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413B1 - 화상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 및화상이 인쇄되어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로 인쇄된인쇄물 - Google Patents

화상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 및화상이 인쇄되어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로 인쇄된인쇄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413B1
KR100855413B1 KR1020080023602A KR20080023602A KR100855413B1 KR 100855413 B1 KR100855413 B1 KR 100855413B1 KR 1020080023602 A KR1020080023602 A KR 1020080023602A KR 20080023602 A KR20080023602 A KR 20080023602A KR 100855413 B1 KR100855413 B1 KR 100855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ixel
image data
scanning direction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6968A (ko
Inventor
다께오 미끼
후미또시 모리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8003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203Spatial or amplitude domain methods
    • H04N1/32251Spatial or amplitude domain methods in multilevel data, e.g. greyscale or continuous ton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03Arrangements for enabling electronic abutment of lines or areas independently scanned by different elements of an array or by different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Color, Grada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주주사 방향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발열체가 교대 구동됨으로써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화상 데이터에 대해,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교대의 기록 라인마다, 주주사 방향의 짝수번째와 홀수번째의 화소를 기록하지 않은 데이터로 치환하고(S21),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는 다른 제2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또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를 부주사 방향의 1 라인마다 교대로 주주사 방향의 홀수번째와 짝수번째로 배치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S22), 상기 처리된 제2 화상 데이터를 상기 처리된 제1 화상 데이터에 대해 중첩한다(S23).
스캐너부, 입력 보정부, 색 보정부, 화상 중첩부, 엔진부, 도트

Description

화상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 및 화상이 인쇄되어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로 인쇄된 인쇄물{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WITH RECORDING IMAGE AND VISIBLE PRINTED MATERIAL WITH PRINTING IMAG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열전사 기록 방식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 방법, 화상 처리 장치 및 상기 화상 처리 방법에 의해 생성된 화상이 기록된 기록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문헌 정보>
[문헌 1] 일본 특허 공고 평6-59739호 공보
종래, 예를 들어 각종 면허증, 신용 카드, 회원증 등의 개인 인증용 기록 매체에 얼굴 화상을 기록하는 방법으로서는, 열전사 기록 방식이 주류가 되어 있다. 열전사 기록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주주사 방향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발열체를 구동시켜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고 평6-59739호 공보에는, 전사하는 각 도트의 배열을 소위 지그재그형으로 배열하여 기록 매체로의 기록을 행하는(이것을 교대 구동 방식이라 칭하는 것으로 함) 열전사 기록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교대 구동 방식에서는, 전사되는 각 도트의 제어가 용이하기 때문에 양호한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교대 구동 방식에서는, 전사되는 각 도트를 지그재그형으로 재배열하여 화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전사하지 않은 도트에 대응하는 화소 정보를 잃게 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위변조 내성이 우수한 화상을 생성할 수 있는 화상 처리 방법, 화상 처리 장치 및 위변조 내성이 우수한 기록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로서의 화상 처리 방법은, 주주사 방향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발열체가 교대 구동됨으로써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화상을 생성하는 방법이며, 제1 화상 데이터에 대해,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교대의 기록 라인마다, 주주사 방향의 짝수번째와 홀수번째의 화소를 기록하지 않은 데이터로 치환하고,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는 다른 제2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또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를 부주사 방향의 1 라인마다 교대로 주주사 방향의 홀수번째와 짝수번째로 배치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처리된 제2 화상 데이터를 상기 처리된 제1 화상 데이터에 중첩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로서의 화상 처리 장치는, 주주사 방향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발열체가 교대 구동됨으로써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화상을 생성하는 것이며, 제1 화상 데이터에 대해,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교대의 기록 라인마다, 주주사 방향의 짝수번째와 홀수번째의 화소를 기록하지 않은 데이터로 치환하는 제1 처리부와,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는 다른 제2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또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를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 의 1 라인마다 교대로 주주사 방향의 홀수번째와 짝수번째로 배치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2 처리부와, 이 제2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제2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제1 화상 데이터에 중첩하는 제3 처리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로서의 인쇄물(기록물)은,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교대의 기록 라인마다 주주사 방향의 짝수번째의 화소와 홀수번째의 화소를 기록하지 않은 데이터로 치환하는 처리가 실시된 제1 화상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또한 각 화소를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교대의 기록 라인마다 주주사 방향의 홀수번째의 화소와 짝수번째의 화소로 변환하는 처리가 실시된 제2 화상이 중첩되어 있는 화상이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로 인쇄(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의 부가의 목적 및 장점은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이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습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특히 후술되는 도구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되고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변조 내성이 우수한 화상을 생성할 수 있는 화상 처리 방법, 화상 처리 장치 및 위변조 내성이 우수한 기록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합체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상술된 일반적인 설명 및 후술하는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이다. 이 화상 처리 장치는, 스캐너부(화상 판독부)(1), 입력 보정부(2), 색 보정부(3), 화상 중첩부(4), 엔진부(5) 등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스캐너부(1)는, 예를 들어 화상을 컬러 다계조 화상으로서 판독한다. 상기 컬러 다계조 화상은, R(적색), G(녹색), B(청색) 신호로 분화된 화상 정보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캐너부(1)는, 화상을 흑백 다계조 화상으로서 판독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스캐너부(1)는, 판독한 화상 신호를 상기 입력 보정부(2)에 공급한다. 또한, 상기 스캐너부(1)에 의해 판독된 화상은, 다른 제2 화상이 중첩되는 제1 화상의 원화상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입력 보정부(2)는, 상기 스캐너부(1)에 의해 판독된 화상에 소정의 보정을 실시하는 것이다. 상기 입력 보정부(2)에는, 예를 들어 컬러 다계조 화상을 구성하는 R(적색), G(녹색), B(청색) 신호로 분화된 화상 신호가 상기 스캐너부(1)로부터 입력된다. 상기 입력 보정부(2)에서는, 상기 스캐너부(1)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에 대해, 예를 들어 감마 보정 등을 실시한다. 상기 입력 보정부(2)는, 입력 보정을 실시한 화상 신호를 상기 색 보정부(3)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색 보정부(3)는, 상기 입력 보정부(2)에 의해 보정이 실시된 화상 신호에 대해 색 보정을 실시하는 것이다. 상기 색 보정부(3)는, 예를 들어 상기 입력 보정부(2)로부터 공급된 화상 신호를, C(시안), M(마젠타), Y(옐로우), 혹은 C, M, Y, K(블랙)의 각 성분으로 분해한 화상 신호를 보정한다. 상기 색 보정부(3)는, 색 보정한 화상 신호(C, M, Y 또는 C, M, Y, K로 분해한 화상 신호)를 화상 중첩부(4)로 공급한다.
상기 화상 중첩부(4)는, 상기 색 보정부(3)로부터 공급된 화상 신호에 다른 화상 정보를 중첩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화상 중첩부(4)는, 상기 색 보정부(3)로부터 공급되는 C, M, Y 또는 C, M, Y, K로 분해한 화상 신호에 다른 화상 정보를 중첩한다. 상기 다른 화상 정보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것이라도 좋고, 미리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정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색 보정부(3)로부터 공급된 화상 신호가 제1 화상에 대응하고, 다른 화상 정보가 제2 화상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화상 중첩부(4)는, 중첩 처리를 실시한 화상 신호를 상기 엔진부(5)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화상 중첩부(4)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엔진부(5)에서는, 상기 화상 중첩부(4)로부터 공급된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다. 상기 엔진부(5)는 열전사 기록 방식의 화상 형성 디바이스이다. 상기 엔진부(5)는, 복수의 발열체가 주주사 방향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라인형의 감열 헤드를 갖고 있다. 상기 엔진부(5)에서는, 상기 라인형의 감열 헤드에 의해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엔진부(5)는 용융형 열전사 기록 방식의 화상 형성 디바이스이다.
다음에, 상기 엔진부(5)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엔진부(5)의 화상 형성 처리에 적용되는 열전사 기록 방식에는, 승화형 열전사 기록 방식 혹은 용융형 열전사 기록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승화형 열전사 기록 방식은, 열전사 리본과 피화상 기록 매체를 중합시킨 상태에서,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선택적으로 가열되는 발열체를 갖는 감열 헤드 등에 의해 각 화소를 전사한다. 상기 승화형 열전사 기록 방식에 이용되는 열전사 리본은, 상기 필름형의 지지체 상에 승화성(혹은, 열 이행성)의 염료가 코팅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화형 열전사 기록 방식에 이용되는 피화상 기록 매체는, 승화성 염료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층을 갖는 것이다.
상기 승화형 열전사 기록 방식에서는, 계조성이 풍부한 컬러 화상을 손쉽게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승화형 열전사 기록 방식에서는, 승화성 재료로 염색할 수 있는 재료가 한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승화형 열전사 기록 방식에서는, 한정된 특정한 기록 매체로의 화상 형성 처리로밖에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일반적으로 승화성 염료는 내광성, 내용제성 등의 화상 내구성이 떨어지고 있다.
한편, 상기 용융형 열전사 기록 방식은,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선택적으로 가열되는 발열체를 갖는 감열 헤드 등에 의해 용융형의 열전사 리본을 선택적으로 가열하고, 피화상 기록 매체에 각 화소를 전사한다. 상기 용융형 열전사 기록 방식에 이용되는 용융형의 열전사 리본은, 필름형의 지지체 상에 착색 안료 혹은 염료를 수지나 왁스 등의 바인더로 분산시킨 것을 코팅한 것이다.
상기 용융형 열전사 기록 방식에서는, 착색 재료를 일반적으로 내광성이 좋다고 하는 무기 및 유기 안료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융형 열전사 기록 방식에서는, 열전사 리본의 바인더에 이용하는 수지나 왁스 등을 고안함으로써 내용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융형 열전사 기록 방식에서는, 열전사 리본의 바인더에 대한 접착성을 갖고 있는 기록 매체로의 화상 형성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용융형 열전사 기록 방식은 다양한 기록 매체로의 화상 형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융형 열전사 기록 방식에서는, 전사하는 각 도트의 크기를 변화시켜 계조 기록을 행하는 도트 면적 계조법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용융형 열전사 기록 방식에서는, 전사하는 도트의 크기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전사하는 각 도트의 배열을 소위 지그재그형으로 배열하여 기록하는 방식(이후, 이것을 교대 구동 방식이라 칭함)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교대 구동 방식에서는, 인접하는 발열체의 열 간섭을 줄여 인접하는 화소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도트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에, 교대 구동 방식에 의한 화상 형성 처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엔진부(5)에서는, 교대 구동 방식에서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는, 상기 교대 구동 방식은,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홀수번째의 전사 도트(화소)와 짝수번째의 전사 도트(화소)를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1 라인마다 교대로 전사하는 방식인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1 도트마다 감열 헤드의 발열체를 교대로 구동하는 방식, 상세하게는, 각 화소가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된 화상을 기록하는 방식을 교대 구동 방식이라 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주주사 방향은 감열 헤드의 발열체의 배열 방향이고, 부주사 방향은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인 것으로 한다.
상기 교대 구동 방식에서는, 부주사 방향의 홀수 라인에 있어서의 주주사 방향의 홀수번째의 발열체와, 부주사 방향의 짝수 라인에 있어서의 주주사 방향의 짝수번째의 발열체를 교대로 구동한다. 이러한 교대 구동 방식에서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도트(6)가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된 화상이 형성된다.
도3a 및 도3b는, 감열 헤드의 발열체와 열전사 잉크 리본의 잉크층 내에서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3a 및 도3b 중 부호 7은 감열 헤드의 발열체를 나타내고 있다. 교대 구동이 아닌, 전체부의 발열체(7)를 구동하여 모든 도트를 기록하는 경우, 도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발열체(7) 사이의 거리가 좁다. 이로 인해, 인접하는 발열체 사이에서 열 간섭을 일으키고, 온도 분포가 평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3a 중 실선 a). 이것은, 인접하는 발열체(7) 사이에서 온도 콘트라스트가 없는 상태로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전체부의 발열체(7)를 구동하여 모든 도트를 기록하는 경우, 정확한 도트 크기 변조를 행할 수 없어 다계조의 기록이 곤란해진다.
한편, 기록 라인마다 인접하는 발열체(7)를 구동하지 않은 교대 구동 방식의 경우, 도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하고 있는 발열체(7) 사이의 거리가 넓다[상세하게는 각 발열체(7)의 피치의 2배의 거리로 되어 있음]. 이로 인해, 감열 헤드 내에서는, 구동하지 않고 있는 발열체(7)에 열이 발산한다. 이 결과, 구동하고 있는 발열체 사이에서 열 간섭을 거의 일으키는 일이 없고, 온도 분포는 가파르고 험준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3b 중 실선 b). 즉, 교대 구동 방식의 경우, 인접하는 발열체(7) 사이에서 온도 콘트라스트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교대 구동 방식에 서는, 전사하는 도트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인접하는 도트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각 도트의 크기를 확실하게 변조할 수 있어 면적 계조를 이용한 다계조의 기록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교대 구동 방식의 엔진부(5)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화상에 대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4는, 예를 들어 스캐너부(1)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4에서는, 각 화소에 대해 주주사 방향, 부주사 방향의 라인수를 숫자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부주사 방향의 1 라인(예를 들어, 도4 중에서는, 부주사 방향의 1번째의 라인에 있어서의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1 내지 512번째의 화소)분의 기록은, 도시하지 않은 감열 헤드의 구동 회로에 1 라인분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감열 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데이터로 전개한 후, 감열 헤드를 구동함으로써 행해진다.
감열 헤드에 있어서의 발열체의 교대 구동 방식(교대 구동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부주사 방향의 홀수 라인에 있어서의 홀수번째의 발열체와, 부주사 방향의 짝수 라인에 있어서의 짝수번째의 발열체를 기록 라인마다 교대로 구동한다. 이로 인해, 교대 구동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록되는 화상 데이터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록하지 않은(발열체를 구동하지 않은) 데이터(본 예에서는「0」데이터)를 지그재그형으로 배열하고,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기록을 행하는 화소 데이터를「0」데이터가 아닌 부분에 배열한 것으로 되어 있어야만 한다.
여기서, 교대 구동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록되는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는,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화소가「0」데이터로 되어 있어야만 한다. 이것은, 지그재그형의 화소 배열로 하기 전의 본래 화상에 다른 화상을 중첩한 후, 지그재그형으로 화소를 배열하면, 0 데이터로 한 부분의 화소의 정보를 잃게 되어, 중첩한 화상(매립 화상)의 정보의 일부를 잃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교대 구동 방식에서는, 도트를 지그재그형으로 재배열하여 화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도트를 전사하지 않은 부분의 화소 정보를 잃게 된다. 얼굴 화상과 같은 다계조 화상에서는, 지그재그형으로 화소 정보를 잃게 되어도, 얼굴 화상으로서의 정보를 잃게 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문자 혹은 기하학 모양 등 2치 화상에서는 지그재그형으로 도트를 전사하면, 전사되지 않은 부분의 화소 정보를 잃게 되기 때문에 문자 혹은 기하학 모양으로서 기능하지 않게 되는 일이 있다.
또한, 문자 혹은 기하학 모양 등을 얼굴 화상 등의 다계조 화상에 중첩한 화상은 위조나 변조가 어려워져 위변조 내성이 우수하다. 또한, 이러한 화상을 기록한 인쇄물은 위조나 변조가 어려워 위변조 내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교대 구동 방식으로 문자 혹은 기하학 모양 등의 2치 화상의 화소 정보를 잃게 되면, 다계조 화상에 중첩한 문자 혹은 기하학 모양이 기능하지 않는다.
이하, 상기 화상 중첩부(4)에 적용되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의 제1 화상 처리 방법과 제2 화상 처리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로 제1 화상으로서의 다계조 화상이 모노크롬 화상인 경우를 상정하는 것으로 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는, 제1 화상이 컬러 화상의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우선, 제1 화상 처리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6은, 제1 화상 처리 방법에 관한 화상 처리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상기 스캐너부(1)는, 각 화상이 Y, M, C 혹은 Y, M, C, K로 분해된 단색의 원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상기 입력 보정부(2) 및 상기 색 보정부(3)에서는 Y, M, C 혹은 Y, M, C, K로 분해된 상기 스캐너부(1)에 의해 취득한 원화상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입력 보정부 및 상기 색 보정부(3)에 의해 처리된 화상 데이터는, 제1 화상 데이터(피매립 화상)로서 상기 화상 중첩부(4)에 공급된다. 도7a는, 상기 화상 중첩부(4)에 공급된 제1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 제1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다계조 화상이다.
상기 화상 중첩부(4)는, 우선 상기 입력 보정부(2) 및 상기 색 보정부(3)에 의해 처리된 제1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를 지그재그형의 배열로 재배열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21). 상기 스텝 S21의 처리는, 상기 화상 중첩부(4)에 입력된 제1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를 상기 교대 구동 방식의 엔진부(5)에서 실제로 전사되는 도트에 대응하는 화소 배열로 변환하는 처리이다.
예를 들어, 도7b는, 도7a에 도시하는 제1 화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스텝 S21의 처리를 실시한 후의 제1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스텝 S21의 제1 화상 데이터에 대한 재배열 처리에서는, 도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처리 전의 제1 화상(지그재그형으로 배열하기 전의 화상) 데이 터에 있어서,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홀수번째의 행에서, 또한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짝수번째의 열의 각 화소(혹은,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짝수번째의 행에서, 또한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홀수번째의 열의 각 화소)가, 상기 교대 구동 방식의 엔진부(5)에서 실제로 전사되는 화소의 값으로 변환된다. 또한, 상기 이외의 각 화소는, 상기 교대 구동 방식의 엔진부(5)에서 전사되지 않는 화소의 값으로 변환된다. 또한, 전사되는 각 화소의 값은, 처리 전의 화상에 있어서 상기 화소를 포함하는 주주사 방향의 인접하는 화소의 데이터치와의 평균치로 변환해도 좋고, 처리 전의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화소의 값인 상태라도 좋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도7a에 도시하는 제1 화상 데이터는, 도7b에 도시하는 전사하는 각 화소가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된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한편, 상기 화상 중첩부(4)는,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중첩되는 제2 화상 데이터(매립 화상)에 대한 처리를 행한다(스텝 S22). 또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고, 문자 정보 등으로부터 생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화상 중첩부(4)에 입력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2치 화상이다.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 있어서, 상기 화상 중첩부(4)는,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를 잃게 되지 않도록,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45도 회전시키고, 또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를 부주사 방향의 1 라인마다 교대로 주주사 방향의 홀수번째와 짝수번째로 배치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도8a는 제2 화상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8b는 도8a의 제2 화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스텝 S22의 처리를 실시한 후의 제2 화상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상기 스텝 S22의 처리 결과로서, 도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2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는,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지그재그형의 배치로 치환된다. 또한, 도8b에 도시하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된 각 화소는, 상기 교대 구동 방식의 엔진부(5)에서 실제로 전사되는 도트에 대응한다. 따라서,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서는, 제2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는 잃게 되지 않고, 상기 교대 구동 방식의 엔진부(5)에서 실제로 전사되는 배열로 치환된다. 또한,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기 스텝 S22의 처리는, 상기 스텝 S21의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와는 별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화상 중첩부(4)는, 상기 스텝 S22의 제2 화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와 상기 스텝 S21의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평행하여 실행하도록 해도 좋고, 차례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게다가, 제2 화상 데이터가 소정의 화상 데이터인 경우, 상기 화상 중첩부(4)에서는, 상기 스텝 S22의 처리를 미리 실시해 두고, 그 처리 결과로서의 처리 완료된 제2 화상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등에 유지해 두도록 해도 좋다.
상기 스텝 S21에 의한 제1 화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와 상기 스텝 S22에 의한 제2 화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화상 중첩부(4)는, 상기 스텝 S22에서 처리된 제2 화상(매립 화상)을 상기 스텝 S21에서 처리된 제1 화상(피매립 화 상)에 중첩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23). 상기 스텝 S21에 의한 제1 화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에서는, 상기 화상 중첩부(4)에 입력된 제1 화상 데이터가, 상기 교대 구동 방식의 엔진부(5)에서 전사되는 도트에 대응하는 화소가 유효하게 되도록, 지그재그형의 화소 배열의 제1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또한, 상기 스텝 S22에 의한 제2 화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를 잃게 되지 않고 상기 교대 구동 방식의 엔진부(5)에서 전사되는 도트에 대응하는 화소가 되도록, 제1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치와 마찬가지인 지그재그형의 화소 배열의 제2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따라서, 상기 화상 중첩부(4)에서는, 상기 스텝 S21에서 처리된 제1 화상 데이터와 상기 스텝 S22에서 처리된 제2 화상 데이터와를 중첩함으로써, 상기 교대 구동 방식의 엔진부(5)에서 전사되는 도트에 대응하는 각 화소가 유효하게 되는 지그재그형의 배열의 중첩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스텝 S23의 처리에 의해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상기 제2 화상 데이터가 중첩된 화상(중첩 화상)은, 상기 화상 중첩부(4)로부터 상기 엔진부(5)로 공급된다. 이에 의해, 상기 엔진부(5)에서는, 상기와 같은 처리에 의해 얻어진 중첩 화상에 의해,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를 잃게 되지 않고 제1 화상에 제2 화상 데이터를 중첩한 화상을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한다.
다음에, 상기 제1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1 화상 데이터에 중첩되는 제2 화상 데이터에 실시되는 처리(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8a 및 도8b를 참조하면서 제2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의 제2 화상에 대한 처리(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8a에 도시하는 제2 화상 데이터는 j행 i열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8a에 도시하는 제2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화소의 내, 도면 중에 굵은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각 화소가, 제1 화상에 중첩되는 화상으로서 유효한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가 된다.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서는, 기준 위치(예를 들어 화상의 중심)의 화소를 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45도 회전시키고, 또한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 1 화소마다 각 화소가 배치되도록 상기 제2 화상 데이터가 변환된다. 이에 의해, 도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2 화상 데이터는,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각 화소가 지그재그형으로 재배열된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제1 화상 처리 방법에서는, 제2 화상의 회전 각도는 반시계 방향으로 45도로 한다. 단, 상기 회전 각도는 45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135도, 225도 및 315도라도 좋다.
예를 들어, 도8a에 도시하는 제2 화상에 있어서, 화소「11」은, 행방향에 있어서의 기준 위치이고, 또한 열방향에 있어서의 1행째의 화소이다. 또한, 여기서, 화소「11」을 포함하는 열을 기준 위치의 열(is번째의 열)이라 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 화소「11」은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 의해,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주사 방향의 1열째, 또한 부주사 방향의 1행째의 위치로 이동된다.
도8a에 도시하는 제2 화상에 있어서, 화소「22」는 행방향에 있어서의 기준 위치의 열이고, 또한 열방향의 2행째의 화소이다. 이 화소「22」는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 의해 주주사 방향의 2열째, 또한 부주사 방향의 2행째의 위치로 이동된다.
도8a에 도시하는 제2 화상에 있어서, 화소「33」은, 행방향에 있어서의 기준 위치의 열이고, 또한 열방향의 3행째의 화소이다. 이 화소「33」은,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 의해 주주사 방향의 3열째, 또한 부주사 방향의 3행째의 위치로 이동된다.
도8a에 도시하는 제2 화상에 있어서, 화소「44」는 행방향에 있어서의 기준 위치의 열이고, 또한 열방향의 4행째의 화소이다. 이 화소「44」는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 의해 주주사 방향의 4열째, 또한 부주사 방향의 4행째의 위치로 이동된다.
즉, 행방향에 있어서의 기준 위치의 열이고, 또한 열방향의 j행째에 위치하는 화소는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 의해 주주사 방향의 j열째이고, 부주사 방향의 j행째의 위치로 이동된다.
다음에, 도8a에 도시하는 제2 화상에 있어서, 화소「31」은 행방향에 있어서의 기준 위치의 열로부터 1개 전의 열(is - 1열째)이고, 또한 열방향의 2행째의 화소이다. 이 화소「31」은,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 의해 주주사 방향의 1열째이고, 또한 부주사 방향의 3행째로 이동된다.
도8a에 도시하는 제2 화상에 있어서, 화소「42」는 행방향에 있어서의 기준 위치의 열로부터 1개 전의 열(is - 1열째)이고, 또한 열방향의 3행째의 화소이다. 이 화소「42」는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 의해 주주사 방향의 2열째, 또한 부주사 방향의 4행째로 이동된다.
도8a에 도시하는 제2 화상에 있어서, 화소「13」은 행방향에 있어서의 기준 위치의 열의 다음의 열(is + 1열째)로, 열방향의 2행째의 화소이다. 이 화소「13」은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 의해 주주사 방향의 3열째, 또한 부주사 방향의 1행째로 이동된다.
도8a에 도시하는 제2 화상에 있어서, 화소「24」는, 행방향에 있어서의 기준 위치의 열의 다음의 열(is + 1열째)이고, 열방향의 2행째의 화소이다. 이 화소「24」는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 의해 주주사 방향의 4열째, 또한 부주사 방향의 2행째로 이동된다.
즉, 도8a에 도시하는 제2 화상에 있어서, j행 i열에 위치하는 화소는, 행방향의 기준 위치의 열로부터 화소까지의 거리를 a(a = is - i)로 하면,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주사 방향의 (j + a)열째, 또한 부주사 방향의 (j - a)행째로 이동(변환)된다. 예를 들어, 제2 화상에 있어서 1행 is열의 화소는, 주주사 방향의 1열째 또한 부주사 방향의 1행째로 이동된다. 또한, 제2 화상에 있어서 2행(is - 1)열의 화소는, 주주사 방향의 3{2 + [is - (is -1)]}열째 또한 1{2 - [is - (is - 1)]}행째로 이동된다. 제2 화상에 있어서 2행 (is + 1)열의 화소는, 주주사 방향의 1{2 + [is - (is + 1)]}열째 또한 3{2 - [is - (is + 1)]}행째로 이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서는, 도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2 화상에 있어서의 각 화소를 잃게 되지 않고, 도8b와 같이 45도 회전한 상태에서 지그재그형으로 재배열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중첩하는 화상은, 제2 화상에 있어서,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 의해 화소를 잃게 되지 않는 영역일 필요가 있다. 도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 S22의 처리 후의 화상에서는, 실시에 전사되지 않는 위치의 화소(무효인 화소)에는 전사되지 않는 데이터치인「0」이 설정된다. 즉, 실제로 중첩하는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는, 제2 화상에 있어서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서 잃게 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화소일 필요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화상에 있어서 소정의 영역(예를 들어, 도8a에 나타내는 굵은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화상의 각 화소는 잃게 되지 않고 교대 구동 방식의 엔진부(5)에서 실제로 전사되는 화소로서 45도 회전한 상태에서 지그재그형으로 재배열된다. 예를 들어, 도8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굵은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화소는,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서, 잃게 되지 않고 교대 구동 방식의 엔진부(5)에서 실제로 인쇄되는 화소로서 지그재그형으로 재배열된다.
또한, 제1 화상에 중첩하는 제2 화상은 다치 화상이라도 좋고, 문자나 기하학 모양 등의 2치 화상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문자나 기하학 모양 등의 2치 화상을 제2 화상으로 하는 경우, 재배열한 제1 화상의 각 화소에, 상기 스텝 S22의 처리가 실시된 2치 화상으로서의 제2 화상을 구성하는 각 화소의 화소치를 곱하면 중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2치 화상(제2 화상)의 인자하는 화소의 화소치를「0」, 인자하지 않은 화소의 화소치를「1」로 한다. 이 경우, 제2 화상의 각 화소의 화소치에는, 제1 화상의 대응하는 각 화소의 화소치가 곱해진다. 이에 의해, 제2 화상에 있어서 인자하는 화소가 중첩된 화소의 화소치는「0」이 되고, 제2 화상에 있어서 인자하지 않은 화소가 중첩된 화소의 화소치는 제1 화상의 화소치인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제2 화상에 있어서 화소치가「0」의 화소는 인자되지 않기 때문에, 0 데이터로서 2치 화상을 중첩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화상에 있어서 화소치가「0」인 화소는 중첩된 화상에 있어서도 화소치가「0」이 된다. 이로 인해, 제1 화상이 다계조 화상이라도, 다계조 화상으로서의 제1 화상에 있어서 화소치가「0」이 아닌 화소에도 제2 화상의 각 화소를 중첩할 수 있어, 제2 화상의 화소를 잃게 되는 일이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계조 화상 등의 제1 화상을 구성하는 각 화소를 지그재그형으로 배열하는 처리를 행하고, 2치 화상 등의 제2 화상을 45도 역회전시키고, 또한 제2 화상을 구성하는 각 화소를 지그재그형의 배열로 재배열하는 처리를 행하고, 상기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된 제1 화상에 45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된 제2 화상을 중첩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제2 화상의 화소를 잃게 되지 않고 제1 화상에 제2 화상을 중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제1 화상 처리 방법에 의해 생성된 화상이 기록된 기록물에 대해 설명한다.
도9는, 상기한 제1 화상 처리 방법을 적용한 화상 처리 장치에서 작성된 기록물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기록물(11)은, 예를 들어 제2 화상이 중첩되어 있는 제1 화상으로서의 얼굴 화상(12) 및 문자 정보(13)가 인쇄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화상으로서의 얼굴 화상(12)에는, 확대하면 식별 가능한 제2 화상으로서의 숫자 정보(14)가 중첩되어 있다. 또한, 도9에 나타내는 인쇄물의 예에서는, 제2 화상으로서의 숫자 정보(14)로서, 3화소 × 5화소로 이루어지는「1」및「2」가 중첩되어 있다. 즉,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물에 기록되어 있는 제1 혹은 제2 화상 처리 방법에 의해 생성된 화상에서는, 제2 화상으로서의 숫자 정보(14)의 화소를 잃게 되지 않고, 제1 화상으로서의 얼굴 화상(12)에 중첩되어 있다. 또한, 도9 내의 부호 15는 확대한 도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가령, 상기 제1 화상 처리 방법이 적용된 화상 처리 장치에서 작성된 기록물(11)을 진품으로 하면, 상기 제1 화상 처리 방법이 적용되어 있지 않은 것 외의 화상 처리 장치에서 작성된 기록물(11)에서는, 중첩한 숫자 정보(제2 화상)(14)의 화소 정보를 잃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인쇄물(11)에 인쇄되어 있는 화상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어야 하는 제2 화상의 각 화소를 잃게 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기록물(11)은 진품이라 판별할 수 있고, 중첩되어 있어야 하는 제2 화상의 화소를 잃게 되어 있으면, 기록물(11)은 진품이 아니라고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숫자 정보(14)의 화소 정보를 잃게 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면, 기록물(11)이 진품인지 여부를 고정밀도이면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어 기록물(11)의 위변조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화상 처리 방법에서는, 교대 구동 방식의 화상 형성 디바이스에서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는 화상이라도, 2치 화상 등의 매립 화 상(제2 화상)의 화소 정보를 잃게 되지 않고, 다계조 화상 등의 피매립 화상(제1 화상)에 매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처리의 결과로서, 위변조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화상을 생성할 수 있고, 그러한 화상이 기록된 위변조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인쇄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화상 처리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0은, 제2 화상 처리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스캐너부(1)는, 각 화소가 Y, M, C 혹은 Y, M, C, K로 분해된 단색의 제1 화상 데이터의 원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상기 입력 보정부(2) 및 색 보정부(3)에서는, 상기 스캐너부(1)에 의해 취득된 원화상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입력 보정부(2) 및 색 보정부(3)에 의해 처리된 화상 데이터는, 제1 화상 데이터로서 화상 중첩부(4)에 공급된다. 도11a는, 상기 화상 중첩부(4)에 공급되는 제1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열을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화상 데이터가 공급되면, 상기 화상 중첩부(4)에서는,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를 지그재그형의 배열로 재배열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31). 도11b는, 도11a의 제1 화상 데이터에 대해 각 화소를 지그재그형으로 재배열하는 처리(상기 스텝 S31의 처리)를 실시한 제1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a 및 도11b는, 도7a 및 도7b와 마찬가지이다. 즉, 상기 스텝 S31의 처리는, 상기 제1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의 상기 스텝 S21과 마찬가지인 처리이다.
다음에, 각 화소가 지그재그형의 배열로 배열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화상 중첩부(4)는 화상의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화상의 중심)를 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45도 회전시키도록 각 화소를 재배열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32). 도11c는, 도11b의 제1 화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스텝 S32(회전 처리)를 실시한 제1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 S32의 처리에서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된 각 화소를 시계 방향으로 45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행방향과 열방향으로 재배열한다.
예를 들어, 도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11」은 변환 후의 화상에 있어서, 1행째의 중심 위치로 이동한다. 「31」,「22」,「13」의 화소는 열방향의 2행째에 배치된다. 화소「22」는 열방향의 2행째에 있어서, 행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화소「1」과 동일 위치)에 배치된다. 화소「31」은 열방향의 2행째에 있어서 중심 위치의 좌측(화소「22」의 좌측)에 배치되고, 화소「13」은 열방향의 2행째에 있어서 중심 위치의 우측(화소「22」의 우측)에 배치된다. 즉, 각 화소는 열방향에 있어서, [(열방향의 라인 번호 + 행방향의 라인 번호)/2]번째의 행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화소의 재배열을 행하면, 도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화소 배열의 화상 데이터는, 도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화소 배열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다음에, 상기 화상 중첩부(4)는, 상기 스텝 S32의 처리가 실시된 제1 화상 데이터에 제2 화상 데이터를 중첩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33). 이 처리에서는, 상기 스텝 S32의 처리에 의해 유효한 화소가 배치되는 영역에 제2 화상을 중첩한 다. 예를 들어, 도11c에 도시하는 제1 화상 데이터에서는, 도면 중에 굵은 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유효한 화소가 배치되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상기 제1 화상 처리 방법의 경우와 같이 다치 화상이라도 좋고, 문자나 기하학 모양 등의 2치 화상이라도 좋다.
도12a는, 도11c에 도시하는 제1 화상 데이터에 제2 화상 데이터를 중첩한 중첩 화상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문자나 기하학 모양 등의 2치 화상을 중첩하는 경우, 상기 화상 중첩부(4)는, 상기 스텝 S32에서 처리된 제1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에 2치 화상으로서의 제2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값을 곱함으로써, 제1 화상 데이터에 제2 화상 데이터를 중첩한다. 예를 들어, 제2 화상으로서의 2치 화상에 있어서 인자하는 화소의 값을「0」으로 하고, 인자하지 않은 화소의 값을「1」로 한다. 이들 화소치를 대응하는 위치의 제1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에 곱하면, 2치 화상에 있어서 인자하는 화소의 화소치는「0」이 되고, 인자하지 않은 화소의 값은 원래의 상태로 된다. 따라서, 값이「0」인 화소는 인자되지 않기 때문에,「0」데이터로서 2치 화상을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스텝 S32의 처리가 실시된 제1 화상 데이터에 제2 화상 데이터를 중첩하면, 상기 화상 중첩부(4)는, 상기 스텝 S33에서 중첩 처리한 화상을 상기 스텝 S32의 처리와는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45도 회전시키면서, 각 화소를 지그재그형의 배열로 재배열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34).
도12b는, 도12a에 도시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스텝 S34의 처리(역회 전 처리)를 실시한 후의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 S33의 처리에서 제2 화상 데이터가 중첩된 각 화소는, 상기 스텝 S34의 처리에서는 잃게 되지 않고, 교대 구동 방식의 엔진부(5)에서 실제로 전사되는 도트에 대응하는 각 화소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스텝 S34에 의한 처리 결과로서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는, 교대 구동 방식의 엔진부(5)에서 실제로 전사되는 도트에 대응하는 각 화소가 유효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텝 S34에 의한 처리 결과로서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에서는, 교대 구동 방식의 엔진부(5)에서 실시에 전사되는 도트에 대응하는 각 화소에 제2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를 중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화상 처리 방법에서는 다계조의 제1 화상에 있어서의 화소를 지그재그형으로 배열한 후, 상기 제1 화상을 45도 회전시키면서 각 화소를 라인형으로 재배열하고, 그 제1 화상에 제2 화상을 중첩한 후, 다시 45도역회전시킴으로써 중첩 화상에 있어서의 각 화소를 지그재그형의 배열로 복귀하고자 하는 간단한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제2 화상 처리 방법에서는, 다른 화상의 화소 정보를 잃게 되지 않고, 다계조 화상에 다른 화상 정보를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화상 처리 방법에 의해 생성된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면,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인쇄물이 얻어진다. 즉, 상기 제2 화상 처리 방법에 의해 생성된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함으로써, 상술한 제1 화상 처리 방법에 의해 생성된 화상이 기록된 인쇄물과 마찬가지로 위변조 내성이 우수하고, 또한 진위 판정이 용이한 인쇄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상술한 내용인 상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다양한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나타나는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몇 가지의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걸치는 구성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해도 좋다.
부가의 장점 및 수정이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즉시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의 광범위한 태양에서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상세 및 대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양한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들의 등가물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발명의 개념의 사상 또는 범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은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2는 감열 헤드의 발열체를 교대 구동하였을 때의 도트의 배열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3a는 전체 발열체가 구동되는 경우의 감열 헤드의 발열체와 열전사 잉크 리본의 잉크층 내에서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3b는 각 발열체가 교대 구동되는 경우의 감열 헤드의 발열체와 열전사 잉크 리본의 잉크층 내에서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4는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화소의 배열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5는 화소가 지그재그형의 배열로 변환되어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화소의 배열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6은 제1 화상 처리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7a는 제1 화상 처리 방법에 의한 처리(제1 처리)가 적용되는 제1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b는 도7a의 제1 화상 데이터에 대해 제1 처리가 실시된 제1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a는 제1 화상 처리 방법에 의한 처리(제2 처리)가 적용되는 제2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b는 도8a의 제2 화상 데이터에 대해 제2 처리가 실시된 제2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제1 화상 처리 방법에 의해 생성된 화상을 인쇄한 기록물의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은 제2 화상 처리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11a는 제2 화상 처리 방법에 의한 처리(제1 처리)가 적용되는 제1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b는 도11a의 제1 화상 데이터에 대해 각 화소를 지그재그형으로 재배열 처리를 실시한 제1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c는 도11b의 제1 화상 데이터에 대해 회전 처리를 실시한 제1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a는 제2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1 화상 데이터에 제2 화상 데이터를 중첩한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열을 설명하는 위한 도면.
도12b는 도12a의 화상 데이터를 역회전 처리한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캐너부
2 : 입력 보정부
3 : 색 보정부
4 : 화상 중첩부
5 : 엔진부
6 : 도트
7 : 발열체
11 : 기록물
12 : 얼굴 화상
13 : 문자 정보
14 : 숫자 정보

Claims (8)

  1. 화상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이며,
    상기 화상은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교대의 기록 라인마다 주주사 방향의 짝수번째의 화소와 홀수번째의 화소가 기록하지 않은 데이터로 치환된 처리가 실시된 제1 화상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또한 각 화소를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교대의 기록 라인마다 주주사 방향의 홀수번째의 화소와 짝수번째의 화소로 변환하는 처리가 실시된 제2 화상이 중첩되어 있는 화상인, 화상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은 다계조 화상인, 화상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은 2치 화상인, 화상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45도인, 화상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
  5. 화상이 인쇄되어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로 인쇄된 인쇄물이며,
    상기 화상은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교대의 기록 라인마다 주주사 방향의 짝수번째의 화소와 홀수번째의 화소가 기록하지 않은 데이터로 치환된 처리가 실시된 제1 화상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고, 또한 각 화소를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교대의 기록 라인마다 주주사 방향의 홀수번째의 화소와 짝수번째의 화소로 변환하는 처리가 실시된 제2 화상이 중첩되어 있는 화상인, 화상이 인쇄되어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로 인쇄된 인쇄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은 다계조 화상인, 화상이 인쇄되어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로 인쇄된 인쇄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은 2치 화상인, 화상이 인쇄되어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로 인쇄된 인쇄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45도인, 화상이 인쇄되어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로 인쇄된 인쇄물.
KR1020080023602A 2005-09-07 2008-03-14 화상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 및화상이 인쇄되어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로 인쇄된인쇄물 KR100855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59320 2005-09-07
JPJP-P-2005-00259320 2005-09-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401A Division KR100852529B1 (ko) 2005-09-07 2006-09-06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968A KR20080036968A (ko) 2008-04-29
KR100855413B1 true KR100855413B1 (ko) 2008-08-29

Family

ID=375293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401A KR100852529B1 (ko) 2005-09-07 2006-09-06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장치
KR1020080023602A KR100855413B1 (ko) 2005-09-07 2008-03-14 화상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 및화상이 인쇄되어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로 인쇄된인쇄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401A KR100852529B1 (ko) 2005-09-07 2006-09-06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64847B2 (ko)
EP (1) EP1763218B1 (ko)
JP (1) JP2007104642A (ko)
KR (2) KR100852529B1 (ko)
TW (1) TW2007266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8614A (ja) * 2007-09-27 2009-04-23 Toshiba Corp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640A (ja) * 1995-06-27 1997-01-14 Toshiba Corp 画像記録方法および画像記録装置
KR0160625B1 (ko) * 1993-03-31 1999-05-01 김광호 열전사헤드와 열전사 프린터장치
JP2001071550A (ja) 1999-09-08 2001-03-21 Sony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のラインヘッドコントローラ,サーマルプリンタ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の印画方法
JP2002166586A (ja) 2000-11-30 2002-06-11 Toshiba Tec Corp ラインサーマルプリンタ及びその印字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739B2 (ja) 1986-11-11 1994-08-1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熱転写型印刷装置
JPH06101049B2 (ja) * 1988-03-25 1994-12-12 インターナシヨ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ヨン 文字列検出方法
JP3152799B2 (ja) * 1993-05-31 2001-04-0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熱記録方法
JP2002326380A (ja) * 2001-05-02 2002-11-12 Toshiba Corp 画像処理方法
CA2435659A1 (en) * 2002-07-23 2004-01-23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method
JP4088191B2 (ja) * 2003-04-23 2008-05-21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記録装置
JP4227048B2 (ja) * 2003-04-25 2009-02-18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625B1 (ko) * 1993-03-31 1999-05-01 김광호 열전사헤드와 열전사 프린터장치
JPH0911640A (ja) * 1995-06-27 1997-01-14 Toshiba Corp 画像記録方法および画像記録装置
JP2001071550A (ja) 1999-09-08 2001-03-21 Sony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のラインヘッドコントローラ,サーマルプリンタ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の印画方法
JP2002166586A (ja) 2000-11-30 2002-06-11 Toshiba Tec Corp ラインサーマルプリンタ及びその印字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04642A (ja) 2007-04-19
KR20080036968A (ko) 2008-04-29
KR100852529B1 (ko) 2008-08-14
US20070052990A1 (en) 2007-03-08
KR20070028243A (ko) 2007-03-12
TW200726656A (en) 2007-07-16
EP1763218B1 (en) 2013-12-04
EP1763218A2 (en) 2007-03-14
US7764847B2 (en) 2010-07-27
EP1763218A3 (en)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60896B1 (en) A method of printing a substrate and a printing device adapted to performing this method
US4492965A (en) Thermal transfer printing method
JP5290159B2 (ja) 活性化プリンタと共に使用する媒体及びこのような媒体のための活性化プリンタ
JP5134822B2 (ja)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および印刷物
KR100855413B1 (ko) 화상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 및화상이 인쇄되어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로 인쇄된인쇄물
JPH10109436A (ja) カラー画像記録方法、カラー画像記録装置、及びカラー画像記録制御方法
JP4483748B2 (ja) 画像形成体
JP3270093B2 (ja) 画像作成装置
JP2001219599A (ja) 画像形成方法
JP2967254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US6404510B1 (en) Image printing method
US8031374B2 (en) Thermal recording device, image forming method and printed matter
JP4358199B2 (ja) 感熱記録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印画物
JP2002326380A (ja) 画像処理方法
JP4291005B2 (ja) 画像記録装置
JP4574996B2 (ja) 印刷物
JPH10217528A (ja) カラー画像記録方法、カラー画像記録装置、及びカラー画像記録制御方法
JPH08290596A (ja) フルカラー記録装置
JP3230918B2 (ja) カラー熱転写プリンタにおける階調制御方法
JP2001121729A (ja) カラーサーマルプリンタの記録方法
JPH10193656A (ja) カラー画像記録方法、カラー画像記録装置、及びカラー画像記録制御方法
JPH10278327A (ja) 画像記録方法
JPH10151806A (ja) カラー画像記録方法、カラー画像記録装置、及びカラー画像記録制御方法
JP2003312035A (ja) 画像形成方法
JP2003182132A (ja) サーマルプリンタの記録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