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949B1 -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 - Google Patents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949B1
KR100852949B1 KR1020070074719A KR20070074719A KR100852949B1 KR 100852949 B1 KR100852949 B1 KR 100852949B1 KR 1020070074719 A KR1020070074719 A KR 1020070074719A KR 20070074719 A KR20070074719 A KR 20070074719A KR 100852949 B1 KR100852949 B1 KR 100852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air conditioner
ceiling
filter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시스템에어컨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템에어컨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스템에어컨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64Splash gu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청소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형 에어컨을 용이하게 청소하는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시스템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척가대와 세척 장치를 포함하는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척가대는, 서로 다른 지름의 파이프를 트위스트 타입의 체결부의 관통홀을 통해 연결시켜 전체 길이가 가변적으로 결정되도록 형성된 가변 파이프; 상기 가변 파이프를 'L'형 니플(nipple)로 연결하여 에어컨으로부터의 배출물을 수용하는 사각의 수용면을 형성하는 가변 프레임; 일측 선단이 상기 가변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 선단에는 걸이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변 프레임을 천장으로부터 일정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를 이루도록 지지하는 연결 케이블; 상기 가변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수용면을 통해 유입되는 배출물을 수용하는 연질성 방수 커버; 및 상기 연질성 방수 커버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배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배출물을 필터링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 공급된 액체를 펌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세척 시스템, 세척장치, 세탁가대, 에어컨, 천장형, 청소, 세척

Description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Washing system for a ceiling type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 청소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형 에어컨을 용이하게 청소하는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의 에어컨에 관하여 설명한다.
에어컨은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실외로 방출하여 실내의 온도를 낮추는 가전제품이다. 에어컨의 작동원리는 프레온 가스등의 냉매가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응축기로 전달되고, 응축기로 전달된 고온고압의 냉매가 팬에 의해 식혀져 저온고압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기초한다. 저온고압의 냉매는 모세관을 지나면서 감압되어 저온저압으로 변화되는데, 이 변화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고, 이때 바람을 불어 찬공기를 일으킨다.
에어컨은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창문형, 벽걸이형, 천장형 에어컨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대형 건물 위주로 다수의 천장형 에어컨이 설치되어 왔다.
천장형 에어컨의 경우, 현대인의 생활수준 향상과 이상기온 현상으로 인해서 그 사용 빈도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수요와 함께 천장형 에어컨 내부의 악취와 더러움으로 인해 호흡기 관련계통의 질병이 증가하고, 그와 더불어 천장형 에어컨 청결에 대한 문제의식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천장형 에어컨의 잦은 세척을 통한 완벽한 청결유지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천장형 에어컨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천장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천장형 에어컨의 부품을 본체에서 분해하여 세척하고, 본체는 작업자가 직접 물 호스를 이용해 세척을 하거나, 심지어는 본체 자체까지 천장으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해야만 했다.
하지만 이러한 세척형태는 작업자가 직접 천장형 에어컨을 분리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천장형 에어컨 자체의 부피 및 하중으로 인하여 분해시 상당한 위험부담도 따른다. 또한 간단한 부품은 분해해 세척하고 본체가 천장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세척을 행할 시는 작업도중 뿌려지는 세척물을 작업자가 직접 맞으면서 작업을 해야함으로 작업이 어렵다. 또한, 천장형 에어컨을 분해하는 경우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어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손실되는 냉매로 인한 비용의 낭비가 초래된다.
이하, 종래의 에어컨 세척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컨 세척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시스템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76753 (2001년 10월 9일 공개)에 개시된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에어컨의 세척을 위해서 에어컨 주변을 비닐로 밀봉하고, 밀봉된 비닐 내부에 자동화된 세척 장비를 투입하는 자동화 세척 시스템 등이 제안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화 세척 시스템은 장비의 무게가 매우 무겁다는 문제가 있어서, 실제 현장에서 선호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천장형 에어컨의 경우 고층 빌딩에서 주로 사용되는 에어컨이므로, 다수의 층을 신속하게 이동하며 에어컨을 세척하여야만 하는데, 종래의 장치는 지나치게 이동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하, 에어컨 세척 장치의 또 다른 일례로서, 종래의 에어컨 세척가대를 설명한다.
종래의 에어컨 세척가대는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9-119797 (1997년 5월 6일 공개), 일본 특허공보 제3325259호 (2002년 7월 5일 등록), 등록실용신안 제427543호 (2006년 9월 21일 등록)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2a는 종래의 에어컨 세척가대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119797에 따른 세척가대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세척가대는 세척가대(2), 에어컨 실내기 본체(40), 고리(25), 분사장치(6), 분사장치용 호스(5), 배수호스(3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b는 또 다른 에어컨 세척가대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등록실용신안 제427543호에 따른 세척가대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b의 세척가대는 세척가대 본체(10), 가이드부(11), 배수부(12), 연결부(20), 걸이부(21), 연결끈(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자동화 세척 시스템은 이동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종래의 세척 가대는 가변적인 에어컨 실내기의 크기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컨으로부터의 배출물을 효율적으로 청소하는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에어컨을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시스템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척가대와 세척 장치를 포함하는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척가대는, 서로 다른 지름의 파이프를 트위스트 타입의 체결부의 관통홀을 통해 연결시켜 전체 길이가 가변적으로 결정되도록 형성된 가변 파이프; 상기 가변 파이프를 'L'형 니플(nipple)로 연결하여 에어컨으로부터의 배출물을 수용하는 사각의 수용면을 형성하는 가변 프레임; 일측 선단이 상기 가변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 선단에는 걸이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변 프레임을 천장으로부터 일정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를 이루도록 지지하는 연결 케이블; 상기 가변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수용면을 통해 유입되는 배출물을 수용하는 연질성 방수 커버; 및 상기 연질성 방수 커버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배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배출물을 필터링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 공급된 액체를 펌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류부는 상기 유입되는 배출물에 포함된 부유물을 걸러내는 전처리 필터; 미세한 부유물을 제거하는 메인 필터; 및 에어컨 세척을 위한 세제 및 살균제를 투입하는 투입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부는 정류된 액체를 배출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배출되는 액체를 에어컨으로 분사하는 세척건; 및 상기 세척건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고,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세척건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시스템은 적은 양의 물을 이용하여 천장형 에어컨을 효율적으로 청소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 형태의 에어컨을 효율적으로 청소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세척가대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하여 에어컨을 용이하게 청소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 및 특징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은 크게 세척 가대 부분과 세척 장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세척 가대는 천장형 에어컨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수등을 효율적으로 수집하는 특징을 가지며, 상기 세척 장치는 세척 가대가 수집한 오수를 다시 정류하여 재활용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세척 가대와 세척 장치로 이루어진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이동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대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가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가대가 작업 상태에 놓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의 세탁가대(300)는, 에어컨의 실내기(미도시)로부터 낙하하는 배출물을 받는 사각의 가변 프레임(310), 상기 가변 프레임(310)을 천장으로부터 일정간격 (W)만큼 이격시킨 상태를 유지시키는 연결 케이블(320), 상기 가변 프레임(310)에 연결되는 연질성 방수 커버(330), 상기 연질성 방수 커버(330)의 하단에 형성되는 배수관(34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프레임(310)은 천장형 에어컨의 일측에 고정되어 천장으로부터 일정간격(W)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가변 프레임(310)은 연결 케이블(320)을 통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상기 연결 케이블(320)의 일측 선단(321)은 상기 가변 프레임(310)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케이블(320)의 타측 선 단(322)은 상기 천장형 에어컨에 고정된다. 상기 타측 선단(322)에는 상기 케이블이 고정되도록 형성된 걸림부(32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323)는 에어컨에 고정되는 장치로서 그 재질이나 형상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특히 걸림부(323)의 형상은 상기 천장형 에어컨에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바, 도시된 일례에서는 고리 형상을 갖는다.
상기 가변 프레임(310)은 청소하는 에어컨의 실내기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사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310)은 크기 조절이 가능한 가변 파이프(311)를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해 에어컨을 세척하기 시작하는데, 세척시 발생하는 배출물은 중력에 의해 가변 프레임(310)이 형성하는 사각의 수용면(350)으로 떨어진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가변 파이프(31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가변 파이프(311)에 형성되는 체결부(312)의 각 요소들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파이프(311)는 적어도 2 개의 파7이프(313, 314)를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가변 파이프(311)를 이루는 각 파이프(313, 314)들은 지름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대경 파이프(313)와 지름이 작은 소경 파이프(314)는 체결부(312)를 통해 체결된다. 도 4에서 사용된 체결부(312)는 관통홀(315)을 구비하며, 해당 관통홀(315)을 통해 대경 파이프(313)와 소경 파이프(314)를 체결한다.
상기 체결부(312)는 제1 커플러(316)와 제2 커플러(317)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커플러(316)는 대경 파이프(313)에 끼워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커플러(316)는 상기 대경 파이프(313)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대경 파이프(313)의 일측에 부착된다. 상기 제1 커플러(316)와 대경 파이프(313)가 끼워지는 부분을 제1 커플러의 일측이라 하는 경우, 제1 커플러의 타측에는 조임부(318)가 형성된다. 상기 조임부(318)는 소경 파이프의 지름(317)이 비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부(318)는, 제1 커플러(316)와 제2 커플러(317)가 결합할 때, 제2 커플러(317)에 의해 조여진다. 따라서, 제1 커플러(316)와 제2 커플러(317)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조임부(318)는 소경 파이프(317)의 외곽에 밀착되게 되어, 소경 파이프(317)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사용자는 가변 파이프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커플러(316)와 제2 커플러(317)의 결합을 해지하여 가변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a는 각 가변 파이프(311)를 연결하는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변 파이프(311)를 'L'형 니플(nipple)(319)을 통해 연결하여 사각의 형상을 갖는 가변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L'형 니플(319)의 경우, 니플의 일측에는 소경 파이프가 연결되고, 니플의 타측에는 대경 파이프가 연결된 일례이나, 경우에 따라 하나의 니플의 양측에 소경 파이프들이 연결되거나 모두 대경 파이프들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니플에 구비되는 나사산이 니플의 내측에 형성되거나 외측에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 에게 자명하다. 또한, 니플의 형상에 따라 가변 프레임(310)에 의해 정의되는 수용면(350)의 형상이 결정되므로, 본 실시예의 'L'형 니플(319)은 가변 파이프(311)들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결하여 사각형상의 수용면(35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 프레임(310)은 사각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가변 파이프(311)의 길이를 조절하는 경우, 서로 마주보는 가변 파이프(311)의 길이를 동시에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는 4개의 가변 파이프(311)와 'L'형 니플(319)로 연결된 가변 프레임(3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구조에 따라 가변 파이프(311)가 연결되어 사각의 수용면(350)을 형성하는 경우, 에어컨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물은 상기 수용면(350)을 통해 수집된다. 상기 가변 파이프(311)에는 연질성 방수 커버(330)가 부착되므로 수집된 배출물들은 연질성 방수 커버(330) 내에 수용된다.
상기 연질성 방수 커버(330)는 속이 비춰지는 투명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무게와 내구성 등을 고려했을때 소정의 두께를 갖는 우레탄 소재의 커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방수 커버는 여러장의 커버를 고주파 접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고탄력 방수원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연질성 방수 커버(330)는 바람직하게 상기 가변 파이프(311)의 외주면 둘써싸는 형상으로 상기 가변 파이프(311)에 부착되므로, 상기 가변 파이프(311)의 길이가 짧아지는 경우, 상기 연질성 방수 커버(330)는 주름이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질성 방수 커버(330)의 하측에는 상기 배출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340)이 연결된다.
상술한 일례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의 천장형 에어컨의 세척이 가능하다는 유리한 점이 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에어컨 사이즈는 840 * 840 규격의 정사각형 모양이나 940 *340 규격의 직사각형 모양을 가지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의 규격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일례는 가변 프레임(310)이 상기 천장으로부터 고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에어컨이 위치하는 천장의 높이는 상이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변 프레임(310)과 천장 간의 이격 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프레임(310)은 사각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4개의 연결 케이블(320)이 사용되는데, 이 경우 각각의 연결 케이블(320)의 길이를 별도로 조절하는 것은 불편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연결 케이블(320)의 길이를 한번에 조절하여 상기 가변 프레임(310)과 천장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360)를 제안한다.
도 6a는 연결 케이블(32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가변 프레임(31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연결 케이블(320)은 가변 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니플의 개구부(361)를 통해 가변 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된다. 내측에 삽입된 각 케이블은 높이 조절부(360)에 연결된다. 사용자는 높이 조절부(360) 를 통해 케이블을 한번에 잡아 당기는 경우, 상기 연결 케이블(320)이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가 달라져서, 상기 가변 프레임과 천장 간의 이격거리가 조절된다.
상술한 일례는 가변 프레임(310)의 하단에 연질성 방수 커버(330)가 설치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연질성 방수 커버(330)는 상기 가변 프레임(310)의 상단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6b는 연질성 방수 커버(330)가 가변 프레임(310)의 상단에도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성 방수 커버(330)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천장형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배출물을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가대는 다양한 종류의 에어컨에 연결된다. 천장형 에어컨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걸림부(323)가 걸리는 나사선이 구비된 모델과 그렇지 않은 모델로 구분된다. 만약 에어컨에 걸림부(32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세척가대를 고정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 경우 세척가대를 고정시키기 위해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된바 있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은 세척가대가 흘러내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걸림부(323)가 고정되지 않는 구조의 에어컨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세척가대를 제안한다.
도 6c는 걸림부(323)가 고정되지 않는 구조의 에어컨에서도 사용되는 세척가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c의 세척가대는 연질성 방수 커버(330) 상단에 탄성 밴드(61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연질성 방수 커버(330) 상단에 자성 물체(631)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밴드(610)는 걸림부(323)가 고정되 지 않는 구조의 에어컨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자성 물체(631)는 일반적인 자석일 수 있으며, 에어컨의 금속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세척가대를 고정시킨다. 도 6c의 연질성 방수 커버(330)는 개구부(620)를 구비하는바, 에어컨에 걸림부가 고정될 수 있는 경우, 상기 개구부를 통해 걸림부(323)가 에어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질성 방수 커버(330)에는 지퍼(630)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에어컨의 청소를 위해 지퍼(630)를 열고 세척건(미도시)를 삽입하여 에어컨을 청소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의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도 6a 내지 도 6c에 포함된 기술적 특징은 서로 조합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도 7은 연결 케이블(32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가변 프레임(310)의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들을 각각 결합(즉, 두 개의 케이블을 하나의 케이블로 결합)하여 케이블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360)에는 기어를 기반으로 하는 권취장치(370)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들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원하는 길이로 조절된 이후에는 케이블의 길이를 고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기어를 기반으로 하는 권취장치(370)는 종래의 블라인드나 커튼 등에 많이 사용되는 장치로서, 어느 기어를 통해 길이를 조절하고, 나머지 기어를 통해 조절된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 가대는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하, 세척 장치에 관하 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장치는 펌프(810), 적어도 하나의 전처리 필터(820), 메인 필터(830), 세제 및 살균제 투입 장치(840), 터빈(850), 압력조절장치(870), 세척건(8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의 세척가대로부터 세척 장체에 오수가 수집되는 경우, 별도의 폐수 수집부(미도시)에 오수가 수집되거나, 상기 펌프(810)에 오수가 유입된다. 상기 펌프(810)는 전처리 필터(820)로 오수를 배출시킨다. 상기 전처리 필터(820)는 부유물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처리 필터(820)는 복수의 스크린을 사용하여 부유물을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살균제 등의 화학물질을 투입하여 냄새 유독 성분들을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물질은 산화, 환원, 흡착 또는 중화 기능을 갖춘 것일 수도 있고 일반적인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전처리 필터(820)에는 수십에서 수천 마이크로 미터 범위의 개구부를 구비한 스크린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필터(830)는 미세한 부유물 등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정밀여과막을 사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메인필터(830)에는 역삼투압 공정등의 다양한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필터(820) 또는 메인필터(830)에 의해 수행되는 필터링 과정 도중에는 세제 및/또는 살균제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세제 및/또는 살균제는 다양한 공정에서 투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세제는 에어컨의 냉각 핀 등에 부착된 오물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상기 살균제는 에어컨의 위해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세제 및/또는 살균제는 세제 및 살균제 투입장치(840)에 의해 투입된다.
상기 세척장치는 살균제를 사용하고, 적절한 세척압과 유량으로 에어컨의 세척을 수행하므로 세제 없이 세척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터빈(850)은 정수된 물을 세척장치의 세척건(860)으로 전달하여, 정수된 에어컨의 세척에 재활용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터빈(850)은 모터에 의해 정수된 물을 펌핑하며, 상기 모터는 압력조절장치(87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장치(870)는 상기 세척건(860)에 인가되는 수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사용자가 수압을 조절하는 경우, 상기 터빈(850)의 모터를 제어하여 세척건(860)에 인가되는 수압을 조절한다.
상기 압력조절장치(870)는 세척건(86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압력조절장치(870)가 세척건(860)에 포함된 일례는 도 9와 같다. 상기 세척건(860)에는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노즐(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세척건(860)에는 다수의 탈착 가능한 노즐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각 노즐의 크기에 따라 유량을 세분화할 수 있다.
상술한 세척장치에서 세척건(86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온도 조절을 통해 에어컨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경우, 상기 세척장치에는 별도의 가열 장치 및 온도 조절 장치(미도시)가 포함된다.
싱기 압력조절장치(870)는 수압, 즉 세척압을 여러 단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세척압을 6단계로 조절하는 경우, 각 세척압에 따른 유량 역시 미리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압력(bar) 25~35 36~45 46~55 56~65 66~75 76~85
유량 8~11L/분 12~14L/분 15~17L/분 18~21L/분 22~24L/분 25~28L/분
상기 표 1은 상술한 세척 장치에 적용하는 6단계의 세척 단계를 나타낸다.
상술한 압력과 유량을 사용하여 에어컨을 세척하는 경우, 세제의 도움 없이도 충분한 세척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과 살균제를 한꺼번에 사용하여 제균 및 항곰팡이 효과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는 에어컨으로부터 발생하는 노폐물들을 정류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세척 장치에 유입되는 부유물의 양이 일반적인 정수장치에 유입되는 부유물의 양에 비해 매우 많은 특징이 있다. 또한, 정류된 물을 이용하여 다시 에어컨의 세척을 수행해야 하므로 에어컨으로부터 발생한 노폐물을 빠르게 정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많은 부유물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대용량의 전처리 필터 또는 메인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세척 장치의 이동성이 떨어지는 치명적인 문제를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많은 양의 부유물을 빠르게 처리하면서도 작은 용량의 필터를 사용하는 세척장치를 제안한다.
도 8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세척장치의 일례이다.
도 8b의 일례는 도 8a와 마찬가지로, 배수관(340)을 통하여 펌프(810)로 폐수가 유입된다. 이러한 폐수는 전처리 필터(820)와 메인 필터(830)를 거쳐 세척건(860)으로 배출된다.
도 8b의 제1 내지 제3 후처리 필터(821, 822, 823)는, 전처리필터(82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스크린을 사용하여 부유물을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살균제 등의 화학물질을 투입하여 냄새 유독 성분들을 제거한다.
도 8b의 세척장치는 각 필터의 교환 시점을 자동으로 파악하므로, 도 8b에 도시된 전처리 필터 또는 후처리 필터의 용량은 소용량으로 충분하다. 이하, 각 필터의 교환 시점을 자동으로 파악하는 특징을 설명한다.
도 8b의 세척장치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후처리 필터(821, 822, 823)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는 압력밸브(825)를 통해 메인필터(830)로 전달되고, 메인필터(830)로부터의 출력은 유량밸브(826)로 전달된다. 이 경우, 상기 압력밸브(825)와 유량밸브(826)를 통해 제1 내지 제3 후처리 필터(821, 822, 823)에 인가되는 압력과 정류되어 배출되는 정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결과는 제어장치(827)에 입력되는데, 만약 특정한 후처리 필터에 제1 임계값 이상의 고압이 발견되고 메인필터(830)로부터 유량이 제2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장치(827)는 솔레노이드 밸브(824)를 통해 고압이 발견되는 후처리 필터의 밸브를 차단하고, 외부표시장치(828)를 통해 후처리 필터의 필터 교환을 알린다. 상기 외부표시장치(828)는 발광소자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는 PCB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b의 세척장치를 동작시키는 경우, 우선 제1 후처리 필터(821) 만을 사용하고, 제1 후처리 필터(821)에 고압이 발견되고 메인필터(830)의 유량이 감소하는 경우에 제1 후처리 필터(821)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차단하고, 제2 후처리 필터(822)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도 8b의 세척장치를 이용하면 작은 용량의 후처리 필터를 이용하면서도 많은 부유물을 효율적으로 필터링 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a 또는 도 8b의 일례에 따른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세척가대의 배수관(340)으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는 폐수 수집부(805)에 수집되며, 수집된 폐수는 1010의 흡입구를 통해 펌프(810)에 전달되고, 펌프(810)는 도시된 필터들(820, 830)에 폐수를 전달한다. 도 8a 또는 도 8b에서 설명한 필터링 동작이 수행된 정수된 액체는 배출구(1020)를 통해 정수 수집부(806)에 수집된다. 정수 수집부(806)에 수집된 액체는 배수 구멍(1030)에 연결된 호수(900)를 통해 배출되며, 이 경우 상술한 터빈(850)에 의해 배출된다.
제어 박스(1000)는 도 8a 또는 도 8b에서 설명한 압력조절장치(870)나 외부표시장치(828) 등이 설치되어 세척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시스템은 다양한 크기의 에어컨의 세척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인정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컨 세척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은 종래의 에어컨 세척가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또 다른 에어컨 세척가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가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가변 파이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각 가변 파이프를 연결하는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가변 파이프가 연결되어 형성된 가변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연결 케이블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가변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연질성 방수 커버가 가변 프레임의 상단에도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6c는 걸림부가 고정되지 않는 구조의 에어컨에서도 사용되는 세척가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연결 케이블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가변 프레임의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세척장치의 일례이다.
도 9는 압력조절장치가 포함된 세척건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8a 또는 도 8b의 일례에 따른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7)

  1. 세척가대와 세척 장치를 포함하는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척가대는,
    서로 다른 지름의 파이프를 트위스트 타입의 체결부의 관통홀을 통해 연결시켜 전체 길이가 가변적으로 결정되도록 형성된 가변 파이프;
    상기 가변 파이프를 'L'형 니플(nipple)로 연결하여 에어컨으로부터의 배출물을 수용하는 사각의 수용면을 형성하는 가변 프레임;
    일측 선단이 상기 가변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 선단에는 걸이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변 프레임을 천장으로부터 일정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를 이루도록 지지하는 연결 케이블;
    상기 가변 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수용면을 통해 유입되는 배출물을 수용하는 연질성 방수 커버; 및
    상기 연질성 방수 커버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배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배출물을 필터링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 공급된 액체를 펌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상기 유입되는 배출물에 포함된 부유물을 걸러내는 전처리 필터;
    미세한 부유물을 제거하는 메인 필터; 및
    에어컨 세척을 위한 세제 및 살균제를 투입하는 투입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복수의 후처리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처리 필터에 인가되는 수압과 상기 메인 필터의 유량 정보에 따라 상기 후처리 필터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불활성화되는 후처리 필터의 상태를 표시하는 외부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정류된 액체를 배출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배출되는 액체를 에어컨으로 분사하는 세척건; 및
    상기 세척건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고,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세척건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트 타입의 체결부는, 제1 커플러 및 제2 커플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커플러의 일측은 대경 파이프에 끼워지고 타측에 구비된 조임부는 상기 제2 커플러와의 결합에 의해 조여져 상기 조임부에 끼워진 소경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의 일측 선단은 상기 니플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변 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케이블은 상기 가변 프레임과 상기 천장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 케이블의 노출된 부분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
KR1020070074719A 2007-07-25 2007-07-25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 KR100852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719A KR100852949B1 (ko) 2007-07-25 2007-07-25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719A KR100852949B1 (ko) 2007-07-25 2007-07-25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949B1 true KR100852949B1 (ko) 2008-08-19

Family

ID=39878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719A KR100852949B1 (ko) 2007-07-25 2007-07-25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94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762Y1 (ko) * 2010-01-15 2010-08-06 정영진 천장형 에어컨 세척 가대
KR101212831B1 (ko) * 2010-12-02 2012-12-14 백광대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CN103028585A (zh) * 2013-01-11 2013-04-10 陈帮志 一种空调清洗罩
KR20190116842A (ko) 2018-04-05 2019-10-15 조성칠 4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
KR20190116671A (ko)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전국냉난방연합 일체형 판형 열교환기 소제 장치
KR20200046257A (ko) 2018-10-24 2020-05-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리가능한 세척헤드가 구비된 4-way 시스템 에어컨 열교환기 자동세척장치
KR20200052768A (ko) 2018-11-07 2020-05-15 김형섭 천장용 에어컨 스팀 크리닝 공법
KR20200001801U (ko) 2019-02-01 2020-08-11 이상진 천장형 냉난방기 청소장치
KR102185083B1 (ko) 2019-05-29 2020-12-01 이상진 천정형 에어컨 세척시스템
CN116164564A (zh) * 2023-03-30 2023-05-26 江苏金凯锐科技发展有限公司 带有清洁结构的板式换热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897A (ja) * 1999-03-30 2000-10-10 Amenity Service:Kk エアコン洗浄方法及びエアコン洗浄用フィルム
JP2005274114A (ja) * 2004-03-24 2005-10-06 Nishimura Yuji 壁埋め込み型エアコンディショナ室内機の洗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897A (ja) * 1999-03-30 2000-10-10 Amenity Service:Kk エアコン洗浄方法及びエアコン洗浄用フィルム
JP2005274114A (ja) * 2004-03-24 2005-10-06 Nishimura Yuji 壁埋め込み型エアコンディショナ室内機の洗浄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2000-279897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274114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762Y1 (ko) * 2010-01-15 2010-08-06 정영진 천장형 에어컨 세척 가대
KR101212831B1 (ko) * 2010-12-02 2012-12-14 백광대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CN103028585A (zh) * 2013-01-11 2013-04-10 陈帮志 一种空调清洗罩
KR20190116842A (ko) 2018-04-05 2019-10-15 조성칠 4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
KR20190116671A (ko)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전국냉난방연합 일체형 판형 열교환기 소제 장치
KR20200046257A (ko) 2018-10-24 2020-05-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리가능한 세척헤드가 구비된 4-way 시스템 에어컨 열교환기 자동세척장치
KR20200052768A (ko) 2018-11-07 2020-05-15 김형섭 천장용 에어컨 스팀 크리닝 공법
KR20200001801U (ko) 2019-02-01 2020-08-11 이상진 천장형 냉난방기 청소장치
KR102185083B1 (ko) 2019-05-29 2020-12-01 이상진 천정형 에어컨 세척시스템
CN116164564A (zh) * 2023-03-30 2023-05-26 江苏金凯锐科技发展有限公司 带有清洁结构的板式换热器
CN116164564B (zh) * 2023-03-30 2023-10-20 江苏金凯锐科技发展有限公司 带有清洁结构的板式换热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949B1 (ko)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
US8950205B2 (en) Cooling method and apparatus
US6170166B1 (en) Removal of heat and water vapor from commercial dishwashing machines
CN106440156B (zh) 一种红外加湿装置
KR100583071B1 (ko) 스크린 공기세정시스템
KR101036549B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항온, 항습 시스템
US20050178378A1 (en) Kitchen ventilation degreasing system
US8002904B2 (en) Plastic duct system and method of fabrication
US200300568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ir handling systems
KR101212831B1 (ko)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CN105650754A (zh) 一种防堵塞空气净化装置
KR100881173B1 (ko) 회전분사기능이 구비된 에어샤워장치
KR100852948B1 (ko)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JP2009274060A (ja) 油水分離システムおよび圧縮空気除湿システム
JP2006223996A (ja) 天井取付型空気調和機用部品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CN112916530B (zh) 一种中央空调管道清洗消毒装置
KR20120007141U (ko) 천정매입타입 에어컨 세척장치
KR20100002535U (ko) 가정용 에어컨 세척 시스템
CN212720011U (zh) 空调室内机
KR200424660Y1 (ko) 에어샤워장치
CN112845273A (zh) 一种去除洁净服表面粘附的活性或毒性粉尘颗粒的雾淋室
KR20200046257A (ko) 분리가능한 세척헤드가 구비된 4-way 시스템 에어컨 열교환기 자동세척장치
KR200427543Y1 (ko)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KR102335803B1 (ko) 지지와이어가 구비된 벽걸이 에어컨 세척커버
CN2203760Y (zh) 密闭式循环流动恒温空气净化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