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970B1 - 토출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팩 - Google Patents

토출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970B1
KR101092970B1 KR1020100021739A KR20100021739A KR101092970B1 KR 101092970 B1 KR101092970 B1 KR 101092970B1 KR 1020100021739 A KR1020100021739 A KR 1020100021739A KR 20100021739 A KR20100021739 A KR 20100021739A KR 101092970 B1 KR101092970 B1 KR 101092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ischarge
cap
flow path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2636A (ko
Inventor
김금자
이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롤팩
Priority to KR1020100021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970B1/ko
Priority to PCT/KR2010/005886 priority patent/WO2011111913A1/en
Publication of KR20110102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77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a planar surface of the packag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01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a bag
    • B65D2231/002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a bag comprising strips forming channels or liquid passag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의 토출시 접착에 의해 액체의 토출 경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출캡이 개시된다.
상기한 토출캡은 수용부재에 저장되는 액체의 유출입 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과, 상기 수용부재와 접합되는 접합부를 구비하는 토출캡 바디, 및 상기 수용부재 또는 상기 토출캡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재로부터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상기 관통홀로 액체를 안내하는 유로형성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토출캡에 의하면, 유로형성수단을 통해 토출캡 바디에 수용부재의 내부면이 흡착되어 토출캡 바디에 구비되는 관통홀로 유입되는 액체의 유동 경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재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보다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토출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팩{CAP FOR DISCHARGING THE LIQUID AND PACKAGE FOR CONTAINING LIQUID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토출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 수용팩에 수용되는 액체를 보다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팩은 내부에 저장물을 수용하고 지퍼, 열융착 등을 이용하여 쉽게 밀봉시키도록 하는 팩으로서, 근래에는 단순히 저장물을 수용하는 것에서부터 이불 등을 수용하고 진공압축하는 압축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내부공간에 내용물을 수용한 후, 내부공간을 폐쇄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다양한 형태의 팩을 '비닐팩'이라 총칭한다.
한편, 최근에는 비닐팩 내부에 수용되는 저장물이 채소, 가공식품 등과 같은 고체로 된 것 뿐만 아니라, 액체로 된 저장물이 비닐팩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액체로 된 저장물을 비닐팩에 유입,유출 용이하도록 토출구를 구비하는 비닐팩이 사용된다. 즉 사용자는 토출구로 액체로 된 저장물을 유입,유출시킬 수 있다.
한편, 비닐팩 내부에 저장된 액체로된 저장물에는 점성을 가진 물질이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액체에 포함되는 점성을 가진 물질이 비닐팩 내부에 점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라와 같은 액체를 비닐팩 내부에 저장할 수 있는데, 콜라에 포함되는 점성을 가진 물질이 비닐팩에 점착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점성을 가진 물질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비닐팩의 수용부재를 접착시켜 비닐팩의 일부분을 밀봉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결국 비닐팩 내부에 저장된 저장물이 비닐팩으로부터 토출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닐팩 내부에 저장된 액체로된 저장물을 비닐팩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하여 토출펌프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토출펌프에 의한 흡입력에 의하여 토출구 주위의 비닐팩이 서로 점착되거나 토출구와 비닐팩이 서로 점착되어 액체로된 저장물이 토출구 측으로 안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결국 저장물을 비닐팩으로부터 토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를 보다 용이하게 내부로부터 유출입시킬 수 있는 토출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의 토출시 접착에 의해 액체의 토출 경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출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캡은 수용부재에 저장되는 액체의 유출입 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과, 상기 수용부재와 접합되는 접합부를 구비하는 토출캡 바디, 및 상기 수용부재 또는 상기 토출캡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재로부터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상기 관통홀로 액체를 안내하는 유로형성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유로형성수단은 액체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토출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재와 상기 접합부의 저면과의 흡착에 의해 상기 관통홀로 액체가 유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접합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액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요철부일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수단은 액체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토출되는 경우 상기 접합부의 저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수용부재에 접합 구비되며, 액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요철부를 상면에 구비하는 유로형성부재일 수 있다.
상기한 토출캡은 상기 토출캡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액체가 토출되는 토출홀을 구비하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토출홀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부재는 중앙에 상기 개폐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시 승강하여 상기 토출홀을 개폐토록 하측 끝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캡부재의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후크를 구비하며, 상기 후크의 걸림부가 상기 결합부의 경사면에 지지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상기 캡부재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캡부재의 상기 토출홀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토출홀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캡부재의 상기 토출홀을 개방하는 경우 상기 캡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토출홀을 개방하는 경우 상기 토출홀로부터 유출되는 액체가 흐르는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토출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수용팩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내부면의 흡착시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액상의 내용물이 이동되는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를 내부면에 가지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가 유출입되도록 구성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토출캡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토출부재가 장착되는 개구홀을 구비하는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1 수용부재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수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2 수용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유로부를 가지며, 상기 유로부는 상기 토출부재를 향하여 다수개의 열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는 각 단부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면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는 상기 토출캡을 통해서만 유출입될 수 있다.
상기한 액체 수용팩은 상기 수용부재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실링면과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수용부재에 융착되는 실링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와 상기 보호부재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토록 상기 실링부의 내측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로형성수단을 통해 토출캡 바디에 수용부재의 내부면이 흡착되어 토출캡 바디에 구비되는 관통홀로 유입되는 액체의 유동 경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재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보다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출캡을 통해 수용부재 내부로 액체를 유입시키거나 수용부재 내부로부터 액체를 유출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액체를 유출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로부를 통해 수용부재의 내부면이 서로 접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액체가 유로부를 통해 토출캡 측으로 안내될 수 있으므로 수용부재에 수용된 액체가 보다 용이하게 토출캡을 통해 유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 바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 바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 바디와 유로형성수단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홀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홀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수용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수용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토출캡(100)은 일예로서, 토출캡 바디(120), 캡부재(140), 개폐부재(160), 및 유로형성수단(180)을 포함한다.
한편, 토출캡(100)은 후술할 액체 수용팩(1000)의 수용부재(1020)에 설치되며, 수용부재(1020)에는 액체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1022)가 구비될 수 있다.
액체 수용팩(10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토출캡 바디(120)는 수용부재(1020)에 저장되는 액체의 유출입 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122)과, 수용부재와 접합되는 접합부(124)를 구비한다.
즉, 토출캡 바디(120)는 도 2 및 도 3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내부를 관통하여 캡부재(14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토출캡 바디(120)의 관통홀(122)을 통해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수용부재(1020)로부터 토출된다.
한편, 토출캡 바디(120)는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수용부재(102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토출캡 바디(120)는 예를 들어, 열융착에 의해 수용부재(1020)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토출캡 바디(120)와 수용부재(1020)의 결합방법은 토출캡 바디(120)가 수용부재(1020)에 장착되는 부분에서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채용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토출캡 바디(120)는 하단에 수용부재(1020)의 개구홀(1024, 도 1 참조)로부터 토출캡 바디(1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열융착 시 수용부재(1020)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접합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캡 바디(120)는 보다 기밀하게 수용부재(1020)에 장착될 수 있고, 수용부재(102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토출캡 바디(120)의 외부면 상부측에는 캡부재(140)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결합부(126)가 구비될 수 있다. 삽입결합부(126)에는 캡부재(140)에 삽입 결합되는 경우 캡부재(140)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기(126a)가 형성될 수 있다.
캡부재(140)는 도 4 및 도 5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캡 바디(120)의 삽입결합부(126)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결합홈(142)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토출캡 바디(120)와 캡부재(140)는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되며, 이를 위해 토출캡 바디(120)와 캡부재(14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캡부재(140)와 토출캡 바디(120)는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나사결합에 의해서도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삽입결합부(126)와 삽입결합홈(142)에는 암나사부와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캡부재(140)는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토출홀(144)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토출캡 바디(120)의 관통홀(122)로 안내된 액체는 캡부재(140)의 토출홀(144)을 통해 수용부재(102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캡부재(140)의 중앙에는 개폐부재(160)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146)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146)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개폐부재(160)가 관통홀(122)을 개폐하기 위하여 회전되는 경우 개폐부재(160)가 승강될 수 있도록 결합부(146)의 하단부에는 경사면(146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개폐부재(160)의 회전시 개폐부재(160)의 하단부가 캡부재(140)의 경사면(146a)을 따라 이동되어 개폐부재(160)가 승강될 수 있다.
한편, 캡부재(140)는 상면에 개폐부재(160)가 회전하여 토출홀(144)을 개방할 때, 토출홀(144)이 개방된 상태로 개폐부재(160)가 위치되도록 개폐부재(160)를 고정시키는 결합홈(148)을 구비할 수 있다.
개폐부재(160)는 도 6 및 도 7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것처럼, 캡부재(14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하여 토출홀(144)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160)는 캡부재(140)에 형성된 결합부(146)에 삽입 결합되는 후크(162)를 구비할 수 있다.
후크(162)는 개폐부재(16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합부(146)에의 삽입 결합을 위해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후크(162)에는 결합부(146)의 끝단에 형성된 경사면(146a)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162a)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후크(162)가 탄성 변형되어 결합부(146)에 삽입되면, 걸림부(162a)가 결합부(146)의 경사면(146a)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개폐부재(160)는 캡부재(14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160)는 상단부에 사용자가 개폐부재(16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6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수용부재(1020)로부터 액체를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 개폐부재(160)의 손잡이(164)를 파지하여 개폐부재(160)를 회전시킴으로써, 캡부재(140)의 토출홀(144)을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개폐부재(160)는 회전하여 토출홀(144)를 개방하는 경우 개폐부재(160)가 토출홀(144)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캡부재(140)에 형성된 결합홈(148)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166)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결합돌기(166)는 개폐부재(160)의 회전에 의해 토출홀(144)과 결합홈(148)에 각각 삽입 결합되어 토출홀(144)을 폐쇄하거나 개폐부재(160)가 토출홀(144)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결합돌기(166)가 결합홈(148)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개폐부재(16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결합돌기(166)는 결합홈(148)에 용이하게 결합 및 이탈될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160)는 토출홀(144)로 유출되는 액체가 흐르는 경로를 안내하는 토출홈(168)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수용부재(1020)의 내부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는 토출홈(168)을 통해 최종적으로 토출된다.
유로형성수단(180)은 토출캡 바디(120)에 구비되며, 수용부재(1020)로부터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관통홀(122)로 액체를 안내한다.
즉, 유로형성수단(180)은 도 8에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가 관통홀(122)을 통해 토출되는 경우 수용부재(1020)와 토출캡 바디(120)의 접합부(124)의 저면과의 흡착에 의해 관통홀(122)로 액체가 유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토록 접합부(124)의 저면에 구비되어 액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요철부일 수 있다.
즉, 오목부(182)와 볼록부(184)를 구비하는 요철부로 이루어진 유로형성수단(180)을 통해 토출캡(100)을 통해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토출캡 바디(120)의 접합부(124)의 저면과 수용부재(1020)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재(1020)에 수용된 액체는 보다 안정적으로 토출캡(100)을 통해 수용부재(102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토출캡(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개폐부재(160)가 캡부재(140)에 결합되는 경우, 후크(182)의 걸림부(182a)는 캡부재(140)의 결합부(146)의 끝단에 형성된 경사면(146a)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160)는 캡부재(14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160)가 토출홀(144)을 개폐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경우 후크(182)의 일측은 탄성변형되고 후크(182)의 타측에 구비되는 걸림부(182a)는 경사면(146a)을 따라 이동된다. 이를 통해, 개폐부재(160)는 회전시 승강될 수 있으며, 결국, 개폐부재(160)는 캡부재(140)의 토출홀(144)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수용부재(1020)에 액체를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토출캡 바디(120)로부터 캡부재(14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토출캡 바디(120)의 관통홀(122)을 통해 액체를 수용부재(102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캡부재(140)를 토출캡 바디(120)로부터 분리한 후 액체를 수용부재(1020)의 내부로 유입시켜 수용부재(1020)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개폐부재(160)가 토출홀(144)을 개방하여 수용부재(1020)에 수용된 액체가 토출홀(144)을 통해 토출되는 경우 유로형성수단(180)을 통해 토출캡 바디(120)의 접합부(124) 저면과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용부재(1020)에 수용된 액체는 보다 안정적으로 토출캡(100)을 통해 수용부재(102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토출캡(200)은 일예로서, 토출캡 바디(220), 캡부재(240), 개폐부재(260), 및 유로형성수단(280)을 포함한다.
한편, 토출캡 바디(220), 캡부재(240), 개폐부재(260)는 상기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토출캡 바디(120), 캡부재(140), 개폐부재(16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로형성수단(280)은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에 구비되며, 수용부재(1020)로부터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관통홀(222)로 액체를 안내한다.
즉, 유로형성수단(280)은 액체가 관통홀(222)을 통해 토출되는 경우 접합부(224)의 저면과 접촉되도록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에 접합 구비되며, 액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요철부를 상면에 구비하는 유로형성부재일 수 있다.
유로형성수단(280), 즉 유로형성부재는 고리 형상을 가진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로형성수단(280)의 상면에 구비되는 요철부는 오목부(282)와 볼록부(28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오목부(282)와 볼록부(284)를 구비하는 요철부로 이루어진 유로형성수단(280)을 통해 토출캡(200)을 통해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토출캡 바디(220)의 접합부(224)의 저면과 수용부재(1020)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재(1020)에 수용된 액체는 보다 안정적으로 토출캡(200)을 통해 수용부재(102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토출캡(300)은 토출캡 바디(320), 캡부재(340), 개폐부재(360), 및 유로형성수단(380)을 포함한다.
한편, 토출캡 바디(32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즉 관통홀(32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토출캡 바디(320)는 수용부재(1020, 도 1 참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접합부(324)를 구비할 수 있다.
캡부재(340)는 토출캡 바디(320)에 결합되며,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토출홀(344)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캡부재(340)는 개폐부재(360)에 의해 토출홀(344)이 개폐될 수 있도록 결합홈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개폐부재(360)의 회전시 결합홈부(350)에 개폐부재(360)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토출홀(344)이 폐쇄된다.
한편, 개폐부재(360)는 캡부재(3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저면에는 캡부재(340)의 결합홈부(35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부(361)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개폐부재(360)가 회전하여 캡부재(340)의 결합홈부(350)에 결합돌기부(361)가 결합되면 캡부재(340)의 토출홀(344)은 폐쇄된다.
또한, 개폐부재(360)가 회전하여 결합돌기부(361)가 결합홈부(350)로부터 이탈되면, 캡부재(340)의 토출홀(344)는 개방된다.
한편, 사용자는 수용부재(1020) 내부에 액체를 유입시키고자 하는 경우 토출캡 바디(320)로부터 캡부재(34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토출캡 바디(320)의 관통홀(322)을 통해 액체를 수용부재(102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유로형성수단(380)은 토출캡 바디(320)에 구비되며, 수용부재(1020)로부터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관통홀(322)로 액체를 안내한다.
즉, 유로형성수단(380)은 액체가 관통홀(322)을 통해 토출되는 경우 수용부재(1020)와 토출캡 바디(320)의 접합부(324)의 저면과의 흡착에 의해 관통홀(322)로 액체가 유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토록 접합부(324)의 저면에 구비되어 액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요철부일 수 있다.
즉, 오목부(382)와 볼록부(384)를 구비하는 요철부로 이루어진 유로형성수단(380)을 통해 토출캡(300)을 통해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토출캡 바디(320)의 접합부(324)의 저면과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재(1020)에 수용된 액체는 보다 안정적으로 토출캡(300)을 통해 수용부재(102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는 유로형성수단(380)이 접합부(324)의 저면에 구비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200)과 같이 유로형성수단(380)이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유로형성수단(380)이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에 접합 구비되며, 고리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유로형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토출캡(400)은 토출캡 바디(420), 캡부재(440), 개폐부재(460), 및 유로형성수단(480)을 포함한다.
토출캡 바디(42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캡 바디(420)는 관통홀(42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토출캡 바디(420)는 수용부재(1020, 도 1 참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접합부(424)를 구비할 수 있다.
캡부재(440)는 토출캡 바디(420)에 결합된다. 한편, 캡부재(440)는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토출홀(444)을 구비할 수 있다.
개폐부재(460)는 캡부재(440)에 장착되어 토출홀(444)을 개폐한다. 이를 위해 개폐부재(460)는 탄성부(47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개폐부재(460)의 상면을 가압하면 탄성부(470)는 가압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탄성부(470)는 캡부재(44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따라서, 캡부재(440)의 토출홀(444)은 탄성부(470)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사용자가 개폐부재(460)에 구비되는 손잡이(464)를 상부로 끌어 올리면, 탄성부(470)는 캡부재(44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이때 캡부재(440)의 토출홀(444)이 개방된다.
한편, 사용자는 수용부재(1020) 내부에 액체를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토출캡 바디(420)로부터 캡부재(44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토출캡 바디(420)의 관통홀(422)을 통해 액체를 수용부재(102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유로형성수단(480)은 토출캡 바디(420)에 구비되며, 수용부재(1020)로부터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관통홀(422)로 액체를 안내한다.
즉, 유로형성수단(480)은 액체가 관통홀(422)을 통해 토출되는 경우 수용부재(1020)와 토출캡 바디(420)의 접합부(424)의 저면과의 흡착에 의해 관통홀(422)로 액체가 유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토록 접합부(424)의 저면에 구비되어 액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요철부일 수 있다.
즉, 오목부(482)와 볼록부(484)를 구비하는 요철부로 이루어진 유로형성수단(480)을 통해 토출캡(400)을 통해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토출캡 바디(420)의 접합부(424)의 저면과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재(1020)에 수용된 액체는 보다 안정적으로 토출캡(400)을 통해 수용부재(102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는 유로형성수단(480)이 접합부(424)의 저면에 구비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200)과 같이 유로형성수단(480)이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유로형성수단(480)은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에 접합 구비되며, 고리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유로형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토출캡(500)은 토출캡 바디(520), 캡부재(540), 개폐부재(560), 및 유로형성수단(580)을 포함한다.
토출캡 바디(52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토출캡 바디(420)는 관통홀(422)을 구비한다. 또한, 토출캡 바디(420)는 수용부재(1020)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연장부(524)를 구비할 수 있다.
캡부재(540)는 토출캡 바디(5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캡부재(540)는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토출되는 경우 액체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토출홀(544)을 구비할 수 있다.
개폐부재(560)는 캡부재(540)에 장착되어 토출홀(544)을 개폐한다. 이를 위해 개폐부재(560)는 탄성부(57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즉 사용자가 개폐부재(560)의 상면을 가압합면 탄성부(570)는 가압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탄성부(570)는 캡부재(54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이에 따라 캡부재(540)의 토출홀(544)은 탄성부(570)에 의해 폐쇄된다.
한편, 사용자가 개폐부재(560)에 구비되는 손잡이(564)를 상부로 끌어 올리면 탄성부(570)는 캡부재(54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이때 캡부재(540)의 토출홀(544)이 개방된다.
한편, 사용자는 수용부재(1020) 내부에 액체를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토출캡 바디(520)로부터 캡부재(54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토출캡 바디(520)의 관통홀(522)을 통해 액체를 수용부재(102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유로형성수단(580)은 토출캡 바디(520)에 구비되며, 수용부재(1020)로부터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관통홀(522)로 액체를 안내한다.
즉, 유로형성수단(580)은 액체가 관통홀(522)을 통해 토출되는 경우 수용부재(1020)와 토출캡 바디(520)의 접합부(524)의 저면과의 흡착에 의해 관통홀(522)로 액체가 유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토록 접합부(524)의 저면에 구비되어 액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요철부일 수 있다.
즉, 오목부(582)와 볼록부(584)를 구비하는 요철부로 이루어진 유로형성수단(580)을 통해 토출캡(500)을 통해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토출캡 바디(520)의 접합부(524)의 저면과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재(1020)에 수용된 액체는 보다 안정적으로 토출캡(500)을 통해 수용부재(102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는 유로형성수단(580)이 접합부(524)의 저면에 구비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200)과 같이 유로형성수단(580)이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유로형성수단(580)은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에 접합 구비되며, 고리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유로형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토출부재(600)는 토출캡 바디(620), 캡부재(640), 개폐부재(660), 및 유로형성수단(680)을 포함한다.
토출캡 바디(62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토출캡 바디(620)는 관통홀(622)을 구비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토출캡 바디(620)는 수용부재(1020, 도 1 참조)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기 위하여 연장부(624)를 구비할 수 있다.
캡부재(640)는 토출캡 바디(6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홀(644)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개폐부재(660)는 캡부재(640)에 장착되어 토출홀(644)을 개폐한다. 이를 위해 개폐부재(660)는 탄성부(670)를 구비한다. 즉, 사용자가 개폐부재(660)의 상면을 가압하면 탄성부(670)는 가압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탄성부(670)가 캡부재(640)의 토출홀(644)를 폐쇄하도록 캡부재(64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또한, 사용자가 개폐부재(660)에 구비되는 손잡이(664)를 상부로 끌어 올리면, 탄성부(670)는 캡부재(64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이때 캡부재(640)의 토출홀(644)이 개방된다.
한편, 사용자는 수용부재(1020) 내부에 액체를 저장하기 위하여 토출캡 바디(620)로부터 캡부재(64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토출캡 바디(620)의 관통홀(622)을 통해 액체로 된 내용물을 수용부재(102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유로형성수단(680)은 토출캡 바디(620)에 구비되며, 수용부재(1020)로부터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관통홀(622)로 액체를 안내한다.
즉, 유로형성수단(680)은 액체가 관통홀(622)을 통해 토출되는 경우 수용부재(1020)와 토출캡 바디(620)의 접합부(624)의 저면과의 흡착에 의해 관통홀(622)로 액체가 유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토록 접합부(624)의 저면에 구비되어 액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요철부일 수 있다.
즉, 오목부(682)와 볼록부(684)를 구비하는 요철부로 이루어진 유로형성수단(680)을 통해 토출캡(600)을 통해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토출캡 바디(620)의 접합부(624)의 저면과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재(1020)에 수용된 액체는 보다 안정적으로 토출캡(600)을 통해 수용부재(102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는 유로형성수단(680)이 접합부(624)의 저면에 구비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200)과 같이 유로형성수단(680)이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유로형성수단(680)은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에 접합 구비되며, 고리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유로형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토출부재(700)는 토출캡 바디(720), 캡부재(740), 개폐부재(760), 및 유로형성수단(680)을 포함한다.
토출캡 바디(72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관통홀(72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토출캡 바디(720)는 수용부재(1020, 도 1 참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연장부(724)를 구비할 수 있다.
캡부재(740)는 토출캡 바디(7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토출되는 토출홀(744)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캡부재(740)는 토출홀(744)로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연통홀(752)을 구비한다. 즉,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는 토출캡 바디(720)의 관통홀(722), 캡부재(740)의 연통홀(752)을 경유한 후 토출홀(744)을 통해 회부로 토출된다.
한편, 개폐부재(760)는 캡부재(740)의 상부측에 구비되며, 승강에 의해 캡부재(640)의 연통홀(652)을 개폐한다. 이를 위해 개폐부재(760)는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끝단부에 확장부(772a)가 형성된 결합돌기부(77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개폐부재(760)가 하부측으로 가압되면 개폐부재(760)의 중심부가 하부측으로 이동하고, 이때 개폐부재(760)의 결합돌기부(772)도 하강한다. 결국 결합돌기부(772)의 확방주(772a)가 캡부재(740)의 연통홀(752)로부터 이격되어 연통홀(752)을 개방시킨다.
이후 개폐부재(760)의 가압을 멈추면, 개폐부재(760)는 탄성력에 의해 캡부재(740)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도록 상승한다. 이때 결합돌기부(772)도 상승하게 되며, 결국 결합돌기부(772)의 확장부(772a)에 의해 연통홀(752)은 폐쇄된다.
한편, 도면에는 캡부재(740)와 개폐부재(760)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폐부재(760)는 캡부재(7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수용부재(1020) 내부에 액체를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토출캡 바디(720)로부터 캡부재(74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토출캡 바디(720)의 관통홀(722)을 통해 액체를 수용부재(102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유로형성수단(780)은 토출캡 바디(720)에 구비되며, 수용부재(1020)로부터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관통홀(722)로 액체를 안내한다.
즉, 유로형성수단(780)은 액체가 관통홀(722)을 통해 토출되는 경우 수용부재(1020)와 토출캡 바디(720)의 접합부(724)의 저면과의 흡착에 의해 관통홀(722)로 액체가 유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토록 접합부(724)의 저면에 구비되어 액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요철부일 수 있다.
즉, 오목부(782)와 볼록부(784)를 구비하는 요철부로 이루어진 유로형성수단(780)을 통해 토출캡(700)을 통해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토출캡 바디(720)의 접합부(724)의 저면과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재(1020)에 수용된 액체는 보다 안정적으로 토출캡(700)을 통해 수용부재(102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는 유로형성수단(780)이 접합부(724)의 저면에 구비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200)과 같이 유로형성수단(780)이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유로형성수단(780)은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에 접합 구비되며, 고리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유로형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토출캡(800)은 토출캡 바디(820), 캡부재(840), 개폐부재(860), 및 유로형성수단(880)을 포함한다.
토출캡 바디(82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관통홀(82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토출캡 바디(820)는 수용부재(1020, 도 1 참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장부(824)를 구비할 수 있다.
캡부재(840)는 토출캡 바디(8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토출되는 토출홀(844)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개폐부재(860)는 캡부재(840)에 장착되어 회전에 의해 캡부재(840)의 토출홀(844)을 개폐한다. 이를 위해 개폐부재(860)는 연통홀(874)을 구비하는 삽입부(876)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삽입부(876)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끝단부에 연통홀(874)을 구비한다. 따라서, 개폐부재(760)가 캡부재(840)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되면 삽입부(876)가 회전되고, 삽입부(876)의 회전에 따라 연통홀(874)과 토출홀(844)이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통홀(874)과 토출홀(844)이 연통되는 경우, 토출홀(844)이 개방되어 토출홀(844)을 통해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개폐부재(760) 측으로 유입되고, 결국 개폐부재(860)의 삽입부(876) 상부에 구비되는 유출홀(878)을 통해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개폐부재(860)의 회전으로 연통홀(874)과 토출홀(844)이 연통되지 않는 경우, 토출홀(844)은 삽입부(876)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토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캡부재(840)가 토출캡 바디(8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용부재(1020)의 내부로 액체를 유입시키고자 하는 경우 캡부재(840)를 토출캡 바디(820)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관통홀(822)을 통해 내용물을 수용부재(102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유로형성수단(880)은 토출캡 바디(820)에 구비되며, 수용부재(1020)로부터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관통홀(822)로 액체를 안내한다.
즉, 유로형성수단(880)은 액체가 관통홀(822)을 통해 토출되는 경우 수용부재(1020)와 토출캡 바디(820)의 접합부(824)의 저면과의 흡착에 의해 관통홀(822)로 액체가 유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토록 접합부(824)의 저면에 구비되어 액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요철부일 수 있다.
즉, 오목부(882)와 볼록부(884)를 구비하는 요철부로 이루어진 유로형성수단(880)을 통해 토출캡(800)을 통해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토출캡 바디(820)의 접합부(824)의 저면과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재(1020)에 수용된 액체는 보다 안정적으로 토출캡(800)을 통해 수용부재(102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는 유로형성수단(880)이 접합부(824)의 저면에 구비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200)과 같이 유로형성수단(880)이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유로형성수단(880)은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에 접합 구비되며, 고리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유로형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토출캡(900)은 토출캡 바디(920), 캡부재(940), 개폐부재(960), 및 유로형성수단(980)을 포함한다.
토출캡 바디(92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즉 토출캡 바디(920)는 관통홀(92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토출캡 바디(920)는 수용부재(1020, 도 1 참조)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기 위하여 연장부(924)를 구비할 수 있다.
캡부재(940)는 토출캡 바디(920)에 결합된다. 한편, 캡부재(940)는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토출홀(944)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캡부재(940)는 상부측에 토출홀(944)을 일시적으로 폐쇄시키기 위해 이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폐쇄부(95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캡부재(940)의 폐쇄부(954)에 의해 캡부재(940)의 토출홀(944)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개폐부재(880)를 캡부재(940)로부터 분리시키더라도 토출홀(944)을 통해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는다.
또한, 폐쇄부(954)에는 사용자가 폐쇄부(954)를 캡부재(94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954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880)는 캡부재(940)에 장착되어 토출홀(944)을 개폐한다. 이를 위해 개폐부재(880)와 캡부재(940)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암나사부와 수나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개폐부재(880)와 캡부재(940)는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880)는 캡부재(940)의 토출홀(944)을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캡부재(940)에 구비되는 폐쇄부(954)가 캡부재(940)로부터 분리된 후, 즉 사용자가 폐쇄부(954)를 캡부재(940)로부터 분리시킨 후, 개폐부재(880)를 캡부재(940)로부터 분리하면 수용부재(1020)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고, 개폐부재(980)를 캡부재(940)에 결합하면 수용부재(1020)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토출되지 않는다.
한편, 사용자는 수용부재(1020)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토출캡 바디(920)로부터 캡부재(94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토출캡 바디(920)의 관통홀(922)을 통해 액체로 된 내용물을 수용부재(102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900)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용부재(1020) 내부에 액체를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단지 개폐부재(960)를 캡부재(940)로부터 분리시킨 후 토출홀(944)을 통해 액체를 수용부재(102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유로형성수단(980)은 토출캡 바디(920)에 구비되며, 수용부재(1020)로부터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관통홀(922)로 액체를 안내한다.
즉, 유로형성수단(980)은 액체가 관통홀(922)을 통해 토출되는 경우 수용부재(1020)와 토출캡 바디(920)의 접합부(924)의 저면과의 흡착에 의해 관통홀(922)로 액체가 유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토록 접합부(924)의 저면에 구비되어 액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요철부일 수 있다.
즉, 오목부(982)와 볼록부(984)를 구비하는 요철부로 이루어진 유로형성수단(980)을 통해 토출캡(900)을 통해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토출캡 바디(920)의 접합부(924)의 저면과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재(1020)에 수용된 액체는 보다 안정적으로 토출캡(900)을 통해 수용부재(102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는 유로형성수단(980)이 접합부(924)의 저면에 구비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200)과 같이 유로형성수단(980)이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유로형성수단(980)은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에 접합 구비되며, 고리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유로형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수용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수용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수용팩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액체 수용팩(1000)은 일예로서, 수용부재(1020), 보호부재(1040), 및 토출캡(100)을 포함한다.
수용부재(1020)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내부면의 접착시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액체의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1022)를 내부면에 가지며, 토출캡(100)가 장착되는 개구홀(1024)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유로부(1022)는 수용부재(1020)를 이루는 제1,2 수용부재(1032,1034)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잇다. 즉, 유로부(1022)는 제1 수용부재(1032)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제2 수용부재(1034)에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1,2 수용부재(1032,1034)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유로부(1022)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재(1020)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로부(1022)는 제1,2 수용부재(1032,1034)가 서로 접촉되는 면에 구비되어, 점성을 가진 액체에 의해 또는 액체를 토출시키기 위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제1,2 수용부재(1032,1034)가 서로 점착되는 경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액체를 토출캡(100)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유로부(1022)는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가 토출캡(100)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열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개구홀(1024)은 제1,2 수용부재(1032,1034)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토출캡(100)은 개구홀(1024)에 장착된다. 즉, 토출캡(100)은 일측이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개구홀(1024)를 통해 수용부재(102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수용부재(1020)는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가 수용부재(1020)를 관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재(1020)의 각 단부에는 내부공간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실링면 (1026)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실링면(1026)이 액체 수용팩(1000)의 각 단부에 모두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 수용팩(1000)에는 실링면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 성분 일부가 증발하여 액상의 내용물이 점성을 가지더라도 내용물에 의해 또는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의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 토출펌프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제1,2 수용부재(1032,1034)가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수용부재(1020)의 일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부로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또는 내용물이 점성을 가져 제1,2 수용부재(1032,1034)의 일부분을 접착시키더라도, 내부에 수용된 액체는 유로부(1022)를 따라 흘러 토출캡(100)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즉, 유로부(1022)는 내용물이 흐르는 유로 역할을 수행한다.
보호부재(1040)는 수용부재(1020)의 외부에 배치되며, 토출캡(100)이 관통되는 장착홀(104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보호부재(1040)는 수용부재(1020)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수용부재(1020)는 보호부재(104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보호부재(1040)는 수용부재(1020)에 액상의 저장물이 저장되는 경우 수용부재(102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수용부재(1020)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더라도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액체 수용팩(1000)이 바닥에 떨어져서 액체 수용팩(100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액체 수용팩(1000)에 수용된 액상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보호부재(1040)는 액상의 내용물이 보호부재(1040)를 관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보호부재(1040)의 각 단부에는 내부공간에 수용된 액상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실링부(104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보호부재(1040)의 각 단부는 수용부재(1020)와 함께 열융착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실링부(1044)가 액체 수용팩(1000)의 각 단부에 모두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액체 수용팩(1000)에는 실링부(1044)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보호부재(1040)와 수용부재(1020)가 함께 실링되는 실링부(1044)의 내측에서 보호부재(1040)는 수용부재(1020)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보호부재(1040)와 수용부재(1020)의 사이 공간에 공기층이 게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수용부재(102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캡(100)은 수용부재(1020)에 장착되며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의 내용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토출캡(100)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토출캡(10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합부(124)의 저면에 유로형성수단(180)이 구비되며, 이에 따라, 수용부재(1020)의 유로부(1022)를 따라 흐른 액체는 유로형성수단(180)을 통해 토출캡 바디(120)의 관통홀(122)로 안내될 수 있다.
결국, 점성을 가진 액체에 의해 또는 액체를 토출시키기 위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토출캡 바디(120)의 접합부(124) 저면과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이 서로 점착되어 관통홀(122)로 액체가 유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수용부재(1020)에 구비되는 유로부(1022)와 토출캡(100)에 구비되는 유로형성수단(180)을 통해 액체가 흐를 수 있으므로, 수용부재(102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는 점성을 가진 액체에 의해 또는 액체를 토출시키기 위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 상호간 또는 수용부재(1020)의 내부면과 토출캡 바디(120)의 접합부(124) 저면이 접착되더라도 토출캡(100)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수용팩(1000)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캡(100)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액체 수용팩(100)은 상기에서 설명한 토출캡(200,300,400,500,600,700,800,9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00,200,300,400,500,600,700,800,900 : 토출캡
120,220,320,420,520,620,720,820,920 : 토출캡 바디
140,240,340,440,540,640,740,840,940 : 캡부재
160,260,360,460,560,660,760,860,960 : 개폐부재
180,280,380,480,580,680,780,880,980 : 유로형성수단
1000 : 액체 수용팩
1020 : 수용부재
1040 : 보호부재

Claims (13)

  1. 수용부재에 저장되는 액체의 유출입 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과, 상기 수용부재와 접합되는 접합부를 구비하는 토출캡 바디; 및
    상기 수용부재 또는 상기 토출캡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재로부터 액체를 토출하는 경우 상기 관통홀로 액체를 안내하는 유로형성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수단은
    액체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토출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재와 상기 접합부의 저면과의 흡착에 의해 상기 관통홀로 액체가 유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접합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액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요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수단은
    액체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토출되는 경우 상기 접합부의 저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수용부재에 접합 구비되며, 액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요철부를 상면에 구비하는 유로형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캡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액체가 토출되는 토출홀을 구비하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토출홀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중앙에 상기 개폐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시 승강하여 상기 토출홀을 개폐토록 하측 끝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캡부재의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후크를 구비하며, 상기 후크의 걸림부가 상기 결합부의 경사면에 지지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상기 캡부재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캡.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캡부재의 상기 토출홀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토출홀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캡부재의 상기 토출홀을 개방하는 경우 상기 캡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캡.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토출홀을 개방하는 경우 상기 토출홀로부터 유출되는 액체가 흐르는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토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캡.
  9.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내부면의 흡착시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액상의 내용물이 이동되는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부를 내부면에 가지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가 유출입되도록 구성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토출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토출부재가 장착되는 개구홀을 구비하는 제1 수용부재와, 상기 제1 수용부재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수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2 수용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유로부를 가지며,
    상기 유로부는 상기 토출부재를 향하여 다수개의 열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팩.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각 단부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면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는 상기 토출캡을 통해서만 유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실링면과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수용부재에 융착되는 실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와 상기 보호부재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토록 상기 실링부의 내측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팩.
KR1020100021739A 2010-03-11 2010-03-11 토출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팩 KR101092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739A KR101092970B1 (ko) 2010-03-11 2010-03-11 토출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팩
PCT/KR2010/005886 WO2011111913A1 (en) 2010-03-11 2010-08-31 Cap for discharging liquid and package for containing liquid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739A KR101092970B1 (ko) 2010-03-11 2010-03-11 토출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636A KR20110102636A (ko) 2011-09-19
KR101092970B1 true KR101092970B1 (ko) 2011-12-12

Family

ID=4456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739A KR101092970B1 (ko) 2010-03-11 2010-03-11 토출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2970B1 (ko)
WO (1) WO201111191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7050A (en) 1986-05-19 1988-01-05 Sunbeam Plastics Corporation Multiple orifice dispensing closure
KR200394210Y1 (ko) 2005-06-03 2005-08-30 대상 주식회사 토출양 조절캡
KR100852680B1 (ko) 2007-11-29 2008-08-18 씨팩코리아(주)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WO2009028491A1 (ja) 2007-08-31 2009-03-05 Yoshino Kogyosho Co., Ltd. ボトル状容器体用の吐出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7050A (en) 1986-05-19 1988-01-05 Sunbeam Plastics Corporation Multiple orifice dispensing closure
KR200394210Y1 (ko) 2005-06-03 2005-08-30 대상 주식회사 토출양 조절캡
WO2009028491A1 (ja) 2007-08-31 2009-03-05 Yoshino Kogyosho Co., Ltd. ボトル状容器体用の吐出キャップ
KR100852680B1 (ko) 2007-11-29 2008-08-18 씨팩코리아(주) 음료용기의 개폐식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636A (ko) 2011-09-19
WO2011111913A1 (en)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176B1 (ko) 이중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CN208485020U (zh) 便携式饮料容器以及与其一起使用的盖组件
KR101774175B1 (ko) 단일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KR200438541Y1 (ko)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CN109153481B (zh) 盖和排出容器
JP2006506292A (ja) 液体容器の排出アセンブリ
KR200454469Y1 (ko) 액상물 용기
KR20090008168U (ko) 스파우트 구조체
TW201429812A (zh) 多腔室容器(四)
KR101092970B1 (ko) 토출캡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팩
KR101504428B1 (ko) 용기 마개
KR101098033B1 (ko) 액체 수용팩
KR101420719B1 (ko) 냉매공간이 형성된 이중용기
KR20220033937A (ko) 용기 및 보조 내용물 수용 기구
JP5066297B1 (ja) 液体容器の口栓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KR20180136415A (ko) 이중 캡이 구비된 접착제 용기
KR200295520Y1 (ko) 마개조립체
KR200417207Y1 (ko) 기밀 개폐 구조를 갖는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
KR101358582B1 (ko) 공기유출입 제어형 다기능 진공뚜껑
KR20140000093U (ko)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토록 하는 액체용기
KR102616898B1 (ko) 이중 차단막을 구비한 마개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100893115B1 (ko) 펌프 디스펜서용 푸시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디스펜서
KR20100029665A (ko) 비닐팩
KR200371223Y1 (ko) 액체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