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460B1 - 지붕막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지붕막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460B1
KR100852460B1 KR1020070053206A KR20070053206A KR100852460B1 KR 100852460 B1 KR100852460 B1 KR 100852460B1 KR 1020070053206 A KR1020070053206 A KR 1020070053206A KR 20070053206 A KR20070053206 A KR 20070053206A KR 100852460 B1 KR100852460 B1 KR 100852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membrane
roof
cable
fixing
conn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이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이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이가
Priority to KR1020070053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8Vaulted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04H15/642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04H15/642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 E04H15/648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the longitudinal recesses being made from two clamp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52Cove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지붕막 연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지붕막 연결장치는: 지붕막의 일측이 로프를 고정하며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여 상기 지붕막을 지지하는 제1연결부를 구비한 지붕막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지붕막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케이블이 통과되기 위한 제1내측홈이 형성된 중앙홀더부와, 상기 중앙홀더부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져 걸려지도록 하는 측면홀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053206
지붕막, 제1케이블, 제2케이블, 중앙홀더부, 측면홀더부

Description

지붕막 연결장치{Membrane coupl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붕막 연결장치에서 제2연결부가 설치된 부분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붕막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붕막 연결장치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붕막 연결장치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붕막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붕막 3 : 로프
5 : 고정부 7 : 제1케이블
9 : 제2케이블 10 : 중앙홀더부
12 : 제1내측홈 20 : 몸체부
22 : 체결공 24 : 체결볼트
30 : 측면홀더부 32 : 고정부걸림공
34 : 지붕막설치공 40 : 제1연결부
50 : 제2연결부 62 : 상부몸체
64 : 하부몸체 66 : 체결부재
68 : 몸체체결공 69 : 제2내측홈
70 : 커버부재
본 발명은 지붕막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돔 등에 사용되는 지붕막과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붕막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구장을 비롯한 운동경기장이나 일반적인 건축물의 지붕과 에어돔의 지붕으로 막 형상의 지붕막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이 지붕막을 사용하는 막구조물은 골조 막구조물, 공기 막구조물 그리고 텐션 막구조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지붕막으로 이루어진 지붕구조는 수시로 방향이 변하는 바람의 힘을 잘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지반이 약하고, 바람이 센 지방에서 합리적인 인장구조로 선택된다.
상기와 같은 지붕막은 바람 등에 의하여 지붕막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붕막과는 별도로 케이블을 설치하여 지붕막의 구조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지붕막과 지붕막을 상호 연결시켜주는 작업과 상기 지붕막과 상기 케이블을 연결시켜주는 작업이 비교적 난해한 것에 의하여, 작업 공정과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지붕막과 지붕막의 연결작업과 함께 지붕막과 케이블의 연결작업이 어려운 것에 의하여 작업 공정과 시간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붕막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붕막 연결장치는: 지붕막의 일측이 로프를 고정하며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여 상기 지붕막을 지지하는 제1연결부를 구비한 지붕막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지붕막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케이블이 통과되기 위한 제1내측홈이 형성된 중앙홀더부와, 상기 중앙홀더부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져 걸려지도록 하는 측면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홀더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고정부를 끼워서 걸리도록 상기 제1케이블과 나란히 설치된 고정부걸림공과, 상기 고정부걸림공의 측면에 상기 고정부가 끼워지면서 상기 지붕막이 외측으로 연결되도록 절개된 지붕막설치공을 포함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중앙홀더부와 몸체부와 측면홀더부는 상판부재와 하판부재를 체결볼트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는 짧은 길이의 제1연결부와 긴 길이의 제1연결부가 교번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케이블과 교차하는 제2케이블이 통과되어 상기 지붕막의 하중을 더 지지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 상측에 고정되어서 내측에는 상기 제2케이블이 통과되기 위한 제2내측홈을 형성하는 상,하부몸체와, 상기 상,하부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의 제1내측홈과 상기 제2연결부의 제2내측홈은 직각을 이루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홀더부에 의하여 홀딩되는 양측의 지붕막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측면홀더부와 중앙홀더부를 덮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 연결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붕막 연결장치의 바람직 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에어돔에 사용되는 지붕막 연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붕막 연결장치에서 제2연결부가 설치된 부분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붕막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붕막 연결장치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 연결장치는 제1케이블(7)과 지붕막(1)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연결부(40)와 제2케이블(9)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연결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붕막(1)의 일측은 로프(3)를 감싼 형태로 고정되어 고정부(5)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연결부(40)는 상기 지붕막(1)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케이블(7)이 통과되기 위한 제1내측홈(12)이 형성된 중앙홀더부(10)와, 상기 중앙홀더부(10)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몸체부(20) 및 상기 몸체부(20)의 측면에 상기 고정부(5)가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져 걸려지도록 하는 측면홀더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홀더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5)가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통공이 형성된 고정부걸림공(32)과, 상기 고정부걸림공(32)의 측면에 상기 고정부(5)가 끼워지면서 상기 지붕막(1)이 외측으로 연결되도록 절개된 지붕막설치공(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홀더부(30)는 상기 중앙홀더부(10)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20)의 일측에만 구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20)의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중앙홀더부(10)와 몸체부(20)와 측면홀더부(30)를 포함한 제1연결부(40)는 압출 성형에 의하여 단일 부재로 구성되기도 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결합에 의하여 구성되기도 한다.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몸체부(20)에는 체결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22)을 통하여 체결볼트(24)가 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를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1연결부(40)는 짧은 길이의 제1연결부(40)와 긴 길이의 제1연결부(40)가 교번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40)와 연이어 상기 제2케이블(9)이 통과되기 위한 제2내측홈(69)이 형성된 제2연결부(50)는 상기 제1연결부(40) 상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2연결부(50)가 짧은 길이의 제1연결부(40)에 설치된 것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부(50)가 상기 제1연결부(40) 상측에 설치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상기 제1연결부(40)의 길이는 적용 구조물이나 실시예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연결부(60)는 상기 제1연결부(40) 상측에 고정되어서 내측에는 상기 제2케이블(9)이 통과되기 위한 제2내측홈(69)의 하측 형상이 구비된 하부몸체(64)와, 상기 하부몸체(64)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내측홈(69)의 상측 형상이 구비된 상부몸체(62) 및 상기 상부몸체(62)를 상기 하부몸체(64)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재(66)는 상기 상부몸체(62)와 하부몸체(64) 및 제1연결부(40)에 체결되어 상호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하부몸체(64)에는 상기 체결부재(66)가 체결되기 위한 몸체체결공(6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홀더부(10)의 제1내측홈(12)과 상기 제2연결부(60)의 제2내측홈(69)은 직각을 이루며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케이블(7)과 제2케이블(9)이 설치되는 상태에 따라 상기 제1내측홈(12)과 상기 제2내측홈(69)이 이루는 각도는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측면홀더부(30)에 의하여 홀딩되는 양측의 지붕막(1)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측면홀더부(30)와 중앙홀더부(10)를 포함한 제1연결부(40)와 제2연결부(50)를 덮는 커버부재(7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재(70)에 의하여 상기 제1연결부(40)와 제2연결부(50)에 빗물 등이 침입됨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제1연결부(40)와 제2연결부(50)가 부식됨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70)와 상기 지붕막(1)은 다양한 재질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 으며, 바람직하게는 테프론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테프론은 초경량이면서도 반투명성 재질로서 부드러운 자연채광을 유지시켜주는 장점을 갖게 된다.
상기 제1연결부(40)와 제2연결부(50)를 일체로 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지붕막 연결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40)와 제2연결부(50)를 별도로 제작하여 체결부재(66) 등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함으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지붕막 연결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연결부(40)는 제1케이블(7)과 지붕막(1)을 파지하기 위한 기술사상을 갖게 되며, 상기 제2연결부(50)는 제2케이블(9)을 파지하기 위한 기술사상을 갖게 되며, 이와 같은 기술사상 안에서 본 발명에 의한 지붕막 연결장치는 다양한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지붕막(1)을 이용한 에어돔의 지붕막(1) 설치 작업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40)만 사용되거나 제1연결부(40)와 제2연결부(50)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 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케이블(7)을 먼저 설치를 한 후에 제1연결부(40)의 상부판재와 하부판재를 체결볼트(24)와 체결너트에 의하여 결합시킴으로, 중앙홀더부(10)의 제1내측홈(12)이 제1케이블(7)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제1케이블(7)의 일단에서 상기 제1연결부(40)의 중앙홀더부(10) 를 끼워서 상기 제1케이블(7)에 상기 중앙홀더부(10)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케이블(7)을 따라 상기 중앙홀더부(10)를 설치한 후에, 상기 측면홀더부(30)의 고정부걸림공(32)으로 지붕막(1) 일단의 고정부(5)를 삽입시켜서 상기 지붕막설치공(34)으로 지붕막(1)이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에 의하여 상기 지붕막(1)은 상기 제1케이블(7)을 따라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케이블(7)과는 다른 각도를 이루며 설치된 제2케이블(9)과 상기 지붕막(1)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2연결부(50)가 사용된다.
상기 제1케이블(7)의 외측을 감싸며 설치된 상기 중앙홀더부(10)를 포함한 제1연결부(40)의 상측에는 제2연결부(50)의 하부몸체(64)가 용접이나 별도의 체결 또는 상기 제1연결부(40)와 일체로 성형됨으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케이블(9)의 하측에 하부몸체(64)가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제2케이블(9)의 상측에 상부몸체(62)가 위치하도록 한 후에, 체결부재(66)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몸체(62)를 상기 하부몸체(64)에 고정시켜, 상기 제2연결부(60)가 상기 제2케이블(9)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붕막 연결장치는 제1케이블(7)과 지붕막(1)을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부(40) 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제2케이블(9)을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50)를 더하여 지붕막 연결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연결부(40)와 제2연결부(50)를 이용하여 지붕막(1)과 제1케 이블(7)과 제2케이블(9)을 연결한 상태에서 커버부재(70)를 설치한다.
상기 커버부재(70)는 상기 제1연결부(40)와 제2연결부(50)에 빗물 등이 유입됨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테프론을 포함한 다양한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70)는 상기 지붕막(1)에 열융착이나 접착제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 연결장치는 제1연결부(40)만을 이용하여 지붕막(1)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제1연결부(40)는 제1케이블(7)이 지나기 위한 통로를 구비한 중앙홀더부(10)와 지붕막(1)의 일단을 파지하기 위한 측면홀더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40) 상측에는 커버부재(70)가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40)로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붕막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 연결장치는 제1연결부(40)에서 긴 길이를 갖는 제1연결부(40) 상측에 제2연결부(5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길이를 갖는 제1연결부(40) 상측에 제2연결부(50)가 설치되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긴 길이를 갖는 제연결부(40) 상측에 제2연결부(5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에어돔에 구비되는 지붕막 연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에어돔이 아닌 지붕막(1)을 사용하는 다양한 건축물에 본 발명의 지붕막 연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붕막 연결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지붕막과 이를 고정하기 위한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의 연결작업이 단순한 끼움식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종래 보다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이 감소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지붕막의 일측이 로프를 고정하며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여 상기 지붕막을 지지하는 제1연결부를 구비한 지붕막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지붕막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케이블이 통과되기 위한 제1내측홈이 형성된 중앙홀더부;
    상기 중앙홀더부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져 걸려지도록 하는 측면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홀더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고정부를 끼워서 걸리도록 상기 제1케이블과 나란히 설치된 고정부걸림공과,
    상기 고정부걸림공의 측면에 상기 고정부가 끼워지면서 상기 지붕막이 외측으로 연결되도록 절개된 지붕막설치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 연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홀더부와 몸체부와 측면홀더부는 상판부재와 하판부재를 체결볼트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 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짧은 길이의 제1연결부와 긴 길이의 제1연결부가 교번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 연결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케이블과 교차하는 제2케이블이 통과되어 상기 지붕막의 하중을 더 지지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 연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 상측에 고정되어서 내측에는 상기 제2케이블이 통과되기 위한 제2내측홈을 형성하는 상,하부몸체;
    상기 상,하부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 로 하는 지붕막 연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의 제1내측홈과 상기 제2연결부의 제2내측홈은 직각을 이루며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 연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홀더부에 의하여 홀딩되는 양측의 지붕막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측면홀더부와 중앙홀더부를 덮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 연결장치.
KR1020070053206A 2007-05-31 2007-05-31 지붕막 연결장치 KR100852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206A KR100852460B1 (ko) 2007-05-31 2007-05-31 지붕막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206A KR100852460B1 (ko) 2007-05-31 2007-05-31 지붕막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460B1 true KR100852460B1 (ko) 2008-08-18

Family

ID=39878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206A KR100852460B1 (ko) 2007-05-31 2007-05-31 지붕막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4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043B1 (ko) 2012-05-31 2012-08-16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건축 구조물의 지붕 구조 및 건축 구조물의 신설 지붕 건축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1871A (ja) 1987-01-23 1988-07-27 株式会社竹中工務店 空気膜構造における膜材の接合装置
JPH04110866U (ja) * 1992-02-18 1992-09-25 大成建設株式会社 空気膜構造物における膜面接合装置
JPH0616649U (ja) * 1992-08-03 1994-03-04 株式会社大林組 膜体の接続構造
JPH0734732A (ja) * 1993-07-19 1995-02-03 Ohbayashi Corp 膜体の接続構造
JPH10317732A (ja) * 1997-05-22 1998-12-02 Taisei Corp 膜屋根構造及び膜屋根構造における補強ケ−ブルの締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1871A (ja) 1987-01-23 1988-07-27 株式会社竹中工務店 空気膜構造における膜材の接合装置
JPH04110866U (ja) * 1992-02-18 1992-09-25 大成建設株式会社 空気膜構造物における膜面接合装置
JPH0616649U (ja) * 1992-08-03 1994-03-04 株式会社大林組 膜体の接続構造
JPH0734732A (ja) * 1993-07-19 1995-02-03 Ohbayashi Corp 膜体の接続構造
JPH10317732A (ja) * 1997-05-22 1998-12-02 Taisei Corp 膜屋根構造及び膜屋根構造における補強ケ−ブルの締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043B1 (ko) 2012-05-31 2012-08-16 주식회사 일강케이스판 건축 구조물의 지붕 구조 및 건축 구조물의 신설 지붕 건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883B1 (ko) 꼬임메쉬휀스용 지주
JP4869141B2 (ja) 線材引き込み器具
KR101605405B1 (ko) 지붕막 연결장치
US20100212710A1 (en) Supporting Profile and Connecting Profile with Reinforcing Insert as well as Method for Producing a Fiber-Reinforced Metal Profile
KR101581675B1 (ko) 경질필름 온실 지붕구조
JP2012188807A (ja) 太陽光発電装置付き屋根およびこれを備えたカーポート
KR100852460B1 (ko) 지붕막 연결장치
KR101515142B1 (ko) 고정대, 덮개바, 고정편 및 차양시스템
KR101742479B1 (ko) 비닐하우스용 보강 구조물
JP4886724B2 (ja) 建築用外装ルーバー
KR101173218B1 (ko) 경완철용 크로스쇄클
JP5221241B2 (ja) 樹脂ヘッダーの固定構造、及び樹脂ヘッダーシステム
KR102007080B1 (ko) 막 고정장치
KR200321389Y1 (ko) 지붕막 고정구조
KR100851850B1 (ko)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보호관 구조
KR101894169B1 (ko) 건축용 서포트의 클램프
KR20100002793U (ko) 막 구조물의 막 지지고정구조
KR102197346B1 (ko)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CN211369275U (zh) 一种具有8字型夹具的膜体连接结构
KR102186713B1 (ko) 텐던에 의한 직립성이 향상된 다기능 목재지주
JP2008008072A (ja) 施工性に優れたグリーンハウス
JP2010168780A (ja) 検査路
JP2012209892A (ja) 支持柱及びその設置方法
CN216587840U (zh) 绳索型临边防护结构
CN220644625U (zh) 一种索网结构索头空间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