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264B1 -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 Google Patents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264B1
KR100853264B1 KR1020060109104A KR20060109104A KR100853264B1 KR 100853264 B1 KR100853264 B1 KR 100853264B1 KR 1020060109104 A KR1020060109104 A KR 1020060109104A KR 20060109104 A KR20060109104 A KR 20060109104A KR 100853264 B1 KR100853264 B1 KR 100853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film
polarizing plate
film
polyester
orienta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029A (ko
Inventor
김창근
김배인
김상필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264B1/ko
Publication of KR2008004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8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polaris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횡단성 결점을 최소화하면서 배향각을 최소화하여 보잉 현상을 감소시켜 편광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크로스니콜법에 의한 이물의 육안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대화면의 LCD에 있어서 이물의 간과 가능성을 줄임으로써 육안검사의 정확도를 높여 제품의 불량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디스플레이용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에 도포된 접착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접착층에 부착된 이형필름에 있어서, 상기 이형필름은 필름의 제막공정 시 길이방향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250℃ ~ 400℃로 하여 실시하고, 배향각이 8 ∼ 12도, 길이방향 두께 변동폭(R값)이 0.9 ∼ 2.0 ㎛이며, 장경(長徑)이 30 ∼ 100㎛인 광학적 이물의 개수가 100cm2 당 2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외선 히터 온도, 편광판,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횡단성 결점, 배향각, 두께 변동폭

Description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POLYESTER RELEASE FILM FOR POLARIZER AND LAMINATE USING THE SAME}
도 1은 육안 검사시 활용되는 크로스니콜법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사람의 눈 2 : 편광자
3 : 편광판 적층체 4 : 편광자
5 : 백색광원
본 발명은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횡단성 결점을 최소화하면서 배향각을 최소화하여 보잉 현상을 감소시켜 편광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크로스니콜법에 의한 이물의 육안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대화면의 LCD에 있어서 이물의 간과 가능성을 줄임으로써 육안검사의 정확도를 높여 제품의 불량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CRT(Cathode Ray Tube)에 비해, 경량, 저전력 소비, 박형 및 고화질의 장점을 지니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한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LCD에서 편광판, 위상차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이하, “편광판”이라 한다)은 일정한 투과광을 제공하고 투과광의 색조를 변화시키기 위한 필수 부품으로 안정한 품질로 공급하기 위하여 공정검사, 품질검사 및 출하검사에 대한 기준이 더욱 엄격해지고 있다.
상기 편광판은 편광기재의 한쪽 표면에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접착층에 이형필름을 적층시킨 후, 적층체의 롤을 원하는 크기로 재단함으로써, LCD 소재로 제공된다. 상기 이형필름은 편광판의 접착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으로서, 최종제품에서는 박리되므로 제품과 함께 사용되지는 않으나, 제품관리 측면 때문에 제조공정 상에서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LCD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비용의 감소화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이며, 비용 증가의 주요발생 원인 중 하나는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불량품이 많아짐에 따라 생산 수율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불량품의 주요요인은 편광판 제조공정 중, 편광판의 제조단계에 뿐만 아니라 이형필름을 접착, 적층하는 단계, 재단단계, 출하 및 포장단계에 이르기까지 전 공정에서 이물혼입 또는 결함 발생율이 높은 것을 들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 제조 공정 중 발생되는 불량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이물혼입 또는 결함에 대한 정확한 육안검사가 요구된다.
이러한 육안검사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크로스니콜법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도 1과 같이, 2장의 편광판의 편광축을 직교하도록 교차시키고, 그 사이에 측정 대 조품을 삽입하고 투과광으로 이물질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최종 검사단계에서 육안 검사를 실시한다.
그러나, 최종 검사단계에서 편광기재의 한쪽 표면에 접착층을 보호하기 위해 이형필름이 부착된 채로 육안검사가 실시되므로, 이형필름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학적 이방성으로 인해 정확한 육안검사가 방해받을 수 있다. 특히, 길이방향 두께의 변동폭 증가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폭 방향의 물결무늬 띠 모양의 횡단성 결점이 육안 검사시 결점 인식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대표적인 이형필름으로서,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우수한 기계적, 열적 특성 등으로 인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서 일본특허 공개평 제7-101026호에는 2축 배향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 한 이형필름을 사용하고, 상기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 주축의 방향과,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배향축의 방향이 실질적으로 같게 하든가, 또는 실질적으로 90°가 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및 그를 위한 이형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 주축의 방향과,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배향축의 방향을 실질적으로 같게 하든가, 또는 실질적으로 90°가 되도록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 주축을 확인하고, 그 방향과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배향축의 방향이 실질적으로 같게 하든가, 또는 실질적으로 90°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고, 생산성 면에서 극히 곤란하다. 또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주 배향축이 폭 방향 (기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존재하는 부분만을 사용한 경우는, 상기와 같은 배향 주축을 확인하는 수고는 없어지지만,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주 배향축이 폭 방향(기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존재하는 부분은, 제조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중앙부분의 일부이고, 그 이외의 부분은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일반적으로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제막공정에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서의 기계적, 열적 특성이 상호 균형을 이룬다. 즉, 상기 필름의 분자 배향 주축의 방향은 필름의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과 일치하지 않으며, 양방향의 중간방향으로 분자 배향이 이루어진다. 이때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배향각의 위치 의존성이 발생한다. 여기에서 배향각 이란, 필름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과 분자 배향 주축 사이의 각도 중 폭 방향을 기준한 각도를 의미한다. 즉, 폭 방향 위치에 따라 배향각의 차이가 많이 발생하는데, 그 주요원인은 텐터법의 열처리 시에 필름길이 방향으로 응력차에 의한 보잉(Bowing)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에 의해 필름의 중앙부보다 양 끝 방향으로 갈수록 배향각이 커진다. 이때, 편광기재의 한쪽 표면에 접착층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형필름은 2축 배향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각이 어느 수준 이상 커지면, 일축 배향(특히, 길이 방향)된 편광기재와 접착에 의해 적층되었을때, 크로스니콜법(도 1)에 의한 육안 검사 시 간섭광이 발생하여 이물질을 검사하기가 어려워진다. 간섭의 정도는 중앙부 보다 양 끝 방향으로 갈수록 심해지기 때문에 이형필름으로 배향각이 어느 수준 이하 값을 만족하는 특정(특히, 중앙부) 위치 부분만을 사용한다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능한 한 넓은 폭에 걸쳐 육안검사에 적합한 이형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보잉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도가 필요하다. 보잉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막공정에서 길이방향과 폭 방향의 연신 비율에 큰 차이를 두어, 어느 방향이든 한쪽 방향으로 강하게 배향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길이방향보다 상대적으로 폭 방향의 연신 비율을 높임으로써, 폭 방향으로의 배향각의 변동차를 작게 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길이방향의 연신비를 폭 방향의 연신비보다 많이 낮게 하면, 폭 방향으로의 배향각은 0도에 점차 가까워지고 폭 방향 위치별 배향각의 변동차도 감소되나, 길이방향의 두께 변동폭이 점차 증가되어 폭 방향의 물결무늬 띠 모양의 횡단성 결점이 심화된다. 이로 인해, 크로스니콜법(도 1)에 의한 육안검사 시, 편광기능 저하(편광 결점)로 결점인식에 방해를 준다. 반면에 횡단성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길이방향의 연신비를 높이면, 폭 방향으로의 배향각이 커지므로, 편광판용 이형필름으로서 부적합하다. 또한, 횡단성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길이방향의 연신비 이외에 길이방향 연신부의 온도를 낮추면, 폭 방향으로의 배향각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횡단성 결점을 최소화하면서 배향각을 최소화하여 보잉 현상을 감소시켜 편광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크로스니콜법에 의한 이물의 육안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대화면의 LCD에 있어서 이물의 간과 가능성을 줄임으로 써 육안검사의 정확도를 높여 제품의 불량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에 편광기재가 적층된 편광판 적층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디스플레이용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에 도포된 접착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접착층에 부착된 이형필름에 있어서, 상기 이형필름은 필름의 제막공정 시 길이방향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250℃ ~ 400℃로 하여 실시하고, 배향각이 8 ∼ 12도, 길이방향 두께 변동폭(R값)이 0.9 ∼ 2.0 ㎛이며, 장경(長徑)이 30 ∼ 100㎛인 광학적 이물의 개수가 100cm2 당 2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형필름은 두께가 20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적층체는 상기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이 적층되되, 편광기재에 도포된 접착층 상에 상기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공정에서 길이 방향의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최적화함으로써, 출하전의 최종 검사단계에서, 편광판 이형필름은 광학적 이물이 적으며, 배향각이 작고, 실리콘 접착성이 용이하며 길이방향 두께 균일도가 우수한 편광판 이형필름을 개발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디스플레이용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에 도포된 접착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접착층에 부착된 이형필름에 있어서, 상기 이형필름은 필름의 제막공정 시 길이방향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250℃ ~ 400℃로 하여 실시하고, 배향각이 8 ∼ 12도, 길이방향 두께 변동폭(R값)이 0.9 ∼ 2.0 ㎛이며, 장경(長徑)이 30 ∼ 100㎛인 광학적 이물의 개수가 100cm2 당 2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의 배향각은 텐터 출구 폭을 기준으로 중앙부 90% 해당폭의 배향각이 12도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형필름의 배향각이 12도를 초과하면, 편광기재와 접착층에 의해 적층된 편광판을 크로스니콜법에 의한 육안검사를 실시할 경우 시야가 어두워져 이물질에 대한 검지능력이 현격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배향각이 8도 이상인 경우가 바람직한데, 8도 미만으로서 0도에 가까울수록 편광판용 이형필름에 적합하나,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가로 방향 연신비를 세로방향 연신비보다 과도하게 증가시키면, 가로방향 연신공정에서 필름이 찢어지는 파단의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생산 수율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텐터 출구폭을 기준으로 중앙부 90% 해당폭의 배향각이 12도 이하이므로 생산 수율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배향각이란 분자 배향의 주축이 폭 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길이방향 두께 변동폭인 R값이 2㎛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값이 0.9 ∼ 2.0 ㎛이다. 상기 R값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길이방향으로 15m 샘플링한 후, 10mm간격으로 측정하여, 최대 두께 및 최소 두께의 차를 의미한다. 이때, 길이방향 두께 변동폭인 R값이 작으면 작을수록 우수하나, 이를 달성하기 위해 길이방향 연신부의 적외선 온도를 과도하게 낮게 설정하면, 필름이 찢어지는 파단의 위험성이 증가하므로 생산수율이 저하 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 두께 변동폭인 R값이 2㎛를 초과하면, 필름의 주행 중에 폭 방향으로 물결무늬 띠모양의 횡단성 결점이 육안으로 뚜렷하게 관찰된다.
상기 배향각을 양 끝부분에서도 12도 이하로 맞추기 위해 길이방향의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과도하게 높이면 횡단성 결점 및 롤과 필름면 사이에 점착성 결점이 심해져서, 이형필름이 편광기재와 접착에 의해 적층된 편광판을 크로스니콜법(도 1)에 의한 육안검사를 실시할 경우 간섭광의 영향으로 이물질에 대한 검지능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배향각과 길이방향의 두께 변동폭간에는 상호 대립적인 관계가 성립하므로, 제막공정에서 적정한 길이방향의 예열부의 적외선 히터 온 도를 적절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최적의 적외선 히터 온도는 250℃ ~ 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에 있어서, 광학적 이물의 규격은 장경(長徑)이 30㎛ ∼ 100㎛인 이물의 경우, 100cm2 당 2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경(長徑) 100㎛ 이상의 이물은 100cm2 당 0개가 관찰된다. 만약, 장경 100㎛이상의 이물이 발생하면, 편광기재의 이물로 오인될 가능성도 있을 뿐만 아니라, 크로스니콜법(도 1)에 의한 육안검사시 편광의 직진성을 방해하여 검사효율도 떨어지므로 이물의 개수가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광학적 이물은 조대돌기, 이물질 및 올리고머 등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두께가 20 ∼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의 두께가 20㎛ 미만이면, 이형성이 부족하여 박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상기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의 두께가 50㎛를 초과하면, 헤이즈 값이 증가하여 육안검사의 정밀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5 ∼ 10%의 헤이즈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오븐 내에서 150℃로 30분 열처리한 후, 길이방향 및 폭 방향의 열수축율 값이 각각 1.5 ∼ 2.5%로서, 이러한 열수축율은 이형코팅의 편리성 또는 치수안정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3차원 표면조도 SRa(Cut Off: 0.25)가 20 ∼ 3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3차원 표면조도가 20nm 미만이면, 롤 모양이나 주행성, 작업성이 불량하고, 필름 면과 밀착 정도가 높아져 필름 표면에 흠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며, 특히 50 ∼ 70nm 이상이면, 헤이즈가 높아져 육안검사 시 검품성이 저하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길이방향 및 폭 방향에 대한 파단강도가 각각 220 ∼ 280 MPa 및 270 ∼ 330 M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다이를 거쳐 시트로 용융 압출한 후, 냉각롤(캐스팅 드럼)에 의해 냉각 및 고화시켜 미연신 또는 미배향의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시트를 2축 연신 시킴으로써, 필름으로 제조된다. 상기 미연신 필름은 당업계에서 통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미연신 시트의 평면성을 향상시키시기 위해서, 시트와 회전냉각드럼과의 밀착성을 높여 줄 필요가 있고, 정전인가밀착법 또는 액체도포밀착법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정전인가밀착법이란 시트의 상면 측에 시트의 흐름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선상 전극을 설치하고, 상기 전극에 약 5 ∼ 10㎸의 직류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시트에 정전하를 부여하여 시트와 드럼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액체도포밀착법이란, 회전냉각드럼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예컨대 시트 양 단부와 접촉하는 부분만)에 액체를 균일하게 도포 함으로써, 드럼과 시트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전인가밀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의 2축배향 연신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동시 2축 연신법, 순차 2축 연신법이 이용된다. 순차 2축 연신법은 상기 미연신 필름을 1축 방향으로 롤 또는 텐터 방식의 연신기에 의해서 1차 연신한다. 이때, 1차 연신 온도는 통상 70 ∼ 120℃에서 실시되며, 바람직하게는 80 ∼ 110℃이고, 연신 비율은 2.5 ∼ 6.0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4.0배로 실시한다.
상기 제조된 일축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2차 연신한다. 이때, 2차 연신 온도는 90 ∼ 130℃에서 실시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120℃이고, 연신 비율은 3.0 ∼ 8.0배이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5 ∼ 5.5배로 실시한다. 연속적으로 상기 제조된 필름을 다시 한번 제1 연신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신 온도 90 ∼ 120℃ 및 연신비율 1.0 ∼ 2.0배로 재연신한다. 이후, 상기 제조된 필름을 제2연신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재연신하는데, 이때, 연신 온도 170 ∼ 230℃에서 긴장 하 또는 30% 이내의 이완 하에서 열처리를 하여 2축 연신 배향 필름을 얻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적층체는 상기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에 편광기재가 적층된 것이다. 즉, 상기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은 편광특성이 개선되어 상기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에 편광기재가 적층된 편광판 적층체는 크로스니콜법(도 1)에 의해 이물의 육안검사를 용이하게 하고, 특히, 대화면의 LCD에 있어서 이물의 간과 가능성을 줄임으로써, 결과적으로 육안검사의 정확도를 높여 불량품의 출현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다이를 거쳐 시트로 용융 압출한 후, 20 ∼ 30℃의 냉각롤 (캐스팅 드럼)에 의해 냉각 및 고화시켜 정전밀착법을 이용하여 미연신(미배향)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미연신 시트에 대하여, 길이방향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250℃로 실시하여, 두께 38㎛의 투명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이형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미연신 시트에 대하여, 길이방향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300℃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두께 38㎛의 투명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이형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미연신 시트에 대하여, 길이방향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400℃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두께 38㎛의 투명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이형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미연신 시트에 대하여, 길이방향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150℃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두께 38㎛의 투명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이형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미연신 시트에 대하여, 길이방향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450℃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두께 38㎛의 투명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이형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의 미연신 시트에 대하여, 길이방향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500℃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두께 38㎛의 투명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이형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이형용 필름에 대하여, 편광판 이형필름으로서 요구되는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예 1] : 필름의 배향각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이형용 필름에 대하여, MOA(분자배향계)를 이용하여 배향각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기재하였다. 여기서 배향각은 분자 배향의 주축이 폭 방향과 이루는 각도이다.
[실험예 2] : 길이방향 두께의 변동폭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이형용 필름에 대하여, 길이방향 두께 변동폭인 R값을 측정하였다. 상기 R값은 길이방향으로 15m을 샘플링한 후, 10mm간격으로 측정하여,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의 차를 의미하며,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3] : 광학적 이물 개수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이형용 필름에 대하여, 면광원, 직교편광판, 확대경을 갖는 장치의 편광판 위에 시료를 올려 놓고, 광학적 이물의 개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4] : 크로스니콜법에 의한 육안 검사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이형용 필름을 편광기재의 편면에 접착시키고, 반대면에 일축 배향(특히, 길이방향)된 편광기재와 접착에 의해 적층된 편광판에 대하여, 크로스니콜법(도 1)을 이용하여 결점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육안검사 시의 검사성은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광간섭이 없으며, 검사 가능함
△ : 광간섭이 약간 있으나, 검사 가능함
× : 광간섭이 많아 검사 불가능함
[표 1]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길이방향 연신부 적외선 히터 온도(℃) 250 300 400
배향각(°) 12 11 10
길이방향 R값(㎛) 0.9 1.3 1.8
광학적 이물개수(개/100cm2) (장경 : 30 ~ 100㎛) 0 0 0
육안 검사성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250℃로 실시한 실시예 1의 경우, 배향각이 12도로 약간 불안정한 상태이나, 횡단성 결점이 거의 발생되지 않아, 육안 검사성 측면에서는 양호한 수준이었 다. 또한 길이방향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300℃로 실시한 실시예 2의 경우, 배향각은 11도로 양호하며, 횡단성 결점이 약간 발생하였지만, 육안검사성은 양호한 수준이었다. 또한 길이방향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400℃로 실시한 실시예 3의 경우, 배향각은 10도로 양호하였으며, 횡단성 결점이 실시예 2의 경우보다 다소 증가하였으나, 육안 검사성 측면에서는 양호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
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길이방향 연신부 적외선 히터 온도(℃) 150 450 500
배향각(°) 16 9 8
길이방향 R값(㎛) 0.7 2.2 2.7
광학적 이물개수(개/100cm2) (장경 : 30 ~ 100㎛) 0 0 0
육안 검사성 × × ×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150℃로 실시한 비교예 1의 경우, 횡단성 결점은 거의 보이지 않으나, 배향각이 16도로 광간섭이 심해져 육안검사는 불가능하였다. 또한 길이방향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450℃로 실시한 비교예 2의 경우, 배향각은 9도로 양호하나, 횡단성 결점이 증가되어, 육안검사는 불가능하였다. 또한 길이방향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500℃로 실시한 비교예 3의 경우, 배향각은 8도로 양호하나, 횡단성 결점이 비교예 2의 경우보다 더욱 증가되어, 육안검사는 불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 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에 의하면, 횡단성 결점을 최소화하면서 배향각을 최소화하여 보잉 현상을 감소시켜 편광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크로스니콜법에 의한 이물의 육안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대화면의 LCD에 있어서 이물의 간과 가능성을 줄임으로써 육안검사의 정확도를 높여 제품의 불량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디스플레이용 편광판, 위상차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에 도포된 접착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접착층에 부착된 이형필름에 있어서,
    상기 이형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미연신 시트를 2축배향 연신시켜 제조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며,
    상기 필름의 제막공정 시 길이방향 연신부의 적외선 히터 온도를 250℃ ~ 400℃로 하여 실시하고,
    상기 필름은 텐터 출구 폭을 기준으로 중앙부 90% 해당폭의 배향각이 8 ∼ 12도, 길이방향 두께 변동폭(R값)이 0.9 ∼ 2.0 ㎛이며, 장경(長徑)이 30 ∼ 100㎛인 광학적 이물의 개수가 100cm2 당 2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필름은 두께가 20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이 적층되되,
    편광기재에 도포된 접착층 상에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적층체.
KR1020060109104A 2006-11-06 2006-11-06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KR100853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104A KR100853264B1 (ko) 2006-11-06 2006-11-06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104A KR100853264B1 (ko) 2006-11-06 2006-11-06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029A KR20080041029A (ko) 2008-05-09
KR100853264B1 true KR100853264B1 (ko) 2008-08-21

Family

ID=3964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104A KR100853264B1 (ko) 2006-11-06 2006-11-06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1211A1 (ja) * 2020-09-30 2022-04-07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パレー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3622A (ja) * 2000-06-21 2002-01-09 Toray Ind Inc 離型フィルム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20086488A (ko) * 2001-01-05 2002-11-18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이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3622A (ja) * 2000-06-21 2002-01-09 Toray Ind Inc 離型フィルム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20086488A (ko) * 2001-01-05 2002-11-18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이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029A (ko) 200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694B1 (ko) 편광자 보호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799133B1 (ko)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JP5077143B2 (ja)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077142B2 (ja)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6517608A (ja) 高分子光学フィルム
KR20110054990A (ko) 이형필름용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이형필름
JP6586721B2 (ja) 積層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09012254A (ja) 離型フィルム
JP2006517486A (ja) 高分子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201629541A (zh) 相位差膜之製造方法及積層偏光板之製造方法
TWI675226B (zh) 液晶顯示裝置、偏光板及偏光鏡保護膜
KR101913730B1 (ko)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보호필름과 이를 이용한 편광판
JP2006517684A (ja) 液晶ディスプレイ用の補償子
JPH08294988A (ja) 離型フイルム
KR20190058473A (ko) 다층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CN105246694A (zh) 层合膜及偏振片
JP2022051789A (ja)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637632B1 (ko)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TW202200685A (zh) 偏光鏡保護用聚酯薄膜、偏光板及液晶顯示裝置
KR100716145B1 (ko)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CN110945393A (zh) 偏振片及显示装置
KR100853264B1 (ko)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KR100837762B1 (ko) 편광판용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KR102092879B1 (ko) 편광판용 보호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132990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