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455B1 - 차폐 부재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차폐 부재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455B1
KR100853455B1 KR1020077008784A KR20077008784A KR100853455B1 KR 100853455 B1 KR100853455 B1 KR 100853455B1 KR 1020077008784 A KR1020077008784 A KR 1020077008784A KR 20077008784 A KR20077008784 A KR 20077008784A KR 100853455 B1 KR100853455 B1 KR 100853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shielding member
indoor unit
heat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8625A (ko
Inventor
키요시 이노우에
카츠히로 와키하라
나오코 아사이
토시아키 야마다
이쿠히로 야마다
시로 카시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8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s or of parts thereof, e.g. of thei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28F27/02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heat-exchange media between different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2001/0253Particular components
    • F28D2001/026Cores
    • F28D2001/0266Particular core assemblies, e.g. having different orientations or having different geometr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차폐 부재(1)는 열교환기의 일부를 덮는 차폐판(2)과 열교환기의 전열관에 계합하는 전열관 계합부(3)와 열교환기의 핀(fin)에 계합하는 핀 계합부(4)와 열교환기의 일부로의 공기의 우회를 방해하는 우회 방지 리브(5)와 통풍의 방해가 불필요한 열교환기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장착 방지부(6)를 가진다. 차폐 부재(1)가 장착된 부분이 열교환 기능을 가지지 않는 열교환기는, 차폐 부재(1)가 장착되지 않고 전부(全部)가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열교환기와 동일한 구성 부재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서로 다른 열교환 능력을 가지는 복수의 열교환기를 적은 부품 점수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Figure R1020077008784
공기 조화기, 실내기, 열교환기, 차폐 부재, 차폐판

Description

차폐 부재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SHIELDING MEMBER AN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이용되는 차폐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난방 능력이 서로 다른 복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하여 동일한 케이싱을 이용하는 한편, 서로 다른 크기의 열교환기를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실공평7-42010호 공보 참조). 이것에 의하여 냉난방 능력이 다른 실내기의 사이에서 케이싱을 공통화하여, 부품 점수를 삭감하고 제조 비용을 삭감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냉난방 능력에 따라 다른 크기의 열교환기를 제조할 필요가 있으므로, 부품 점수가 여전히 많고, 제조 비용이 비교적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냉난방 능력에 따른 크기의 열교환기를 이용하므로, 예를 들면, 실외기를 당초보다도 대형인 것으로 교환하여 냉난방 능력을 증대하려고 하면, 당초의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열교환 능력을 증대할 수 없기 때문에 실내기도 대형인 것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결국, 상기 종래의 공 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냉난방 능력을 증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하여 부품 점수를 효과적으로 삭감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차폐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열교환기를 교환하는 일없이(단, 냉매의 흐름 방법의 변경은 가능), 열교환 능력을 변경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폐 부재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공기를 안내하는 팬(fan)과, 취출구와, 그 일부가 냉매의 흐름이 유통과 차단의 사이에서 전환되는 전열관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실내기에 장착되었을 때, 냉매의 흐름이 차단된 상기 전열관의 일부에 대응하는 상기 열교환기의 부분의 통풍을 방해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차폐 부재가 설치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열교환기의 일부의 통풍이 방해되어 이 열교환기의 열교환 능력이 저감한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주어야 할 냉난방 능력에 따라 상기 차폐 부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냉난방 능력이 다른 실내기의 사이에서 공통의 열교환기를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효과적으로 부품 점수를 삭감하여 비용 절감을 유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부재가 설치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하여 예를 들면, 실외기의 교환 등에 의하여 냉난방 능력을 증대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차폐 부재를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 능력을 용이하게 증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폐 부재의 탈착에 의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냉난방 능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이 실내기를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열교환기의 냉매가 공급되지 않는 부분의 통풍을 방해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열교환기는, 이 열교환기에 설치되어 냉매를 흐르게 하는 전열관 중 일부의 냉매의 흐름이 유통과 차단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냉매의 흐름이 차단된 전열관의 일부에 대응하는 열교환기의 부분의 통풍을 방해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차폐 부재는 열교환기의 일부의 통풍을 방해하는 것이면, 예를 들어, 판(板)이나 테이프 등의 모든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차폐 부재는 상기 실내기 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열교환기의 취출구측의 단부를 덮도록 되어 있는 차폐판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의 차폐 부재는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차폐판과,
상기 차폐판에 연결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열교환기가 가지는 전열관에 계합 가능하게 형성된 전열관 계합부
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열관 계합부를 상기 열교환기가 가지는 전열관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차폐판이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를 덮는 상태에서 상기 차폐 부재가 열교환기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차폐 부재를 열교환기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차폐 부재는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차폐판과,
상기 차폐판에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가 가지는 관판(管板)에 장착되는 장착부
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착부를 상기 열교환기의 관판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차폐판이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를 덮는 상태에서 상기 차폐 부재가 열교환기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열교환기의 관판에 나사 감합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차폐 부재의 장착부로서의 나사 구멍을 설치하여, 이 나사 구멍을 관통하는 나사를 나사 감합 구멍에 나착(螺着, 나사를 끼워 장착함)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차폐판을 열교환기의 통풍이 필요한 위치에 오장착하는 일없이 적절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일실시예의 차폐 부재는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차폐판을 구비하며,
상기 열교환기로부터의 결로수(結露水)를 받는 드레인 팬(drain pan) 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케이싱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이 차폐 부재를 상기 열교환기로부터의 결로수를 받는 드레인 팬 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케이싱에 장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차폐판으로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드레인 팬이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열교환기의 다른 부분보다도 통풍량이 감소하는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즉. 상기 열교환기에 관하여 상기 드레인 팬에 의한 통풍량의 감소가 생기지 않는 부분에 통풍하여 열교환을 행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열교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차폐 부재는 상기 차폐판에 연결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열교환기가 가지는 핀(fin)에 계합 가능하게 형성된 핀 계합부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핀 계합부가, 상기 열교환기가 가지는 핀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차폐판이 상기 열교환기의 핀에 근접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이 차폐판의 휨이나 진동 등을 줄일 수 있어,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로의 통풍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차폐 부재는 상기 팬으로 안내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로 우회하는 것을 방지하는 우회 방지 리브(rib)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우회 방지 리브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로의 공기의 우회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 열교환기의 열교환 능력을 가지지 않는 부분에 공기가 누설되어 열교환 능력이 저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차폐 부재는 통풍의 방해가 불필요한 열교환기의 부분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장착 방지부를 가진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오장착 방지부에 의하여 통풍의 방해가 불필요한 열교환기의 부분에 상기 차폐 부재가 실수로 장착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일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차폐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열교환기의 실내기는 상기 차폐 부재를 구비하지 않는 다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와 열교환기를 공통으로 할 수 있으므로, 부품 점수를 효과적으로 삭감하여 비용 절감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부재를 떼어내는 것에 의하여, 열교환기의 열교환 능력을 당초보다도 증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냉난방 능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면,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변경이나 공기 조화하여야 할 방의 열부하의 변화 등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차폐 부재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공기를 안내하는 팬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설치되고, 상기 열 교환기의 일부의 통풍을 방해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주어야 할 냉난방 능력에 따라 상기 차폐 부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냉난방 능력이 다른 실내기의 사이에서 공통의 열교환기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부품 점수를 삭감하여 비용 절감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판이 설치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하여 냉난방 능력을 증대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차폐판을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 능력을 용이하게 증대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실외기의 교환 등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어, 이 실내기를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차폐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차폐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차폐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차폐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차폐 부재가 장착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내기의 열교환기와 차폐 부재를 꺼내어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열교환기와 차폐 부재를 꺼내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열교환기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 우측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 중 차폐 부재의 전열관 계합부가 전열관에 계합하는 부분 A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8A가 도시하는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도 9A 중 차폐 부재의 오장착 방지부의 근방의 부분 B를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10A는 열교환기의 우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B는 비교예의 열교환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차폐 부재(1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1A의 A-A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폐 부재(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 기 차폐 부재(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차폐 부재(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차폐 부재(1)의 측면도이다.
이 차폐 부재(1)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이용되는 것이며, 상기 실내기의 열교환기에 장착되어 이 열교환기의 일부로의 통풍을 방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차폐 부재(1)는, 장착되는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차폐판(2)을 구비하고, 이 차폐판(2)은 단면(斷面)에 있어서 대략 호상(弧狀)으로 굴곡하고 있다. 이 차폐판(2)의 긴쪽 방향의 양단에, 상기 열교환기의 전열관에 계합하는 전열관 계합부(3)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폐판(2)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 우측의 단부(端部)에 설치된 전열관 계합부(3)는 상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자물쇠상(狀)의 제1 계합부(3a)와, 하단 근방으로부터 돌출하는 호상의 제2 계합부(3b)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차폐판(2)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 좌측의 단부에 설치된 전열관 계합부(3)는 상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열쇠상의 제1 계합부(3a)와, 하단 근방으로부터 돌출하는 호상의 제2 계합부(3b)와, 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자물쇠상의 제3 계합부(3c)로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대략 호상의 상기 차폐판(2)의 내측면에는 상기 열교환기의 핀(25)에 계합하는 3개의 핀 계합부(4)가 긴쪽 방향을 향하여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핀 계합부(4)는 상기 차폐판(2)의 긴쪽 방향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과 함께, 평면이 차폐판(2)의 상하 방향을 향한 판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차폐판(2)의 상단 가장자리의 근방에, 상기 열교환기의 일부로의 공기의 우회를 방해하는 우회 방지 리브(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우회 방지 리브(5)는 차폐판(2)의 긴쪽 방향, 또한, 차폐판(2)에의 장착부와 대략 직각 방향으로 평면이 연장되는 것과 함께, 상기 차폐판(2)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상기 차폐판(2)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 우측면의 상단에는 통풍의 방해가 불필요한 열교환기(110)에 차폐 부재(1)가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봉상(棒狀)의 오장착 방지부(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장착 방지부(6)는 상기 차폐판(2)의 긴쪽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차폐판(2), 전열관 계합부(3), 핀 계합부(4), 우회 방지 리브(5) 및 오장착 방지부(6)는 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차폐판(2)의 긴쪽 방향의 양단에는 나사 구멍(7)이 각각 설치되어 있지만, 상기 전열관 계합부(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나사 구멍(7)은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5는 상기 차폐 부재(1)가 장착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실내기의 열교환기(10)와 차폐 부재(1)를 꺼내어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상기 열교환기(10)와 차폐 부재(1)를 꺼내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벽에 고정되는 바닥 패널(12)과, 이 바닥 패널(12)의 상단에 연결되는 것과 함께,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그릴(grill)이 형성된 상면 패널(13)과, 이 상면 패널(13)에 나란히 줄지어 있는 것과 함께, 전면측(前面側)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전면 패널(14)을 구비한다. 이 전면 패널(14)의 상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슬릿(slit, 1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 패널(14)의 내측에는 단면에 있어서 대략 역 V자 형상을 가지는 열교환기(1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열교환기(10)와 바닥 패널(12)의 사이에 크로스 플로 팬(cross flow fan, 16)이 배치되어 있다. 이 크로스 플로 팬(16)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둘레면에 회전축(16a)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패널(14)의 하단에 인접하며, 상기 열교환기(10)에서 열교환을 행한 후의 공기를 실내로 불어내기 위한 취출구(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취출구(17)의 상방(上方), 또한, 상기 열교환기(10)의 전면측의 하단 근방에, 상기 열교환기(10)의 결로수를 받는 드레인 팬(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폐 부재(1)는 상기 열교환기(10)의 취출구(17)측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열교환기(10)의 정면도에 있어서, 열교환기(10)에 접속된 연락 배관(19)의 선단(先端)이 위치하고 있는 측이 취출구(17)측이다. 덧붙여, 상기 연락 배관(19)은 액(液) 배관(191) 및 가스 배관(192)으로 구성되고,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도시하지 않은 실외기에 접속되어 있다. 이 실외기로부터 액 배관(191) 및 가스 배관(192) 중 일방(一方)을 통하여 소정 온도의 열매체가 열교환기(10)로 공급되고, 이 열교환기(10)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행한 열매체는 액 배관(191) 및 가스 배관(192) 중 타방(他方)을 통하여 상기 실외기로 되돌려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액 배관(191)은 제1 및 제2 액 배관(191a, 191b)의 두 갈래로 분기하여 상기 열교환기(1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배관(192)은 제1 및 제2 가스 배관(192a, 192b)의 두 갈래로 분기하여 상기 열교환기(1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10)는 복수의 직선관(21) 및 이 복수의 직선관(21)을 접속하는 복수의 U자 관(22)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열관(23)과, 이 전열관(23)의 직선관(21)이 관통하는 복수의 핀(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열관(23)의 직선관(21)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V자 형상의 열교환기(10)의 외면측과 내면측에서 2열, 또한, 핀(25)의 긴쪽 방향으로 14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핀(25)은 열교환기(10)의 긴쪽 방향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관판(27)의 사이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겹쳐지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핀(25)은 평면이 도 6의 지면(紙面)의 직각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도 6에서는 각각의 핀(25)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6,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0)의 취출구(17)측의 단부가 상기 차폐 부재(1)의 차폐판(2)에 의하여 덮여 있다. 이 차폐판(2)으로 덮인 열교환기(10)의 부분은 취출구(17)측의 단(이하, 하단이라 함)으로부터 첫째 단 및 둘째 단의 직선관(211, 212)에 상당하는 부분이다. 이 2단의 직선관(211, 21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매체가 공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둘째 단의 직선관(212) 중 열교환기(10)의 외면측에 위치하는 직선관(212a)의 상방에, 상기 차폐 부재(1)의 우회 방지 리브(5)가 내면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핀(25)에, 하단으로부터 둘째 단의 직선관(212)의 상방에 절단부(25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단부의 내측에 상기 차폐 부재(1)의 우회 방지 리브(5)가 삽입되어 있다.
도 8A는 상기 열교환기(10)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 우측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 중 차폐 부재(1)의 전열관 계합부(3)가 전열관(23)에 계합하는 부분 A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8A가 도시하는 부분의 정면도이고, 도 9B는 도 9A 중 차폐 부재(1)의 오장착 방지부(6)의 근방의 부분 B를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열관 계합부(3) 중 차폐판(2)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계합부(3a)는 열교환기(10)의 외면측 또한 하단으로부터 셋째 단의 직선관(213a)의 단부에 계합하고 있다. 또한, 차폐판(2)의 하단 근방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계합부(3b)는 열교환기(10)의 외면측 또한 하단으로부터 첫째 단의 직선관(211a)의 단부에 계합하고 있다. 덧붙여, 상기 열교환기(10)의 정면으로부터 볼 때 좌측 부분의 전열관 계합부(3)는 상기 제1 및 제2 계합부(3a, 3b)가 직선관(213a, 211a)에 계합하는 것과 함께, 제3 계합부(3c)가 열교환기(10)의 내면측 또한 하단으로부터 첫째 단의 직선관(211b)의 단부에 계합하고 있다.
또한, 도 8B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폐 부재(1)의 오장착 방지부(6)는 열교환기(10)의 외면측 또한 하단으로부터 둘째 단의 직선관(212a)과 외면측 또한 셋째 단의 직선관(213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오장착 방지부(6)는 상기 외면측 둘째 단의 직선관(212a)에 접속된 U자 관(221)과 상기 외면측 셋째 단의 직선관(213a)에 접속된 U자 관(223)의 사이의 간극에, 이들 U자 관(221, 223)에 의하여 방해되는 일없이 배치되어 있다.
도 10A는 상기 열교환기(10)의 우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전열관(23)의 단부를 지지하는 관판(27)의 표면이 노출되어 있다. 도 10B는 비교예의 열교환기(110)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이 열교환기(110)는 도 10A의 열교환기(10)와 동일한 직선관 및 핀을 가지는 한편, U자 관의 배치만이 다르다. 본 실시예의 열교환기(10)는 비교예의 열교환기(110)와 같은 크기이지만, 상기 U자 관의 배치에 의하여 비교예의 열교환기(110)보다도 작은 열교환 능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열교환기(10)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으로부터 셋째 단의 외면측과 내면측의 직선관(213a, 213b)이 U자 관(223)으로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하단으로부터 첫째 단 및 둘째 단의 직선관(211, 212)에는 열매체가 공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락 배관(19)의 제1 액 배관(191a)에 접속되는 외면측 여덟째 단의 직선관(218a)은 도 10A의 열교환기(10)의 긴쪽 방향의 반대측에서 U자 관을 통하여 외면측 일곱째 단의 직선관(217a)에 접속되고, 이 외면측 일곱째 단의 직선관(217a)은,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자 관(226)에 의하여 외면측 여섯째 단의 직선관(216a)에 접속되어 있다. 이 외면측 여섯째 단의 직선관(216a)은 열교환기(10)의 긴쪽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U자 관(225)을 통하여 외면측 다섯째 단, 넷째 단, 셋째 단의 직선관(215a, 214a, 213a)에 순차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외면측 셋째 단의 직선관(213a)은 U자 관(223)을 통하여 내면측 셋째 단의 직선관(213b)에 접속되어 있다. 이 내면측 셋째 단의 직선관(213b)은 열교환기(10)의 긴쪽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U자 관(224)을 통하여 내면측 넷째 단, 다섯째 단, 여섯째 단의 직선관(214b, 215b, 216b)에 순차로 접속되어 있다. 이 내면측 여섯째 단의 직선 배관(216b)은 연락 배관(19)의 제1 가스 배관(192a)에 접속되어 있다. 즉, 연락 배관(19)의 제1 액 배관(191a)과 제1 가스 배관(192a)의 사이에, 순차로 외면측 여덟째 단, 외면측 일곱째 단, 외면측 여섯째 단, 외면측 다섯째 단, 외면측 넷째 단, 외면측 셋째 단, 내면측 셋째 단, 내면측 넷째 단, 내면측 다섯째 단, 내면측 여섯째 단의 직선관(218a, 217a, 216a, 215a, 214a, 213a, 213b, 214b, 215b, 216b)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외면측 첫째 단 및 둘째 단의 직선관(211a, 212a)과 내면측 첫째 단 및 둘째 단의 직선관(211b, 212b)은 열교환기(10)의 좌우 양측의 U자 관(221, 222)에 의하여 폐루프(closed loop)를 구성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이 폐루프를 구성하여 연락 배관(19)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2단의 직선관(211a, 212a, 211b, 212b)에 대응하는 부분을 차폐 부재(1)의 차폐판(2)이 덮고 있다.
또한, 연락 배관(19)의 제2 액 배관(191b)과 제2 가스 배관(192b)의 사이에는, 순차로 외면측 아홉째 단, 외면측 열째 단, 외면측 열한째 단, 외면측 열두째 단, 외면측 열셋째 단, 외면측 열넷째 단, 내면측 열넷째 단, 내면측 열셋째 단, 내면측 열두째 단, 내면측 열한째 단, 내면측 열째 단, 내면측 아홉째 단, 내면측 여덟째 단, 내면측 일곱째 단의 직선관(219a, 2110a, 2111a, 2112a, 2113a, 2114a, 2114b, 2113b, 2112b, 2111b, 2110b, 219b, 218b, 217b)이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10B에 도시하는 비교예의 열교환기(110)는 연락 배관(19)의 제1 액 배관(191a)과 제1 가스 배관(192a)의 사이에 접속되는 직선관(21)의 수가 도 10A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의 열교환기(10)와 다르다. 즉, 연락 배관(19)의 제1 액 배관(191a)과 제1 가스 배관(192a)의 사이에, 순차로 외면측 여덟째 단, 외면측 일곱째 단, 외면측 여섯째 단, 외면측 다섯째 단, 외면측 넷째 단, 외면측 셋째 단, 외면측 둘째 단, 외면측 첫째 단, 내면측 첫째 단, 내면측 둘째 단, 내면측 셋째 단, 내면측 넷째 단, 내면측 다섯째 단, 내면측 여섯째 단의 직선관(218a, 217a, 216a, 215a, 214a, 213a, 212a, 211a, 211b, 212b, 213b, 214b, 215b, 216b)이 접속되어 있다. 덧붙여, 연락 배관(19)의 제2 액 배관(191b)과 제2 가스 배관(192b)의 사이에는 접속되는 직선관(21)의 수는 도 10A의 본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즉, 크로스 플로 팬(16)이 도시하지 않은 팬 모터에 의하여 회전축(16a) 둘레에서 구동되어, 이 회전축(16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공기류(空氣流)를 생성한다. 이것에 의하여 실내 공기가 상기 상면 패널(13)의 그릴 및 전면 패널(14)의 슬릿(14a)으로부터 흡입되어 열교환기(10)에 안내되고, 이 열교환기(10)의 전열관(23) 내를 흐르는 열매체와 열교환을 행하여 상기 취출구(17)로부터 불어내어진다.
상기 열교환기(10)는 하단으로부터 2단의 직선관(211, 212)에 대응하는 부분이 차폐 부재(1)의 차폐판(2)에 의하여 덮여 있고, 또한, 상기 전면측 둘째 단의 직선관(212a)의 상방에 차폐 부재(1)의 우회 방지 리브(5)가 돌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열매체가 공급되지 않는 첫째 단 및 둘째 단의 직선관(211, 212)에 상당하는 부분의 통풍을 효과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10)에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셋째 단으로부터 열넷째 단의 직선관(213 ~ 2114)에 상당하는 부분에 효과적으로 통풍을 행하여, 이 열교환기(10)가 가지는 열교환 능력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차폐 부재(1)에서 열교환기(10)의 첫째 단 및 둘째 단으로의 통풍을 방해하는 것에 의하여, 또한, U자 관(22)의 배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비교예의 열교환기(110)를 이용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와 열교환기의 구성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냉난방 능력이 다른 실내기의 사이에서 공통의 열교환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부품 점수를 삭감하여 비용 절감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가 구비하는 열교환기(10)는 차폐 부재(1)를 떼어내는 것과 함께, U자 관(22)의 배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비교예의 열교환기(110)와 같은 열교환 능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실외기의 교환 등에 따라 실내기의 냉난방 능력을 용이하게 증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부재(1)는 전열관 계합부(3)에 의하여 전열관(23)의 직선관(211a, 211b, 213a)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열교환기(10)에의 탈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조나 실내기의 냉난방 능력의 변경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부재(1)는 우회 방지 리브(5)에 의하여 열교환기(10)의 하단으로부터 첫째 단 및 둘째 단의 전열관(211, 212)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의 통풍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 효율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부재(1)는 핀 계합부(4)에 의하여 차폐판(2)의 긴쪽 방향 중앙부의 근방을 핀(25)의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차폐판(2)의 휨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10)의 첫째 단 및 둘째 단의 전열관(211, 212)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의 공기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 효율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부재(1)는 상기 오장착 방지부(6)에 의하여 장착이 불필요한 비교예의 열교환기(110)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전열관(23)의 전(全)직선관(21)에 냉매가 흐르는 비교예의 열교환기(110)에서는 차폐 부재(1)를 장착하려고 하면, 상기 오장착 방지부(6)가 외면측 둘째 단의 직선관(212a)과 셋째 단의 직선관(213a)을 연결하는 U자 관(228)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차폐 부재(1)는 비교예의 열교환기(110)에 오장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차폐 부재(1)는 상기 차폐판(2)과 이 차폐판(2)의 폭 방향의 양단에 설치된 장착부로서의 나사 구멍(7)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전열관 계합부(3)를 삭제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열교환기(10)의 폭 방향의 양측면에 설치된 관판(27)의 가장자리에, 이 관판(27)이 연장되는 면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굴곡한 설상(舌狀)의 소판(小板)을 설치하고, 이 소판에 나사 감합 구멍(27a)을 설치한다(도 9A 및 9B 참조). 이 관판(27)의 나사 감합 구멍(27a)에, 상기 차폐 부재(1)의 나사 구멍(7)을 관통한 나사를 고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차폐 부재(1)를 열교환기(10)에 간단한 구조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 감합 구멍(27a)을 관판(27)의 적절한 위치에 미리 설치하여 두는 것에 의하여 공기 조화기의 조립 시에 오장착하는 일없이 열교환기(10)의 적절한 위치에 차폐 부재(1)를 장착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차폐 부재(11)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1B는 도 11A의 A-A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차폐 부재(11)는 드레인 팬(15)에 장착되어 있고, 이 차폐 부 재(11)와 드레인 팬(1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차폐 부재(11)는 열교환기(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상을 가지는 차폐판(2)을 가지고, 이 차폐판(2)의 하단이 드레인 팬(15)의 내측면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차폐판(2)의 상단 가장자리의 근방에는 이 차폐판(2)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리브(5)가 고정되어 있다. 이 차폐판(2)은 상기 열교환기(10)의 전면측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2단의 직선관(211, 212)의 전방(前方) 부분을 덮고 있다. 한편, 상기 드레인 팬(15)은 열교환기(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과 함께 오목형상 단면을 가져, 이 열교환기(10)의 전면측의 하단부를 둘러싸고 있다. 이 드레인 팬(15)은 긴쪽 방향의 일단에, 상기 열교환기(10)로부터 받은 결로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호스(hose)가 접속되어 있다. 일체로 형성된 차폐 부재(11)와 드레인 팬(15)은 이 드레인 팬(15)의 양단에 설치된 연결부를 통하여 바닥 패널(1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10)는 드레인 팬(15)에 의하여 하단부가 둘러싸이는 것에 의하여 이 하단부의 통풍량이 다른 부분보다도 적게 된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 팬(15)과 일체로 형성된 차폐 부재(11)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기(10)의 통풍량이 적은 하단부가 덮이므로, 상기 드레인 팬(15)에 의한 통풍량의 감소가 생기지 않는 열교환기(10)의 부분에 통풍된다. 이와 같이, 통풍되기 쉬운 부분에 통풍하는 것에 의하여 크로스 플로 팬(16)의 송풍 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열교환기(10)의 열교환 효율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차폐 부재(11)는 상기 드레인 팬(15)과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각각 별체로 형성된 차폐 부재(11)와 드레인 팬(15)을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차폐판(2)에는 열교환기(10)의 핀(25)에 계합하는 핀 계합부(4)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차폐 부재(11)는 드레인 팬(15) 이외에 실내기의 케이싱을 형성하는 바닥 패널(12)에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차폐 부재(11)의 긴쪽 방향 양단을 바닥 패널(12)의 측면의 내측에 설치하면 좋다.
덧붙여,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차폐 부재(1, 11)는 차폐판(2)을 이용하여 구성하였지만, 열교환기(10)의 일부로의 통풍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면, 예를 들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10)는 역 V자 형상을 가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형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부재(1, 11)가 통풍을 방해하는 부분은 열교환기(10) 중 하단으로부터 첫째 단 및 둘째 단의 직선관(211, 212)에 대응하는 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열교환기에 대하여 복수의 차폐 부재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은 벽걸이형 실내기에 한정되지 않고, 천장 매입형이나 거치형 등의 모든 형식의 실내기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여러가지로 변경하여도 무방한 것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의 일탈이라고 간주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변경은 모두 다음에 계속되는 특허 청구의 범위 중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6)

  1. 열교환기(10)와, 상기 열교환기(10)에 공기를 안내하는 팬(fan, 16)과, 취출구(17)와, 그 일부가 냉매의 흐름이 유통과 차단의 사이에서 전환되는 전열관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실내기에 장착되었을 때, 냉매의 흐름이 차단된 상기 전열관의 일부에 대응하는 상기 열교환기(10)의 부분의 통풍을 방해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열교환기(10)의 취출구(17)측의 단부를 덮도록 되어 있는 차폐판(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0)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차폐판(2)과,
    상기 차폐판(2)에 연결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열교환기(10)가 가지는 전열관(23)에 계합 가능하게 형성된 전열관 계합부(3)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0)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차폐판(2)과,
    상기 차폐판(2)에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10)가 가지는 관판(管板, 27)에 장착되는 장착부(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부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0)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차폐판(2)을 구비하며,
    상기 열교환기(10)로부터의 결로수(結露水)를 받는 드레인 팬(drain pan, 15) 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케이싱(12)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부재.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2)에 연결되어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열교환기(10)가 가지는 핀(fin, 25)에 계합 가능하게 형성된 핀 계합부(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부재.
  14. 제1항 또는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16)으로 안내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0)의 일부로 우회하는 것을 방지하는 우회 방지 리브(rib, 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부재.
  15. 제1항 또는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풍의 방해가 불필요한 열교환기(110)의 부분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장착 방지부(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부재.
  16. 제1항 또는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폐 부재(1)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77008784A 2004-11-02 2005-10-31 차폐 부재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853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19553 2004-11-02
JPJP-P-2004-00319553 2004-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625A KR20070058625A (ko) 2007-06-08
KR100853455B1 true KR100853455B1 (ko) 2008-08-21

Family

ID=36319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784A KR100853455B1 (ko) 2004-11-02 2005-10-31 차폐 부재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94526B2 (ko)
EP (1) EP1811234A4 (ko)
JP (1) JP4618254B2 (ko)
KR (1) KR100853455B1 (ko)
CN (1) CN100494791C (ko)
AU (1) AU2005301803B2 (ko)
RU (1) RU2351851C2 (ko)
WO (1) WO20060491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8721B2 (ja) * 2008-10-17 2011-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及びコーティング組成物
CN102313346B (zh) * 2010-06-29 2015-04-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
KR101579221B1 (ko) * 2013-07-23 2015-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냉매관을 연결하는 방법
JP6494943B2 (ja) * 2014-07-31 2019-04-03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1890869B1 (ko) * 2016-10-27 2018-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10788241B2 (en) * 2017-10-26 2020-09-29 Rheem Manufacturing Company Air conditioner with condensation drain assembly and improved filter rack
EP3770526B1 (en) * 2018-03-20 2023-09-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FR3116301B1 (fr) * 2020-11-18 2022-12-02 Valeo Systemes Thermiques Module de refroidisse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électrique ou hybride à turbomachine tangentielle avec échangeur de chaleur supplémentaire
US11953215B2 (en) * 2022-02-03 2024-04-09 Tyco Fire & Security Gmbh Panel arrangement for HVAC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9340A (en) * 1987-07-15 1989-01-23 Fuji Photo Film Co Ltd Original platen supporting mechanism
JPH10227470A (ja) 1997-02-17 1998-08-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室内ユニット
JPH11264564A (ja) 1998-03-19 1999-09-2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100780792B1 (ko) 2007-01-29 2007-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8110A (en) * 1954-04-29 1958-03-25 American Air Filter Co Selective room heater and cooler
SU966428A1 (ru) 1981-03-16 1982-10-15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По Оборудованию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И Вентиляц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воздуха
JPH0742010Y2 (ja) * 1990-12-28 1995-09-2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H0542924U (ja) 1991-11-15 1993-06-1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内機ユニツト
JPH0659720U (ja) * 1993-01-20 1994-08-1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3150505B2 (ja) * 1993-08-30 2001-03-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用熱交換器
JP2604583Y2 (ja) 1993-12-27 2000-05-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
JPH07293934A (ja) * 1994-04-20 1995-11-10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H1019340A (ja) * 1996-06-27 1998-01-23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H11304236A (ja) * 1998-04-20 1999-1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2003240257A (ja) * 2002-02-18 2003-08-27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02250537A (ja) * 2002-02-26 2002-09-06 Hitachi Ltd 空気調和機
KR100504478B1 (ko) * 2002-11-09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실내열교환기
KR100707448B1 (ko) * 2005-03-22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9340A (en) * 1987-07-15 1989-01-23 Fuji Photo Film Co Ltd Original platen supporting mechanism
JPH10227470A (ja) 1997-02-17 1998-08-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室内ユニット
JPH11264564A (ja) 1998-03-19 1999-09-2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100780792B1 (ko) 2007-01-29 2007-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특허공개 평10-19340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18254B2 (ja) 2011-01-26
CN101048622A (zh) 2007-10-03
WO2006049122A1 (ja) 2006-05-11
US7694526B2 (en) 2010-04-13
JPWO2006049122A1 (ja) 2008-05-29
AU2005301803A1 (en) 2006-05-11
EP1811234A4 (en) 2011-03-02
AU2005301803B2 (en) 2008-10-23
CN100494791C (zh) 2009-06-03
EP1811234A1 (en) 2007-07-25
RU2007120579A (ru) 2008-12-10
RU2351851C2 (ru) 2009-04-10
KR20070058625A (ko) 2007-06-08
US20070245757A1 (en)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455B1 (ko) 차폐 부재 및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EP1326054B1 (en) Decorative panel for air conditioning system, air outlet unit, and air conditioning system
EP2860462B1 (en)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EP2019948B1 (en) Air conditioner
US6141983A (en) Air conditioner
JP6223596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US11162693B2 (en) Fan unit, an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mprising fan unit
JP418703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5123018B2 (ja) 空調装置
JPWO2018163360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986696B2 (ja) 冷凍空調装置
CN110431360B (zh) 空气调节机
JP535761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12254211A (zh) 双位切换式空调器
CN219415164U (zh) 进出风格栅和空调器
CN214275957U (zh) 整洁且体积小的立柜式室内机
JP7137092B2 (ja) 熱交換器
EP1970638A1 (en) Air conditioner
WO2024105775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219865609U (zh) 蜗壳组件及移动式空调器
JP5455817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この室内機を備えた空気調和機
CN112781107A (zh) 整洁且体积小的立柜式室内机
WO2020095342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281747Y1 (ko) 벽내장형 열회수식 환기장치
KR20020082262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