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768B1 -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768B1
KR100854768B1 KR1020060134110A KR20060134110A KR100854768B1 KR 100854768 B1 KR100854768 B1 KR 100854768B1 KR 1020060134110 A KR1020060134110 A KR 1020060134110A KR 20060134110 A KR20060134110 A KR 20060134110A KR 100854768 B1 KR100854768 B1 KR 100854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nergy
hybrid vehicle
power transmiss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3429A (ko
Inventor
이장무
김남욱
윤영민
하승범
조성태
안국현
양호림
김범수
이병길
양시우
전유광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60134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768B1/ko
Publication of KR20080063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4Series-parallel type
    • B60K6/445Differential gearing distribution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동력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에너지를 효율적인 방법으로 컨트롤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하이브리드(hybrid) 차량용 동력전달장치가 개시된다.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엔진을 포함하며, 썬기어, 엔진의 출력축과 연동하는 유성기어 및 링기어를 포함하는 동력 분배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썬기어와 연동하는 내부 로터, 링기어와 연동하며 내부 로터의 주변을 회전하는 외부 로터 및 외부 로터의 주변에 위치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발전 부재 및 링기어 및 외부 로터와 연동하는 모터 출력축을 포함하는 모터를 구비한다. 따라서, 발전 부재로 전달되는 엔진의 동력을 줄이며, 그로 인하여 발전 부재에서 회전력이 전기에너지로 전환될 때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동력 분배 부재, 썬기어, 내부 로터, 발전 부재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도 1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전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모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하이브리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엔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회생제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감속비에 따른 효율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엔진 120:모터
130:동력분배부재 132:유성기어
134:썬기어 135:링기어
140:제너레이터 142:스테이터
144:내부 로터 145:외부 로터
150:휠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hybrid)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동력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에너지를 최선의 방법으로 컨트롤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하이브리드(hybrid)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차량은 내연기관에서 생산하는 동력으로 구동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차량은 자동차가 가속된 후에 신호등을 만나거나 내리막길을 주행할 때와 같이 자동차가 감속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가지고 있는 운동에너지를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강제로 제거해야 하며, 이때 내연기관을 통해 발생된 에너지는 열에너지로 변환한 뒤에 공기 중으로 버려지게 된다. 따라서,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종래의 차량은 실제로 연료가 갖고 있는 총 에너지 중 적은 일부만을 운동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손실한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은 에너지 효율 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인 것은 물론이고, 필요한 동력을 얻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자원의 고갈 및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될 수가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이러한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종래의 차량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최근에는 여러 종류의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는 이미 상용화되고 있다.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 및 전기(electric) 모터를 포함하며, 엔진과 모터 간의 동력 전달 방식에 따라 직렬 하이브리드 시스템, 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혼합형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직렬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는 엔진의 파워가 제너레이터를 통해서 배터리에 축적되고, 축적된 전기 에너지는 모터를 통해서만 휠에 직렬로 전달된다. 하지만, 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는 엔진의 파워가 직접 휠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너레이터를 통해서 배터리에 축적되어 모터를 통해 엔진의 파워와 병렬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혼합형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직렬 및 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병합된다.
도 1은 종래의 혼합형 하이브리드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혼합형 하이브리드 차량은 가솔린 엔진(10), 일렉트릭 모터(20), 제너레이터(generator)(40), 휠(50), 배터리(battery)(60) 및 파워 컨트롤 유닛(미도시)를 포함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 구조가 일렉트릭 모터(20)와 가솔린 엔진(10) 의 동력이 차량의 휠(50)에 전달되는 과정이 그 구조에 있어서 단일 축으로 구성된 직렬 하이브리드 시스템(series hybrid system)과 일렉트릭 모터(20)와 가솔린 엔진(10)의 동력이 휠(50)에 전달되는 과정이 그 구조에 있어서 추가적인 기어장치가 필요한 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parallel hybrid system)을 모두 사용하는 혼합형 하이브리드 시스템(series/parallel hybrid system)을 사용한다.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그 구성 요소는 크게 주 동력원인 가솔린 엔진(gasoline engine)(10)과 일렉트릭 모터(electric motor)(20), 제너레이터(generator)(40), 배터리(battery)(60) 및 파워 컨트롤 유닛(미도시)(power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두 종류의 동력원을 포함한다. 하나는 가솔린 엔진(10)이며, 다른 하나는 일렉트릭 모터(20)이다. 이때, 일렉트릭 모터(20)는 제너레이터(40), 배터리(60), 파워 컨트롤 유닛과 함께 동력원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파워 컨트롤 유닛은 고전압 동력 회로(high-voltage power circui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일렉트릭 모터(20)에 제공되는 전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약 500 볼트(voltage)의 고전압을 발생하는 제너레이터(40)는 변환장치(AC/DC inverter)를 구비하여 배터리(6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및 모터와 제너레이터(40)로부터 발생하는 교류를 상호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서, 중요한 구성요소인 동력 분배 부재(power split device)는 가솔린 엔진(10), 일렉트릭 모터(20), 제너레이터(40)로부터 제공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파워 컨트롤 유닛은 정확하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을 높은 효율로 작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전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솔린 엔진(10)의 출력축은 유성기어장치(30)의 유성기어(32)와 연결되어 유성기어(32)는 가솔린 엔진(10)의 출력축과 연동할 수 있다. 유성기어(32)들의 외측 및 내측에는 각각 링기어(35) 및 썬기어(34)가 위치하며, 링기어(35)는 다시 차량의 휠(5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휠(50)에 가솔린 엔진(10)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의 일부를 전달할 수 있다. 즉, 가솔린 엔진(10)으로부터 발생하는 동력의 일부는 유성기어장치(30)의 링기어(35)를 통해서 휠(50)로 전달되며, 나머지 일부는 유성기어장치(30)의 썬기어(34)를 통해서 제너레이터(40)로 전달된다. 이때, 가솔린 엔진(10)과 함께 동력원으로 제공되는 일렉트릭 모터(20)는 가솔린 엔진(10)과 독립적으로 차량의 휠(50)로 동력을 전달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은 가솔린 엔진(10)으로부터 발생한 동력이 제너레이터(40)로 많은 부분 전달된다. 따라서, 그로 인한 에너지 손실이 많아지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너레이터(40)에서 가솔린 엔진(10)의 회전력이 전기에너지로 전환 될 때 에너지 손실은 일반적으로 가솔린 엔진(10)의 동력이 바로 차량의 휠(50)로 전달되는 경우의 손실 보다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전달 구조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전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차량의 제동상태에서 열에너지 상태로 버려지게 되는 제동 에너지를 일부를 회생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너지 효율을 높여 보다 적은 연료를 사용하여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제1 구동부, 동력분배부, 동력출력부, 제너레이터 및 제2 구동부를 구비한다.
하이브리드 차량(hybrid electric vehicle)이란, 가솔린엔진과 전기모터, 수소연소엔진과 연료전지, 천연가스와 가솔린엔진 및 디젤엔진과 전기모터 등과 같이 2개의 동력원을 함께 쓰는 차를 말한다. 에너지 효율이 낮은 내연 기관을 장착한 차량을 대체하기 위해서 처음에는 전기 자동차가 미래형 자동차로 각광 받았으나 전기 자동차는 충전시간이 최소 3~8시간 걸리는데다 고가의 충전장비 등이 필요한 단점 때문에 전기 자동차를 대체할 수 있는 또 다른 구동부를 사용하는 차량을 개발해야 하는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래서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하이브리드 차량이며, 최근에 판매되는 가장 대표적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전기모터와 가솔린엔진을 같이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제1 구동부의 동력이 동력출력부로 전달되는 동안, 먼저 제1 구동부의 동력이 동력분배부에 전달되고 동력분배부에 전달된 동력은 휠에 전달된다.
다만, 본 발명의 제1 및 제2 구동부는 상술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정의에 의해서 가솔린엔진, 전기모터, 수소연소엔진, 연료전지, 천연가스, 및 디젤엔진과 등과 같이 다양한 동력원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제2 구동부는 제너레이터에 의해서 변환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보다 자세하게 동력이 제1 구동부로부터 동력출력부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동력분배부는 제1 구동부로부터 발생된 에너지를 2이상의 브랜치(branch)로 분배할 수 있으며, 제1 구동부에서 발생된 에너지 중 일부는 동력출력부로 전달된다. 하지만, 제너레이터는 동력분배부에서 분배된 에너지의 다른 일부를 축적 가능한 에너지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 및 제1 변환부와 상응하여 동력출력부로 전달되는 에너지의 일부를 축적 가능한 에너지로 변환하는 제2 변환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력분배부는 썬기어, 유성기어 및 링기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구동부는 유성기어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가 있다. 제너레이터는 썬기어와 연동하는 내부 로터, 링기어와 연동하며 내부 로터의 주변을 회전하는 외부 로터 및 외부 로터의 주변에 위치하는 스테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내부 로터는 제1 변환부로서 기능하며, 외부 로터는 제2 변환부로서 기능할 수가 있다.
또한, 제2 구동부는 제너레이터에 의해서 생성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동력출 력부를 구동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구동부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동력분배부에서 두 개로 나누어 동력출력부 및 제너레이터로 보내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구동부로부터 발생된 에너지를 복수개의 에너지 브랜치로 분배하는 동력분배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동력분배부에서 분배된 에너지 브랜치 중 하나를 이용하는 동력출력부 및 동력분배부에서 분배된 에너지 브랜치 각각을 이용하여 축적 가능한 에너지로 변환하는 제너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너레이터에 의해서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동력출력부를 부가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구동부로는 엔진(110)이 제공되며, 제2 구동부로는 모터(120)로 제공된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엔진(110)의 동력을 분배하는 동력 분배 부재 및 발전 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발전 부재는 동력 분배 부재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휠로부터 공급되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동력 분배 부재는 유성기어장치(planetary gear drive)(130)를 사용하고 있으며, 엔진(110)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은 유성기어장치(130)에 전달되고 유성기어장치(130)로 전달된 동력은 다시 동력출력축에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동력출력축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휠(150)과 연동한다. 보다 자세하게 엔진(110)의 동력이 휠(150)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엔진(110)의 출력축은 유성기어장치(130)의 유성기어(132)와 연동하며, 유성기어장치(130)의 썬기어(134)에는 내부 로터(inner rotor)(144)가 장착되고, 링기어(135)에는 외부 로터(outer rotor)(145)가 장착된다. 이때, 발전 부재는 상술한 외부 로터의 주변에 위치하는 스테이터(142)를 더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 발전 부재는 실질적으로 제너레이터(generator)(140)에 대응한다. 이때, 외부 로터(145)는 링기어(135)로부터 전달 받은 동력의 일부를 이용하여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배터리(battery)(160)에 저장될 수 있다.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모두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부만 배터리에 저장되고 나머지는 동력출력축을 통해 차량의 휠(150)로 전달되어 하이브리드 차량을 구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엔진(110)과 함께 구동부 즉,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모터(120)는 제너레이터(140)에 의해서 생성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휠(150)을 구동할 수 있으며, 하이브리드 모드에서 모터(120)는 엔진(110)을 보조하여 휠(150)을 구동할 수 있다. 물론, 모터 모드에서와 같이, 배터리(160)의 전기 에너지만을 이용하여 휠(150)을 구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서 동력 분배는 유성 기어장치(130)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엔진(110)은 유성기어장치(130)의 유성기어(132)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 로터(144)는 썬기어에, 외부 로터(145)는 링기어에 연결된다. 따라서, 엔진(110)의 출력은 유성기어(132)로 전달되고 썬기어(134)로 전달되는 동력은 제너레이터(140)로 전달된다. 각각의 동력원으로부터 유성기어장치(130)로 전달된 동력은 유성기어장치(130)에 의해서 동력 분기가 이루어지고 이 때, 링기어(135)로 출력된 동력이 차량의 휠(150)에 전달될 수 있다.
(이하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이해가 잘 되지 않으니, 해당 내용을 수정하거나 보충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서는 링기어(135)에서 제너레이터(140)의 토크가 전달되면서 기계적인 동력의 흐름이 다소 변하게 된다. 이러한 물리적인 현상을 고찰하면, 전기적인 에너지로의 전환을 거치는 직렬형과 기계적으로 전달되는 병렬형으로 하이브리드 동력 전달을 정의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에서는 제너레이터(140)의 동력 일부가 링기어(135)에 물리적인 토크 동력으로 전달되므로 결과적으로 직렬형 동력 전달량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계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 간의 전환 효율을 고려할 때, 직렬형 경로의 동력 전달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것은 그만큼 에너지 전환을 줄일 수 있고, 전체의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지를 만들 수 있다. 제너레이터(140), 엔진(110) 및 모터(120)의 각속도는 서로 구속되어 있고 모터(120)의 속도는 차량의 속도에 비례하며, 제너레이터(140)의 속도 제어를 통해 엔진(110)과 출력축간의 속도비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유성기어장치(130)는 토크분 배장치뿐만 아니라 전기적인 무단변속장치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기본적인 모터 모드, 엔진 모드, 하이브리드 모드 및 회생제동 모드 등이 구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모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모터 모드에서는 유성기어장치(130)의 특성으로 인해 엔진(110)에 부하토크가 영향을 주지 않고 배터리(160)의 동력만으로 모터(120)를 구동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하이브리드 차량이 정지 상태에서 출발하거나 저속으로 주행할 때, 모터 모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배터리(160)의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모터(120)가 동력을 발생할 수 있으며, 모터(120)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휠(150)로 전달하여 하이브리드 차량이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하이브리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모드는 엔진(110)과 모터(120)가 동시에 동력을 발생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하이브리드 차량이 일반적인 주행속도로 주행할 경우에, 하이브리드 모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제너레이터(140)가 주로 발전기 역할과 엔진의 최적주행을 위한 보조 구동 역할을 한다. 또한, 주행과 동시에 제너레이터(140)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는 배터리(160)에 충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엔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엔진 모드는 엔진(110)에서 휠(150)과 제너레이터(140)로, 제너레이터(140)에서 모터(120)로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통해 구현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하이브리드 차량이 급작스런 가속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엔진 모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제너레이터(140)의 동력이 배터리(160)로 축적되지 않고 모터(120)로 동력이 전달되어 순간적으로 많은 힘을 휠(15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하이브리드 차량이 급작스런 가속을 할 수 있는 동력을 전달 받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회생제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동 시 회생제동 에너지가 모터(120)를 통해 배터리(160)로 저장되는 회생제동 모드를 구현한다.
회생제동 모드는 가속된 후에 신호등을 만나거나, 내리막길을 주행할 때와 같이 자동차가 감속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가지고 있는 운동에너지를 종래의 차량과 같이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열에너지로 변환한 뒤에 공기 중으로 버리지 않고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감속비에 따른 효율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효율은 수학식 1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THS(Toyota Hybrid System)과 같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에서의 동력전달 구조의 효율은 수학식 2를 통해서 얻을 수가 있다.
Figure 112006096562884-pat00001
Figure 112006096562884-pat00002
여기서, ŋ 는 효율, P는 파워, R은 링기어비, SR은 출력 속도에 대한 엔진 속도인 감속비를 나타낸다.
수학식 1및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효율에는 R/1+R항이 없기 때문에 효율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전달구조는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와 달리 유성기어장치(130)의 링기어(135)와 썬기어(134)의 상대속도가 제너레이터(140)의 속도로 결정되므로 상대적으로 직렬형 경로의 에너지 전환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에너지 전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의 동력 전달 효율 분석을 위해 감속비에 따른 효율 그래프이다. 비록, 낮은 감속비에서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의 효율이 우수하나 감속비가 증가하여 얻어지는 대부분의 영역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의 효율이 우수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전달 구조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전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종래의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차량의 제동상태에서 열에너지 상태로 버려지게 되는 제동 에너지를 일부를 회생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는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함으로써, 보다 적은 연료를 사용하여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제1 구동부;
    상기 제1 구동부로부터 발생된 에너지를 복수 개의 에너지를 브랜치로 분배하는 동력 분배부;
    상기 동력분배부에서 분배된 상기 에너지 브랜치 중 하나를 이용하는 동력출력부;
    상기 동력분배부에서 분배된 상기 에너지 브랜치 각각을 이용하여 축적 가능한 에너지로 변환하는 제너레이터; 및
    상기 제너레이터에 의해서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동력출력부를 부가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제2 구동부; 를 구비하며,
    상기 제너레이터는 상기 동력분배부에서 분배된 상기 에너지 브랜치 중 하나를 축적 가능한 에너지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 및 상기 에너지 브랜치 중 다른 하나의 일부를 축적 가능한 에너지로 변환하는 제2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변환부는 서로 상응하여 축적 가능한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변환부에 발생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에는 상기 제2 구동부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의 회전에 의해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상기 배터리로 전달되어 충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6. 엔진;
    썬기어, 유성기어 및 링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유성기어는 상기 엔진의 출력축과 연동하는 동력 분배 부재;
    상기 썬기어와 연동하는 내부 로터, 상기 링기어와 연동하며 상기 내부 로터의 주변을 회전하는 외부 로터 및 상기 외부 로터의 주변에 위치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발전 부재; 및
    상기 링기어 및 상기 외부 로터와 연동하는 모터 출력축을 포함하는 모터;
    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로터 및 상기 외부 로터에 발생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에는 상기 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상기 배터리로 전달되어 충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KR1020060134110A 2006-12-26 2006-12-26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KR100854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110A KR100854768B1 (ko) 2006-12-26 2006-12-26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110A KR100854768B1 (ko) 2006-12-26 2006-12-26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429A KR20080063429A (ko) 2008-07-04
KR100854768B1 true KR100854768B1 (ko) 2008-08-27

Family

ID=3981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110A KR100854768B1 (ko) 2006-12-26 2006-12-26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7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1205A (ja) 2001-09-28 2003-04-11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型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JP2003247613A (ja) 2002-02-26 2003-09-05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変速機
JP2005020911A (ja) 2003-06-26 2005-01-20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装置
KR100645568B1 (ko) * 2005-06-20 2006-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변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1205A (ja) 2001-09-28 2003-04-11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型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JP2003247613A (ja) 2002-02-26 2003-09-05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変速機
JP2005020911A (ja) 2003-06-26 2005-01-20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装置
KR100645568B1 (ko) * 2005-06-20 2006-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변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429A (ko) 200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34191B (zh) 混合动力系
KR101427960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
CN100421979C (zh) 混合动力汽车用的动力耦合装置
CN100476253C (zh) 多模式混合动力汽车传动系统
KR101427959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
CN101954855B (zh) 混合动力电动汽车的控制方法
CN102848913B (zh) 一种采用行星齿轮变速器的增程式电动汽车动力系统
CN101544181B (zh) 动力总成系统
CN102259580B (zh) 混合动力传动系统
US7478690B2 (en) Power train for hybrid electric vehicle
CN101209667A (zh) 混合动力输出装置
KR20010061207A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용 동력 전달 장치
CN103921667B (zh) 一种混合动力系统
KR10150024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드 전환 및 변속시 제어 방법
CN101152837B (zh) 混合动力车驱动装置
Yang et al. Integrated electro-mechanical transmission systems in hybrid electric vehicles
WO2010024455A1 (en) Hybrid vehicle
CN101327728A (zh) 大客车混合动力驱动系统
CN1778587A (zh) 混合动力汽车驱动系统
CN202896299U (zh) 一种采用行星齿轮变速器的增程式电动汽车动力系统
CN103978886A (zh) 输入合成型混合动力系统
KR100862435B1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듀얼모드 동력전달장치
JPH04297330A (ja) シリーズ、パラレル複合ハイブリッドカーシステム
CN101585314A (zh) 混合动力驱动系统
CN103921665B (zh) 一种增程式电动汽车动力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