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831B1 -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 Google Patents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831B1
KR101212831B1 KR1020100122203A KR20100122203A KR101212831B1 KR 101212831 B1 KR101212831 B1 KR 101212831B1 KR 1020100122203 A KR1020100122203 A KR 1020100122203A KR 20100122203 A KR20100122203 A KR 20100122203A KR 101212831 B1 KR101212831 B1 KR 101212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ir conditioner
ceiling
support cabl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608A (ko
Inventor
백광대
Original Assignee
백광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광대 filed Critical 백광대
Priority to KR1020100122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8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83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는, 천장형 에어컨의 하측에 배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 상기 천장형 에어컨의 청소시에 흘러 나오는 오물을 배수관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오물의 배수관 측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커버; 및 상기 프레임을 상기 천장형 에어컨에 지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천장형 에어컨에 위치고정되고, 각각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배치부와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노출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지지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각 지지케이블의 한 쌍의 노출부들 중 어느 하나의 노출된 길이가 짧아지도록 상기 프레임이 기울어 지는 경우에는 다른 하나의 노출된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Ceiling-type air conditioner cleaning holder}
본 발명은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형 에어컨의 세척시에 한 명의 작업자가 오물이나 세척수를 바닥으로 튀기지 않으면서 편리한 방법으로 에어컨 세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은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실외로 방출하여 실내의 온도를 낮추는 가전제품이다. 에어컨의 작동원리는 프레온 가스 등의 냉매가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응축기로 전달되고, 응축기로 전달된 고온고압의 냉매가 팬에 의해 식혀져 저온고압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기초한다. 저온고압의 냉매는 모세관을 지나면서 감압되어 저온저압으로 변화되는데, 이 변화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고, 이 때 바람을 불어 찬공기를 일으킨다.
에어컨은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창문형, 벽걸이형, 천장형 에어컨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대형 건물 위주로 다수의 천장형 에어컨이 설치되어 왔다.
천장형 에어컨의 경우, 현대인의 생활수준 향상과 이상기온 현상으로 인해서 그 사용 빈도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수요와 함께 천장형 에어컨 내부의 악취와 더러움으로 인해 호흡기 관련계통의 질병이 증가하고, 그와 더불어 천장형 에어컨 청결에 대한 문제의식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천장형 에어컨의 잦은 세척을 통한 완벽한 청결유지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천장형 에어컨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천장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천장형 에어컨의 부품을 본체에서 분해하여 세척하고, 본체는 작업자가 직접 물 호스를 이용해 세척을 하거나, 심지어는 본체 자체까지 천장으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해야만 했다.
하지만 이러한 세척형태는 작업자가 직접 천장형 에어컨을 분리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천장형 에어컨 자체의 부피 및 하중으로 인하여 분해시 상당한 위험부담도 따른다. 또한 간단한 부품은 분해해 세척하고 본체가 천장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세척을 행할시는 작업도중 뿌려지는 세척물을 작업자가 직접 맞으면서 작업을 해야함으로 작업이 어렵다. 또한, 천장형 에어컨을 분해하는 경우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어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손실되는 냉매로 인한 비용의 낭비가 초래된다.
이하, 천장형 에어컨의 세척을 위해 제안된 종래의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천장형 에어컨의 측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천장형 에어컨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천장형 에어컨은,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천장형 에어컨(A) 세척시 발생하는 오물을 배수관(140)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커버(120)와 상기 프레임(110)을 천장형 에어컨(A)에 지지시켜 주기 위한 복수의 지지케이블들(130)을 구비한다. 상기 배수관(140)은 오물저장통(150)에 접속됨으로써, 에어컨 세척시 발생되는 오물을 상기 오물저장통(150)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60은 세척수가 담긴 세척수 저장통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천장형 에어컨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형 에어컨(A)의 세척시에는 한 명의 작업자가 세척수를 분사노즐(170)을 통해 상기 에어컨(A) 측에 분사하고, 다른 한 명의 작업자가 그 분사된 세척수 또는 세척 후 발생되는 오물이 바닥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의 일측 가장자리를 천장 측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하면 적어도 두 명의 작업자가 하나의 천장형 에어컨(A)을 세척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고, 나아가 에어컨(A) 세척의 수요자에게 비용부담을 더 증가시킴으로써 에어컨 청소업자의 신뢰도를 하락시키는 단점을 초래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세척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물 등이 바닥으로 튀지 않고 편리한 방법을 에어컨 세척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는, 천장형 에어컨의 하측에 배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 상기 천장형 에어컨의 청소시에 흘러 나오는 오물을 배수관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오물의 배수관 측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커버; 및 상기 프레임을 상기 천장형 에어컨에 지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천장형 에어컨에 위치고정되고, 각각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배치부와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노출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지지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각 지지케이블의 한 쌍의 노출부들 중 어느 하나의 노출된 길이가 짧아지도록 상기 프레임이 기울어 지는 경우에는 다른 하나의 노출된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지지케이블의 양단부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의 대각선 방향의 모서리 부분들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과 지지케이블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케이블이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의 록킹장치들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록킹장치는, 상기 지지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나사부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변형에 의한 접근에 의해 상기 지지케이블에 맞물리고 탄성복원에 의한 이격에 의해 상기 지지케이블과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적어도 한 쌍의 탄성레그가 마련되어 있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하우징에 대한 상대이동력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록킹부재; 및 상기 록킹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에 접촉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는, 한 명의 작업자가 상기 각 지지케이블의 한 쌍의 노출부들 중 어느 하나의 노출된 길이가 짧아지도록 상기 프레임을 기울이는 경우에, 다른 하나의 노출부의 노출된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한 명의 작업자가 상기 천장형 에어컨과 프레임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의 틈새가 없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 측에서 세척수를 분사시킬 수 있어서,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세척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물이 상기 틈새를 통해 바닥으로 튀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인건비 절감과 작업자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결국 수요자 및 세척업자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천장형 에어컨의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천장형 에어컨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세척가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한 쌍의 지지케이블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설치상태를 정면에서 보인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 일실시예를 활용하여 세척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세척가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세척가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한 쌍의 지지케이블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설치상태를 정면에서 보인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 일실시예를 활용하여 세척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는, 프레임(10)과 가이드커버(12)와 한 쌍의 지지케이블(16)(18)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은, 천장형 에어컨(A)의 하측에 배치되고, 사각틀 형상을 가지도록 예컨대 원형의 외주면을 가지는 파이프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커버(12)는,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천장형 에어컨(A)의 세척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물을 배수관(14)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커버(12)는 예컨대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관(14)은, 상기 가이드커버(12)의 중심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커버(12)를 타고 흘러 내려오는 오물을 오물 저장통(30)에 유입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10)을 천장형 에어컨(A)에 지지시켜 주기 위한 지지케이블(16)(18)들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10)이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프레임(10)을 지지시켜 주기 위한 지지케이블이 네 개 구비되어야 한다. 그런, 본 발명에는 한 쌍의 지지케이블(16)(18)이 구비되는 것으로 족하다.
본 발명에 채용되는 각 지지케이블(16)(18)은, 각각의 양단부(16a)(18a)가 상기 프레임(10)을 관통하여 상기 천장형 에어컨(A)에 위치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각 지지케이블(16)(18)은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배치부(16b)(18b)와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노출부(16c)(18c)를 구비한다.
즉, 도 5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케이블(16)(18)의 양단부(16a)(18a)는 천장형 에어컨(A)에 걸어질 수 있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양단부(16a)(18a) 사이 부분들 중 내측 배치부(16b)(18b)는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한 쌍의 노출부(16c)(18c)는 각각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11 및 도 1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명의 작업자가 상기 각 지지케이블(16)(18)의 한 쌍의 노출부(16c)(18c)들 중 어느 하나의 노출된 길이가 짧아지도록 상기 프레임(10)을 기울이는 경우에, 다른 하나의 노출부(16c)(18c)의 노출된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되면, 한 명의 작업자가 상기 천장형 에어컨(A)과 프레임(10)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의 틈새가 없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 측에서 세척수를 분사시킬 수 있어서, 세척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물이 상기 틈새를 통해 바닥으로 튀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에어컨 세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 및 구체적인 구성을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프레임(10)과 지지케이블(16)(18)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케이블(16)(18)이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되는 복수의 록킹장치(20)들을 구비한다.
상기 록킹장치(20)는, 도 9 및 도 10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과 록킹부재(24)와 스프링(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2)은, 상기 지지케이블(16)(18)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되는 나사부(22a)를 가진다.
상기 록킹부재(24)는, 상기 하우징(22)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한 쌍의 탄성레그(24c)를 가지는 로드부(24b)와, 그 로드부(24b)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2)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24a)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탄성레그(24c)들은, 도 9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에 의한 접근에 의해 상기 지지케이블(16)(18)에 맞물리고, 도 10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복원에 의한 이격에 의해 상기 지지케이블(16)(18)과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즉, 상기 록킹부재(24)가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도 10과 같은 상태로 상기 하우징(22)에 대해 상대이동되는 경우에만 상기 록킹부재(24)의 지지케이블(16)(18)에 대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록킹부재(24)의 지지케이블(16)(18)에 대한 상대이동은, 상기 록킹부재(24)가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10)의 지지케이블(16)(18)에 대한 상대이동을 의미한다.
결국,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조작부(24a)를 누르게 되면, 그 조작부(24a)가 눌려진 프레임(10)의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록킹장치(20)가 프레임(10)과 함께 지지케이블(16)(18)에 대해 하측으로 하강하고,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가장자리는 상승되어 천장형 에어컨(A) 측으로 접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가장자리를 천장형 에어컨(A) 측으로 최대한 접근시켜 놓은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가장자리 측에서 에어컨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키게 되면, 상기 틈새를 통해 세척수 또는 오물 등이 바닥으로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레그(24c)들이 지지케이블(16)(18)과 맞물리는 면은, 상기 지지케이블(16)(18)의 일방향 이동은 자유롭고 타방향 이동은 상기 록킹장치(20)를 조작함에 의해서만 가능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26)은, 상기 조작부(24a)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게 함으로써 상기 탄성레그(24c)들의 반복적인 탄성변형 및 탄성복원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 지지케이블(16)(18)의 양단부(16a)(18a)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10)의 대각선 방향의 모서리 부분들을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가 상기 프레임(10)의 사각틀을 이루는 네 개의 가장자리들 중 어느 일측 가장자리를 평행하게 하강시키더라도 반대측 가장자리가 평행하게 상승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부호 28은 내주면이 상기 탄성레그(24c)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스토퍼링이고, 40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통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프레임 12:가이드커버
14:배수관 16,18:지지케이블
16a,18a:양단부 16b,18b:내측 배치부
16c,18c:노출부 20:록킹장치
22:하우징 22a:나사부
24:록킹부재 24a:조작부
24b:로드부 24c:탄성레그
26:스프링 28:스토퍼링
30:오물 저장통 40:세척수 저장통
A:천장형 에어컨

Claims (4)

  1. 천장형 에어컨(A)의 하측에 배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10);
    상기 천장형 에어컨(A)의 청소시에 흘러 나오는 오물을 배수관(14)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상기 오물의 배수관(14) 측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커버(12);
    상기 프레임(10)을 상기 천장형 에어컨(A)에 지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양단부(16a)(18a)가 상기 프레임(10)을 관통하여 상기 천장형 에어컨(A)에 위치고정되고, 각각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배치부(16b)(18b)와 상기 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노출부(16c)(18c)를 구비하는 한 쌍의 지지케이블(16)(18); 및
    상기 프레임(10)과 지지케이블(16)(18)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케이블(16)(18)이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되는 복수의 록킹장치(20)를 포함하되,
    상기 각 록킹장치(20)는,
    상기 지지케이블(16)(18)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되는 나사부(22a)를 가지는 하우징(22);
    상기 하우징(22)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변형에 의한 접근에 의해 상기 지지케이블(16)(18)에 맞물리고 탄성복원에 의한 이격에 의해 상기 지지케이블(16)(18)과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적어도 한 쌍의 탄성레그(24c)가 마련되어 있는 로드부(24b)와, 상기 로드부(24b)의 하우징(22)에 대한 상대이동력을 상기 하우징(22)의 외부에서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조작부(24a)를 구비하는 록킹부재(24); 및
    상기 록킹부재(24)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2)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24a)에 접촉되는 스프링(26);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지지케이블(16)(18)의 한 쌍의 노출부(16c)(18c)들 중 어느 하나의 노출된 길이가 짧아지도록 상기 프레임(10)이 기울어 지는 경우에는 다른 하나의 노출된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케이블(16)(18)의 양단부(16a)(18a)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10)의 대각선 방향의 모서리 부분들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3. 삭제
  4. 삭제
KR1020100122203A 2010-12-02 2010-12-02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KR101212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203A KR101212831B1 (ko) 2010-12-02 2010-12-02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203A KR101212831B1 (ko) 2010-12-02 2010-12-02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608A KR20120060608A (ko) 2012-06-12
KR101212831B1 true KR101212831B1 (ko) 2012-12-14

Family

ID=46611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203A KR101212831B1 (ko) 2010-12-02 2010-12-02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8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263A (ko) 2014-10-22 2016-05-02 하이엠솔루텍주식회사 에어컨 세척방법
KR20190116842A (ko) 2018-04-05 2019-10-15 조성칠 4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
KR102072655B1 (ko) 2019-04-19 2020-02-03 이동호 콘크리트 일부 충진 강관 제작방법 및 이에 따른 콘크리트 일부 충진 강관
KR20200122975A (ko) 2019-04-19 2020-10-28 이동호 콘크리트 일부 충진 강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0061B1 (ko) 2019-08-22 2021-01-08 이명옥 인덕션가열용 조리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803B1 (ko) * 2021-07-05 2021-12-06 주식회사 가방클럽 지지와이어가 구비된 벽걸이 에어컨 세척커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717Y1 (ko) * 2002-12-05 2003-03-20 이승균 오일 교환 리프트 기울임 장치
KR100852949B1 (ko) * 2007-07-25 2008-08-19 시스템에어컨엔지니어링주식회사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717Y1 (ko) * 2002-12-05 2003-03-20 이승균 오일 교환 리프트 기울임 장치
KR100852949B1 (ko) * 2007-07-25 2008-08-19 시스템에어컨엔지니어링주식회사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263A (ko) 2014-10-22 2016-05-02 하이엠솔루텍주식회사 에어컨 세척방법
KR20190116842A (ko) 2018-04-05 2019-10-15 조성칠 4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
KR102072655B1 (ko) 2019-04-19 2020-02-03 이동호 콘크리트 일부 충진 강관 제작방법 및 이에 따른 콘크리트 일부 충진 강관
KR20200122975A (ko) 2019-04-19 2020-10-28 이동호 콘크리트 일부 충진 강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0061B1 (ko) 2019-08-22 2021-01-08 이명옥 인덕션가열용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608A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831B1 (ko)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KR101112604B1 (ko) 천정형 에어컨 청소장치
KR102113154B1 (ko) 스탠드형 에어컨 고압세척용 가림막부재
KR20080041072A (ko) 공기조화기
KR100852949B1 (ko) 천장형 에어컨 세척 시스템
KR101360787B1 (ko) 천장형 에어컨 자동 세척장치
JP6644849B1 (ja) 冷却乾燥空気の供給装置
US20170227307A1 (en) Cleaning Device for Condensers
JP2006223996A (ja) 天井取付型空気調和機用部品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100852948B1 (ko)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JP2009180457A (ja) 清浄空調装置
KR101325933B1 (ko) 천장 매립형 냉난방기의 흡입식 청소장치
KR20120050696A (ko) 벽걸이형 장치구조물
KR200427543Y1 (ko)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KR101651517B1 (ko) 에어컨 세척방법
JP2787436B2 (ja) 天井取付型エアコンデショナーの熱交換器用自動洗浄装置
KR200449762Y1 (ko) 천장형 에어컨 세척 가대
KR102335803B1 (ko) 지지와이어가 구비된 벽걸이 에어컨 세척커버
CN208508333U (zh) 一种高防护型综合配电柜
KR20230041215A (ko) 벽걸이 에어컨 청소용 물받이 장치
KR102269763B1 (ko) 스탠드형 에어컨 청소장치
CN216289581U (zh) 一种配电柜防水结构
KR20080041071A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61A (ko) 공기조화기
KR20200046257A (ko) 분리가능한 세척헤드가 구비된 4-way 시스템 에어컨 열교환기 자동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