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051B1 -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051B1
KR100855051B1 KR1020060101466A KR20060101466A KR100855051B1 KR 100855051 B1 KR100855051 B1 KR 100855051B1 KR 1020060101466 A KR1020060101466 A KR 1020060101466A KR 20060101466 A KR20060101466 A KR 20060101466A KR 100855051 B1 KR100855051 B1 KR 100855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user
wireless communication
wir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166A (ko
Inventor
정윤기
Original Assignee
(주)이너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너큐브 filed Critical (주)이너큐브
Priority to KR1020060101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051B1/ko
Publication of KR20080035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는 차량 정보를 생성하기 원하는 소정의 경로 간격 및 소정의 시간 간격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사용자 설정 모듈 및 상기 설정된 간격마다 차량의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정보 생성 모듈을 포함한다.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다른 차량 정보 관리 장치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정보를 입력 받는 제 2 차량 정보 수신 모듈, 상기 입력된 차량 정보를 각 정보에 대응하는 항목으로 관리하고, 상기 관리되는 차량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차량 정보 관리 모듈 및 상기 관리되는 차량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제 2 차량 정보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차량 정보, GPS, 네비게이션, 이동통신 단말기, VM 서비스

Description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vehicles information by using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VM 서비스를 이용한 차량 정보 업데이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VM 서비스를 사용한 실시예이다.
도 7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또 다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1 : 사용자 설정 모듈
102 : 차량 정보 생성 모듈
103 :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
104 : 제 1 차량 정보 수신 모듈
105 : 알림 모듈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단말기의 GPS 정보, 네비게이션 정보, 차량 상태 및 운행 정보를 통해 차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량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한 후, 전송된 내용을 외부기기에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칭함)은 1970년 초 미국 국방부가 지구상에 있는 물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60억불을 들여 만든 군사 목적의 시스템이다.
그러나, 일부를 민간에게 개방하는 것을 전제로 미 의회에서 승인되어 민간 에서도 널리 사용되게 되었으며, GPS 기술과 더불어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이하 GIS라 칭함)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GPS가 탑재된 네비게이션 차량 단말기(이하, 네비게이션이라 칭함)가 보급되기 시작했고, 과거 수 백만원을 호가하던 네비게이션이 현재는 기술의 발전과 대량 생산으로 인해 저렴한 가격에 보급되면서 점차 대중화되고 있다.
최근의 네비게이션은 단순히 이동 경로만을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차계부나 정비 이력과 같은 차량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고, 사진, 동영상 감상 기능 등 많은 부가 기능들이 추가되어 멀티 미디어 기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GIS 기술의 발달로 네비게이션에서 사용하는 지도는 더욱 자세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었다.
그러나 GIS 기술의 발달로 인한 지도의 업데이트에 따라 사용자의 네비게이션 지도 업데이트도 그 만큼 자주 발생하게 되었으며, 사용자는 이를 위해 네비게이션을 차량에서 분리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PC에 네비게이션을 연결하거나 서비스 센터에 방문하여 업데이트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네비게이션에 저장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차계부, 소모품 교환 시기, 정비 이력과 같은 차량 정보의 경우는 네비게이션에서만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는 한계가 있었으며, 네비게이션에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과 같은 파일을 외부기기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네비게이션 지도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처럼 차량에서 네비게이션을 분리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PC에 네비게이션을 연결한 후 PC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하고자 하는 외부기기로 해당 파일을 전송할 수 있었 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사용자가 소모품 교환 시기와 같은 차량 정보를 네비게이션에 입력할 수 있지만, 이는 단순히 정보만을 입력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소모품 교환 시기를 기억하거나, 네이게이션을 작동시켜 해당 정보를 확인하지 않고서는 소모품 교환 시기가 도래하여도 이를 인지하지 못하여 차량 관리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 상술한 불편을 해결하고자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의 지도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었지만, 이는 단순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지도만을 업데이트 할 뿐, 상술한 불편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을 통하여 차량 정보의 실시간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하여 시간 및 장소에 제한 받지 않고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단말기에서 생성된 차량 정보를 웹 서버와 같은 외부기기로 실시간 또는 원하는 시간에 전송하여 해당 차량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관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 중 생성된 차량 정보를 웹 서버와 같은 외부기기로 실시간 전송하여 전송된 차량 정보를 교통 사고와 같은 차량 관련 사건 해결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소모품 교환 시기를 입력하고 해당 시점이 되면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지속적으로 차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는 차량 정보를 생성하기 원하는 소정의 경로 간격 및 소정의 시간 간격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사용자 설정 모듈 및 상기 설정된 간격마다 차량의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정보 생성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정보를 입력 받는 제 2 차량 정보 수신 모듈, 상기 입력된 차량 정보를 각 정보에 대응하는 항목별로 관리하고, 상기 관리되는 차량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차량 정보 관리 모듈 및 상기 관리되는 차량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제 2 차량 정보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방법은 차량 정보를 생성하기 원하는 소정의 경로 간격 및 소정의 시간 간격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사용자 설정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간격마다 차량의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방법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정보를 입력 받는 제 2 차량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입력된 차량 정보를 각 정보에 대응하는 항목별로 관리하고, 상기 관리되는 차량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차량 정보 관리 단계 및 상기 관리되는 차량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제 2 차량 정보 송신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100)는 GPS, 네비게이션 및 차량 진단 장치와 같은 차량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100)는 차량 정보를 생성하기 원하는 소정의 경로 간격 및 소정의 시간 간격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사용자 설정 모듈(101), 설정된 간격마다 차량의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정보 생성 모듈(102), 생성된 차량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는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103), 생성된 차량 정보를 최신 정보로 유지하기 위해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차량 정보 수신 모듈(104),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차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 모듈(10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모듈(101)은 차량 정보를 생성하기 원하는 소정의 경로 간격 및 소정의 시간 간격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한다.
여기에서 '차량 정보'란 GPS, 네비게이션, 차량 진단 장치와 같은 차량 단말 기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해당 차량의 최저 속도, 최고 속도, 평균 속도, 주행 경로, 주행 거리, 주행 시간, 운전 성향, 차량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버전(Version)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 정보는 상술한 차량 단말기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정보 외에도 차량 정비이력, 차계부, 오일 교환 시기와 같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 가능한 정보도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차량 정보의 범위는 상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술한 차량 단말기의 성능 및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에 따라 그 범위가 확대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설정 모듈(101)을 통해서 소정의 경로 간격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경로 간격은 키로미터(km, 이하 km라 칭한다) 단위로 설정할 수 있고, 시간 간격은 소정의 분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정의 경로 간격 및 소정의 시간 간격은 상술한 km단위와 분단위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그 밖에도 사용자는 사용자 설정 모듈(101)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에 차량 정비이력, 차계부, 오일 교환 시기 및 해당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주기 등과 같은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은 후에 설명하는 알림 모듈(105)을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설정 정보를 알릴 수 있다.
한편, 차량 정보 생성 모듈(102)은 사용자 설정 모듈(101)에서 설정된 간격마다, 상술한 차량의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설정 모듈(101)을 통해서 10km 단위로 경로 간격을 설정한다면,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매 10km마다 상술한 차량 정보를 생성하며, 사용자가 사용자 설정 모듈(101)을 통해서 10분 단위로 시간 간격을
설정한다면,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매 10분마다 상술한 차량 정보를 생성하고 소정의 저장소(미도시)에 해당 차량 정보를 사용자 설정 모듈(101)을 통해서 설정한 간격마다 저장한다.
또한 차량 정보 생성 모듈(102)은 사용자 설정 모듈(101)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차량 정비이력, 차계부, 오일 교환 시기와 같은 정보들을 소정의 저장소(미도시)에 저장하여 추후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조회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103)은 차량 정보 생성 모듈(102)에서 소정의 간격마다 생성된 차량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유무선 통신으로 외부 기기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외부 기기는 상술한 차량 정보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기기로서, 차량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사용자의 개인 컴퓨터(PC) 및 GPS,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의 웹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유무선 통신은 유선 및 무선 통신 중 어느 한가지 방법을 선택하여 생성된 차량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선 통신의 예로는,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와 상술한 외부기기에 USB 통신 포트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의 USB 통신 포트와 상술한 외부기기의 UBS 통신 포트를 연결하여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의 예로는 도 1에 도시된 장치(100)를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츄얼 머신(Virtual Machine, 이하 VM이라 칭한다)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참고로, VM 서비스란 모바일 게임처럼 모바일 차량 정보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한 번만 다운받아 휴대폰에 저장해 두면, 지속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해당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 이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웹과 비슷한 환경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기존 텍스트만으로 구성된 무선 인터넷 보다 사용자에게 더 직관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술한 외부기기는 GPS,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의 웹 서버가 되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이동 통신 회사와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VM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무선 통신,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VM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103)을 통해 상술한 차량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시간 및 장소에 제한 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전송 할 수 있다.
제 1 차량 정보 수신 모듈(104)은 생성된 차량 정보를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 하기 위해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VM 서비스를 이용한 차량 정보 업데이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에 이동통신 단말기(210)를 연결하고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VM 서비스를 사용하여 외부기기인 서비스 업체의 서버(220)에 접속한다.
접속 후, 사용자는 VM 서비스의 화면에서 차량 정보 중 하나인 지도 업데이트 항목을 선택하고 지도의 현재 버전을 확인하여 서비스 업체의 서버(220)로부터 업데이트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이동통신 단말기(210)의 VM 서비스를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정보를 시간 및 장소에 제한 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유무선 통신을 통한 차량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의 전송 외에도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에 소정 단자(미도시)가 존재한다면, 소정 용량의 스마트 카드를 삽입하여 차량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알림 모듈(105)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차량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설정 모듈(101)을 통하여 오일 교환 시기를 현재 주행 거리로부터 소정의 km 후로 설정하면, 알림 모듈(105)은 차량 정보 생성 모듈(102)에서 소정의 간격마다 생성하는 주행 거리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오일 교환 시기로 설정한 해당 km의 주행거리에 도달했을 때 사용자에게 오일 교환 시기가 되었음을 다양한 효과음이나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통하여 알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3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정보를 입력 받는 제 2 차량 정보 수신 모듈(301), 수신된 차량 정보를 각 정보에 대응하는 항목별로 관리하고, 관리되는 차량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 관리되는 차량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제 2 차량 정보 송신 모듈(303) 및 차량 정보 중 일부를 입력, 수정 및 삭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작업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모듈(30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와 연결되어 차량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했던 외부 기기가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에 해당된다.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의 제 2 차량 정보 수신 모듈(301)은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의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103)에서 송신한 차량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 받는다.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103)이 USB 통신 포트를 이용한 유선 통신으로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에 차량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송신한다면, 제 2 차량 정보 수신 모듈(301)은 유선 통신으로 해당 정보를 입력받고, 만일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103)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VM 서비스를 이용한 무선 통신으로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에 차량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송신한다면, 제 2 차량 정보 수신 모듈(301)은 무선 통신으로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의 해당 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사용자가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의 차량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103)을 통해 스마트 카드에 저장했을 경우,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의 제 2 차량 정보 수신 모듈(301)은 스마트 카드를 통해 해당 정보를 입력받는다.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은 제 2 차량 정보 수신 모듈(301)을 통해 입력된 차량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각 정보에 대응하는 항목별로 관리한다.
즉,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은 제 2 차량 정보 수신 모듈(301)을 통해 입력된 차량 정보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분석하여 최고 속도, 최저 속도, 평균 속도, 해당 시간과 같은 속도 관련 정보는 속도 항목으로, 주행 거리 및 주행 시간과 같은 거리 관련 정보는 거리 항목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오일 교환 시기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소모품 교환 관련 정보는 소모품 교환 항목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차계부 또는 정비 이력 관련 정보는 각각 차계부, 정비 이력 항목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을 통해 사용자는 상술한 각각의 항 목을 선택하여 해당 내용을 조회할 수 있으며, 여러 항목을 함께 선택하는 경우, 선택한 항목들을 통합하여 동시에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속도 항목을 선택하면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은 최고 속도, 최저 속도, 평균 속도, 해당 시간과 같은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가 속도 항목과 거리 항목, 경로 항목을 선택하면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은 사용자가 선택한 경로 항목에 해당하는 거리와 최고 속도, 최저 속도, 평균 속도, 해당 시간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날짜에 주행한 경로와 주행 시간 그리고 시간 별 최고 속도, 최저 속도, 평균 속도 등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해 자동차 사고 및 자동차 사고와 관련된 여러 사건들을 해결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가 탑재된 두 차량(이때 두 차량 모두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VM 서비스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생성된 차량 정보를 전송하고 있다고 가정한다)이 서로 충돌하였을 경우, 경찰이나 보험회사에서 도 3에 도시된 장치(300)를 통해 사고 발생 시간대에서 두 차량의 주행 경로, 최고 속도, 최저 속도, 평균 속도, 주행 시간 등을 참고로 사고의 과실 여부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은 지도, 관심지점(Point Of Interest, POI), 지번과 같은 네비게이션 항목을 관리한다.
도 2를 통해 설명한 것처럼, 만일 도 3에 도시된 장치(300)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서버라면, 서비스 업체는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을 통해 지도, 관 심지점, 지번과 같은 네비게이션 항목을 최신 정보로 유지하고, 고객들에게 해당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 서비스는 고객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실행되는 경우와 고객의 요청이 없더라도 고객이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에서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에 접속했을 때 수시로 차량 정보를 체크하여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의 차량 정보가 최신일 경우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은 고객이 사용하는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의 고유번호와 매핑된 인증번호를 저장하고, 업데이트 작업이 실행될 때마다 해당 고유번호와 인증번호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업데이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모듈(304)을 통해서 차량 정보 일부분의 입력, 수정 및 삭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작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 정보 일부분'이란, 최고 속도, 최저 속도, 평균 속도, 해당 시간 및 경로와 같은 객관적인 차량 정보를 제외한 차계부, 오일 교환 시기와 같은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최고 속도, 최저 속도, 평균 속도, 해당 시간 및 경로와 같은 객관적인 차량 정보는 조회만 가능하지만, 차계부, 정비 이력, 오일 교환 시기, 소모품 교환 시기와 같은 차량 정보들은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의 사용자 설정 모듈(101)에서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의 사용자 입력 모듈(304)을 통해서도 해당 정보의 입력, 수정 및 삭제 중 어느 한 가지를 선택하여 작업하고 해당 작업 결과를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에서 버전으로 관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장치(100)가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에 접속했을 때,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은 여러 항목으로 관리되는 정보의 버전을 각각 확인하고,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의 정보가 최신 정보일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도 1에 도시된 장치(100)로 전송하여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에서도 최신의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 차량 정보 송신 모듈(303)은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에서 각 항목별로 관리되는 차량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유무선 통신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에서 설명한 업데이트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경우, 제 2 차량 정보 송신 모듈(303)은 고객이 사용하는 도 1에 도시된 장치(100)로 해당 업데이트 정보를 송신하고, 고객은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의 제 1 차량 정보 수신 모듈(104)을 통해서 해당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고객이 사용하는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의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103)이 USB 통신 포트를 이용한 유선 통신으로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에 접속했다면,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의 제 2 차량 정보 송신 모듈(303)은 유선 통신으로 업데이트 정보를 송신하고, 만일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103)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VM 서비스를 이용한 무선 통신으로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에 접속했다면, 제 2 차량 정보 송신 모듈(303)은 무선 통신으로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에 업데이트 정보를 송신한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의 사용자 설정 모듈(101)을 통해 소정의 경로 간격 및 소정의 시간 간격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한다(S401).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설정 모듈(101)을 통해서 차량 정비이력, 차계부, 오일 교환 시기와 같은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S401 후, 차량 정보 생성 모듈(102)은 S401 에서 설정한 간격마다 GPS, 네비게이션, 차량 진단 장치와 같은 차량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최저 속도, 최고 속도, 평균 속도, 주행 경로, 주행 거리, 주행 시간, 운전 성향과 같은 차량 정보를 생성하고 소정의 저장소에 해당 정보를 저장한다(S402).
이때, 알림 모듈(105)은 사용자 설정 모듈(101)에서 설정한 오일 교환 시기의 주행거리에 도달하면 효과음이나 지도가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오일 교환 시기가 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S403).
S402 에서 생성되어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가 외부기기로 송신하기 원할 경우 유무선 통신 사용 여부에 따라 송신 방법이 달라진다(S404).
유선 통신을 사용할 경우,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103)은 USB 통신 포트를 연결하여 외부기기에 전송할 수 있고(S405), 무선 통신을 사용할 경우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103)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VM 서비스에 접속되어(S406) S402에서 생성된 후 저장된 정보를 외부기기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S407).
S407 후, 외부기기는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103)에서 송신한 정보를 수 신하고, 에러 없이 수신했음을 알리는 수신 응답을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에 송신하면, 제 1 차량 정보 수신 모듈(104)은 외부기기가 송신한 응답을 수신한다(S408).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의 사용자 설정 모듈(101)을 통해 오일 교환 시기, 차계부, 정비 이력과 같은 정보를 직접 입력한다(S401).
이때, 입력된 정보는 차량 정보 생성 모듈(102)에서 소정의 저장소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기 위해 유선 통신을 사용할 경우(S502),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103)은 개인 PC와 USB 통신 포트를 통해 연결되고 개인 PC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기기로 접속한 후(S503),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송신한다(S505).
만일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기 위해 무선 통신을 사용할 경우(S502),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103)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VM 서비스에 접속한 후(S504), 외부기기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송신한다(S505).
S505 후, 외부기기는 제 1차량 정보 송신 모듈(103)에서 송신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정보가 외부기기에 저장된 정보보다 최신 정보인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를 다시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100)로 송신한다(S506).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의 제 1 차량 정보 수신 모듈(104)은 S506에서 송신한 결과(메시지)를 수신하여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한다(S507).
확인 결과,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면 사용자는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한다(S508).
사용자가 현재 업데이트를 원하지 않고 추후에 업데이트를 원할 경우, 업데이트를 원하지 않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종료한다(S509).
만일, 업데이트를 원할 경우, 사용자는 업데이트를 원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103)을 통하여 외부기기로 송신하고(S510), 외부기기로부터 최신 정보를 제 1 차량 정보 수신 모듈(104)을 통해 수신한다(S511).
S511 후,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100)는 해당 장치의 정보를 수신한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한 후, 업데이트 완료 메시지를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103)을 통하여 외부기기로 송신한다(S512).
도 6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VM 서비스를 사용한 실시예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와 같은 차량 단말기가 상기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VM 서비스를 통해 접속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간격마다 차량의 최고 속도, 최저 속도, 평균 속도, 해당 시간과 같은 차량 정보를 송신하면, 상기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의 제 2 차량 정보 수신 모듈(301)은 해당 차량 정보를 수신한다(S601).
S601 후,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은 제 2 차량 정보 수신 모듈(301)에서 수신한 차량 정보를 각 항목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S602),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 해당 정보를 항목별 또는 여러 항목을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S603).
S602에서 에러 없이 차량 정보를 수신하면, 제 2 차량 정보 송신 모듈(303)은 차량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로 송신한다(S603).
도 7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와 같은 차량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VM 서비스를 사용하여 상기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에 접속하거나,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와 같은 차량 단말기가 USB 통신 포트를 사용하여 PC에 연결된 후, PC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에 접속하면, 제 2 차량 정보 수신 모듈(301)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100)로부터 차량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수신한다(S701).
S701 후,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은 수신한 정보들을 각 항목별로 분류하고(S702) 기존의 정보보다 최신 정보인지를 각 항목별로 비교한다(S703).
S703 결과,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기존 정보보다 최신의 정보인 항목들이 존재한다면,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은 해당 항목의 정보를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한다(S704).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제 2 차량 정보 송신 모듈(303)은 업데이트 완료 메시지를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100)로 송신한다(S705).
만일 S703 결과, 기존 정보가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보다 최신의 정보라면, 제 2 차량 정보 송신 모듈(303)은 업데이트가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100)로 송신하고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할 응답을 제 2 차량 정보 수신 모듈(301)을 통해 수신한다(S706).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은 S706에서 수신한 응답 메시지를 통해 업데이트 정보 송신 여부를 판단한다(S707).
사용자가 업데이트를 원한다면, 제 2 차량 정보 송신 모듈(303)은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100)로 송신하고(S708),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100)로부터 업데이트 완료 메시지를 제 2 차량 정보 수신 모듈(301)을 통해 수신한다(S709).
도 8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또 다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장치(100)와 같은 차량 단말기가 USB 통신 포트를 사용하여 PC에 연결된 후, PC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도 3에 도시된 장치(300)에 접속한다(S801).
S801 후, 사용자는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을 통하여 각 항목별로 저장된 차량 정보들을 조회한다(S802).
이때, 사용자는 하나의 정보 항목만을 조회할 수 있고, 여러 정보 항목을 선택할 경우 통합된 화면을 조회할 수 있다.
S802 후,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모듈(304)을 통하여 차량의 최고 속도, 최저 속도, 평균 속도, 해당 시간과 같은 객관적인 차량 정보를 제외한 오일 교환 시기, 차계부, 정비 이력과 같은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정보들을 추가로 입력하거나 기존 내용을 수정 또는 삭제하여 저장한다(S803).
S803 후, 차량 정보 관리 모듈(302)은 S803에서 저장된 각 항목별 정보들의 버전을 관리하여 최신 정보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한다(S804).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VM 서비스와 같은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차량 정보의 실시간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하여 시간 및 장소에 제한 받지 않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 단말기에서 생성된 차량 정보를 웹 서버와 같은 외부기기로 실시간 또는 원하는 시간에 전송하여 해당 차량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생성된 차량 정보를 웹 서버와 같은 외부기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전송된 차량 정보를 교통 사고와 같은 차량 관련 사건 해결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차량 소모품 교환 시기를 입력하고 해당 시점이 되면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지속적인 차량을 관리를 도울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16)

  1. 차량 정보를 생성하기 원하는 소정의 경로 간격 및 소정의 시간 간격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사용자 설정 모듈; 및
    상기 설정된 간격마다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정보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차량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는 제 1 차량 정보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차량 정보를 최신 정보로 갱신하기 위해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차량 정보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차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 모듈을 더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5. 유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정보를 입력 받는 제 2 차량 정보 수신 모듈;
    상기 수신된 차량 정보를 각 정보에 대응하는 항목별로 관리하고, 상기 관리되는 차량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차량 정보 관리 모듈; 및
    상기 관리되는 차량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제 2 차량 정보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외부 기기에서 생성된 차량 정보 및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차량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입력 받는 차량 정보의 최신 데이터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 정보의 갱신 여부를 결정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관리 모듈은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 다수의 차량 정보 항목을 통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9. 차량 정보를 생성하기 원하는 소정의 경로 간격 및 소정의 시간 간격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사용자 설정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간격마다 차량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차량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는 제 1 차량 정보 송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차량 정보를 최신 정보로 갱신하기 위해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차량 정보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차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방법.
  13. 유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정보를 입력 받는 제 2 차량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수신된 차량 정보를 각 정보에 대응하는 항목별로 관리하고, 상기 관리 되는 차량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차량 정보 관리 단계; 및
    상기 관리되는 차량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하는 제 2 차량 정보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외부 기기에서 생성된 차량 정보 및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차량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관리 단계는 상기 입력 받는 차량 정보의 최신 데이터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 정보의 갱신 여부를 결정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관리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 다수의 차량 정보 항목을 통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방법.
KR1020060101466A 2006-10-18 2006-10-18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855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466A KR100855051B1 (ko) 2006-10-18 2006-10-18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466A KR100855051B1 (ko) 2006-10-18 2006-10-18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166A KR20080035166A (ko) 2008-04-23
KR100855051B1 true KR100855051B1 (ko) 2008-08-29

Family

ID=3957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466A KR100855051B1 (ko) 2006-10-18 2006-10-18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0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665A (ko) * 2017-03-21 2018-10-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모듈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159A (ko) * 2012-12-2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제어기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930A (ko) * 1998-12-29 2000-07-15 강병호 이동통신망을이용한차량상태관리방법및그시스템
KR20020045794A (ko) * 2000-12-11 2002-06-20 구자홍 차량 상태 점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930A (ko) * 1998-12-29 2000-07-15 강병호 이동통신망을이용한차량상태관리방법및그시스템
KR20020045794A (ko) * 2000-12-11 2002-06-20 구자홍 차량 상태 점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665A (ko) * 2017-03-21 2018-10-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모듈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2249599B1 (ko) * 2017-03-21 2021-05-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모듈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166A (ko)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1617B2 (en) Selected driver notification of transitory roadtrip events
US8671365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cursor for indicating context data in a mapping application
US10152679B2 (en) Wireless remote asset tracking system and method
EP1681536B1 (en) Map distributing device, map acquiring device, map processing system, map distributing method, map acquiring method, map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map processing program
US9677903B2 (en) Selected driver notification of transitory roadtrip events
US10578444B2 (en) Guidance device, guidance method, and guidance program
US11204256B2 (en) Communication terminal, movement guidanc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WO2005124724A1 (ja) 地図データ提供方法
JP7410722B2 (ja) ナビゲーションマヌーバに関連付けるためのpoiを選択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855051B1 (ko)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3961824A (zh) 用于导航目的地输入的内联搜索查询细化
JP202002451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9105612A (ja) 車載装置、情報提示方法
JP6747098B2 (ja) サーバ装置、通信端末、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00039941A (ko) 지도데이터의 부분 업데이트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060082064A (ko) 네비게이션 위치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WO2019117048A1 (ja) 車載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示方法
JP704772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6747097B2 (ja) サー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051543A (ko) 텔레매틱스 시스템에서의 위치기반 상품정보 제공 방법
JP2019219892A (ja) 交通情報処理装置、交通情報処理方法および交通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3205186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20035382A (ko) 경로 안내 시스템 및 경로 안내 방법
JP6516793B2 (ja) 経路情報提供サーバ、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経路情報提供方法
CN110874951B (zh) 路况渲染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