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3993A - 노트북형 컴퓨터 - Google Patents

노트북형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3993A
KR20030053993A KR1020010084048A KR20010084048A KR20030053993A KR 20030053993 A KR20030053993 A KR 20030053993A KR 1020010084048 A KR1020010084048 A KR 1020010084048A KR 20010084048 A KR20010084048 A KR 20010084048A KR 20030053993 A KR20030053993 A KR 20030053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plate
upper plate
notebook comput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철주
권순영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4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3993A/ko
Publication of KR2003005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99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Abstract

본 발명은 상판을 열지않고도 표시부를 볼 수 있는 노트북형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및 비디오신호들을 생성하는 메인보드가 설치된 하판과, 하판과 대향되며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정면에 형성되는 상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노트북형 컴퓨터{NOTEBOOK COMPUTER}
본 발명은 노트북형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판을 열지 않고도 표시부를 볼 수 있는 노트북형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형 컴퓨터(Notebook computer)는 랩탑형 컴퓨터(Raptop Computer) 중에서도 경량이며, 충전식 배터리에 의해 이동하고, 이송을 지향하는 소형 컴퓨터를 말한다.
통상 노트북형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or Unit : CPU), 주기억장치(Main Memory) 및 입/출력장치(Input/Output unit)로 구성되어있다. 중앙처리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의 중심이 되는 장치(unit)이며, 연산장치(arithmetic unit), 제어장치(Control Unit)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는 기억장치, 명령의 해석과 실행 및 프로그램 실행결과의 상태 보호를 제어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주기억장치는 컴퓨터 본체가 소정의 번지를 직접 지정하여 즉시 액세스할 수 있는 내부 메모리를 말한다. 입/출력장치는 입/출력포트를 이용하여 외부장치와 데이터의 입/출력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입력장치로는 키보드, 라이트 펜 및 마우스 등이 사용되고, 출력장치로는 프린터, 플로터 및 표시장치 등이 사용된다. 표시장치는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브라운관 등에 문자 또는 도형으로써 표시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노트북형 컴퓨터는 상판(2)에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8)와, 하판(4)에 그래픽카드 및 중앙처리장치가 내장되는 메인보드(10)와,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보드(6)를 구비한다.
액정표시장치(8)는 표시장치의 일종으로서, 키보드(6) 및 마우스와 함께 사용되어 사용자와 컴퓨터가 대화하면서 데이터의 수정, 삽입, 삭제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8)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회로부 및 화소어레이부로 구성된다.
메인보드(10)는 컴퓨터의 모든 장치와 거미줄처럼 배선조직(Bus Line)으로 연결되어 상호간에 데이터를 교류하여 그 흐름을 적절히 조정함과 아울러 프로세서, 주기억장치, 중앙처리장치 및 그래픽 카드 등의 주요부품들이 내장되어 있다. 그래픽카드는 영상정보가 아날로그 형태로 인코딩되어진 영상신호 또는 디지털 형태로 인코딩되어진 영상 데이터를 발생하게 된다.
키보드(6)는 입력장치의 일종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입력장치로는 키보드(6) 이외의 마우스 등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판(2)의 액정표시장치(8) 및 하판(4)의 메인보드(10)를 상호 접속하기 위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용성 인쇄회로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이하 "FPC"라 함)(12)을 구비한다. 이 FPC(12)는 메인보드(10) 및 액정표시장치(8)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써 상호간 데이터를 교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노트북형 컴퓨터는 사용자가 키보드(6) 및 마우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 데이터는 메인보드(10)에서 해석되어 비디오 신호로 출력된다. 메인보드(10)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는 FPC(12)를 통해 TTL이나 LVDS 인터페이스(interface)방식으로 액정표시장치(8)로 전송된다. 이와 동시에 상판(2)에 형성되는 인버터(도시하지 않음)에서 후면광원에 전력을 공급함과 아울러 후면광원은 액정표시장치(8)의 화소셀에 빛을 조사하게 되어 액정표시장치(8)에데이터가 표시된다.
이러한 노트북형 컴퓨터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경첩되도록 힌지구조로 형성된다. 즉, 액정패널(8)이 형성된 상판(2)과, 메인보드(10)가 형성된 하판(4)은 FPC(12)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키보드(6) 및 마우스 등을 통해 액정표시장치(8)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보기 위해서는 액정표시장치(8)가 상판(2)의 하면에 형성되므로 상판(2)인 덮게를 열어 세워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판을 열지않고도 표시부를 볼 수 있는 노트북형 컴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노트북형 컴퓨터의 상판과 하판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노트북형 컴퓨터의 상판과 하판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노트북형 컴퓨터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6a 및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노트북형 컴퓨터의 하판에 형성되는 지지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지지대의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키보드를 사용하여 작업할 경우 노트북형 컴퓨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하판에 형성되는 가이드라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가이드라인부 내에 형성되는 타원형 롤러를 나타내는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하판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에 도시된 노트북형 컴퓨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32 : 상판4,34 : 하판
6,36 : 키보드8,38 : 액정표시장치
10,58 : 메인보드40 : 지지대
42 : 중앙처리장치44 : 그래픽카드
46,48 : 연결부52 : 가이드라인부
54 : 타원형 롤러56 : 유저케이블
60 : 케이블라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및 비디오신호들을 생성하는 메인보드가 설치된 하판과, 하판과 대향되며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정면에 형성되는 상판을 구비한다.
상기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판에는 상기 입력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상판 사이에 상기 하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수단은 라이트 펜, 키보드 및 마우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판의 뒷면에는 지지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하판의 2/3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판의 세로방향으로 양측면에는 가이드라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라인부를 따라 상판 또는 하판이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부 내에 형성되는 타원형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기 위해 하판의 상측에 유저 케이블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저케이블은 상판과 하판이 수평상태일 때는 감겨 고정되어 있고, 상판과 하판이 수직 상태일 때는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1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는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상판(32)과,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36)가 형성되는 하판(34)을 구비한다.
상판(32)에는 상판(32)을 열지 않고도서도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상판(32)의 정면에 액정표시장치(38)가 형성된다. 이 액정표시장치(38)는 표시장치의 일종으로서, 키보드(36) 및 마우스와 함께 사용되어 사용자와 컴퓨터가 대화하면서 데이터의 수정, 삽입, 삭제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38)는 도시하지 않은 화소어레이부 및 구동회로부로 구성된다.
하판(34)에는 액정표시장치(38)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36)가 형성된다. 키보드(36) 이외에도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마우스 및 라이트 펜 등이 있다.
하판(34)에는 메인보드(58) 등이 내장되어 있다. 메인보드(5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주기억장치, 중앙처리장치(CPU,42) 및 그래픽 카드(44) 등의 주요부품들이 내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의 모든 장치와 거미줄처럼 배선조직(Bus Line)으로 연결되어 상호간에 데이터를 교류하여 그 흐름을 적절히 조정한다. 이 중 그래픽카드(44)는 영상정보가 아날로그 형태로 인코딩되어진 영상신호 또는 디지털 형태로 인코딩되어진 영상 데이터를 발생하게 된다.
상판(32)과 하판(34)에는 제1 및 제2 연결부(46,48)가 형성된다. 이 제1 및 제2 연결부(46,48)는 상판(32)의 액정표시장치(38)와 하판(34)의 그래픽카드(44)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판(32)과 하판(34)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이러한 노트북형 컴퓨터는 사용자가 키보드(36) 및 마우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 데이터는 메인보드(58)에서 해석되어 비디오 신호로 출력된다.메인보드(58)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는 제1 및 제2 연결부(46,48)를 통해 액정표시장치(38)으로 전송된다. 이와 동시에 상판(32)에 내장되어 있는 인버터(도시하지 않음)에서 후면광원에 전력을 공급함과 아울러 후면광원은 액정표시장치(38)의 화소셀에 빛을 조사하게 되어 액정표시장치(38)에 데이터가 표시된다.
이러한 노트북형 컴퓨터 하판(34)의 뒷면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40)가 형성된다. 이 지지대(40)는 사용자가 마우스를 통해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액정표시장치(38)가 상판(32)의 정면에 형성된 노트북형 컴퓨터를 세울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지지대(40)는 하판(34)의 뒷면에 약 2/3위치에 형성되며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40)를 세워 액정표시장치(38)의 각도를 맞춘다. 이에 따라 상판(32)을 열지 않고서도 상판(32)의 정면에 설치된 액정표시장치(38)를 보면서 작업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보드(36) 및 마우스를 통해 작업하고자 하는 경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38)가 설치된 상판(32)을 뒤로 밀거나 하판(34)을 앞으로 당긴다. 그런 다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38)를 보기 위해 상판(32)을 앞으로 당겨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를 맞추어서 작업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32)을 슬라이딩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하판(34)의 양측에 가이드라인부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라인부는 제1 가이드라인(52a)과 제2 가이드라인(52b)으로 형성된다. 제1 가이드라인(52a)은 제1 폭(d1)을 갖으며, 제2 가이드라인(52b)은 제1 폭(d1)보다 큰 제2 폭(d2)으로 갖는다. 이 제1 및 제2 가이드라인(52a,52b)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돌출부(54b)가 형성된 타원형 롤러(54)가 형성된다. 타원형 롤러(54)는 제1 가이드라인(52a)의 제1 폭(d1)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타원부(54a)와, 제2 가이드라인(52b)에는 제2 폭(d2)과 동일한 폭을 갖는 돌출부(54b)로 형성된다. 여기서, 타원형 롤러(54)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54b)를 이용하여 액정표시장치(38)가 형성된 상판(32)이 원하는 각도 이상은 넘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이 타원형 롤러(54)는 제1 및 제2 가이드라인(52a,52b)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노트북형 컴퓨터의 상판(32)을 밀게 되면, 제1 및 제2 가이드라인(52a,52b)을 따라 타원형 롤러(54)가 움직이면서 상판(32)이 하판(34)의 끝부분까지 밀리게 된다.
상판(32)과 하판(34)을 연결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34)의 상측에 유저케이블(56)이 형성된다. 이 유저케이블(56)은 상판(32)과 하판(34)이 수평 상태에 있을 때는 감겨 고정되어 있고, 상판(32)과 하판(34)이 수직 상태에 있을 때는 풀리게 된다. 즉, 하판(34)에서 상판(32)을 밀게 되면 이 유저케이블(56)은 상판(32)에 형성된 케이블라인(60)을 따라 풀어진다. 이 케이블라인(60)끝까지 유저케이블(56)이 다 풀어지면 사용자는 상판(32)을 세워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유저케이블(56)을 따라 하판(34)의 메인보드(58)에서 형성된 각종 신호들이 상판(32)의 액정표시장치(38)에 인가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는 도 3에 도시된 노트북형 컴퓨터와 비교하여 키보드(36)와 하판(34)이 분리되어 키보드(36)가 하판(34)의 아래 층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키보드(36)는 도 9에 도시된 슬라이딩형태의 상판(32)과 동일하게 슬라이딩형태로 형성된다. 슬라이딩 형태로 형성되는 키보드(36)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하판(34)에서 당겨 뺀 후 작업하게 된다. 이러한 키보드(36)는 상판(32)과 하판(34)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노트북형 컴퓨터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키보드(36)를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트북형 컴퓨터에서 당겨 뺀다. 그런 다음,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34)의 뒷면에 형성되는 지지대(40)를 이용하여 노트북형 컴퓨터를 세워 액정표시장치(38)의 각도를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컴퓨터는 슬라이딩방식으로 형성되며 상판의 정면에 표시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판의 뚜껑을 열지않고서도 바로 표시부를 보면서 작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1)

  1.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및 비디오신호들을 생성하는 메인보드가 설치된 하판과,
    상기 하판과 대향되며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정면에 형성되는 상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는 상기 입력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과 상기 상판 사이에 상기 하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라이트 펜, 키보드 및 마우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뒷면에는 지지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하판의 2/3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세로방향으로 양측면에는 가이드라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부를 따라 상판 또는 하판이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부 내에 형성되는 타원형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기 위해 하판의 상측에 유저 케이블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케이블은
    상기 상판과 하판이 수평상태일 때는 감겨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판과 하판이 수직 상태일 때는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형 컴퓨터.
KR1020010084048A 2001-12-24 2001-12-24 노트북형 컴퓨터 KR20030053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048A KR20030053993A (ko) 2001-12-24 2001-12-24 노트북형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048A KR20030053993A (ko) 2001-12-24 2001-12-24 노트북형 컴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993A true KR20030053993A (ko) 2003-07-02

Family

ID=3221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048A KR20030053993A (ko) 2001-12-24 2001-12-24 노트북형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39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629B1 (ko) * 2008-11-28 2011-06-1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스노우 타이어와 그 제조용 가류 금형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8820A (ja) * 1990-12-19 1992-08-10 Fujitsu Ltd 表示装置の支持機構
KR940008370Y1 (ko) * 1992-07-16 1994-12-16 김봉석 이송용 롤러 컨베이어(Roller Conveyor)
KR19990000118U (ko) * 1997-06-03 1999-01-15 윤종용 휴대용 컴퓨터
JPH1124788A (ja) * 1997-06-30 1999-01-29 Nec Shizuoka Ltd 携帯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19990011589U (ko) * 1997-08-31 1999-03-25 윤종용 차량용 노트북 컴퓨터
KR19990031074A (ko) * 1997-10-08 1999-05-06 윤종용 휴대용 컴퓨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8820A (ja) * 1990-12-19 1992-08-10 Fujitsu Ltd 表示装置の支持機構
KR940008370Y1 (ko) * 1992-07-16 1994-12-16 김봉석 이송용 롤러 컨베이어(Roller Conveyor)
KR19990000118U (ko) * 1997-06-03 1999-01-15 윤종용 휴대용 컴퓨터
JPH1124788A (ja) * 1997-06-30 1999-01-29 Nec Shizuoka Ltd 携帯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19990011589U (ko) * 1997-08-31 1999-03-25 윤종용 차량용 노트북 컴퓨터
KR19990031074A (ko) * 1997-10-08 1999-05-06 윤종용 휴대용 컴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629B1 (ko) * 2008-11-28 2011-06-1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스노우 타이어와 그 제조용 가류 금형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23974B (zh) 資訊處理系統(ihs)、操作此資訊處理系統之方法、及硬體記憶體設備
USRE40821E1 (en) Multi-display electronic devices having open and closed configurations
US6411282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speakers on a display component
US5668570A (en) Desktop computer with adjustable flat panel screen
US20060067036A1 (en) Display
JPH0930525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KR20010024374A (ko) 휴대용 표시장치 및 스크린 영상 표시 방법
JP2002312066A (ja) 着脱自在な増設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携帯用コンピュータ及び増設用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
KR20030053993A (ko) 노트북형 컴퓨터
JP3628223B2 (ja) マルチ表示装置
CN112859416B (zh) 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装置
KR20020037157A (ko) 수직·수평회전모니터 및 그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713640B1 (ko) 노트북형 컴퓨터
CN210377886U (zh) 一种多屏触摸交互式电子黑板
KR100855503B1 (ko) 노트북형 컴퓨터 및 그 구동방법
JP2003099028A (ja) 情報処理端末
CN202995579U (zh) 一体式电脑及电脑主机
US20240103641A1 (en) Keyboard housings with flexible touch sensing components
KR19990030851A (ko) 모니터 및 모니터가 설치된 휴대용 컴퓨터
KR20030045955A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8158761A (ja) 情報処理装置
KR101085147B1 (ko) 양면 표시면을 갖는 노트북
JPH09204155A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
KR20070065606A (ko) 휴대형 컴퓨터용 확장연결장치
KR10105520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527

Effective date: 2006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