산염암모늄 및 폴리인산염 수용액을 발포체에 침투시켜 난연 성능을 갖도록 한 멜라민 수지 발포체로서 인산염과 멜라민 수지 발포체 간의 접착력이 낮아 내구성이 떨어지며, 생성 과정에서 인산염 수용액 폐기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멜라민 혼합수지 및 반응성 할로겐화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를 포름알데히드 또는 포름알데히드 제공 화합물과 공중합 축합반응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축합생성물과 그리고 상기 축합생성물에 발포제,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내열성이 우수한 발포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과 이를 이용한 내열성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1) 멜라민 혼합수지 86~99.9 몰% 및 반응성 할로겐화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 0.1 내지 14 몰%로 구성되는 수지 혼합물을;
(2) 포름알데히드 또는 포름알데히드 제공 화합물과;
공중합 축합 반응시킨 것으로서,
상기 (1)의 수지 혼합물과 2)의 포름알데히드의 몰 비는 1 : 2.2 내지 1 :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과 이를 이용한 내열성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멜라민, 치환 멜라민 및 반응성 할로겐화 알킬페놀포름안데히드 수지와 그리고 포름알데히드의 공중합 반응을 통해 얻어진 축합생성물을 이용하여 내열성이 우수한 멜라민계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멜라민-포름알데히드의 축합생성물은 (1) 멜라민 혼합수지 86~99.9 몰% 및 반응성 할로겐화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 0.1 내지 14 몰%로 구성되는 수지 혼합물을; (2) 포름알데히드 또는 포름알데히드 제공 화합물과 공중합 축합 반응시킨 것으로서, 상기 (1)의 수지 혼합물과 2)의 포름알데히드의 몰 비는 1 : 2.2 내지 1 : 3.4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1)의 수지 혼합물은 멜라민 혼합수지 86~99.9 몰% 및 반응성 할로겐화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 0.1 내지 14 몰%를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성 할로겐화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의 혼합량이 0.1 몰% 미만이 될 경우에는 내열성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그리고 반응성 할로겐화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의 혼합량이 14 몰%를 초과할 경우에는 부반응 물질(by-product)이 발생하여 축합생성물의 수율이 떨어지고, 축합생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포체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1)의 혼합물 중 멜라민 혼합수지는 멜라민수지 90 내지 99 몰% 및 하기 화학식 1의 치환 멜라민수지 1 내지 10 몰%를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멜라민 혼합수지는 발포체 형성 시의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멜라민수지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기 반응성 할로겐화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와의 공중합시 상용성을 개선하고 이들 중축합 반응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포체의 기계적 물성 개선을 위하여 하기 화학식 1의 치환 멜라민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이때 하기 화학식 1의 치환 멜라민수지의 혼합량이 10 몰%를 초과할 경우에는 발포체의 균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28650216-pat00003
상기 화학식 1 중에서,
X, X' 및 X"는 각각 -NH2, -NHR 및 -NR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X, X' 및 X" 중 1개 또는 2개는 -NH2이고,
R 및 R'은 각각 히드록시-C2-C10-알킬, 히드록시-C2-C4-알킬(옥사-C2-C4-알킬)n (여기서, n은 1 내지 5임) 및 아미노-C2-C12-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
상기 (1)의 반응성 할로겐화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수지로서, 연화점이 6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화점이 60℃ 미만인 할로겐화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를 사용할 경우 생성물의 내열성이 개선되지 않으며, 그리고 연화점이 100℃를 초과하는 할로겐화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구성된 혼합물의 공축합이 일어나지 않아 부반응 물질(by-product)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28650216-pat00004
상기 화학식 2 중에서,
X는 탄화수소 및 할로겐 원소로 구성되며,
탄화수소는 파라핀계, 에틸렌계, 아세틸렌계, 시클로파라핀계 및 나프텐계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할로겐 원소는 할로겐족 원소로부터 선택됨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2)의 포름알데히드는 예를 들면 2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 중량%의 농도를 갖는 수용액 또는 반응 중에 포름알데히드를 제공하는 화합물의 형태로서, 포르말린, 파라포름알데히드, 1,3,5-트리옥산 또는 1,3,5,7-테트록소칸과 같은 고형의 올리고머성 또는 폴리머성 포름알데히드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축합생성물은 상기 성분을 포름알데히드 또는 포름알데히드 제공 화합물과 멜라민, 화학식 1의 치환 멜라민 및 화학식 2의 반응성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혼합물 대 포름알데히드의 몰비를 1 : 2.2 내지 1 : 3.4의 범위 이내로 축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멜라민, 화학식 1의 치환 멜라민 및 화학식 2의 반응성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 혼합물과 그리고 포름알데히드의 몰 비가 1 : 2.2 미만인 경우에는 축합생성물로부터 제조된 발포체 셀은 직쇄의 길이 대비 두께비가 15 : 1 이상으로 생성되어 반발력 및 기계적 강도가 낮으며, 몰 비가 1 : 3.4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축합 생성물로부터 제조된 발포체 셀의 직쇄의 길이 대비 두께가 10 : 1 미만으로서 생성된 발포체는 탄성이 약하고 강성(stiffness)이 높아 딱딱하고 쉽게 부서지는 단점이 있다.
중축합 반응은 통상 종래 방식으로 수행된다(예를 들면, 유럽 특허 공개 제 355,760호 후벤 웨일의 문헌[Houben-Weyl, vol. 14/2, p. 357 이후]을 참조). 중축 합 반응 조건은 반응 온도가 80 내지 200℃, 반응 압력이 100 내지 500 kPa, pH가 6 내지 10의 범위에서 내에서 축중합 반응을 수행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에 축합제, 유화제, 발포제 및 경화제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분산액을 발포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축합제는 소디움 바이설파이트(sodium bisulfite), 암모늄 설파메이트(Ammonium sulfamate) 또는 소디움 포메이트(sodium formate) 중에서 1 종을 선택하여 축합 반응 중에 또는 후에 반응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축합제 0.2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축합제의 첨가량이 0.2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상기 반응 혼합물들이 충분한 중축합 반응을 하지 아니하여 발포체 형성 후에 셀 밀도가 감소하여 내열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중축합 반응이 과하게 중축합 반응을 제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인 알킬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설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설파이트, 소디움 도데실벤젠 설포네이트 중에서 1 종 또는 그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축합생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3 내지 15 중량를 첨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계 계면활성 제의 첨가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축합생성물에 첨가제의 분산이 용이하지 않으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형성된 발포체의 강성이 증가하고 압축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축합생성물을 발포하기 위한 첨가제인 발포제는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탄(F-11),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F-113),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F-114),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와 그리고 푸론(F-141b), 펜탄, n-헵탄, 시클로헥산, 시클로펜탄, 이소프로필 에테르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발포제의 첨가량은 축합생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제의 첨가량이 0.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축합생성물을 이용한 발포체 생성이 어려우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축합생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포체의 셀 밀도가 감소하여 내열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경화제로서는 소량의 산, 예를 들어 황산, 인산, 염산, 포름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페놀술폰산, 키실렌술폰산 중에서 1 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경화제의 첨가량은 축합생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제의 첨가량이 0.2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발포체 형성이 어려우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발포체 셀의 두께가 증가햐여 탄성력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 발포체는 미경화된 멜라민-알데히드의 축합생성물에 축합제, 유화제, 발포제 및 경화제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분산액을 이용하여, 180 내지 210℃ 온도에서 분산액 1g당 0.95 내지 3.0 GHz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를 3 내지 20W의 출력으로 주사하여 성형시킨 발포체를 100 내지 250℃의 열처리 공정을 거쳐 안정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 발포체의 제조방법에서 열성형 온도, 고주파의 주파수와 출력 범위 및 발포체의 안정화 온도가 상기에서 정한 범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축합생성물이 제대로 발포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상기에서 정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축합생성물이 과발포되어 발포체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아래의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을 이용한 내열성 발포체의 제조
실시예 1
수산화나트륨 촉매 하에서 멜라민 혼합수지 86 몰%.와 연화점이 80인 브롬화 옥틸페놀포름알데히드[SP-1056(Schenectady)] 14 몰%를 혼합한 수지 혼합물, 그리 고 포름알데히드를 몰 비가 1 : 2.2가 되도록 혼합하여 120에서 70분간 교반하여 축합생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멜라민 혼합수지는 멜라민수지 90 몰%와 화학식 1의 치환 멜라민수지 10 몰%를 혼합한 수지이다.
그리고 생성된 미경화 축합생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디움 포메이트 0.5 중량부, 소디움 도데실벤젠 설포네이트 8 중량부를 첨가하여 일정시간 분산시킨 후에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1.2 중량부 및 포름산 0.3 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이를 고주파 발생기에서 1g 당 20W의 출력의 고주파를 조사하여 발포체를 제조한다. 제조된 발포체는 170℃ 온도에서 10 분간 열처리한다.
실시예 2
수산화나트륨 촉매 하에서 멜라민 혼합수지 99.9 몰%와 연화점이 80인 브롬화 옥틸페놀포름알데히드[SP-1056(Schenectady)] 0.1 몰%를 혼합한 수지 혼합물과 그리고 포름알데히드를 몰 비가 1 : 3.4가 되도록 혼합하여 120℃에서 70분간 교반하여 축합생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멜라민 혼합수지는 멜라민수지 99 몰%와 화학식 1의 치환 멜라민수지 1 몰%를 혼합한 수지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생성된 미경화 축합생성물에 첨가제를 첨가하여 발포시킨 다음 열처리하여 발포체를 제조한다.
비교예 1
수산화나트륨 촉매 하에서 멜라민과 및 포름알데히드를 1 : 2.2 의 몰 비로 혼합하여 120℃에서 70분간 교반하여 축합생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생성된 미경화 축합생성물에 첨가제를 첨가하여 발포시킨 다음 열처리하여 발포체를 제조한다.
비교예 2
수산화나트륨 촉매 하에서 멜라민과 페놀 모노머 및 포름알데히드를 1 : 0.05 : 2.2의 몰 비로 120℃에서 70분간 교반하여 축합생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생성된 미경화 축합생성물에 첨가제를 첨가하여 발포시킨 다음 열처리하여 발포체를 제조한다.
2. 시험방법
1) 비중
KS A0602의 체적으로부터의 비중측정법에 준하여 비중 값을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
KS M6518에 준하여 인스트론사의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전자현미경 사진
KS D ISO 16700에 준한 플러스윈사의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확대 사진을 촬영하였다.
4) 내열성
KS M ISO 11358에 준하여 열중량분석 시험을 승온속도 10℃/분으로 진행하여 열분해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내열성을 비교하였다.
3. 시험결과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의해 제조된 발포체에 대하여 상기 2의 시험방법으로 그 특성을 시험한 결과는 아래 [표 1]의 내용과 같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대한 내열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열중량분석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첨부된 도면인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시험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1 2
비중(g/cm3) 0.008 0.009 0.007 0.017
인장강도(kgf/cm3) 1.06 1.02 1.06 0.38
열분해온도(℃ ) 370 384 353 352
상기 [표 1]의 내용에 의하면,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해 열분해온도의 성능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1의 그래프에 의해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해 열분해 개시 온도가 상승함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하여 약 30℃ 정도 열분해온도가 상승하였다. 멜라민, 치환 멜라민, 페놀 모노머 및 포름알데히드로 구성된 축합물로부터 생성된 멜라민 발포체인 비교예 2의 경우 브롬화 옥틸페놀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하여 형성한 축합체로부터 생성시킨 실시예 1 및 2에 비해 열분해 개시 온도가 상승되지 않았으며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상분리 현상을 열중량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5는 실시예 1, 2 및 비교에 1, 2의 발포체를 전자현미경으로 250배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에 관한 것으로, 비중이 높은 발포체일수록 발포체 입자의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2의 경우 실시예 1 및 2에 비해 비중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열분해온도는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내열성이 향상된 멜라민 축합체 및 이를 통해 생성한 발포체로는 실시예가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그 물성의 우수성이 입증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 중량 분석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발포체를 전자현미경으로 250배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발포체를 전자현미경으로 250배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1의 발포체를 전자현미경으로 250배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2의 발포체를 전자현미경으로 250배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5)

  1. (1) 멜라민 혼합수지 86~99.9 몰% 및 반응성 할로겐화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 0.1 내지 14 몰%로 구성되는 수지 혼합물을;
    (2) 포름알데히드 또는 포름알데히드 제공 화합물과;
    공중합 축합 반응시킨 것으로서,
    상기 (1)의 수지 혼합물과 2)의 포름알데히드의 몰 비는 1 : 2.2 내지 1 :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 혼합수지는 멜라민수지 90 내지 99 몰% 및 하기 화학식 1의 치환 멜라민수지 1 내지 10 몰%를 혼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28650216-pat00005
    상기 화학식 1 중에서,
    X, X' 및 X"는 각각 -NH2, -NHR 및 -NRR'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X, X' 및 X" 중 1개 또는 2개는 -NH2이고,
    R 및 R'은 각각 히드록시-C2-C10-알킬, 히드록시-C2-C4-알킬(옥사-C2-C4-알킬)n (여기서, n은 1 내지 5임) 및 아미노-C2-C12-알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할로겐화 알킬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수지로서, 연화점이 6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08028650216-pat00006
    상기 화학식 2 중에서,
    X는 탄화수소 및 할로겐 원소로 구성되며,
    탄화수소는 파라핀계, 에틸렌계, 아세틸렌계, 시클로파라핀계 및 나프텐계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할로겐 원소는 할로겐족 원소로부터 선택됨
  4. 청구항 1의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에 축합제, 유화제, 발포제 및 경화제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분산액을 발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을 이용한 내열성 발포체.
  5. 청구항 1의 멜라민-알데히드의 축합생성물에 축합제, 유화제, 발포제 및 경화제를 첨가하여 분산시킨 분산액을 이용하여, 180 내지 210℃ 온도에서 분산액 1g당 0.95 내지 3.0 GHz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를 주사를 하여 성형시킨 발포체를 100 내지 250℃의 열처리 공정을 거쳐 안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을 이용한 내열성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20080037195A 2007-05-16 2008-04-22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과 이를 이용한 내열성 발포체및 그 제조방법 KR100855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7759 2007-05-16
KR1020070047759 2007-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656B1 true KR100855656B1 (ko) 2008-09-03

Family

ID=4002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195A KR100855656B1 (ko) 2007-05-16 2008-04-22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과 이를 이용한 내열성 발포체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6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1484A (zh) * 2013-01-08 2013-04-03 石家庄东华金龙化工有限公司 一种氯乙酸法制备甘氨酸生产中氯化铵废水的处理方法
KR101287392B1 (ko) * 2011-05-19 2013-07-19 한국신발피혁연구원 포름알데히드 저함유 발포체
KR20160046361A (ko) 2014-10-20 2016-04-29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저비중 불연성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WO2020040351A1 (ko) * 2018-08-22 2020-02-27 주식회사 동성화학 내열성이 우수한 열성형성 멜라민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402A (ko) * 1991-07-12 1993-02-23 빅케, 바르츠 변성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KR20020016970A (ko) * 2000-08-28 2002-03-07 김중현 단분산성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입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402A (ko) * 1991-07-12 1993-02-23 빅케, 바르츠 변성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KR20020016970A (ko) * 2000-08-28 2002-03-07 김중현 단분산성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입자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392B1 (ko) * 2011-05-19 2013-07-19 한국신발피혁연구원 포름알데히드 저함유 발포체
CN103011484A (zh) * 2013-01-08 2013-04-03 石家庄东华金龙化工有限公司 一种氯乙酸法制备甘氨酸生产中氯化铵废水的处理方法
KR20160046361A (ko) 2014-10-20 2016-04-29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저비중 불연성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WO2020040351A1 (ko) * 2018-08-22 2020-02-27 주식회사 동성화학 내열성이 우수한 열성형성 멜라민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6295A (en) Foamable resole resin composition
CN112703225B (zh) 准不燃性酚醛树脂组合物及由其得到的准不燃材料
KR100855656B1 (ko)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과 이를 이용한 내열성 발포체및 그 제조방법
Liu et al. In situ preparation of intrinsic flame retardant urea formaldehyde/aramid fiber composite foam: Structure, property and reinforcing mechanism
KR101287392B1 (ko) 포름알데히드 저함유 발포체
CN112384557A (zh) 酚醛泡沫制造用树脂组合物
CN114072440A (zh) 酚醛泡沫制造用树脂组合物以及酚醛泡沫及其制造方法
KR102295346B1 (ko) 열성형성 멜라민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S61283631A (ja) フエノ−ル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KR20130143562A (ko) 멜라민-포름알데히드 발포체의 제조 방법
US6013689A (en) Method for making a closed-cell phenolic resin foam, foamable composition, and closed-cell phenolic resin foam
GB1562769A (en) Foamable resole resins
US20220282055A1 (en) Melamine-formaldehyde foam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38544B1 (ko) 난연성 페놀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부터 얻어진 난연 재료
KR102176171B1 (ko) 내열성이 우수한 열성형성 멜라민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CA1107898A (en) Foamable resole resin composition
KR101684694B1 (ko) 저비중 불연성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102183988B1 (ko) 발포성 페놀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페놀폼
KR101892057B1 (ko) 발포성 페놀수지 조성물, 페놀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9815A (ko) 난연성 폴리에테르 폴리올 믹스쳐의 제조방법
WO2023052389A1 (en) Open-celled melamine resin foams comprising halogen-free flame retardants
KR100931647B1 (ko) 멜라민 발포체가 충전된 불연성 하니컴 복합재료 및 그제조방법
KR20220091418A (ko) 단열재
KR20220091416A (ko) 단열재
JPS61242A (ja) 防火性フエノ−ルフオ−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