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406B1 - 자동차용 후드 래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드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406B1
KR100853406B1 KR1020070106574A KR20070106574A KR100853406B1 KR 100853406 B1 KR100853406 B1 KR 100853406B1 KR 1020070106574 A KR1020070106574 A KR 1020070106574A KR 20070106574 A KR20070106574 A KR 20070106574A KR 100853406 B1 KR100853406 B1 KR 100853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release lever
base
spring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상
Original Assignee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6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드 래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에 설치된 제1래치와 제2래치, 상기 제1래치의 하단에 설치되고 제1래치와 연동되는 릴리즈 레버 및 상기 릴리즈 레버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하나 의 래치 형상으로 운전석의 위치에 상관없이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가 절감되고, 래치의 조립이 용이하다.
후드, 후드 래치, 릴리즈 레버

Description

자동차용 후드 래치{Hood Latch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드 래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석의 위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드 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앞쪽에는 후드가 설치되어 엔진룸을 보호하고, 엔진에 의한 소음을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후드는 카울 톱 아우터에 힌지를 통해 열고 닫히도록 장착되어 평소에는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후드의 앞쪽 중앙에는 후드 래치가 설치되어 후드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후드 래치는 2단으로 잠금되도록 설치하며, 1차적으로 운전석에 인접한 곳에 설치된 조작 버튼을 통해 제1래치의 잠금을 해제한 후, 2차적으로는 수동으로 제2래치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드에 설치되는 제1래치는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며 와이어(3)가 당겨짐에 따라 레버(2, 2')가 회전하여 제1래치(1)의 잠금을 해제한다.
즉, 도 1(a)는 운전석이 오른쪽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이고, 도 1(b)는 운전 석이 왼쪽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이다.
그러나 종래의 제1래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제품에 대한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차종의 운전석 위치에 따라 구별하여 조립해야 하므로 작업과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전석의 위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드 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래치는 베이스에 설치된 제1래치와 제2래치, 상기 제1래치의 하단에 설치되고 제1래치와 연동되는 릴리즈 레버 및 상기 릴리즈 레버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양 끝단은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스프링 양끝단의 각각은 베이스와 릴리즈 레버의 면에 각각 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에 의해 릴리즈 레버의 상단은 베이스와 맞닿고, 릴리즈 레버의 하단은 베이스와 이격 거리를 갖고, 상리 릴리즈 레버의 하단에는 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릴리즈 레버의 상단과 상기 베이스는 이격되고, 릴리즈 레버의 하단은 베이스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운전석의 인접하게 설치된 조작버튼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래치에 의하면, 하나의 래치 형상으로 운전석의 위치에 상관없이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가 절감되고, 래치의 조립이 용이하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드 래치(100)는 차체에 설치되는 베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된 제1래치(20)와 제2래치(40)를 구비하며, 제1래치(20)는 릴리즈 레버(30)와 연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10)에는 제1래치(20) 및 제2래치(40)가 설치되어 차체에 고정되고, 제1래치(20) 및 제2래치(40)와 마주하는 베이스(10)의 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제1고정편(11)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편(11)을 통해 후술하는 스프링(50)을 사이에 두고 릴리즈 레버(30)와 조립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는 제1래치(20)는 후드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부(21)를 갖고, 상기 고정부(21)는 제1래치(20)의 측면의 상측과 하측 두 부분에 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1래치(20)는 고정부(21)가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제1래치(20)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2)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22)는 제1래치(20)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릴리즈 레버(30)와 맞닿아 제1래치(20)가 잠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릴리즈 레버(30)는 스프링(50)을 통해 베이스(10)와 연결되고, 릴리즈 레버(30)의 하측에는 와이어(60)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와이어(60)의 타측은 운전석에 인접해 있는 조작버튼(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릴리즈 레버(30)의 측면에는 제1고정편(11)에 상응하는 한쌍의 제2고정편(31)이 베이스(10) 측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제1고정편(11)의 양쪽 외측면에 제2고정편(31)의 양쪽 내측면이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편(11) 및 제2고정편(31)의 중앙에는 제1고정편(11) 및 제2고정편(31)을 각각 관통하는 고정홀(32)이 형성된다.
한편, 스프링(50)으로는 양쪽 끝단이 직선으로 된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며, 스프링(50) 끝단의 각각은 베이스(10)와 릴리즈 레버(30)의 면에 각각 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편(11) 및 제2고정편(31)에 형성된 고정홀(32)과 스프링(50)의 중앙홀(51)을 맞춰 핀(52)을 통해 고정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래치(20)와 릴리즈 레버(30)의 앞쪽으로는 제2래치(40)가 위치하고, 상기 제2래치(40)는 후드에 걸리는 고정돌기(42)가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후드 래치의 조립 및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10)에 제1래치(20)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때 제1래치(20)에 형성된 돌출부(22)가 아래쪽이 되도록 하며, 고정부(21)는 후드에 고정될 수 있도록 측면을 향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제1래치(20)의 아래쪽에 릴리즈 레버(30)를 설치하는데 릴리즈 레버(30)의 상단부가 돌출부(22)와 맞닿도록 한다.
또한, 베이스(10)의 제1고정편(11)에 릴리즈 레버(30)에 형성된 제2고정편(31)을 끼우고 그 사이에 스프링(50)을 삽입하고, 각각의 고정편에 형성된 고정홀(32)과 스프링(50)의 중앙홀(51)이 일치하도록 한 후 핀(52)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50)의 양 끝단 즉, 직선부분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하여 릴리즈 레버(30)의 상단이 베이스(10)에 닿고, 하단은 베이스(10)와 거리를 갖고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릴리즈 레버(30)의 하단에는 와이어(60)의 일측 끝단을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60)의 타측 끝단은 운전석의 인근에 설치되는 조작 버튼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와이어(60)를 오른쪽 또는 왼쪽에 연결하여 조작 버튼과 연결하고, 릴리즈 레버(30)는 운전석의 위치와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제1래치(20)와 릴리즈 레버(30)의 앞쪽으로 제2래치(40)를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이에 따라, 운전석 인근에 설치된 조작 버튼을 사용하면 와이어(60)가 당겨지게 되고, 도 4의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60)가 당겨짐에 따라 릴리즈 레버(30)의 하단이 베이스(10) 쪽으로 이동하고, 스프링(50)에 의해 릴리즈 레버(30)의 상단은 베이스(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릴리즈 레버(30)의 상단이 움직임에 따라 릴리즈 레버(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제1래치(20)가 움직이게 되고, 후드의 잠금장치가 1차적으로 해제된다.
그 후 후드의 앞에서 손을 이용하여 제2래치(40)에 형성된 고정돌기(42)를 움직여 후드의 잠금장치가 2차적으로 해제되어 후드를 개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래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드 래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 래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 래치의 열림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20 : 제1래치
30 : 릴리즈 레버
40 : 제2래치
50 : 스프링
60 : 와이어

Claims (5)

  1. 베이스에 설치된 제1래치와 제2래치,
    상기 제1래치의 하단에 설치되고 제1래치와 연동되는 릴리즈 레버 및
    상기 릴리즈 레버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 래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양 끝단은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스프링 양끝단의 각각은 베이스와 릴리즈 레버의 면에 각각 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 래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에 의해 릴리즈 레버의 상단은 베이스와 맞닿고, 릴리즈 레버의 하단은 베이스와 이격 거리를 갖고, 상리 릴리즈 레버의 하단에는 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릴리즈 레버의 상단과 상기 베이스는 이격되고, 릴리즈 레버의 하단은 베이스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 래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운전석의 인접하게 설치된 조작버튼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 래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드 래치.
KR1020070106574A 2007-10-23 2007-10-23 자동차용 후드 래치 KR100853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574A KR100853406B1 (ko) 2007-10-23 2007-10-23 자동차용 후드 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574A KR100853406B1 (ko) 2007-10-23 2007-10-23 자동차용 후드 래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406B1 true KR100853406B1 (ko) 2008-08-21

Family

ID=3987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574A KR100853406B1 (ko) 2007-10-23 2007-10-23 자동차용 후드 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4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025U (ko) * 1989-11-28 1991-08-07
KR20000043119A (ko) * 1998-12-28 2000-07-15 정주호 후드 해제 레버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025U (ko) * 1989-11-28 1991-08-07
KR20000043119A (ko) * 1998-12-28 2000-07-15 정주호 후드 해제 레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22835A1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の取付構造
US8777281B2 (en) Outside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CN107799959B (zh) 杠杆式连接器
CA2766241A1 (en) Door lock release mechanism for automobile door
JP6237153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5382542B2 (ja) チェックリンク装置
JP4478103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53406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
US11760174B2 (en) Flush glass apparatus
US20170009498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vehicle
EP3665348A1 (en) A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EP3665347B1 (en) A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0444662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핀결합 연계형 래치 구조
KR200376545Y1 (ko) 차량 도어 체커 구조
JP4029256B2 (ja) 車両用バンパー
JP4881754B2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940389B1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102593961B1 (ko)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KR20060004177A (ko) 자동차의 후드래치
JP2004316164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2009299264A (ja) 車両用操作装置
KR101022692B1 (ko) 자동차의 퓨즈 박스 리드 잠금구조
KR100405604B1 (ko) 자동차의 후드래치 조립체
JP3985934B2 (ja) ロック装置におけるレバーの操作力伝達構造
JP5427089B2 (ja) リッド付ボックスの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