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503B1 - 노트북형 컴퓨터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노트북형 컴퓨터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503B1
KR100855503B1 KR1020010079922A KR20010079922A KR100855503B1 KR 100855503 B1 KR100855503 B1 KR 100855503B1 KR 1020010079922 A KR1020010079922 A KR 1020010079922A KR 20010079922 A KR20010079922 A KR 20010079922A KR 100855503 B1 KR100855503 B1 KR 100855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e
display
resistor
switch
notebook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644A (ko
Inventor
김민화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9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503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1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표시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노트북형 컴퓨터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는 그래픽선로와 타이밍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메인보드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가로 측면과 세로 측면 상에 각각 연결부가 형성되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메인보드와 접속되며 상기 표시부의 가로 측면과 세로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부와 접속되도록 보조연결부가 형성되는 덮게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보드에는 상기 보조연결부와 접속되는 상기 표시부의 연결부를 인식하여 표시모드값을 검출하기 위해, 기저전압(GND)과 기준전압(Vdd)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치(S)와, 상기 스위치와 상기 기저전압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R1)과, 상기 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저항(R2) 및 제3 저항(R3)을 가지는 표시모드검출기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노트북형 컴퓨터 및 그 구동방법{NOTEBOOK COMPU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노트북형 컴퓨터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데스크탑형 컴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의 표시모드가 가로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노트북형 컴퓨터의 표시모드가 세로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노트북형 컴퓨터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표시모드검출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의 표시모드 설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의 표시모드 설정에 따른 프로그램 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32 : 상판 4,34 : 하판
6,36 : 키보드 8,38 : 메인보드
10,30 : 액정패널 12,42 : 액정표시모듈
14,44 : 중앙처리장치 16,46 : 그래픽카드
18,20,48,50,52 : 연결부 60 : 덮게
62 : ID검출기
본 발명은 노트북형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표시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노트북형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형 컴퓨터(Notebook computer)는 랩탑형 컴퓨터(Raptop Computer) 중에서도 경량이며, 충전식 배터리에 의해 이동하고, 이송을 지향하는 소형 컴퓨터를 말한다.
통상 노트북형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or Unit : CPU), 주기억장치(Main Memory) 및 입/출력장치(Input/Output unit)로 구성되어있다. 중앙처 리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의 중심이 되는 장치(unit)이며, 연산장치(arithmetic unit), 제어장치(Control Unit)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는 기억장치, 명령의 해석과 실행 및 프로그램 실행결과의 상태 보호를 제어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주기억장치는 컴퓨터 본체가 소정의 번지를 직접 지정하여 즉시 액세스할 수 있는 내부 메모리를 말한다. 입/출력장치는 입/출력포트를 이용하여 외부장치와 데이터의 입/출력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입력장치로는 키보드, 라이트 펜 및 마우스 등이 사용되고, 출력장치로는 프린터, 플로터 및 표시장치 등이 사용된다. 표시장치는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브라운관 등에 문자 또는 도형으로써 표시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노트북형 컴퓨터는 상판(2)에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액정패널(10)이 형성되는 액정표시모듈(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 이하 "LCM"이라 함)(12)과, 하판(4)에 그래픽카드(16) 및 중앙처리장치(14)가 내장되는 메인보드(8)와,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보드(6)와, 상판(2)과 하판(4)을 연결하는 연결부(18,20)를 구비한다.
LCM(12)은 전계에 따라 광투과율을 조절하는 화소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액정패널(10)을 구비한다. 또한, LCM(12)은 하판(4)의 메인보드(8) 내의 그래픽카드(16)에서 발생되어진 영상신호 또는 영상 데이터에 응답하여 액정패널(10) 상의 화소셀들 각각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영상신호 또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화상을 액정패널(10) 상에 표시하게 된다. 즉, 액정패널(10)은 표시장치의 일종으로서 키보드(6) 및 마우스와 함께 사용되어 사용자와 컴퓨터가 대화하면서 데이터의 수정, 삽입, 삭제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표시한다.
메인보드(8)는 컴퓨터의 모든 장치와 거미줄처럼 배선조직(Bus Line)으로 연결되어 상호간에 데이터를 교류하여 그 흐름을 적절히 조정함과 아울러 프로세서, 주기억장치, 중앙처리장치(14) 및 그래픽카드(16) 등의 주요부품들이 내장되어 있다. 그래픽카드(16)는 영상정보가 아날로그 형태로 인코딩되어진 영상신호 또는 디지털 형태로 인코딩되어진 영상 데이터를 발생하게 된다.
키보드(6)는 입력장치의 일종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18,20)는 상판(2)의 LCM(12)과 하판(4)의 그래픽카드(16)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판(2)과 하판(4)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이러한 노트북형 컴퓨터는 사용자가 키보드(6) 및 마우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 데이터는 메인보드(8)에서 해석되어 비디오 신호로 출력된다. 메인보드(8)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는 상하판의 연결부(18,20)를 통해 LCM(12)으로 전송된다. 이와 동시에 LCM(12)에 내장되어 있는 인버터(도시하지 않음)에서 후면광원에 전력을 공급함과 아울러 후면광원은 액정패널(10)의 화소셀에 빛을 조사하게 되어 액정패널(10)에 데이터가 표시된다.
이러한 종래의 노트북형 컴퓨터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데스크형 컴퓨터에 비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액정패널(10)을 가로세로로 구현할 수 없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데스크형 컴퓨터는 워드작성과 같은 문서작업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22)을 세로로 형성 하고, 그 외의 일반적인 작업시나 보관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데스크형 컴퓨터는 액정패널(22)을 가로세로로 자유자재 회전이 가능하다.
반면에 종래의 노트북형 컴퓨터는 데이터가 표시되는 액정패널(10)이 형성되는 상판(2)과 중앙처리장치(14)를 포함하는 메인보드가 형성되는 하판(4)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항상 가로:세로=4:3인 가로로만 데이터를 표현할 수 밖에 없어 문서작업시 키보드나 마우스를 통해 입력된 한 페이지 분량의 데이터를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표시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노트북형 컴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는 그래픽선로와 타이밍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메인보드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가로 측면과 세로 측면 상에 각각 연결부가 형성되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메인보드와 접속되며 상기 표시부의 가로 측면과 세로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부와 접속되도록 보조연결부가 형성되는 덮게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보드에는 상기 보조연결부와 접속되는 상기 표시부의 연결부를 인식하여 표시모드값을 검출하기 위해, 기저전압(GND)과 기준전압(Vdd)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치(S)와, 상기 스위치와 상기 기저전압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R1)과, 상기 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저항(R2) 및 제3 저항(R3)을 가지는 표시모드검출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부는 액정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보드는,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모드값에 따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구비한다.
상기 메인보드는 보조연결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 사이에 접속되는 그래픽카드를 구비한다.
삭제
상기 입력수단은 키보드 또는 마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의 구동방법은 표시모드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표시모드값에 기반하여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단계에서는, 기저전압(GND)과 기준전압(Vdd)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치(S)와, 상기 스위치와 상기 기저전압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R1)과, 상기 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저항(R2) 및 제3 저항(R3)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모드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된 표시모드로 출력될 표시데이터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표시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표시모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는 데이터를 표시 하기 위한 액정패널(30)과, 액정패널(30)의 가로 및 세로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50,52)와, 액정패널(30)의 제1 및 제2 연결부(50,52)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제3 연결부(48)를 갖으며 액정패널(30)을 고정시키는 덮게(60)를 구비한다.
액정패널(30)이 가로표시모드(4:3)인 경우, 액정패널(30)의 가로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50)와 덮게부(60)의 제3 연결부(48)는 도 4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다. 제1 연결부(50)와 제3 연결부(48)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가로표시모드는 키보드(36)에서 입력되는 표시데이터를 가로로 출력하게 된다.
액정패널(30)이 세로표시모드(3:4)인 경우, 액정패널(30)의 세로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52)와 덮게부(60)의 제3 연결부(48)는 도 5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다. 제2 연결부(52)와 제3 연결부(48)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세로표시모드는 키보드(36)에서 입력되는 표시데이터를 세로로 출력하게 된다. 즉, 세로표시모드인 경우 세로문서 작성시 액정패널(30)를 세로로 세워 한 화면의 한 페이지분량을 표시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액정패널(30)을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즉, 액정패널(30)이 회전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가로 또는 세로표시모드로 설정하여 표시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36)와, 키보드(36)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LCM(42)과, 키보드(36)와 LCM(42)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처리장치(44), 그래픽카드(46), 제1 내 지 제3 연결부(48,50,52) 및 표시모드검출기(62)를 구비한다.
LCM(42)은 전계에 따라 광투과율을 조절하는 화소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액정패널(30)을 구비한다. 또한, LCM(42)은 하판(40)의 메인보드(38) 내의 그래픽카드(46)에서 발생되어진 영상신호 또는 영상 데이터에 응답하여 액정패널(30) 상의 화소셀들 각각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영상신호 또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화상을 액정패널(30) 상에 표시하게 된다. 즉, 액정패널(30)은 표시장치의 일종으로서 키보드(36) 및 마우스와 함께 사용되어 사용자와 컴퓨터가 대화하면서 데이터의 수정, 삽입, 삭제할 수 있도록 화면에 데이터를 표시한다.
메인보드(38)는 컴퓨터의 모든 장치와 거미줄처럼 배선조직(Bus Line)으로 연결되어 상호간에 데이터를 교류하여 그 흐름을 적절히 조정함과 아울러 중앙처리장치(44) 및 그래픽 카드(46) 등의 주요부품들이 내장되어 있다. 그래픽 카드(46)는 영상정보가 아날로그 형태로 인코딩되어진 영상신호 또는 디지털 형태로 인코딩되어진 영상 데이터를 발생하게 된다.
키보드(36)는 입력장치의 일종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키보드(36) 이외에도 입력장치로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 등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시모드검출기(62)는 중앙처리장치(44)와 제3 연결부(48) 사이에 형성되어 현재의 액정패널(30)이 제1 연결부(50)와 연결되어 있으면 세로표시모드(ID2)임을 중앙처리장치(44)에 제공하게 된다. 반면에 현재의 액정패널(30)이 제2 연결부(52)와 연결되어 있으면 가로표시모드(ID1)임을 중앙처리장치(44)에 제공하 게 된다.
이러한 표시모드검출기(6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전압(Vdd)과 기저전압(GND)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치(S)와, 스위치(S)와 기저전압(GND)사이에 접속되는 제1 저항(R1)을 구비한다. 이 표시모드검출기(62)는 스위치(S)의 온-오프에 따라 특정 표시모드값을 중앙처리장치(44)에 공급된다. 이러한 스위치(S)의 온-오프는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2 및 제3 저항(R2,R3)에 따라 결정된다. 제2 저항(R2)은 공급전압(Vcc)과 스위치(S) 사이에 접속되며, 제3 저항(R3)은 스위치(S)와 기저전압(GND) 사이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액정패널(30)이 가로표시모드(ID1)인 경우, 스위치(S)는 제2 저항(R2)에 접속되어 공급전압(Vcc)으로부터 하이논리의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턴온된다. 스위치(S)가 턴온됨으로써 표시모드검출기(62)는 1의 표시모드값(ID)을 중앙처리장치(44)에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앙처리장치(44)는 현재의 액정패널(30)이 가로표시모드(ID1)임을 인식하게 되어 키보드(36)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액정패널(30)에 가로로 표시하게 된다.
액정패널(30)이 세로표시모드(ID2)인 경우, 스위치(S)는 제3 저항(R3)에 접속되어 기저전압(GND)으로부터 로우논리의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턴오프된다. 스위치(S)가 턴오프됨으로써 표시모드검출기(62)는 0의 표시모드값(ID)을 중앙처리장치(44)에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앙처리장치(44)는 현재의 액정패널(30)이 세로표시모드(ID2)임을 인식하게 되어 키보드(36)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액정패널(30)에 세로로 표시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의 표시모드 설정은 먼저, 표시모드검출기(62)의 표시모드값을 검사한다.(S1단계)
표시모드값(ID)이 1인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44)에 이 값이 공급되어 액정패널(30)이 가로표시모드(ID1)로 설정되도록 한다.(S2단계) 표시모드값(ID)이 0인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44)에 이 값이 공급되어 액정패널(30)이 세로표시모드(ID2)로 설정되도록 한다.(S3단계)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의 표시모드 수행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키보드(36)에서 입력되어 출력할 표시데이터가 있는지를 검사한다.(T1 단계) 액정패널(30)에 출력할 표시데이터가 있으면, 현재의 액정패널(30)이 가로표시모드(ID1)인지를 검사하게 된다.(T2 단계) 액정패널(30)이 가로표시모드(ID1)이면, 표시데이터는 가로표시모드(ID1)로 출력된다.(T3 단계) 액정패널(30)이 세로표시모드(ID2)이면, 표시데이터는 세로표시모드(ID2)로 출력된다.(T4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는 상판을 회전가능하도록 착탈식으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가로표시모드 또는 세로표시모드로 선택하여 표시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일반 작업시나 보관시는 표시부를 가로표시모드로 형성하고, 워드작성과 같은 문서작업시 표시부를 세로로 형성하여 한 화면에 한 페이지분량의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8)

  1. 그래픽선로와 타이밍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메인보드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가로 측면과 세로 측면 상에 각각 연결부가 형성되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메인보드와 접속되며 상기 표시부의 가로 측면과 세로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부와 접속되도록 보조연결부가 형성되는 덮게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보드에는 상기 보조연결부와 접속되는 상기 표시부의 연결부를 인식하여 표시모드값을 검출하기 위해, 기저전압(GND)과 기준전압(Vdd)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치(S)와, 상기 스위치와 상기 기저전압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R1)과, 상기 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저항(R2) 및 제3 저항(R3)을 가지는 표시모드검출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액정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모드값에 따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보조연결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 사이에 접속되는 그래픽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키보드 또는 마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
  7. 표시모드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표시모드값에 기반하여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단계에서는, 기저전압(GND)과 기준전압(Vdd)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치(S)와, 상기 스위치와 상기 기저전압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R1)과, 상기 스위치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저항(R2) 및 제3 저항(R3)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모드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의 구동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표시모드로 출력될 표시데이터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표시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표시모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의 구동방법.
KR1020010079922A 2001-12-17 2001-12-17 노트북형 컴퓨터 및 그 구동방법 KR100855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922A KR100855503B1 (ko) 2001-12-17 2001-12-17 노트북형 컴퓨터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922A KR100855503B1 (ko) 2001-12-17 2001-12-17 노트북형 컴퓨터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644A KR20030049644A (ko) 2003-06-25
KR100855503B1 true KR100855503B1 (ko) 2008-09-01

Family

ID=2957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922A KR100855503B1 (ko) 2001-12-17 2001-12-17 노트북형 컴퓨터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5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7689B2 (en) 2005-11-09 2013-10-01 George Moser Reconfigurable compu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9319A1 (en) * 2005-11-09 2011-08-18 George Moser Reconfigurable Compu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9289A (en) * 1991-04-26 1994-07-12 Sharp Kabushiki Kaisha Data processor with rotatable display
US5708561A (en) * 1996-08-13 1998-01-13 Vivek R. Huilgol Portable computer having display slidably and rotatably mounted for movement between landscape and portrait orientation and to open and close speaker ports
KR19980020807U (ko) * 1996-10-16 1998-07-15 김광호 휴대용 컴퓨터
KR20020075054A (ko) * 2001-03-23 2002-10-04 제논텔레콤 주식회사 모니터 일체형 컴퓨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9289A (en) * 1991-04-26 1994-07-12 Sharp Kabushiki Kaisha Data processor with rotatable display
US5708561A (en) * 1996-08-13 1998-01-13 Vivek R. Huilgol Portable computer having display slidably and rotatably mounted for movement between landscape and portrait orientation and to open and close speaker ports
KR19980020807U (ko) * 1996-10-16 1998-07-15 김광호 휴대용 컴퓨터
KR20020075054A (ko) * 2001-03-23 2002-10-04 제논텔레콤 주식회사 모니터 일체형 컴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7689B2 (en) 2005-11-09 2013-10-01 George Moser Reconfigurable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644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0950B1 (en) Portable computer and method using an auxilliary LCD panel having a touch screen as a pointing device
US625959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RU2526743C2 (ru) Дисплей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доступа в устройстве с закрытой крышкой
US5949408A (en) Dual orientation display handheld computer devices
JPH0930525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US20140146085A1 (en) Electronic Equipment, Program, And Control Method
KR20160036345A (ko) 디스플레이의 위치에 따라 데이터 전송 순서를 결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US20040196209A1 (en) Portable computer with an add-on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module
CN107526567B (zh) 信息处理装置、输入方法以及存储介质
US20090040399A1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digital images
KR100855503B1 (ko) 노트북형 컴퓨터 및 그 구동방법
CN100465703C (zh) 信息处理装置以及用于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
US76882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H01237785A (ja) 電子機器
JP3663216B2 (ja) 電子機器
KR101847701B1 (ko)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및 그것의 드라이버 칩
KR100793208B1 (ko)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화면 모드 제어방법
EP2068227A1 (en) Portable computer
JP2940742B2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KR100465797B1 (ko) 휴대용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JP311481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20030053993A (ko) 노트북형 컴퓨터
JPH1020962A (ja) 情報処理装置
WO2014076977A1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9990032363A (ko) 액정 표시부가 구비된 키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