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680B1 -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680B1
KR100852680B1 KR1020070122971A KR20070122971A KR100852680B1 KR 100852680 B1 KR100852680 B1 KR 100852680B1 KR 1020070122971 A KR1020070122971 A KR 1020070122971A KR 20070122971 A KR20070122971 A KR 20070122971A KR 100852680 B1 KR100852680 B1 KR 100852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cap
cap
opening
beverag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의천
손성현
Original Assignee
씨팩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팩코리아(주) filed Critical 씨팩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70122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65D41/48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non-metallic, e.g. made of paper o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츠 음료 또는 일반인 누구나 손쉽게 마실 수 있는 음료의 용기에 사용되는 음료용기의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용기의 뚜껑에 개폐가 가능한 안전캡을 구비하여 용기의 뚜껑을 열지 않고 상기 안전캡만을 열고 닫음으로써 용기내의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된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에 관한 것인바, 스포츠 음료 용기 등과 같이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토출구가 구비된 음료용기 메인뚜껑과, 상기 뚜껑에 구비된 토출구를 개폐하여 음료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가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하면서 필요시 손쉽게 개방하여 음료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토출구 개폐안전캡과, 상기 안전캡이 음료용기 뚜껑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안전캡과 연결되는 연결매매수단 및 상기 안전캡을 좌우 양쪽에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안전캡 고정밴드로 구성되어, 좌·우측 어느 쪽에서든지 손쉽게 상기 안전캡 고정밴드를 잡아당겨 줌으로써 상기 안전캡을 개방할 수 있음은 물론, 개방된 상기 안전캡이 상기 연결매개수단에 의해 용기뚜껑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붙어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뚜껑, 캡, 안전캡, 음료용기 캡

Description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A Beverage Bottle Cap}
본 발명은 스포츠 음료 또는 일반인 누구나 손쉽게 마실 수 있는 음료의 용기에 사용되는 음료용기의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용기의 뚜껑에 개폐가 가능한 안전캡을 구비하여 용기의 뚜껑을 열지 않고 상기 안전캡만을 열고 닫음으로써 용기내의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된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포츠 음료나 음용수 등과 같은 음료수를 담는 병이나 플라스틱 용기 등은 크기에 상관없이 그 용기 주입구에 뚜껑이 구비되어 용기 내부에 담긴 음료를 밀봉하여 보관하거나 또는 손쉽게 따라 마시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음료용기의 뚜껑(30)은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 패트병(31)의 주입구에 개폐용 상기 뚜껑(30)을 구비하되, 상기 패트병(31)의 상기 뚜껑(30)은 회전하여 개방할 수 있는 상단부(32)와 용기 주입구에 고정된 하단부(33)로 나뉘어 구성되며, 상기 상단부(32)는 내부가 나사식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단부(32)를 돌려 주면 상기 하단부(33)로부터 분리되어 용이하게 용기의 주 입구를 열고 닫을 수가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일부 스포츠 음료용기의 뚜껑(35)은 상기와 같은 구조와 더불어 그 중앙부에 음료수 토출구(36)가 구비되어 있고, 또 상기 토출구(36)를 보호하는 착탈식의 보호캡(37)이 갖추어져 있어 필요시에 상기 보호캡(37)을 열고 음료수를 마시거나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음료용기는 그 내부에 담겨진 음료수를 마시거나 토출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용기뚜껑(30)을 회전시켜 개방시킨 다음 적당량의 음료수를 마시거나 토출시키고, 일부 용기에 남아 있는 물을 보관하고자 할 때 다시 상기 용기뚜껑(30)을 닫아 보관하거나 용기를 들고다닐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포츠 음료용기 뚜껑(35)은 그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를 마시거나 토출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뚜껑(35) 자체를 열고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뚜껑(35)에 구비된 상기 보호캡(37)을 열어 상기 토출구(36)를 통해 마시거나 토출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료용기 뚜껑은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를 모두 토출시켜 소비하지 않고 일부 남겨둔 상태로 용기를 들고다니거나 일정 장소(책상이나 테이블 등)에 보관하면서 필요시에 조금씩 마시고자 할 경우 뚜껑이나 보호캡을 열고 마셔야 하는데, 이때 상기 뚜껑이나 보호캡을 열고 닫는 것이 다소 불편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고, 또 상기 스포츠음료 용기에 수용된 음료수를 마시고자 할 경우 상기 보호캡을 열어 제거하고 토출구로 음료수를 마시고 다시 상기 보호캡을 닫아 두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포츠 음료 용기 등과 같은 토출구가 구비된 보호캡을 갖는 용기에 수용된 음료수를 성급히 마시고자 할 경우 상기 보호캡을 입으로 열어서 마시려고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기 보호캡이 목으로 넘어갈 위험이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토출구가 구비된 음료 용기 뚜껑에 상기 토출구를 열거나 닫아줄 수 있는 안전캡을 구비하되, 상기 안전캡은 음료 용기의 뚜껑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매매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안전캡을 최초로 개방할 경우 상기 안전캡에 구비된 고정밴드수단을 좌·우측 어느 한쪽에서 잡아 당겨주면 용이하게 뜯어져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료용기에 구비된 토출구를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 용기의 개폐식 캡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포츠 음료 용기 등과 같이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토출구가 구비된 음료용기 메인뚜껑과, 상기 뚜껑에 구비된 토출구를 개폐하여 음료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가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하면서 필요시 손쉽게 개방하여 음료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토출구 개폐안전캡과, 상기 안전캡이 음료용기 뚜껑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안전캡과 연결되는 연결매매수단 및 상기 안전캡을 좌·우 양쪽에서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안전캡 고정밴드로 구성되어, 좌·우측 어느 쪽에서든지 손쉽게 상기 안전캡 고정밴드를 잡아 당겨 줌으로써 상기 안전캡을 개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고정밴드를 잡아당겼을 경우 상기 고정밴드가 떨어져 나가면서 메인뚜껑으로부터 개방상태가 되기 때문에 소비자가 그 사용 유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개방된 상기 안전캡은 상기 연결매개 수단에 의해 용기뚜껑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붙어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필요시 신속하게 용기뚜껑에 구비된 음료수 토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부주의로 안전캡이 입으로 삼켜 목으로 넘어가는 위험을 사전에 막아 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은 음료 용기의 메인뚜껑 상부에 구비된 음료수 토출구를 보호할 수 있도록 안전캡을 구비하되, 상기 안전캡이 메인뚜껑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부주의로 인해 사용자가 목구 멍으로 삼키게 되는 위험을 완전히 예방할 수 있고, 상기 메인뚜껑과 안전캡을 고정시키는 안전캡 고정밴드에 상기 고정밴드를 떼어내는 절취돌기를 양쪽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안전캡고정밴드에 구비된 좌·우 양측의 어떤 절취돌기를 잡아 뜯어내어도 상기 안전캡이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 및 활용성을 한층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10)은 도1과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 음료나 스포츠 음료가 들어있는 음료용기의 주입구를 막아주는 음료용기 메인뚜껑(11)과 상기 메인뚜껑(11)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음료수를 마실 수 있도록 된 음료수 토출구(12), 상기 음료수 토출구(12)를 막아주거나 열어줄 수 있도록 된 토출구 개폐 안전캡(13), 상기 안전캡(13)이 상기 토출구(12)로부터 개방될 때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그 한쪽이 상기 메인뚜껑(11)에 연결되어 붙어 있도록 된 연결매개수단(14), 한쪽은 상기 메인뚜껑(11)에 고정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안전캡(13)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안전캡(13)과 상기 메인뚜껑(11)이 고정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캡 고정밴드(1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캡 고정밴드(15)는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뚜껑(11)의 상부면과 상기 토출구 개폐 안전캡(13)의 끝단부 사이에 구비되되, 그 중앙에는 가늘고 얇은 긴 띠 형상의 고정밴드중앙부(1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밴드중앙부(16)의 좌·우 양단에는 상기 고정밴드(15)를 떼어내기 위한 절취돌기(17)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에는 그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오목부(18)와 개방돌기부(19)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18)에는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을 개방할 때 손가락 등이 미끄러지지 않고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가로방향의 널링부(Knurl,2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은 그 자체를 투명체로 하거나 색체가 구비된 불투명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캡 고정밴드(15)에 구비된 상기 고정밴드중앙부(16)에는 그 상부면과 하부면에 약간의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스폿돌기(Spot,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안전캡 고정밴드(15)는 상기 스폿돌기(21)에 의해 한쪽은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에 고정되고 또 한쪽은 상기 메인뚜껑(11)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절취돌기(17)를 잡아 당기면 상기 스폿돌기(21)가 상기 메인뚜껑(11)과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으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져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안전캡 고정밴드(15)를 떼어낸 경우, 음료용기가 사용된 것으로 판단되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음료용기가 새것인지 사용하던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뚜껑(11)의 상부에 구비된 음료수 토출구(12)의 외부에는 음료용기에 음료수를 넣어 상기 메인뚜껑(11)과 토출구 개폐안전캡(13)을 밀봉 고정 시킨 후 살균공정 등을 수행하게 될 때,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의 내부와 외부와의 온도차이로 인한 결로현상 등으로 발생 되는 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습기배출홈(22) 이 수직(세로)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습기배출홈(22)은 상기 토출구(12)의 외부면을 따라 상기 메인뚜껑(11)의 일정 부위까지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개폐안전캡(13) 내부에 생성된 습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여 건조시켜 사용자에게 습기 등으로 불쾌감을 주는 일을 사전에 막아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의 내부에는 상기 음료수 토출구(12)의 내부와 외부를 밀봉시켜 음료용기 내부에 담겨있는 음료수가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밀봉 슬리이브(23,24)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기능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상기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10)은, 도1과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료용기 내부에 음료수를 채운 다음 상기 메인뚜껑(11)을 장착하고 이어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을 상기 메인뚜껑(11)에 고정 장착하여 살균 가열처리 및 기타 위생처리를 한 후 소비자에게 판매 등의 방법으로 전달되어 사용되게 된다. 여기서 살균처리 공정시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 내부에 발생 되는 습기는 상기 습기배출홈(22)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게 한다.
따라서 음료용기 사용자는 상기 음료용기의 메인뚜껑(11)에 부착된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을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안전캡 고정밴드(15)에 구비된 좌·우측 어느 한쪽의 상기 절취돌기(17)를 잡아 당기면 상기 고정밴드중앙부(16)의 상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스폿돌기(21)가 용이하게 떨어지면서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 캡(13)이 개방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안전캡(13)에 구비된 상기 개방돌기부(19)를 윗쪽으로 젖혀 주면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이 용이하게 개방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은 그 뒷쪽에 구비된 상기 연결매개수단(14)에 의해 상기 안전캡(13)이 상기 메인뚜껑(11)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지지 않도록 탄력적으로 부착되어 있어, 음료 용기 내부에 음료수가 남아 있을 경우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을 다시 닫아 두면 되므로 위생적으로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의 사시상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의 확대도 및 사용상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의 개방상태도.
도4는 종래의 음료용기 뚜껑이 사용된 사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11:메인뚜껑 12:음료수 토출구
13:토출구 개폐안전캡 14:연결매개수단 15:안전캡고정밴드
16:고정밴드중앙부 17:절취돌기 18:오목부 19:개방돌기부
20:널링부 21:스폿돌기 22:습기배출홈 23,24:밀봉슬리이브
30:음료용기의 뚜껑 31:패트병 32:상단부 33:하단부
35:뚜껑 36:음료수 토출구 37:보호캡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음료수가 담겨진 음료용기 주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음료용기의 메인 뚜껑과 상기 메인뚜껑에 음료수를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구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에 있어서,
    음료용기의 주입구를 막아주는 음료용기 메인뚜껑(11)과,
    상기 메인뚜껑(11)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음료수를 마실 수 있도록 된 음료수 토출구(12)와,
    상기 음료수 토출구(12)를 막아주거나 열어줄 수 있도록 된 토출구 개폐안전캡(13)과,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이 상기 토출구(12)로부터 개방될 때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그 한쪽이 상기 메인뚜껑(11)에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붙어 있도록 된 연결매개수단(14)과
    아래쪽은 상기 메인뚜껑(11)에 고정 연결되고 윗쪽은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에 고정 연결되면서 좌·우 어느 쪽에서나 뜯어낼 수 있도록 좌·우측 양단부에 각각 절취돌기(17)가 구비된 안전캡 고정밴드(15)로 구성되되;
    상기 안전캡 고정밴드(15)는 길고 얇은 띠 형상의 고정밴드중앙부(16)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부(16)의 좌·우 양단에는 절취돌기(17)가 구비되며 상기 중앙부(16)의 상하면에는 다수개의 스폿돌기(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에는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용 가로방향의 널링부(Knurl,20)가 형성된 오목부(18)와 개방돌기부(19)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뚜껑(11)의 상부면에 구비된 상기 음료수 토출구(12)의 외주면에는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의 내벽에 외부와의 온도차이로 생성되는 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습기배출홈(22)이 수직(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개폐안전캡(13)은 그 자체를 투명체로 하거나 색체가 구비된 불투명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KR1020070122971A 2007-11-29 2007-11-29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KR100852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971A KR100852680B1 (ko) 2007-11-29 2007-11-29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971A KR100852680B1 (ko) 2007-11-29 2007-11-29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680B1 true KR100852680B1 (ko) 2008-08-18

Family

ID=3987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971A KR100852680B1 (ko) 2007-11-29 2007-11-29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6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913A1 (en) * 2010-03-11 2011-09-15 Rollpack Co., Ltd. Cap for discharging liquid and package for containing liquid having the same
KR20210000088U (ko) 2019-07-05 2021-01-13 임형욱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2659U (ko) * 1978-11-08 1980-05-19
JPS57143148U (ko) 1981-03-04 1982-09-08
JPH01179849U (ko) * 1988-06-07 1989-12-25
JPH0423675U (ko) * 1990-06-20 1992-02-26
JPH07329995A (ja) * 1994-06-08 1995-12-19 Lion Corp ラミネートチューブ容器
JP2006151476A (ja) * 2004-11-30 2006-06-15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2659U (ko) * 1978-11-08 1980-05-19
JPS57143148U (ko) 1981-03-04 1982-09-08
JPH01179849U (ko) * 1988-06-07 1989-12-25
JPH0423675U (ko) * 1990-06-20 1992-02-26
JPH07329995A (ja) * 1994-06-08 1995-12-19 Lion Corp ラミネートチューブ容器
JP2006151476A (ja) * 2004-11-30 2006-06-15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キャップ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913A1 (en) * 2010-03-11 2011-09-15 Rollpack Co., Ltd. Cap for discharging liquid and package for containing liquid having the same
KR101092970B1 (ko) 2010-03-11 2011-12-12 주식회사 롤팩 토출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팩
KR20210000088U (ko) 2019-07-05 2021-01-13 임형욱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6783T3 (es) Tapa de plastico y lata.
JP5068607B2 (ja) 飲料用容器
ES2313057T3 (es) Botella para productos fluidos, en particular productos farmaceuticos , medicinales y cosmeticos.
JP2008546609A (ja) 一体形注ぎ口装置および内部ストロー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自立パウチ
JP5308823B2 (ja) 即席食品用の二重容器
KR100852680B1 (ko)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KR102093774B1 (ko)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KR20180085878A (ko) 빨대구멍 병뚜껑
JP4857956B2 (ja) 保護キャップ付き注出口
KR101697555B1 (ko)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JP2004099177A (ja) 飲用物包装用パウチ
JP2003231544A (ja) 小出し用閉鎖体及びこれを含むパッケージ
KR200307944Y1 (ko) 투명위생커버가 끼워진 음료수캔 용기
KR20140003907U (ko)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JP6120773B2 (ja) 特に飲料用の容器
KR101873833B1 (ko) 분리 가능한 물병
KR20220084491A (ko) 밀폐용 용기커버
ES2961152T3 (es) Unidad de tapa vertedora, bolsa que comprende dicha unidad de tapa vertedora
KR200383387Y1 (ko) 격벽에 의한 배출로를 갖는 음료용 팩
KR102382033B1 (ko) 음료 용기용 이중캡
KR200141303Y1 (ko) 음료용기용 원터치 위생캡
KR200326387Y1 (ko) 알루미늄캔용 위생뚜껑
KR20120000314A (ko) 원터치 개봉수단이 구비된 병뚜껑
KR102409171B1 (ko) 음료 용기용 이중캡
KR101078950B1 (ko) 개선된 마개구조를 갖는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