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718B1 -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 및 당해 배수 공법에 사용되는케이블 트로프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 및 당해 배수 공법에 사용되는케이블 트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718B1
KR100854718B1 KR1020060087097A KR20060087097A KR100854718B1 KR 100854718 B1 KR100854718 B1 KR 100854718B1 KR 1020060087097 A KR1020060087097 A KR 1020060087097A KR 20060087097 A KR20060087097 A KR 20060087097A KR 100854718 B1 KR100854718 B1 KR 100854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cable trough
hole
cable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3274A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김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욱 filed Critical 김동욱
Priority to KR1020060087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718B1/ko
Publication of KR20080023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로프의 배수 공법은, 터파기 단계, 바닥 충전 단계, 유공관 안착 단계, 충전물 충전단계, 케이블 트로프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케이블 트로프 주변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지반 약화, 붕괴에 의한 위험을 거의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케이블 트로프, 배수, 배수공법, 유공관, 우수로

Description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 및 당해 배수 공법에 사용되는 케이블 트로프 {CONSTRUCTION METHOD OF DRAINAGE SYSTEM FOR CABLE TROUGHS AND A CABLE TROUGH USED FOR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로프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 공법에 적용될 수 있는 유공관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 공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로프에 적용되는 걸림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케이블 트로프 매설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
1: 지면 10: 케이블 트로프
11: 덮개 15: 배수공
20: 유공관 22: 투수성 시트지
25: 관통공 30: 걸림구
31: 지지판 32: 연결고리
본 발명은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 및 당해 배수 공법에 사용되는 케이블 트로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로프로 유입되는 빗물 등이 보다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 공법 및 당해 공법을 위한 케이블 트로프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트로프라는 것은, 전선 등의 각종 케이블을 땅 속에 매설하는 경우, 해당 케이블의 보호, 사후 케이블 관리의 편이성 등을 목적으로, 도로변이나 철도 노반 등에 매설되는, 케이블을 내부 공간에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의 콘트리트, 플라스틱 등의 구조물을 지칭한다.
이와 같은 케이블 트로프의 구조 및 매설 형태 등과 관련한 일례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상적인 형태의 케이블 트로프(10)는 'ㄷ'형 단면을 가진 홈통 형태의 구조물, 또는 이 'ㄷ'형 홈통의 내부 공간을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한 개에서 수 개 이상의 격벽이 형성된 형태의 구조물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홈통의 개구부가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개구부의 상부 가장자리와 지면(1)이 대략 일치되록 수개의 케이블 트로프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이어져 매설되어, 지하에 매설하고자하는 전선 등의 케이블(100)을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케이블 트로프 내에 수용하고, 개구부를 덮개(11)로 덮음으로써 케이블 트로프(10) 를 이용한 케이블(100)의 매설 작업은 마무리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 트로프(10)를 이용하여 케이블(100)을 지하에 매설함으로써, 케이블 매설 시나 매설 후에 각종 위험으로부터 케이블(100)이 손상되는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사시 특정 위치의 덮개(11)를 여는 것만으로 케이블(100)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조치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100)의 사후 관리에도 상당한 이점을 준다.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상기 케이블 트로프는 빗물 등의 배수와 관련하여 심각한 문제점을 드러내기도 한다.
즉, 상기 케이블 트로프는 강우 등으로 인하여 지표면에 빗물이 흐르게 되는 경우, 주로 철로변 등에 설치되는 특성 등으로 인하여 내부 공간으로 빗물 등이 유입됨으로써 의도와는 달리 일종의 유수로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렇게 케이블 트로프 내로 유입되어 흐르게 되는 빗물은 낮은 경사 지점에 집중적으로 모이게되고, 따라서 해당 지점의 지반이 취약해져 침하되거나 수압에 의해 붕괴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히게 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곤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안이 제시되어 왔는데, 그 중 하나로, 트로프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덮개를 지면과 동일한 높이로 묻어 빗물이 덮개 위를 지나가게 하거나, 동일 목적으로 상기 덮개를 트로프의 개구부에 완전 삽입되도록 하는 구조 등이 적용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을 적용한다 하더라도 일정량 이상의 강우시에는 빗물 유입량 감소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뿐 아니라, 트로프 제작, 트로프의 설치 작업, 설치 후 덮개를 여는 등의 작업이 종래의 케이블 트로프에 비해 어려워짐으로써 오히려 추후 관리에 불편함을 가중시킬 뿐이었다.
또다른 방법으로서, 트로프 내로 유입된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별도의 배수로를 하부에 만들어 두거나 배수관을 트로프 측면 등에 직접 연결, 설치하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하였는데, 흙탕물에 섞인 각종 물질들이 퇴적되어 트로프와 연결된 배수로를 막게 됨으로써 배수로의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을 뿐 아니라, 설치 완료 후 배수로 청소나 정비의 어려움, 설치 작업의 번거로움 및 설치 비용의 증가 등의 단점은 배수로로 인한 이점을 훨씬 넘어서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로프 내로 유입된 빗물 등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짐으로써 물이 집중적으로 모이는 것을 방지하고 분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공법에 적용되어 배수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는 특수한 구조의 케이블 트로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케이블 트로프의 이동, 배치, 매설 작업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케이블 트로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로프의 배수 공법은, 매설할 케이블 트로프 상하 폭의 약 2배수 이상의 깊이로 지반을 굴착하는 터 파기 단계, 상기 터파기 단계 후, 일반적인 토양의 평균 입도에 비해 큰 입도를 가지는 모래 등의 충전물을 굴착부 바닥면에 넣어 다지는 바닥 충전 단계, 상기 충전물로 바닥면이 다져진 굴착부 내에, 내-외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유공관을 위치시키는 유공관 안착 단계, 상기 단계에서 안착된 유공관을 매설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 트로프의 상하폭과 대략 일치되는 정도의 깊이까지 쌓이도록 상기 충전물을 충전하여 다지는 충전물 충전단계, 상기 충전물 충전단계에서 충전된 충전물 위에, 바닥의 내-외측면을 관통하는 배수공이 형성된 구조의 상기 케이블 트로프를 안착시킨 후, 상기 케이블 트로프의 측면 가장자리 높이와 지면이 대략 일치되도록 매설하는 케이블 트로프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공관 안착 단계 이전에, 부직포 등 투수성의 시트지로 상기 유공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유공관 필터 장착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충전물 충전단계는, 일반적인 토양의 평균 입도에 비해 큰 입도를 가지는 제1충전물을 이용해 상기 유공관을 매설하는 1차 충전물 충전 단계 및, 상기 제1충전물에 비해 큰 입도를 가지는 제2충전물을, 상기 제1충전물층의 위쪽으로부터 상기 케이블 트로프의 상하폭과 대략 일치되는 정도의 깊이까지 쌓이도록 충전하는 2차 충전물 충전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닥 충전 단계에 사용되는 충전물은 상기 제1충전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충전물은 모래이며, 상기 제2충전물은 상기 모래보다 입도가 큰 자갈 또는 잡석과 모래의 혼합물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공법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바닥의 내-외측면을 관통하는 배수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케이블 트로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케이블 트로프의 배수공은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긴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로프의 배수 공법 및 당해 공법에 사용되는 케이블 트로프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앞서 언급한 종래의 케이블 트로프 관련 구성에서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공법에 적용되는 특수한 구조의 케이블 트로프(10)를 도시한다.
도 5등에서 설명한 종래의 케이블 트로프(10)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로프(10)는 바닥의 내-외측면을 관통하는 배수공(15)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배수공(15)은, 수개의 케이블 트로프(10)를 연결하였을 경우 빗물 등이 고이는 바닥부에 일정 간격으로 수개가 형성된 형태가 되며, 이를 통해 케이블 트로프(10) 내의 빗물 등이 고이거나 내부에서 흐르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 기능을 가진다.
한편, 상기 배수공(15)은 상기 제1 기능 외에도 별도의 제2 기능을 가지게 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에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배수공(15)을 통해 배출된 빗물 등은, 케이블 트로프(10)의 하측을 비롯한 외측면의 토양으로 스며들게 되는데, 이때, 빗물이 스며들게 되는 부분의 흙이 점토 등 다양한 토양이 섞인 일반적인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공극률 및 투수성 등이 낮아 물이 쉽게 확산되지 않음으로써 해당 부분의 지반 약화 등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므로, 케이블 트로프(10)의 하측 부분은 물이 확산, 분산되기 쉬운 성분의 물질로 채워주는 것이 유리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법의 경우, 케이블 트로프(10)의 매설을 위한 터파기 시에, 상기 굴착부의 깊이를 종래와 같이 상기 케이블 트로프(10)만 매설될 정도로만 파는 것이 아니라, 그 하부에 통상의 토양과는 다른 성분의 충전물을 채워줄 수 있을 정도로 여유있게 파주어야 하며, 후술할 이유 등에 따라 그 깊이는 케이블 트로프 상하 폭의 2배수 이상, 약 3배수 정도로 파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충전물로서는 입도가 통상의 토양 성분에 비해 비교적 크고 고른 모래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모래 등 입도가 크고 고른 충전물이 케이블 트로프(10) 배수공(15)의 하면에 놓이게 되므로, 배수공(15) 통해 배출된 물이 원활히 흘러내리고 쉽게 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 트로프(10)로부터 빠져나와 충전물 내로 분산된 빗물 등은 충전물을 둘러싼 일반 토양으로 넓게 확산되어 흡수되므로 빗물의 집중적 고임, 지반 약화에 의한 종래의 피해 위험성을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인데, 이러한 빗물의 집중을 막고 배수를 더욱 원활히 하기 위해서, 케이블 트로프(10)의 하부에는, 배 출된 물의 일부를 유입시켜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공관을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공관의 형태가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a는 유공관(20)의 사시도로서, 상기 유공관(2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로프(10)로부터 배출된 빗물 등의 일부가 충전물 층을 따라 하부로 흐르다 유입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위치한 수개의 관통공(25)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2b는 상기 유공관(20) 중 관통공(25)이 위치한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공관(20)의 관통공(25)은 방사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충전물 내의 수분이 수압에 의해 원활히 유공관(20) 내부로 유입되어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로프(10)의 하부에 유공관(20)이 위치하여 매설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트로프(10)로부터 유출된 빗물 등은 주변 토양에 전량 분산되는 것이 아니라 많은 부분이 상기 유공관(20)으로 유입되어 배수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유공관(20)의 배출구를 별도의 빗물용 배수로나 집수정 등에 연결함으로써, 유공관(20)에 모인 빗물 등이 빠르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유공관(20)의 매설시에는, 유공관(20)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 등에서 불순물 등이 걸러져 유공관 내부에 각종 침전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 등의 투수성 시트지(22)로 유공관(20)의 외주면을 둘러싼 상태로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충전물의 높이에 따라 물리적 성질이 다른 충전물의 층을 형성함으로써 케이블 트로프(10)로부터의 배수 메카니즘에 더욱 이로운 특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즉, 유공관(20)이 위치하는 부위의 충전물과 케이블 트로프(10)에 인접한 부위의 충전물이 서로 다른 종류의 것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유공관(20)이 위치하는 부위의 충전물의 경우, 충전물로부터 주변 토양으로의 빗물 이전이 넓은 범위에 걸쳐 분산되어 일어나면서도 그 이동 속도는 너무 급격히 일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어느 정도 수분을 머금을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유리하다.
반면, 케이블 트로프(10)에 인접한 부위의 충전물, 즉 케이블 트로프(10) 배수공(15)의 하측에 인접한 부위의 충전물은, 짧은 시간에 다량으로 고여지는 빗물 등을 빠른 속도로 넓게 분산시키고, 수분을 머금음으로써 지반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높은 투수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유공관(20)이 위치하는 부위의 충전물은, 투수성이 일반 토양보다는 우수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수분은 머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반 토양의 입도 보다 다소 큰 입도를 가지고, 높은 공극률을 가지는 모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케이블 트로프(10)에 인접한 부위의 충전물은 빗물 등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입도가 큰 자갈 또는 모래와 잡석의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배수 공법을 적용할 경우 케이블 트로프(10)로부터의 배수가 원활하고 분산적으로 일어나 종래 발생하였 던 피해를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태를 조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공법을 도 3a 내지 도 3f를 참조하여 단계별로 상술한다.
도 3a는 케이블 트로프(10)등을 매설하기 위하여 지반에 터파기를 실시하여 터파기 단계가 종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케이블 트로프(10), 유공관(20) 및 이를 둘러싼 충전물 등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굴착부의 깊이는 케이블 트로프(10)의 2배 이상, 약 3배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는 상기 터파기 단계를 거쳐, 굴착부의 바닥에 제1 충전물, 즉 모래를 일정 두께로 쌓는 바닥 충전 단계 후, 유공관(20)을 배치시키는 유공관 안착 단계가 종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유공관(20)의 안착시에는 설치 완료 후에 중력 및 충전물 내에서의 수압에 따라 유공관(20) 내부로 빗물 등이 쉽게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중심이 케이블 트로프(10)의 중심의 대략 수직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직포 등의 투수성 시트지(22)로 외주면을 둘러싸는 유공관 필터 장착 단계를 거친 후 안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c는 상기 상태에서 유공관(20)이 매립되도록 제1 충전물인 모래를 쌓는 1차 충전물 충전 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3d는 1차 충전물 층의 위로 제2 충전물인 자갈 모래 혼합층을 쌓는 2차 충전물 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2차 충전물 단계에서 쌓여지는 제2 충전물의 깊이는 후에 그 위에 얹어질 케이블 트로프(10)의 상하 폭에 대응되는 정도까지로 조절한다.
도 3e는 상기 2차 충전물 층 위에 케이블 트로프(10)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후 케이블 트로프(10)와 굴착부와의 틈새에 일반 토사를 채워넣어 다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로프(10) 배수 공법은 완료되며, 상기 트로프(10)의 내부 공간에 매설하고자 하는 케이블을 설치한 후 덮개(11)를 덮음으로써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케이블 매설 작업 역시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이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경로에 따른 배수관로 터파기를 실시한 후, 별도 배수관 설치, 케이블 트로프와 배수관의 연결 작업 등을 복잡하고 어려운 단계를 요하는 등의 종래 배수 공법과는 달리, 케이블 트로프를 매설하기 위한 터파기를 좀 더 깊게 실시한 후 순차적으로 각 구성 부분 등을 매설하는 간단한 작업의 추가만으로, 퇴적물에 의한 배수로의 막힘 위험 등이 전혀 없어 거의 반영구적으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며, 빗물 등의 집중에 의한 지반 약화, 붕괴 등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법에 적용되는 케이블 트로프(1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에 형성된 배수공(15)을 구비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배수공(15)은 빗물 등을 배출하는 앞서 설명한 기능과는 별도로, 본 공법 및 기타 케이블 트로프 매설 작업에 편이성을 주기 위한 제 2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로프(10)의 바닥부에서 무게 중심을 기준으 로 대칭되는 지점에 2개 이상의 배수공(15)이 형성되도록 하였을 경우, 케이블 트로프(10)를 운반, 배치하기 위한 구성 부분으로서 상기 배수공(15)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공(15)이 타원형 등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걸림구(30)를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걸림구(30)의 타원형 지지판(31)을 상기 배수공(15)에 삽입 가능한 각도에서 삽입한 후 일정 각도 돌리면, 걸림구(30)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배수공이 걸려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걸림구(30)의 연결고리(32)에 크레인의 후크 등을 연결함으로써, 특히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져 무거운 중량을 가지는 케이블 트로프(10)의 이동, 배치 및 굴착부로의 안착을 극히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배수공(10)은 내구성을 위해 상기 트로프(10)의 길이 방향에 대략 직각 방향으로 두 초점이 놓이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은, 종래 케이블 트로프 매설작업 단계에 간단한 몇가지 단계와 구성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케이블 트로프 주변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지반 약화, 붕괴에 의한 위험을 거의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로프는, 상기 공법에 적용되어 우수한 효과를 거둘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 트로프의 이동, 배치, 안착시에 극적인 편의성을 부가한다.

Claims (6)

  1. 매설할 케이블 트로프(10) 상하 폭의 2배수 이상의 깊이로 지반을 굴착하는 터파기 단계;
    상기 터파기 단계 후, 일반적인 토양의 평균 입도에 비해 큰 입도를 가지는 모래 등의 충전물을 굴착부 바닥면에 넣어 다지는 바닥 충전 단계;
    상기 충전물로 바닥면이 다져진 굴착부 내에, 내-외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유공관(20)을 위치시키는 유공관 안착 단계;
    상기 단계에서 안착된 유공관(20)을 매설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 트로프(10)의 상하폭과 일치되는 정도의 깊이까지 쌓이도록 상기 충전물을 충전하여 다지는 충전물 충전단계;
    상기 충전물 충전단계에서 충전된 충전물 위에, 바닥의 내-외측면을 관통하는 배수공(15)이 형성된 구조의 상기 케이블 트로프(10)를 안착시킨 후, 상기 케이블 트로프(10)의 측면 가장자리 높이와 지면이 일치되도록 매설하는 케이블 트로프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 안착 단계 이전에, 부직포 등 투수성의 시트지(22)로 상기 유공관(2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유공관 필터 장착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물 충전단계는, 일반적인 토양의 평균 입도에 비해 큰 입도를 가지는 제1충전물을 이용해 상기 유공관(20)을 매설하는 1차 충전물 충전 단계 및, 상기 제1충전물에 비해 큰 입도를 가지는 제2충전물을, 상기 제1충전물층의 위쪽으로부터 상기 케이블 트로프(10)의 상하폭과 일치되는 정도의 깊이까지 쌓이도록 충전하는 2차 충전물 충전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닥 충전 단계에 사용되는 충전물은 상기 제1충전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전물은 모래이며, 상기 제2충전물은 상기 모래보다 입도가 큰 자갈 또는 잡석과 모래의 혼합물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
  5. 제 1 내지 제 4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에 적용되기 위하여, 바닥의 내-외측면을 관통하는 배수공(15)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케이블 트로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15)은 상기 케이블 트로프의 길이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두 초점이 놓이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로프.
KR1020060087097A 2006-09-09 2006-09-09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 및 당해 배수 공법에 사용되는케이블 트로프 KR100854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097A KR100854718B1 (ko) 2006-09-09 2006-09-09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 및 당해 배수 공법에 사용되는케이블 트로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097A KR100854718B1 (ko) 2006-09-09 2006-09-09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 및 당해 배수 공법에 사용되는케이블 트로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274A KR20080023274A (ko) 2008-03-13
KR100854718B1 true KR100854718B1 (ko) 2008-08-27

Family

ID=3939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097A KR100854718B1 (ko) 2006-09-09 2006-09-09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 및 당해 배수 공법에 사용되는케이블 트로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2619B (zh) * 2015-12-31 2018-03-09 浙江省送变电工程公司 电缆沟底板坡度控制和沟中沟抹压工具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789U (ko) * 1997-04-30 1998-11-25 윤정 케이블 트로프
KR20040079605A (ko) * 2003-03-08 2004-09-16 김명철 통신 케이블 전용 트로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789U (ko) * 1997-04-30 1998-11-25 윤정 케이블 트로프
KR20040079605A (ko) * 2003-03-08 2004-09-16 김명철 통신 케이블 전용 트로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274A (ko) 200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192B1 (ko)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KR100491410B1 (ko) 경사지의 배수구조
KR100593786B1 (ko) 터널 배수구조
KR20150065475A (ko) 비탈면 배수시설 및 시공방법
JP5346731B2 (ja) 雨水地中浸透施設
KR100721225B1 (ko) 연약지반의 간극수 배수구조 및 배수방법
US20200392674A1 (en) System for paver support and method for installation
KR101625658B1 (ko)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KR20150065477A (ko) 메쉬형 개구부가 형성된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KR101127810B1 (ko) 토양의 치환을 통한 지하수 함양 구조 및 그 방법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KR101650285B1 (ko) 비탈면 배수시설
KR100854718B1 (ko) 케이블 트로프 배수 공법 및 당해 배수 공법에 사용되는케이블 트로프
JP2009024453A (ja) 雨水貯留浸透施設用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浸透施設
JPH08260553A (ja) 雨水等の浸透用側溝構造
KR100641069B1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방법
CN215057564U (zh) 一种可视可维护型公路隧道防淤堵排水系统
JP2005023589A (ja) 雨水等の貯留及び/又は浸透施設
JP2007092293A (ja) マンホール管の埋設構造
JP3886127B2 (ja) 雨水用浸透ポットの施工方法
JP2011032703A (ja) 雨水地中浸透施設
KR101661884B1 (ko) 메쉬형 개구부가 형성된 산마루 측구
JP4800119B2 (ja) 地中埋設物の浮上防止構造
JP6626692B2 (ja) マンホール及びその設置構造
KR102219577B1 (ko) 유출수 저감 보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