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142B1 - 고정대, 덮개바, 고정편 및 차양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정대, 덮개바, 고정편 및 차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142B1
KR101515142B1 KR1020140077992A KR20140077992A KR101515142B1 KR 101515142 B1 KR101515142 B1 KR 101515142B1 KR 1020140077992 A KR1020140077992 A KR 1020140077992A KR 20140077992 A KR20140077992 A KR 20140077992A KR 101515142 B1 KR101515142 B1 KR 101515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racket
roof plate
piece
brack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식
임양신
박소민
박민준
박이은
이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가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가림
Priority to KR1020140077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조는, 지붕판의 끝단이 끼워지는 지붕판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고정대 안착부가 적어도 일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붕판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붕판 안착부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 상기 고정대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고정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편; 및 상기 지붕판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지붕판의 상부를 덮는 덮개바;를 포함하고, 고정대를 브라켓 본체에 측면에서 끼우는 방식이 아닌 상부에서 바로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고정대를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고정대 안착부에 눌러서 끼워 안착시키므로 시공시간을 70% 이상 단축할 수 있고, 고정대를 고정편에 의해 쉽고 간단하게 고정시키므로 용접 등이 불필요하여 조립공정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접으로 인하여 열에 의해 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정대, 덮개바, 고정편 및 차양시스템{Fixing pipe, Cover bar, Fixing piece and Sunvisor system}
본 발명은 고정대를 브라켓 본체에 측면에서 끼우는 방식이 아닌 상부에서 바로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개선한 차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공하고 있는 비가림 및 차양 시설의 공통점은 지붕을 아치형 또는 사선형으로 제작한다. 즉, 아치형 지붕의 양끝에 기둥을 세워 지붕구조물을 지탱하는 구조이다.
종래의 아치형 차양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886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5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8857호 등에 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 차양 시스템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49562호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양 시스템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덮개판과 덮개바의 시공을 위해서 약간의 유격이 있어야 하므로 체결볼트를 강하게 조여 고정하여도 바람의 영향으로 덮개판이 흔들려 소음이 발생하고, 유격된 부분으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하며, 지속적인 충격으로 덮개판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겸용 파이프를 고정하는 파이프 지지부재와 덮개바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구성이 복잡하고 조립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지붕에 해당하는 덮개판으로 많이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일명 렉산)의 특성상 햇빛에 의한 열 수축 팽창이 심한 부재로 직접 피스볼트로 브라켓에 고정할 경우 태양열로 인하여 굴곡이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열 수축 팽창으로 인하여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여름철에는 팽창하여 지붕판에 굴곡이 일어나 아래로 처져 물이 고이는 경우가 발생한다.
둘째, 굴곡 예방을 위하여 좀더 두꺼운 지붕판을 사용해야 하므로 지붕에 하중이 증가하며, 이에 따른 비용이 증가한다.
셋째, 종래의 방식대로 시공한 차양은 대부분 상기한 문제로 하자 보수를 하고 있으며, 심한 굴곡은 시각적으로 불편하고, 양단이 피스볼트로 고정된 렉산은 강제적으로 굴곡이 되므로 구부러지는 부분에 물리적인 손상이 발생한다.
넷째, 렉산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빠르게 색상이 변하는 황변이 발생한다.
다섯째, 겨울에는 여름에 늘어났던 부분이 수축함으로써, 연결 부분의 실리콘이 떨어져 나오므로 다음해 여름에는 누수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여섯째, 렉산은 방탄 유리로 사용하는 자재로서, 햇빛에 오래 노출되면 경화가 일어나는데 우리나라 기후 특성상 여름과 겨울의 반복으로 인하여 수축과 팽창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므로 렉산의 수명이 단축된다.
일곱째, 브라켓에 파이프를 용접하여 골조를 형성하므로 브라켓을 도색을 하였을 경우 용접열에 의하여 도색이 타고 변색함으로 시공 후 추가적인 도색작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정대를 브라켓 본체에 측면에서 끼우는 방식이 아닌 상부에서 바로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고정대를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고정대 안착부에 눌러서 끼워 안착시키므로 시공시간을 70% 이상 단축할 수 있고, 고정대를 고정편에 의해 쉽고 간단하게 고정시키므로 용접 등이 불필요하여 조립공정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접으로 인하여 열에 의해 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양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양시스템은, 지붕판의 끝단이 끼워지는 지붕판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고정대 안착부가 적어도 일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붕판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붕판 안착부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 상기 고정대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고정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편; 및 상기 지붕판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지붕판의 상부를 덮는 덮개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바의 끝단에는 덮개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편의 일단은 상기 브라켓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고정편의 타단에는 상기 덮개바 절곡부와 맞닿도록 고정편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편이 회전하여 상기 고정편 절곡부가 상기 덮개바 절곡부와 맞닿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어느 일단에 상기 고정대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 본체의 타단은 벽체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일자형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 본체를 상기 벽체에 고정시키는 벽체 고정용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바의 끝단에는 절곡된 끝단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체 고정용 브라켓의 상측에는 상기 끝단 절곡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덮개바 끼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 안착부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대의 외측을 지지하는 제1보조지지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가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브라켓 본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연결파이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본체에는, 상기 지붕판 안착부 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연결파이프가 안착되는 연결파이프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파이프 안착부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파이프의 외측을 지지하는 제2보조지지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붕판에는, 입사되는 태양 에너지를 입력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집광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집광판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전기기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양시스템은, 지붕판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붕판 안착부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붕판 안착부 측으로 개방된 연결파이프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브라켓 본체; 상기 다수의 브라켓 본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파이프 안착부에 안착되는 연결파이프; 및 상기 지붕판 안착부를 따라 배치되고, 보강대 용접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보강대;를 포함하되, 상기 지붕판 안착부에는 상기 보강대 용접구멍으로 돌출되는 용접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접돌출부는 상기 연결파이프 안착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붕판 안착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보조지지편 삽입홈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보조지지편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 보강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3보조지지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보강대에는, 상기 연결파이프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체결수단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붕판에는, 입사되는 태양 에너지를 입력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집광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집광판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전기기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은, 어느 일단은 벽체에 고정되며, 지붕판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붕판 안착부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 상기 지붕판 안착부를 따라 배치되고, 보강대 용접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보강대; 및 상기 브라켓 본체를 상기 벽체에 고정시키는 벽체 고정용 브라켓;를 포함하되, 상기 벽체 고정용 브라켓에는, 상기 브라켓 보강대의 끝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보강대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붕판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지붕판의 상부를 덮는 덮개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바의 끝단에는 절곡된 끝단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체 고정용 브라켓에는 상기 끝단 절곡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덮개바 끼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벽체 고정용 브라켓의 상,하에는 상기 덮개바 끼움부와 상기 보강대 끼움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어, 상기 벽체 고정용 브라켓은 상,하 대칭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붕판의 끝단이 끼워지는 지붕판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 본체에는, 상기 고정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고정대 안착부가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 본체 하측에는, 브라켓 받침대가 장착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받침대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대는, 지붕판의 끝단이 끼워지는 지붕판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붕판 끼움부 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지붕판 끼움부에 끼워진 상기 지붕판을 눌러주는 고정대 누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붕판 끼움부의 내측에는 고정대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붕판 끼움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는 브라켓 본체에 안착되어 앞고정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덮개바는, 하나의 판으로 형성되어 브라켓 본체의 상부를 따라 마련되고, 적어도 일단에는 절곡된 덮개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는, 일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이 상부로 절곡된 양측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편은, 브라켓 본체에 안착된 고정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고정대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대 안착부의 일측은 상기 브라켓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대 안착부의 타측은 외측으로 절곡된 고정편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 안착부의 내측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양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고정대를 브라켓 본체에 측면에서 끼우는 방식이 아닌 상부에서 바로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고정대를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고정대 안착부에 눌러서 끼워 안착시키므로 시공시간을 70% 이상 단축할 수 있다.
둘째, 고정대를 고정편에 의해 쉽고 간단하게 고정시키므로 용접 등이 불필요하여 조립공정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접으로 인하여 열에 의해 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지붕판의 끝단을 고정대와 뒷고정대에 끼워 1차로 고정시킨 다음, 덮개바를 통하여 2차로 고정시킴으로써, 지붕판이 외부의 압력에 의해 쉽게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붕판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는 용접이나 체결수단 없이도 지붕판을 안전하고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강한 바람에 지붕판이 날아가 인사 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덮개바의 끝단이 덮개바 끼움부에 끼워지면,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수단 없이도 덮개바를 끼워서 당기면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체결수단이 불필요하고, 보다 빠르게 시공할 수 있다.
다섯째, 고정편을 회전시켜 고정대 안착부에 안착된 고정대의 상부를 덮도록 하면, 고정편의 돌기가 고정대의 돌기 삽입홈에 끼워지므로 고정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브라켓 보강대를 용접돌출부와 용접구멍을 이용하여 1차로 용접하고, 체결수단 관통공을 관통하는 체결피스로 연결파이프에 2차로 고정하면, 브라켓 보강대를 더욱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고, 보이지 않는 곳에 체결부분을 배치하여 미관상 보기 좋으므로 소비자를 더욱 만족시킬 수 있다.
일곱째, 덮개바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절곡된 양측 절곡부가 형성됨으로써, 양측 절곡부가 브라켓 본체를 따라 구부러지며 지붕판을 눌러지는 효과가 있고, 양측 절곡부와 지붕판 사이에 실리콘을 주입하여 더욱 견고히 지붕판을 고정시킬 수 있다.
여덟째, 벽체 고정용 브라켓은 상, 하로 대칭을 이루는 구조이므로 좌, 우 양측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좌, 우가 바뀌어도 조립이 가능하므로 좌, 우측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좌, 우 브라켓을 구분하여 보관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관이 편리하다.
아홉째, 다수의 보조지지편이 마련되어 고정대의 외측, 연결파이프의 외측, 지붕판의 하측, 벽체 고정용 브라켓의 외측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함으로써, 파이프를 옆에서 끼워 조립할 때 브라켓 본체가 옆으로 밀리지 않아 조립이 쉽고, 브라켓 본체 전체의 내구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열번째, 브라켓 본체 어느 한 단 또는 양단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브라켓받침대 고정구멍을 형성하여, 브라켓받침대 및 기둥을 볼트로 결합함으로써, 용접열에 의한 브라켓 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브라켓 본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고정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브라켓 본체와 연결파이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브라켓 본체와 브라켓 보강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덮개바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9는 도 7 및 도 8의 덮개바가 브라켓 본체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고정편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뒷고정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벽체 고정용 브라켓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의 보조지지편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보조지지편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5 내지 도 21은 차양시스템의 조립순서를 보여주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전등 파이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5 내지 도 32는 브라켓 본체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34는 도 33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5는 도 33의 D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6은 도 1의 고정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7은 도 1의 고정편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8은 도 1의 고정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9 및 도 40은 고정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은 브라켓 본체(100)와 고정대(200)와 다수의 연결파이프(300)와 브라켓 보강대(400)와 덮개바(500)와 고정편(600)과 뒷고정대(700)와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과 지붕판(900) 등을 포함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브라켓 본체(100)는 아치형으로서, 지붕판(900)에 안착되기 용이하도록 상면이 아치형으로 이루어진 판 형상이며, 전, 후면에 로고나 상호 등의 디자인(101)을 다양하게 인쇄하거나 투각할 수 있고, 바람이 관통하여 바람의 힘을 덜 받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바람구멍(10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라켓 본체(100)의 하단측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대 체결공(103)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라켓 본체(100)의 하단 일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받침대 체결공(103)이 형성되어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 도 29와 같이 브라켓 본체의 하단 양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받침대 체결공(10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받침대 체결공(103)에는 도 26과 같이 지면에서 수직하게 배치되는 받침대(980)에 결합되기 위한 브라켓 받침대(97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이 체결되며, 브라켓 받침대(970)는 브라켓 본체(100)의 받침대 체결공(103) 전,후면에 배치되도록 단면이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받침대 체결공(103)은 다수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브라켓 본체(100)의 하단에 여러 개의 브라켓 받침대(970)를 장착할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브라켓 받침대(970)가 받침대 체결공(103)에 장착되는 장착 위치를 달리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브라켓 본체(10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한 쌍이 배치되어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 지붕판(900)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서로 간격을 두고 여러 개가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브라켓 본체(100)의 상세구조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 따르면, 브라켓 본체(100)의 아치형으로 이루어진 상면에는 지붕판(900)이 안착되는 지붕판 안착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 본체(100)의 어느 일단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원형 파이프 형상의 고정대(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고정대 안착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대 안착부(120)의 일측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고정편(60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회전축 볼트(621)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대 안착부(120)의 둘레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제1보조지지편(12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23)은 고정대 안착부(120)의 둘레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23)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브라켓 본체(100)의 타단은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기에서 설명할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이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브라켓 본체(100)의 타단에는 다수의 제2삽입공(1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자형으로 된 타단에는 홈 형상의 제4보조지지편 삽입홈(140)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4보조지지편 삽입홈(140)은 한 개이고, 제4보조지지편 삽입홈(140)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제4보조지지편이 삽입된다.
브라켓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지붕판 안착부(110)에는 지붕판 안착부(110) 측으로 개방되어 하기에서 설명할 연결 파이프가 안착되는 연결파이프 안착부(150)가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파이프(300)가 원형 파이프 형상임에 따라, 연결파이프 안착부(150)는 상측이 개방된 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연결파이프 안착부(150)의 형상은 연결파이프(30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파이프 안착부(150)의 둘레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제2보조지지편(15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15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151)은 연결파이프 안착부(15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두 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151)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지붕판 안착부(110)에는 홈 형상의 제3보조지지편 삽입홈(160)이 적어도 하나 이상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보조지지편 삽입홈(160)은 고정대 안착부(120)와 연결파이프 안착부(150) 사이에 한 개, 연결파이프 안착부(150)와 연결파이프 안착부(150) 사이사이에 한 개, 연결파이프 안착부(150)와 브라켓 본체(100)의 일자형으로 된 타단 사이에 한 개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3보조지지편 삽입홈(160)은 서로 간격을 두고 네 개가 형성되어 있고, 제3보조지지편 삽입홈(160)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제3보조지지편(165)이 삽입된다.
또한, 지붕판 안착부(110)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보강대의 보강대 용접구멍(410)으로 돌출되는 용접돌출부(170)가 형성되어 있고, 특히 용접돌출부(170)는 연결파이프 안착부(15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용접돌출부(170)는 연결파이프 안착부(150)의 개방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브라켓 본체(100)의 일단과 타단 측에 각각 한 개씩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용접돌출부(170)의 작용은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대(200)의 상세구조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에 따르면, 고정대(200)에는 지붕판(900)의 끝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지붕판 끼움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붕판 끼움부(210)에는 절개된 내측으로 돌출되어 지붕판 끼움부(210)에 끼워지는 지붕판(900)을 누르는 다수 개의 돌출편(220)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편(220)은 지붕판 끼움부(210)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편(220)에 의해 지붕판 끼움부(210)에 끼워진 지붕판(900)의 상측에 공간이 생긴다.
이러한 돌출편(220)과 돌출편(220) 사이의 공간이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 유입부(230)가 되고, 빗물 유입부(230)는 양측에 배치된 돌출편(220)의 형상에 따라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지붕판(900)의 상측에 빗물 유입부(230)가 마련되어, 지붕판(900)의 상측에 떨어지는 빗물이 빗물 유입부(230)를 통하여 고정대(200)에 모일 수 있다.
그리고 고정대(200)에는 지붕판 끼움부(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돌기 삽입홈(240)이 형성되어 있어, 하기에서 설명할 고정편(600)의 돌기(611)가 삽입 가능하다.
연결파이프(300)의 상세구조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에 따르면, 연결파이프(3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브라켓 본체(10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브라켓 본체(100)를 연결하기 위하여 세 개의 연결파이프(300)가 마련된다. 즉, 각각의 연결파이프(300)의 일단은 어느 하나의 브라켓 본체(100)의 고정대 안착부(120)에 안착되고, 연결파이프(300)의 타단은 나머지 하나의 브라켓 본체(100)의 고정대 안착부(120)에 안착된다.
실시예에 따라 도 3과 같이 지붕판(900)의 길이가 길 경우 두 개 이상의 브라켓 본체(200)가 마련될 경우 두 개 이상의 브라켓 본체(100)를 연결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연결파이프(30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브라켓 본체(100)가 배치되고, 나머지는 연결파이프(300)의 중간부분에 브라켓 본체(100)가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연결파이프(300)는 원형 파이프 형상이고, 연결파이프(300)가 안착되는 연결파이프 안착부(150)도 원형의 홈으로 형성되지만, 실시예에 따라 연결파이프(300)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연결파이프(300) 형상에 따라 연결파이프 안착부(150)의 형상도 달라질 수 있다.
브라켓 보강대(400)의 상세구조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에 따르면, 브라켓 보강대(400)는 지붕판 안착부(110)를 따라 배치되고, 특히 브라켓 본체(100)의 지붕판 안착부(110)에 안착이 용이하도록 길게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브라켓 보강대(40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보강대 용접구멍(41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강대 용접구멍(410)이 형성되어 있어, 브라켓 보강대(400)가 지붕판 안착부(110)에 안착될 때 보강대 용접구멍(410)으로 지붕판 안착부(110)에 돌출된 용접돌출부(170)가 돌출된다.
이렇게, 지붕판 안착부(110)에 돌출 형성된 용접돌출부(170)가 브라켓 보강대(400)의 보강대 용접구멍(410)으로 돌출되므로 용접돌출부(170)와 보강대 용접구멍(410)을 용접하면, 브라켓 본체(100)에 브라켓 보강대(400)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브라켓 보강대(400)에는 연결파이프(300)에 체결되는 체결피스와 같은 체결수단(421)이 관통하는 체결수단 관통공(4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체결수단 관통공(420)이 형성되면, 브라켓 본체(100)의 복수의 용접돌출부(170)와, 브라켓 보강대(400)의 용접구멍(410)을 용접한 다음, 브라켓 보강대(400)의 보강대 용접구멍(410) 사이 사이에 형성된 체결수단 관통공(420)에 체결피스(421)를 체결하면, 체결피스(421)에 의해 브라켓 본체(100)에 안착된 연결파이프(300)에 브라켓 보강대(400)가 고정된다.
이렇게 브라켓 보강대(400)를 용접돌출부(170)와 용접구멍(410)을 이용하여 1차로 용접하고, 체결수단 관통공(420)을 관통하는 체결피스(421)로 연결파이프(300)에 2차로 고정하면, 브라켓 보강대(400)를 더욱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고, 보이지 않는 곳에 체결부분을 배치하여 미관상 보기 좋으므로 소비자를 더욱 만족시킬 수 있다.
덮개바(500)의 상세구조를 도 7 및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7에 따르면, 덮개바(500)는 지붕판 안착부(110)에 안착되는 지붕판(900)의 상부를 덮도록 길게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덮개바(500)는 하나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브라켓 본체(100)의 지붕판 안착부(110)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덮개바(500)의 일단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고정편 절곡부(630)와 맞닿도록 덮개바 절곡부(510)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바 절곡부(510)는 덮개바(500) 일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제1절곡부(511)와, 제1절곡부(511)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제2절곡부(512)로 구성되어 있어, 제1절곡부(511)와 제2절곡부(512)에 의해 덮개바(500)의 일단은 '디귿자' 형상이다.
제1절곡부(511)에는 고정볼트(632) 삽입을 위한 제5삽입공(513)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바(500)의 타단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의 덮개바 끼움부(85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절곡된 절곡부(520)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도 8과 같이 덮개바(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은 상부로 절곡된 양측 절곡부(5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덮개바(500)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절곡된 양측 절곡부(530)가 형성되면, 도 9와 같이 양측 절곡부(530)가 브라켓 본체(100)를 따라 구부러지며 지붕판(900)을 눌러지는 효과가 있고, 양측 절곡부(530)와 지붕판(900) 사이(531)에 실리콘을 주입하여 더욱 견고히 지붕판(9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편(600)의 상세구조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10에 따르면, 고정편(600)은 브라켓 본체(100)의 고정대 안착부(120)에 안착된 고정대(2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고, 고정편(600)의 적어도 일단은 브라켓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편(600)에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고정대(200)의 상부측과 맞닿도록 고정대 지지부(610)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대(200)와 맞닿는 부분인 고정대 지지부(610)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61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611)는 고정대 지지부(610)의 중간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돌기(611)는 고정대(200)의 돌기 삽입홈(240)에 삽입 가능하다.
고정대 지지부(610)의 일측에는 브라켓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회전축 볼트(621)가 삽입되는 제3삽입공(62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과 같이 제3삽입공(620)이 형성된 고정대 지지부(610)의 일측은 브라켓 본체(100)의 전면 또는 후면과 맞닿는 부분이다. 즉, 고정대 지지부(610)의 일측이 브라켓 본체(100)의 전면 또는 후면과 겹쳐져 브라켓 본체(100)에 형성된 제1삽입공(121)과 고정편(600)에 형성된 제3삽입공(620)이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고정대 지지부(610)의 타측에는 덮개바 절곡부(510)와 맞닿도록 고정편 절곡부(630)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 절곡부(630)에는 고정볼트(632)의 삽입을 위한 제4삽입공(6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편(600)은 브라켓 본체(100)의 고정대 안착부(120)의 전, 후에 각각 한 개씩 마련되어 있으며, 고정대 안착부(120)의 전, 후에 각각 마련된 고정편(600)의 고정편 절곡부(630)의 절곡된 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즉, 브라켓 본체(100)의 전방에 마련된 고정편(600)의 고정편 절곡부(630)는 브라켓 본체(100)의 전방으로 절곡되어 있고, 브라켓 본체(100)의 후방에 마련된 고정편(600)의 고정편 절곡부(630)는 브라켓 본체(100)의 후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고정편(600)의 상측에는 행거(9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행거 체결공(640)이 형성되어 있다. 행거(95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에 삽입공(951)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 절곡부(95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브라켓 본체(100)의 고정대 안착부(120)의 전, 후에 각각 한 개씩 마련되는 고정편(600)의 사이에는 행거(950)의 삽입공(951)이 배치되어, 고정편(600)의 행거 체결공(640)과 삽입공(951)과 행거 체결공(640)을 차례로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행거(950)의 일단은 고정편(600)의 사이에 장착된다. 행거(950)의 타단은 브라켓 본체(100)가 장착되는 벽체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편(600)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고정편(600)이 회전축 볼트(621)에 의해 브라켓 본체(100)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도록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도 39 및 도 40과 같이 고정편(600a)은 한 개로 구성되어 연결편(650)에 의해 연결되어 브라켓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39와 같이 고정편(600a)은 한 개로 구성되고, 고정편(600a)의 고정대 지지부(610) 일단은 브라켓 본체(100)의 고정대 안착부(120)의 일측과 맞닿는다.
고정편(600a)의 고정대 지지부(610) 일단에는 제3삽입공(620a)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편(600a)의 고정대 지지부(610) 타단에는 고정편 절곡부(630a)가 전,후 방향의 양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고정편 절곡부(630a)에는 고정볼트(632)의 삽입을 위한 제4삽입공(631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600a)과 브라켓 본체(100)의 연결을 위하여 연결편(650)이 마련되는데, 고정편(600a)과 브라켓 본체(100)의 전,후에 각각 한 개씩 마련된다.
각 연결편(650)에는 고정편(600a)에 형성된 제3삽입공(620a)과 연통하도록 제1체결공(651)이 형성되어 있고, 브라켓 본체(100)에 형성된 제1삽입공(121)과 연통하도록 제2체결공(65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도 40과 같이 고정편(600a)의 고정대 지지부(610) 일단이 브라켓 본체(100)의 고정대 안착부(120)의 일측과 맞닿도록 배치하고, 고정편(600a)과 브라켓 본체(100)의 전,후에 각각 연결편(650)을 배치한다.
이때, 각 연결편(650)의 제1체결공(651)이 고정편(600a)의 제3삽입공(620a)과 연통하도록 하고, 각 연결편(650)의 제2체결공(653)이 브라켓 본체(100)의 제1삽입공(121)과 연통하도록 한 다음, 제1체결공(651)과 제3삽입공(620a)에 체결수단을 체결하고, 제2체결공(653)과 제1삽입공(121)에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고정편(600a)의 일단이 브라켓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뒷고정대(700)를 도 11에 도시하였다.
도 11에 따르면, 뒷고정대(700)는 일측이 개방되어 브라켓 본체(100)의 타단측에 배치되는 지붕판(900)의 끝단이 삽입되는 지붕판 삽입부(71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뒷고정대(700)는 단면이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디귿자' 형상의 사이 공간이 지붕판 삽입부(710)가 된다.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을 도 12에 도시하였다.
도 12에 따르면,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은 고정편(810)과 제1절곡편(830)과 제2절곡편(85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편(810)은 벽체와 맞닿는 부분으로서, 벽체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다수의 제6삽입공(811)이 형성되어 있다.
제1절곡편(830)은 고정편(810)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고정편(810)의 중간부분에서 절곡되며, 제1절곡편(830)에는 브라켓 본체(100)에 체결되는 체결수단(870)이 삽입되는 제7삽입공(831)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2절곡편(850)은 고정편(810)으로부터 제1절곡편(830)이 절곡된 측으로 절곡되며, 고정편(810)의 상, 하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있다.
이러한 제2절곡편(850)에는 덮개바(500)의 끝단 절곡부(52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덮개바 끼움부(851)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바 끼움부(851)는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끝단 절곡부(520)가 끼워지기 용이하도록 사선으로 절개되어 있다. 이러한 덮개바 끼움부(851)의 끝에는 체결수단 등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형의 홀(851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810)의 상, 하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된 제2절곡편(850)과 인접하게 고정편(810) 측으로 절개되어 브라켓 보강대(400)가 끼워지는 보강대 끼움부(8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에는 제1절곡편(830)을 기준으로 제1절곡편(830)의 상,하측에 각각 덮개바 끼움부(851)와 보강대 끼움부(813)이 마련되어 있어,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은 상, 하로 대칭을 이루는 구조이므로 브라켓 본체(100)의 전,후 양측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의 좌, 우가 바뀌어도 조립이 가능하므로 브라켓 본체(100)의 전,후측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좌, 우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을 구분하여 보관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관이 편리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브라켓 본체(100)에 형성된 제2삽입공(130)과, 제1절곡편(830)의 제7삽입공(831)에 체결수단(870)이 체결되고, 브라켓 본체(100)에 형성된 제2삽입공(130)과 하단에 절곡된 제2절곡편(850)의 홀(851a)에 체결수단(880)이 체결됨으로써, 한 쌍의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이 브라켓 본체(100)에 고정된다.
그리고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절곡편(850)의 덮개바 끼움부(851)에는 덮개바(500)의 끝단 절곡부(520)가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의 고정편(810)이 벽체와 맞닿게 되고, 제6삽입공(811)에 체결수단이 체결됨으로써, 브라켓 본체(100)가 벽체에 고정된다.
보조지지편들을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였다.
도 13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보조지지편(125)과 제2보조지지편(155)과 제3보조지지편(165)과 제4보조지지편(145)을 포함한다.
보조지지편(10)의 상세구조를 도 14에 도시하였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지지편(10)은 각 보조지지편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대(200)의 외측, 연결파이프(300)의 외측, 지붕판(900)의 하측,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의 외측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며, 대략 양 꼭지점이 절단된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의 보조지지편(10)의 위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각 보조지지편 삽입홈과 맞물리는 지지편 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제1보조지지편(125)은, 도 3에 도시한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23)에 삽입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보조지지편(125)의 제1지지편 삽입홈(125a)이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23)에 삽입되어 고정대 안착부(120)에 안착되는 고정대(200)의 외측을 지지한다.
도 13에 도시한 제2보조지지편(155)은, 도 3에 도시한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151)에 삽입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2보조지지편(155)의 제2지지편 삽입홈(155a)이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151)에 삽입되어 연결파이프 안착부(150)에 안착되는 연결파이프(300)의 외측을 지지한다.
도 13에 도시한 제3보조지지편(165)은, 도 3에 도시한 제3보조지지편 삽입홈(160)에 삽입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3보조지지편(165)의 제3지지편 삽입홈(165a)이 제3보조지지편 삽입홈(160)에 삽입되어 지붕판 안착부(110)에 안착되는 지붕판(900)의 하측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 보강을 위하여 마련되는 브라켓 보강대(400)가 지붕판 안착부(110)에 안착되므로 실질적으로 제3보조지지편(165)은 브라켓 보강대(400)의 하측을 지지한다.
도 13에 도시한 제4보조지지편(145)은, 도 3에 도시한 제4보조지지편 삽입홈(140)에 삽입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4보조지지편(145)의 제4지지편 삽입홈(145a)이 제4보조지지편 삽입홈(140)에 삽입되어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의 외측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보조지지편이 마련되어 고정대(200)의 외측, 연결파이프(300)의 외측, 지붕판(900)의 하측,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의 외측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함으로서, 브라켓 본체(100) 전체의 내구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의 조립순서를 도 15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5와 같이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23)에 제1보조지지편(125)을 삽입한 후 브라켓 본체(100)의 고정대 안착부(120)에 고정대(200)를 안착한다. 이렇게 고정대(200)를 브라켓 본체(100)에 측면에서 끼우는 방식이 아닌 상부에서 바로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고정대(200)를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고정대 안착부(120)에 눌러서 끼워 안착시키므로 시공시간을 70% 이상 단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16과 같이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151)에 제2보조지지편(155)을 삽입한 후 연결파이프 안착부(150)에 연결파이프(300)를 안착한다.
도 16과 같이 제3보조지지편 삽입홈(160)에 제3보조지지편(165)을 삽입한 후, 도 17과 같이 브라켓 본체(100)의 지붕판 안착부(110)에 브라켓 보강대(400)를 안착시키고, 뒷고정대(700)를 브라켓 본체(100)의 일자형으로 마련된 타단측에 배치한 후, 브라켓 보강대(400)의 상면에 지붕판(900)을 덮는다.
이때, 지붕판(900)의 일단은 고정대(200)의 지붕판 끼움부(210)에 끼워지고, 지붕판(900)의 타단은 뒷고정대(700)의 지붕판 삽입부(71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지붕판(900)의 일단은 고정대(200)에 고정되고, 타단은 뒷고정대(700)에 고정되므로 고정대(200)는 지붕판(900)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대 역할과 동시에 지붕판(900)의 빗물을 받을 수 있는 물받이 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다.
지붕판(900)의 상면에는 덮개바(500)가 놓여지는데, 도 17과 같이 덮개바(500)의 끝단 절곡부(520)는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의 덮개바 끼움부(851)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렇게 덮개바(500)의 끝단이 덮개바 끼움부(851)에 끼워지면,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수단 없이도 덮개바(500)를 끼워서 당기면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체결수단이 불필요하고, 보다 빠르게 시공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18과 같이 회전축 볼트(621)를 고정편(600)의 제3삽입공(620)과 브라켓 본체(100)의 제1삽입공(121)을 관통하여 체결하고, 회전축 볼트(621)에 의해 고정편(600)의 일단이 브라켓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편(600)을 회전시켜 고정대 안착부(120)에 안착된 고정대(200)의 상부를 덮도록 하면, 도 19와 같이 고정편(600)의 돌기(611)가 고정대(200)의 돌기 삽입홈(240)에 끼워지므로 고정대(2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9와 같이 고정편(600)의 고정편 절곡부(630)는 덮개바(500)의 덮개바 절곡부(510)와 맞닿는다. 도면 상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고정편 절곡부(630)와 덮개바 절곡부(510)는 완전히 맞닿는 상태는 아니고, 어느 정도의 간격이 있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20과 같이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조이면 당겨져 고정편 절곡부(630)와 덮개바 절곡부(510)가 맞닿을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편(600)을 회전시켜 고정대 안착부(120)에 안착된 고정대(200)의 상부를 덮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편(600)의 제4삽입공(631)과 덮개바(500)의 제5삽입공(513)에 차례로 고정볼트(732)를 삽입하여 너트를 조이면 고정편(600)과 덮개바(500)가 서로 당겨진다. 그러면, 고정편(600)이 고정대(200)를 누름과 동시에 덮개바(500)가 지붕판(900)을 눌러주면서 동시에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브라켓 본체(100)에 일단에 고정대(200)가 고정되고, 브라켓 본체(100)의 타단에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이 고정되며, 브라켓 본체(100)의 상면에 브라켓 보강대(400)와 지붕판(900)과 덮개바(500)가 고정된 상태를 도 21에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시스템에 의하면, 고정대(200)를 브라켓 본체(100)에 측면에서 끼우는 방식이 아닌 상부에서 바로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고정대(200)를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고정대 안착부(120)에 눌러서 끼워 안착시키므로 시공시간을 70% 이상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고정대(200)를 고정편(600)에 의해 쉽고 간단하게 고정시키므로 용접 등이 불필요하여 조립공정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접으로 인하여 열에 의해 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지붕판(900)의 끝단을 고정대(200)와 뒷고정대(700)에 끼워 1차로 고정시킨 다음, 덮개바(500)를 통하여 2차로 고정시킴으로써, 지붕판(900)이 외부의 압력에 의해 쉽게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붕판(900)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는 용접이나 체결수단 없이도 지붕판(900)을 안전하고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강한 바람에 지붕판(900)이 날아가 인사 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의한 차양시스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은 브라켓 본체(100)와 고정대(200)와 다수의 연결파이프(300)와 브라켓 보강대(400)와 덮개바(500)와 고정편(600)과 뒷고정대(700)와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 등을 포함한다. 제2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에서는 제1실시예와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 의한 지붕판(910)에는 입사되는 태양 에너지를 입력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집광판(911)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지붕판(910)은 태양열 판넬, 폴리카보네이트 판넬, 복합 판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집광판(911)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미도시)에 저장되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어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전기기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기기 모듈의 일례로 해충박멸기(50)가 제시되어 있다.
즉, 브라켓 본체(100)의 일측에는 연결고리(51) 등으로 해충박멸기(50)가 연결될 수 있는데, 해충박멸기(50)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전원이 인가된다. 지붕판(910)과 해충박멸기(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연결전선(53)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해충박멸기의 상세 구조는 종래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해충박멸기의 구조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3248호(2012.2.2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6861호(2013.5.16) 등에 제시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 의한 차양시스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은 브라켓 본체(100a)와 고정대(200)와 다수의 연결파이프(300)와 브라켓 보강대(400)와 덮개바(500a)와 고정편(600)과 지붕판(900a) 등을 포함한다. 제3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에서는 제1실시예와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에 의한 브라켓 본체(100a)는 아치형으로서, 좌, 우 대칭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브라켓 본체(100a)의 양단에 고정대(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고정대 안착부(12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대(200)가 브라켓 본체(100a)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고정대(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600)이 브라켓 본체(100a)의 양단에 각각 한 쌍씩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덮개바(500a)의 양단에 고정편 절곡부(630)와 맞닿도록 덮개바 절곡부(510)가 형성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브라켓 본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전등 파이프(650)를 더 포함하고, 브라켓 본체(100a)에는 전등 파이프(650)가 관통하는 파이프 관통홀(190)이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 관통홀(190)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보조지지편 삽입홈(191)이 형성되어 있고, 제5보조지지편 삽입홈(191)에는 제5보조지지편(195)이 삽입된다.
제5보조지지편(195)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보조지지편과 동일한 형상이며, 제5보조지지편(195)에는 제5지지편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제5지지편 삽입홈이 제5보조지지편 삽입홈(191)에 삽입된다.
지붕판(900a)에는 입사되는 태양 에너지를 입력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집광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집광판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된다.
전등 파이프(650)에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점등되는 전등 모듈이 설치되어 있으며, 지붕판(900a)과 집광판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연결전선(651)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등 파이프(650)의 상세구조를 도 24에 도시하였다.
도 24에 따르면, 전등 파이프(650) 내부의 일측에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와 같은 전기 저장장치(652)가 구비되어 있고, 전등 파이프(650) 내부를 따라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이하 ,LED, 654)를 포함하는 LED 모듈(653)이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LED(654)의 빛이 외부로 잘 발산될 수 있도록 전등 파이프(650)의 하측에는 LED가 위치하는 곳에 대응하도록 전등구멍(655)이 파이프 타공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4실시예에 의한 차양시스템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은 브라켓 본체(100)와 고정대(200a)와 다수의 연결파이프(300)와 브라켓 보강대(400)와 덮개바(500)와 고정편(600a)과 뒷고정대(700a)와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과 지붕판(900) 등을 포함한다.
제4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에서는 제1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는 구성요소인 고정대(200a)와 고정편(600a)과 뒷고정대(700a)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고정대(200a)를 도 36에 도시하였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대(200a)는 브라켓 본체(100)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대 안착부(12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원형 파이프 형상이다.
이러한 고정대(200a)는 지붕판(900)의 끝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지붕판 끼움부(210a)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대(200a)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두 개의 판(201a, 203a)이 서로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두 개의 판(201a, 203a) 사이의 공간이 지붕판 끼움부(210a)가 된다.
두 개의 판(201a, 203a) 중 하측에 배치된 판(203a)의 끝단에는 하단으로 돌출된 하단돌기(204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단돌기(204a)는,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대(200a)의 고정대 안착부(120)에 안착시 고정대(200a)의 앞, 뒤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라켓 본체(100)의 지붕판 안착부(110) 또는 브라켓 보강대(400)에 형성된 삽입공 등에 끼워질 수 있다.
지붕판 끼움부(210a)의 내측에는 고정대 요철부(250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판(201a, 203a) 중 상측에 배치된 판(201a)의 내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돌기 형태로 고정대 요철부(25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지붕판 끼움부(210a)의 내측에는 고정대 요철부(250a)가 형성되면, 지붕판 끼움부(210a)에 지붕판(900)을 삽입한 후 지붕판(900)의 고정을 위하여 실리콘(910) 주입시 고정대 요철부(250a)로 인하여 지붕판(900)이 수축 또는 팽창을 하더라도 실리콘(910)이 이탈하지 않고 지붕판(900)을 잘 눌러줄 수 있다.
나아가, 지붕판 끼움부(210a) 측으로 함몰되어 지붕판 끼움부(210a)에 끼워지는 지붕판(900)을 눌러주는 고정대 누름부(260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판(201a, 203a) 중 상측에 배치된 판(201a)에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고정대 누름부(260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대(200a)와 인접한 쪽에 고정대 누름부(260a)가 배치되어 있고, 지붕판 끼움부(210a)의 끝쪽에 고정대 요철부(250a)가 배치되어 있으나, 고정대 누름부(260a)와 고정대 요철부(250a)의 배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고정편(600a)을 도 37에 도시하였다.
고정편(600a)은,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 본체(100)의 고정대 안착부(120)에 안착된 고정대(200a)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고, 고정편(600a)의 적어도 일단은 브라켓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편(600a)에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파이프 형상의 고정대(200a)의 상부측과 맞닿도록 고정대 지지부(610)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대(200a)와 맞닿는 부분인 고정대 지지부(610)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611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611a)는 고정편(600a)이 브라켓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일단의 반대측 고정대 지지부(610)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고정대 지지부(610)의 끝단에 돌기(611a)가 형성되어 있어, 고정편(600a)의 회전시 돌기(611a)에 의해 고정대(200a)를 강하게 눌러서 고정할 수 있다.
고정대 지지부(610)의 일측에는 브라켓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회전축 볼트(621)가 삽입되는 제3삽입공(620)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대 지지부(610)의 타측에는 덮개바 절곡부(510)와 맞닿도록 고정편 절곡부(630)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도 37에서는 고정편 절곡부(630)가 절곡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도 37의 a 부분을 따라 고정편 절곡부(630)를 고정편(600a)의 외측으로 절곡한다. 고정편 절곡부(630)에는 고정볼트(632)의 삽입을 위한 제4삽입공(631)이 형성되어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뒷고정대(700a)를 도 36에 도시하였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고정대(700a)는 일측이 개방되어 브라켓 본체(100)의 타단측에 배치되는 지붕판(900)의 끝단이 삽입되는 지붕판 삽입부(710a)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뒷고정대(700a)는 서로 간격을 둔 두 개의 판(701a, 703a)의 일측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단면이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판(701a, 703a) 사이의 공간이 지붕판 삽입부(710a)가 된다.
두 개의 판(701a, 703a) 중 하측에 배치된 판(703a)의 끝단에는 하단으로 돌출된 하단돌기(704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단돌기(204a)는,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고정대(700a)의 브라켓 본체(100)의 지붕판 안착부(110)에 안착시 뒷고정대(700a)가 앞, 뒤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라켓 본체(100)의 지붕판 안착부(110) 또는 브라켓 보강대(400)에 형성된 삽입공 등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판(701a, 703a)이 연결된 부분에는 상측에 배치된 판(701a)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부(770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부(770a)는, 상측에 배치된 판(701a)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771a)와, 제1연장부(771a)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제2연장부(772a)와, 제2연장부(772a)로부터 하측에 배치된 판(703a) 측으로 연장되되 하측에 배치된 판(703a)과 간격을 둔 제3연장부(773a)와, 제1연장부(771a)와 제2연장부(772a)를 테이퍼지도록 연결하는 테이퍼부(774a)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연장부(770a)가 제1연장부(771a)와 제2연장부(772a)와 제3연장부(773a)와 테이퍼부(774a)를 포함하여, 연장부(770a)는 두 개의 판(701a, 703a)이 연결된 부분의 외측으로 연장되되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지붕판 삽입부(710a)의 내측에는 뒷고정대 요철부(750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판(701a, 703a) 중 상측에 배치된 판(701a)의 내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돌기 형태로 뒷고정대 요철부(75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지붕판 삽입부(710a)의 내측에는 뒷고정대 요철부(750a)가 형성되면, 지붕판 삽입부(710a)에 지붕판(900)을 삽입한 후 지붕판(900)의 고정을 위하여 실리콘(910) 주입시 뒷고정대 요철부(750a)로 인하여 지붕판(900)이 수축 또는 팽창을 하더라도 실리콘(910)이 이탈하지 않고 지붕판(900)을 잘 눌러줄 수 있다.
나아가, 지붕판 삽입부(710a) 측으로 함몰되어 지붕판 삽입부(710a)에 끼워지는 지붕판(900)을 눌러주는 뒷고정대 누름부(760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판(701a, 703a) 중 상측에 배치된 판(701a)에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뒷고정대 누름부(760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대(200a)와 인접한 쪽에 뒷고정대 누름부(760a)가 배치되어 있고, 지붕판 삽입부(710a)의 끝쪽에 뒷고정대 요철부(750a)가 배치되어 있으나, 뒷고정대 누름부(760a)와 뒷고정대 요철부(750a)의 배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4실시예에서는 브라켓 본체(100)의 일측에 고정대(200a)가 배치되고, 브라켓 본체(100)의 타측에 뒷고정대(700a)가 배치되어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 브라켓 본체가 좌,우 대칭형일 경우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 본체의 양측에 고정대(200a)가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대(200a)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고정대(200a)가 고정대 뿐만 아니라 뒷고정대로 이용될 수 있다.
브라켓 본체의 다양한 실시예
브라켓 본체의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브라켓 본체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 25 내지 도 32에 도시하였다.
도 26 내지 도 27에 도시한 브라켓 본체는, 상면이 아치형이고, 브라켓 본체의 일단에 고정대 안착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라켓 본체의 타단은 일자형으로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에 의해 벽체에 고정된다.
도 28에 도시한 브라켓 본체는, 상면이 일자형이고, 브라켓 본체의 일단에 고정대 안착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라켓 본체의 타단은 일자형으로 벽체 고정용 브라켓(800)에 의해 벽체에 고정된다.
도 29 내지 도 30에 도시한 브라켓 본체는, 좌,우 대칭형으로서 상면이 아치형이고, 브라켓 본체의 양단에 고정대 안착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브라켓 본체 110 : 지붕판 안착부
120 : 고정대 안착부 123 :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
125 : 제1보조지지편 150 : 연결파이프 안착부
151 :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 155 : 제2보조지지편
160 : 제3보조지지편 삽입홈 165 : 제3보조지지편
170 : 용접돌출부 190 : 파이프 관통홀
200 : 고정대 210 : 지붕판 끼움부
220 : 돌출편 230 : 빗물 유입부
240 : 돌기 삽입홈 300 : 연결파이프
400 : 브라켓 보강대 410 : 보강대 용접구멍
420 : 체결수단 관통공 500 : 덮개바
510 : 덮개바 절곡부 520 : 끝단 절곡부
530 : 양측 절곡부 600 : 고정편
610 : 고정대 지지부 611 : 돌기
630 : 고정편 절곡부 650 : 전등 파이프
700 : 뒷고정대 710 : 지붕판 삽입부
800 : 벽체 고정용 브라켓 851 : 덮개바 끼움부
900 : 지붕판

Claims (19)

  1. 지붕판의 끝단이 끼워지는 지붕판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고정대 안착부가 적어도 일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붕판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붕판 안착부가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
    상기 고정대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고정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편; 및
    상기 지붕판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지붕판의 상부를 덮는 덮개바;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바의 끝단에는 덮개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편의 일단은 상기 브라켓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고정편의 타단에는 상기 덮개바 절곡부와 맞닿도록 고정편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편이 회전하여 상기 고정편 절곡부가 상기 덮개바 절곡부와 맞닿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어느 일단에 상기 고정대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 본체의 타단은 벽체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일자형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 본체를 상기 벽체에 고정시키는 벽체 고정용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바의 끝단에는 절곡된 끝단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체 고정용 브라켓에는 상기 끝단 절곡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덮개바 끼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 안착부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대의 외측을 지지하는 제1보조지지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가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브라켓 본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연결파이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본체에는, 상기 지붕판 안착부 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연결파이프가 안착되는 연결파이프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파이프 안착부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파이프의 외측을 지지하는 제2보조지지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판에는, 입사되는 태양 에너지를 입력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집광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집광판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상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전기기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브라켓 본체에 안착된 고정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고정대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대 안착부의 일측은 상기 브라켓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대 안착부의 타측은 외측으로 절곡된 고정편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 안착부의 내측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편.
KR1020140077992A 2014-06-25 2014-06-25 고정대, 덮개바, 고정편 및 차양시스템 KR101515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992A KR101515142B1 (ko) 2014-06-25 2014-06-25 고정대, 덮개바, 고정편 및 차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992A KR101515142B1 (ko) 2014-06-25 2014-06-25 고정대, 덮개바, 고정편 및 차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142B1 true KR101515142B1 (ko) 2015-04-24

Family

ID=5305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992A KR101515142B1 (ko) 2014-06-25 2014-06-25 고정대, 덮개바, 고정편 및 차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1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515B1 (ko) * 2015-09-03 2016-11-09 주식회사 캐노픽스 차양용 브라켓
WO2017030247A1 (ko) * 2015-08-20 2017-02-23 주식회사 엔디시 연장 가능한 차양 받침대
KR101720091B1 (ko) 2016-10-27 2017-03-27 블루텍 주식회사 차양 구조물
CN107733329A (zh) * 2017-11-10 2018-02-23 江苏印加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拱形屋面光伏支架及拱形屋面光伏电站
KR20210108222A (ko) * 2020-02-25 2021-09-02 주식회사 비가림 차양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562B1 (ko) * 2011-05-04 2012-05-29 주식회사 캐노픽스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차양 시스템
KR101367660B1 (ko) * 2013-04-19 2014-02-28 박경식 차양시스템용 차양브라켓
KR20140068402A (ko) * 2012-11-28 2014-06-09 안혜연 엘이디 조명이 설치된 차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562B1 (ko) * 2011-05-04 2012-05-29 주식회사 캐노픽스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차양 시스템
KR20140068402A (ko) * 2012-11-28 2014-06-09 안혜연 엘이디 조명이 설치된 차양
KR101367660B1 (ko) * 2013-04-19 2014-02-28 박경식 차양시스템용 차양브라켓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0247A1 (ko) * 2015-08-20 2017-02-23 주식회사 엔디시 연장 가능한 차양 받침대
KR101669515B1 (ko) * 2015-09-03 2016-11-09 주식회사 캐노픽스 차양용 브라켓
KR101720091B1 (ko) 2016-10-27 2017-03-27 블루텍 주식회사 차양 구조물
CN107733329A (zh) * 2017-11-10 2018-02-23 江苏印加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拱形屋面光伏支架及拱形屋面光伏电站
CN107733329B (zh) * 2017-11-10 2024-05-07 江苏印加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拱形屋面光伏支架及拱形屋面光伏电站
KR20210108222A (ko) * 2020-02-25 2021-09-02 주식회사 비가림 차양시스템
KR102472884B1 (ko) * 2020-02-25 2022-12-01 주식회사 비가림 차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142B1 (ko) 고정대, 덮개바, 고정편 및 차양시스템
JPH076266B2 (ja) フレーム部材、及びフレーム部材を用いた覆い構造
KR101841629B1 (ko) 시트 조립 구조체 및 이러한 시트 조립 구조체를 구비하는 아케이드 구조물
KR101759562B1 (ko) 태양광 조명이 구비된 조립식 차양 구조물
KR20140100729A (ko) 구조물용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구조물
CA2710708C (en) Membrane element and method for covering surfaces, more particularly for ceilings or walls
KR101414825B1 (ko) 건물일체형 태양전지창호의 프레임
KR101695897B1 (ko) 브라켓, 고정대, 덮개바, 보강대 및 차양시스템
JP6758106B2 (ja) 骨格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屋
KR20170000167A (ko) 조립식 천막
KR101224518B1 (ko) 지붕 누수 방지시스템
KR200234845Y1 (ko) 조립식의 원형 지붕구조물
KR101827990B1 (ko) 차양시스템
KR20030085672A (ko) 차양장치
CN114110508A (zh) 太阳能路灯
KR20150028009A (ko) 보조고정편이 구비된 차양시스템
KR100662106B1 (ko)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1704A (ko) 덮개바 및 차양시스템
KR101797807B1 (ko) 윈드브레이크 조립구조
CN218061637U (zh) 一种新型拼接式铝合金凉亭
KR101677186B1 (ko) 브라켓, 고정대, 덮개바, 보강대 및 차양시스템
KR102476301B1 (ko) 차양 브라켓 및 차양 시스템
KR200455516Y1 (ko) 조립식 가로등
EP1820177A1 (fr) Structure decorative, notamment pour des batiments ou des ouvrages d'art
JP2011214286A (ja) 屋根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