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884B1 - 차양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884B1
KR102472884B1 KR1020200023158A KR20200023158A KR102472884B1 KR 102472884 B1 KR102472884 B1 KR 102472884B1 KR 1020200023158 A KR1020200023158 A KR 1020200023158A KR 20200023158 A KR20200023158 A KR 20200023158A KR 102472884 B1 KR102472884 B1 KR 102472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oof plate
bracket
auxiliary support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222A (ko
Inventor
박경식
임양신
박소민
박민준
박이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가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가림
Priority to KR1020200023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884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지붕판; 상측에 상기 지붕판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붕판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붕판 안착부에는 상부와 전후면으로 개방된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붕판 안착부의 상기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 외측으로 각각 브라켓 용접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 상기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과 맞물리는 제1맞물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 용접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보조지지편; 및 상기 지붕판 안착부를 따라 배치되되, 상기 지붕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 용접돌출부와 상기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가 동시에 삽입되는 보강판 용접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보강판;을 포함하여, 상기 보강판 용접구멍 내에 위치한 상기 브라켓 용접돌출부 및 상기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를 동시에 상기 브라켓 보강판에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용접효율을 높일 수 있고, 지붕판 덮개바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변형, 변색을 예방하여 미관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제1보조지지편만 삽입했을 경우 제1보조지지편이 흔들리거나 내구력이 약하여 브라켓 보강판이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단단하게 브라켓 보강판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양시스템{Sunvisor system}
본 발명은 보강판 용접구멍 내에 위치한 브라켓 용접돌출부 및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를 동시에 브라켓 보강판에 용접함에 따라, 용접효율을 높일 수 있고, 브라켓 보강판이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단단하게 브라켓 보강판을 지지할 수 있는 차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아치형 차양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886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5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8857호 등에 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 차양 시스템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49562호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양 시스템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상부에 지붕판을 덮어 지붕판의 끝을 “
Figure 112020019960078-pat00001
” 자형으로 절곡된 금속판으로 마감하거나, 알루미늄 압출로 제작한 “
Figure 112020019960078-pat00002
” 자형의 고정대에 끼워 마감함으로써, 지붕판 끼움부에 끼워진 지붕판의 수축 팽창으로 누수가 공통으로 발생하고 있고, 벽체에 고정되는 부분 또한 누수의 발생 우려가 크다는 것이다.
그리고, 덮개판과 덮개바의 시공을 위해서 약간의 유격이 있어야 하므로 체결볼트를 강하게 조여 고정하여도 바람의 영향으로 덮개판이 흔들려 소음이 발생하고, 유격된 부분으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하며, 지속적인 충격으로 덮개판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앞고정대 파이프 및 보강대 파이프를 측면에서 삽입하여 끼울 경우 측면에 추가로 작업 공간과 안전시설물을 확보해야 하고, 길이가 긴 다수개의 브라켓에 끼울 경우 브라켓이 밀려 앞고정대 및 고정대 안착부에 고정하는 파이프의 조립이 매우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지붕에 해당하는 덮개판으로 많이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일명 렉산)의 특성상 햇빛에 의한 열 수축 팽창이 심한 부재로 직접 피스볼트로 브라켓에 고정할 경우 태양열로 인하여 굴곡이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열 수축 팽창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붕판의 수축 팽창이 자유롭도록 “
Figure 112020019960078-pat00003
” 자형 또는 “
Figure 112020019960078-pat00004
” 자형 고정대를 사용하였으나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지붕판에 끼워 마감하는 고정대가 “
Figure 112020019960078-pat00005
” 자형 또는 “
Figure 112020019960078-pat00006
” 자형 형상으로 지붕판과 고정대 사이에 별도의 실리콘 주입부가 없고, 주입한 실리콘 또한 수축 팽창으로 손쉽게 실리콘이 탈락하여 누수가 발생한다.
둘째, 제1고정대와 보강대를 브라켓 본체에 측면에서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을 위한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고, 길이가 길 경우 브라켓에 제1 고정대 및 보강대의 삽입이 원활하기 않아 시공 시간이 많이 증가한다.
셋째, 측면에서 끼울 경우 설치하는 길이 만큼 추가로 설치를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고, 안전을 위한 안전 시설을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넷째, 종래의 방식대로 시공한 차양은 대부분 상기한 문제로 하자 보수를 하고 있으며, 심한 굴곡은 시각적으로 불편하고, 양단이 피스볼트로 고정된 렉산은 강제적으로 굴곡이 되므로 구부러지는 부분에 물리적인 손상이 발생한다.
다섯째, 상기와 같은 이유로 렉산의 수명을 단축하게 하며, 빠르게 색상이 변하는 황변이 발생한다.
여섯째, 겨울에는 여름에 늘어났던 부분이 수축함으로써, 연결 부분의 실리콘이 떨어져 나오므로 다음해 여름에는 누수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일곱째, 렉산은 방탄 유리로 사용하는 자재로서, 햇빛에 오래 노출되면 경화가 일어나는데 우리나라 기후 특성상 여름과 겨울의 반복으로 인하여 수축과 팽창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므로 렉산의 수명이 단축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강판 용접구멍 내에 위치한 브라켓 용접돌출부 및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를 동시에 브라켓 보강판에 용접함에 따라, 용접효율을 높일 수 있고, 지붕판 덮개바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변형, 변색을 예방하여 미관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제1보조지지편만 삽입했을 경우 제1보조지지편이 흔들리거나 내구력이 약하여 브라켓 보강판이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단단하게 브라켓 보강판을 지지할 수 있는 차양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붕판; 상측에 상기 지붕판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붕판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붕판 안착부에는 상부와 전후면으로 개방된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붕판 안착부의 상기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 외측으로 각각 브라켓 용접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 상기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과 맞물리는 제1맞물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 용접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보조지지편; 및 상기 지붕판 안착부를 따라 배치되되, 상기 지붕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 용접돌출부와 상기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가 동시에 삽입되는 보강판 용접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보강판;을 포함하여, 상기 보강판 용접구멍 내에 위치한 상기 브라켓 용접돌출부 및 상기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를 동시에 상기 브라켓 보강판에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에는, 상기 지붕판 안착부에 상부와 전후면으로 개방된 중간고정대 안착부와, 상기 지붕판 안착부의 상기 중간고정대 안착부 외측으로 각각 중간고정대 안착부 용접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 보강판에는, 상기 중간고정대 안착부 용접돌출부가 삽입되는 중간고정대 용접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 본체는 다수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브라켓 본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고정대 안착부에 일부분이 안착되는 중간고정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중간고정대 용접구멍 내에 위치한 상기 중간고정대 안착부 용접돌출부를 상기 브라켓 보강판에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보강판에는, 상기 중간고정대 안착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중간고정대 고정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고정대는, 상기 중간고정대 안착부의 상부로 개방된 면에 위치하는 면의 단면이 '브이'자 형상으로 함몰되어 있어, 상기 중간고정대 고정 체결구멍을 관통한 체결수단은 상기 중간고정대의 '브이'자 형상으로 함몰된 부분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붕판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지붕판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앞고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본체에는, 상기 지붕판 안착부의 일단에 상부로 개방되어 상기 앞고정대가 안착되는 앞고정대 안착부와, 상기 앞고정대 안착부 외측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앞고정대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앞고정대의 상측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붕판 안착부를 따라 배치되되, 상기 지붕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앞고정대 안착부와 이격하도록 배치되고, 일단에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붕판 덮개바; 및 상기 지붕판 덮개바가 배치되지 않은 상기 지붕판 안착부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지붕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단에는 상기 제1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앞고정대 안착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앞고정대 고정편 고정구멍이 형성된 앞고정대 고정편;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를 체결하면, 상기 앞고정대 고정편이 상기 앞고정대를 눌러 상기 앞고정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앞고정대 고정편은, 상기 앞고정대 안착부 상부에 배치되는 부분이 '시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연장부가 상기 앞고정대 고정편 고정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앞고정대 고정편 고정구멍이 끼워지는 앞고정대 고정편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앞고정대는 단면이 원호 형상이고, 상기 앞고정대에는, 일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다가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고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상기 지붕판 끼움부와, 타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다가 내측으로 절곡된 앞고정대 고정편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를 체결하면, 상기 앞고정대 고정편이 상기 앞고정대 고정편 지지대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붕판 덮개바에는, 타단이 상측 사선으로 절곡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가 상기 지붕판 덮개부와 접하는 부분에 덮개바 끼움부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 본체를 벽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며, 상기 절곡부가 끼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일부분이 상기 덮개바 끼움부 고정구멍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덮개바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벽고정 베이스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벽고정 베이스판은 상기 브라켓 본체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벽고정 베이스판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면과 전후면으로 개방된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 본체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과 맞물리는 제2맞물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후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보조지지편;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벽고정 베이스판에 의해 하나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에는, 상기 브라켓 보강판이 삽입되거나, 상기 제2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 내에 위치한 상기 제2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를 상기 벽고정 베이스판에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양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보강판 용접구멍 내에 위치한 브라켓 용접돌출부 및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를 동시에 브라켓 보강판에 용접함에 따라, 용접효율을 높일 수 있고, 지붕판 덮개바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변형, 변색을 예방하여 미관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제1보조지지편만 삽입했을 경우 제1보조지지편이 흔들리거나 내구력이 약하여 브라켓 보강판이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단단하게 브라켓 보강판을 지지할 수 있다.
지붕판 덮개바의 제1체결부와 앞고정대 고정편의 제2체결부를 체결하면, '시옷자' 형상의 앞고정대 고정편이 앞고정대를 눌러 앞고정대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뿐만 아니라, 지붕판, 앞고정대, 벽고정대를 브라켓 본체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중간고정대는 중간고정대 안착부의 상부로 개방된 면에 위치하는 면의 단면이 '브이'자 형상으로 함몰됨으로써, 체결수단의 체결시 중간고정대가 중간고정대 안착부 내에서 헛돌아 체결수단을 체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체결수단을 정위치에 정확하게 체결할 수 있고, 체결수단의 머리 부분이 '브이'자 형상으로 함몰된 부분 내에 위치하여 상부의 지붕판에 걸리지 않아 지붕판의 스크래치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브라켓 본체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브라켓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제1보조지지편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브라켓 보강판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중간고정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의 앞고정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앞고정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지붕판 덮개바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의 앞고정대 고정편을 도시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도 1의 벽고정 베이스판과 제2보조지지편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의 벽고정대와 후면 연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16 및 도 17은 제1실시예에 따른 후면 연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18 및 도 19는 제2실시예에 따른 후면 연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20 및 도 21은 제3실시예에 따른 후면 연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22 및 도 23은 제4실시예에 따른 후면 연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의 시공 순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붕판(4000)과 브라켓 본체(1000)와 제1보조지지편(1100)과 브라켓 보강판(1200)과 중간고정대(1300)와 앞고정대(1400)와 지붕판 덮개바(1500)와 앞고정대 고정편(1600)과 벽고정 베이스판(2000)과 제2보조지지편(1700)과 벽고정대(3000)를 포함한다.
지붕판(4000)은 차양하기 위하여 또는 우천시 빗물차단을 위하여 마련되며, 일반적으로 두께가 얇은 사각판 형상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브라켓 본체(1000)는 지붕판(40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붕판(400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다. 브라켓 본체(1000)의 전, 후면에는 로고나 상호 등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인쇄하거나 투각할 수 있고, 바람이 관통하여 바람의 힘을 덜 받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바람구멍(10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브라켓 본체(1000)는 지붕판(4000)의 원할한 지지를 위하여 도 1과 같이 다수로 구성되어 지붕판(4000)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브라켓 본체(1000)가 하나의 지붕판(4000)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실시예에 따라 지붕판(4000)의 면적이 넓어질 경우 브라켓 본체(1000)의 개수를 늘일 수 있을 것이다.
브라켓 본체(1000)의 상측에는 지붕판(40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붕판 안착부(1020)가 마련되어 있다. 지붕판 안착부(1020)는 브라켓 본체(1000)가 설치되는 벽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 본체(1000)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판(4000)은 도 1과 같이 벽에 대해 수직한 면을 이루도록 시공된다.
지붕판 안착부(1020)에는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021)과 중간고정대 안착부(102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021)은 지붕판 안착부(1020)의 상부와 전후면으로 개방되어 있고, 지붕판 안착부(1020)에 대해 하부로 수직하게 형성된 일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하기에서 설명할 제1보조지지편(11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021)은 다수로 구성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021)은 지붕판 안착부(1020)를 따라 간격을 두고 네 개가 형성되어 있다. 지붕판 안착부(1020)의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021) 외측으로는 각각 브라켓 용접돌출부(1022)가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 용접돌출부(1022)는,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021)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지붕판 안착부(1020)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고정대 안착부(1023)는 지붕판 안착부(1020)의 상부와 전후면으로 개방되어 있고, 단면이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기에서 설명할 원형 파이프 형상의 중간고정대(1300)의 일부분이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고정대 안착부(1023)는 다수로 구성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 중간고정대 안착부(1023)는 지붕판 안착부(1020)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세 개가 형성되어 있다. 지붕판 안착부(1020)의 중간고정대 안착부(1023) 외측으로는 각각 중간고정대 안착부 용접돌출부(1024)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고정대 안착부 용접돌출부(1024)는, 중간고정대 안착부(1023)와 인접하지는 않고 약간의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있고, 지붕판 안착부(1020)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브라켓 용접돌출부(1022)와 중간고정대 안착부 용접돌출부(1024) 이외에, 지붕판 안착부(1020)의 양끝단에 각각 끝단 용접돌출부(1025)가 더 형성되는 것이, 하기에서 설명할 브라켓 보강판(120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끝단 용접돌출부(1025)는 브라켓 용접돌출부(1022)와 중간고정대 안착부 용접돌출부(1024)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켓 본체(1000)의 양단 중 일단은 지붕판 안착부(1020)와 수직하게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기에서 설명할 벽고정 베이스판(2000)에 의해 벽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브라켓 본체(1000)의 일단에는 브라켓 본체(1000)의 전후면으로 개방된 다수의 브라켓 체결구멍(10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라켓 본체(1000)의 일단면에는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1031)이 형성되어 있다.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1031)은 브라켓 본체(1000)의 일단면과 전후면으로 개방되어 있고, 브라켓 본체(1000)의 알단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일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하기에서 설명할 제2보조지지편(1700)과 맞물린다.
브라켓 본체(1000)의 양단 중 상기 일단을 제외한 타단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앞고정대(1400)가 안착되는 앞고정대 안착부(1040)와 연장부(1045)가 형성되어 있다. 앞고정대 안착부(1040)는 지붕판 안착부(1020)의 끝단과 인접하며, 앞고정대(1400)가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앞고정대(1400)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브라켓 본체(1000)의 상부와 전후면으로 개방되어 있고,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1045)는 앞고정대 안착부(1040)에 안착되는 앞고정대(1400)의 상측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앞고정대 안착부(1040) 외측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부(1045)의 외측에는 앞고정대 고정편 고정홈(10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브라켓 본체(1000)의 지붕판 안착부(1020)는 일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지붕판 안착부(1020)를 아치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지붕판 안착부(1020)가 아치형으로 형성된 브라켓 본체(1000)의 실시예들을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브라켓 본체(1000)의 양단 중 일단은 벽고정 베이스판(2000)에 의해 벽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4와 같이 두 개의 브라켓 본체(1000)의 수직한 일단이 서로 접하여 접한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좌, 우측의 브라켓 본체(1000)가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와 같이 브라켓 본체(1000)는, 양단 모두 앞고정대 안착부(1040)가 형성되어 있어, 중간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브라켓 본체(1000)의 실시예에서는 지붕판이 아치형으로 시공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보조지지편(1100)은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021)에 삽입되되, 브라켓 보강판(12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제1보조지지편(1100)은 윗면이 일자 형태이고, 윗면을 기준으로 하여 하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보조지지편(1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실시예에 따라 삼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며, 브라켓 보강판(1200)의 하면을 잘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이러한 제1보조지지편(1100)에는 제1맞물림홈(1110)과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120)가 형성되어 있다.
제1맞물림홈(1110)은 제1보조지지편(1100)의 하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 부분에 하부와 전후면으로 개방되어 있고, 제1보조지지편(1100)이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021)에 삽입될 때 제1맞물림홈(1110)은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021)과 맞물림으로써, 제1보조지지편(1100)이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021)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120)는 브라켓 용접돌출부(102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제1보조지지편(1100)의 일자 형태인 윗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있고,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보조지지편(1100)은 본 실시예에서 총 네 개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보조지지편(1100) 및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021)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변경 가능한다.
도 7은 참조하여 설명하면, 브라켓 보강판(1200)은 지붕판 안착부(1020)를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사각판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붕판(40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즉, 지붕판 안착부(1020)를 따라 브라켓 보강판(1200)이 안착된 다음, 브라켓 보강판(1200)의 상면에 지붕판(4000)이 안착된다.
이러한 브라켓 보강판(1200)에는 지붕판 안착부(1020)를 따라 안착될 때 브라켓 용접돌출부(1022)와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120)가 동시에 삽입될 수 있도록 브라켓 용접돌출부(1022) 및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보강판 용접구멍(121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면, 보강판 용접구멍(1210) 내에 브라켓 용접돌출부(1022)와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120)가 동시에 삽입된 후 보강판 용접구멍(1210) 내에 위치한 브라켓 용접돌출부(1022) 및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120)를 동시에 보강판에 용접할 수 있다. 이렇게, 보강판 용접구멍(1210) 내에 위치한 브라켓 용접돌출부(1022) 및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120)를 동시에 브라켓 보강판(1200)에 용접함에 따라, 용접효율을 높일 수 있고, 덮개바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변형, 변색을 예방하여 미관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제1보조지지편(1100)만 삽입했을 경우 제1보조지지편(1100)이 흔들리거나 내구력이 약하여 브라켓 보강판(1200)이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브라켓 보강판(1200)에는 지붕판 안착부(1020)를 따라 안착될 때 중간고정대 안착부 용접돌출부(10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간고정대 안착부 용접돌출부(1024)와 대응하는 위치에 중간고정대 용접구멍(12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라켓 보강판(1200)에는 중간고정대 안착부(1023)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중간고정대 고정 체결구멍(123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중간고정대 용접구멍(1220) 사이에 중간고정대 고정 체결구멍(1230)이 위치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면, 중간고정대 안착부(1023)에 중간고정대(1300)가 안착된 다음, 중간고정대 고정 체결구멍(1230)에 체결수단이 체결된 후 중간고정대 용접구멍(1220) 내에 위치한 중간고정대 안착부 용접돌출부(1024)를 브라켓 보강판(1200)에 용접할 수 있다.
브라켓 보강판(1200)의 양끝단에는 지붕판 안착부(1020)를 따라 안착될 때 끝단 용접돌출부(1025)가 삽입될 수 있도록 끝단 용접돌출부(1025)와 대응하는 위치에 끝단 용접구멍(124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면, 끝단 용접구멍(1240) 내에 끝단 용접돌출부(1025)가 삽입된 후 끝단 용접구멍(1240) 내에 위치한 끝단 용접돌출부(1025)를 보강판에 용접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간고정대(1300)는 다수의 브라켓 본체(1000)를 연결하기 위하여 마련되는데, 브라켓 본체(1000)의 중간고정대 안착부(1023)에 일부분이 안착된다. 즉, 중간고정대(1300)는 브라켓 본체(1000)를 가로지르며 배치되므로 중간고정대(1300)의 일부분만 중간고정대 안착부(1023)에 안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중간고정대(1300)는 중간고정대 안착부(1023)의 상부로 개방된 면에 위치하는 면(1310)의 단면이 '브이'자 형상으로 함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간고정대(1300)는 상측 부분(1310)이 '브이'자 형상으로 함몰된 원형 파이프 형상이나, 실시예에 따라 상측 부분이 '브이'자 형상으로 함몰된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러한 중간고정대(1300)의 형상에 따라 중간고정대 안착부(1023)의 형상이 달라짐은 물론이다. 이렇게 중간고정대(1300)는 중간고정대 안착부(1023)의 상부로 개방된 면에 위치하는 면(1310)의 단면이 '브이'자 형상으로 함몰됨으로써, 브라켓 보강판(1200)의 중간고정대 고정 체결구멍(1230)을 관통한 체결수단은 중간고정대(1300)의 '브이'자 형상으로 함몰된 부분(1310)을 관통하여 브라켓 본체(1000)에 체결된다. 따라서, 체결수단의 체결시 중간고정대(1300)가 중간고정대 안착부(1023) 내에서 헛돌아 체결수단을 체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체결수단을 정위치에 정확하게 체결할 수 있고, 체결수단의 머리 부분이 '브이'자 형상으로 함몰된 부분(1310) 내에 위치하여 상부의 지붕판에 걸리지 않아 지붕판의 스크래치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앞고정대 안착부(1040)에 안착되는 앞고정대(1400)에는 지붕판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지붕판 끼움부(14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앞고정대(1400)는 원형 파이프 형상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된 지붕판 끼움부(14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앞고정대 안착부(1040)에 앞고정대(1400)가 안착된 다음, 지붕판 끼움부(1410)에 지붕판의 가장자리가 끼워진다.
앞고정대(1400)의 다른 실시예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앞고정대(1450)는 단면이 원호 형상이고, 지붕판 끼움부(1451)와 고정편 지지대(1453)가 형성되어 있다.
지붕판 끼움부(1451)는 앞고정대(1450)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다가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고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있다. 즉, 지붕판 끼움부(1451)는 단면이 '디귿자' 형상이고, '디귿자' 형상 내측에 지붕판(4000)의 가장자리가 끼워진다.
고정편 지지대(1453)는 앞고정대(1450)의 타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다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어, 단면이 '기역자'형상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앞고정대(1450)는, 하기에서 설명할 지붕판 덮개바(1500)의 제1체결부(1510)와 앞고정대 고정편(1600)의 제2체결부(1610)를 체결하면, 앞고정대 고정편(1600)이 앞고정대 고정편 지지대(1453)를 눌러줌으로써, 앞고정대(1450)가 고정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붕판 덮개바(1500)는 지붕판 안착부(1020)를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사각판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붕판(40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즉, 지붕판 안착부(1020)에는 브라켓 보강판(1200), 지붕판(4000), 지붕판 덮개바(1500) 순으로 안착된다.
지붕판 덮개바(1500)의 일단은 앞고정대 안착부(1040)와 이격하도록 배치되는데, 이 일단에는 제1체결부(1510)가 형성되어 있다. 제1체결부(1510)는 하기에서 설명할 앞고정대 고정편(1600)의 제2체결부(1610)와 체결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부(1510)는 지붕판 덮개바(1500)의 일단으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절곡되다가 다시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대략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체결구멍(1511)이 형성되어 있다.
지붕판 덮개바(1500)의 타단에는 절곡부(1530)와 덮개바 끼움부 고정구멍(1531)이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1530)는 지붕판 덮개바(1500)의 상측 사선으로 절곡되어 있다. 즉, 지붕판 덮개바(1500)에 대해 수직하지 않고 90도 미만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있다.
덮개바 끼움부 고정구멍(1531)은 절곡부(1530)가 지붕판 덮개바(1500)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앞고정대 고정편(1600)은 지붕판 덮개바(1500)가 배치되지 않은 지붕판 안착부(1020)를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지붕판 안착부(1020)에는 지붕판 덮개바(1500)와 앞고정대 고정편(1600)에 의해 완전히 덮여진다. 앞고정대 고정편(1600)은 지붕판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지붕판 안착부(1020)에는 브라켓 보강판(1200), 지붕판(4000), 앞고정대 고정편(1600) 순으로 안착된다.
앞고정대 고정편(1600)의 일단에는 제1체결부(1510)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16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체결부(1610)는 앞고정대 고정편(1600)의 일단으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절곡되다가 다시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대략 역'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체결구멍(1631)이 형성되어 있다. 제1체결부(1510)와 제2체결부(1610)는 서로 맞닿아 대칭을 이루며, 제1체결구멍(1511)과 제2체결구멍(1631)에 체결수단이 체결된다.
앞고정대 고정편(1600)의 타단은 앞고정대 안착부(1040) 상부에 배치되는데, 앞고정대 안착부(1040) 상부에 배치되는 부분(1631)이 상부로 절곡되다가 다시 하부로 절곡되어 '시옷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앞고정대 안착부(1040) 상부에 배치되는 부분(1631)에는 연장부(1045)가 삽입되는 앞고정대 고정편 고정구멍(16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지붕판 덮개바(1500)의 제1체결부(1510)와 앞고정대 고정편(1600)의 제2체결부(1610)가 서로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제1체결구멍(1511)과 제2체결구멍(1631)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앞고정대 고정편(1600)의 앞고정대 안착부(1040) 상부에 배치되는 '시옷자' 형상 부분(1631)이 앞고정대(1400)를 눌러줌으로써 앞고정대(1400)가 고정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브라켓 본체(1000)를 벽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벽고정 베이스판(2000)은, 브라켓 본체(100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벽고정 베이스판(2000)은 상하방향으로 긴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며, 벽에 고정할 수 있도록 직결피스 구멍(2010), 셋트앙카 구멍(2020)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각 벽고정 베이스판(2000) 어느 일측의 중간부분에는 브라켓 본체(1000)와 맞닿을 수 있도록 수직하게 절곡된 베이스판 장착부(2100)가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판 장착부(2100)에는 브라켓 본체(1000)의 브라켓 체결구멍(1030)과 대응하는 위치에 베이스판 체결구멍(2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벽고정 베이스판(2000) 어느 일측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수직하게 절곡된 덮개바 끼움부(2200)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바 끼움부(2200)는 베이스판 장착부(210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베이스판 장착부(210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덮개바 끼움부(2200)는 절곡부(1530)가 끼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일부분이 덮개바 끼움부 고정구멍(15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바 끼움부(2200)에 하면에서부터 내측으로 절개된 절개부(2210)가 형성되어 있어, 절개부(2210)의 개방된 하면으로 절곡부(1530)가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절곡부(1530)가 사선으로 절곡되어 있음에 따라, 이러한 형상에 대응하도록 절개부(2210)는 덮개바 끼움부(2200)에 하면으로부터 사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절개부(2210)에 절곡부(1530)가 끼워질 때, 절개부(2210)의 입구측(2211)은 덮개바 끼움부 고정구멍(1531)에 삽입된다. 따라서, 덮개바 끼움부(2200)의 두께는 덮개바 끼움부 고정구멍(1531)에 삽입될 수 있는 두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각 벽고정 베이스판(2000) 어느 일측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각 벽고정 베이스판(2000)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면과 전후면으로 개방된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230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각 벽고정 베이스판(2000)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때 각 벽고정 베이스판(2000)에 형성된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2300)은 도 14와 같이 서로 연통하여 하나의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2300)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는 벽고정 베이스판(2000) 어느 일측의 상측과 하측에 모두 덮개바 끼움부(2200)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측과 하측에 모두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2300)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벽고정 베이스판(2000)은 상,하로 대칭을 이룬다. 따라서, 벽고정 베이스판(2000)은 브라켓 본체(1000)의 전,후 어느 쪽으로나 사용이 가능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한 가지 종류의 벽고정 베이스판(2000)을 생산하기만 하면 한 쌍의 벽고정 베이스판(2000)으로 조립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관이 매우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고정 베이스판(2000)의 상측과 하측에 모두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230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2300)은 한 쌍의 벽고정 베이스판(2000)에 의해 하나로 이루어지는데, 상측에 위치한 하나로 이루어진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2300)에는 도 25와 같이 브라켓 보강판(1200)의 끝단이 삽입되고, 하측에 위치한 하나로 이루어진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2300)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제2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73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보조지지편(1700)은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2300)에 삽입되어 브라켓 본체(1000)의 전후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제2보조지지편(1700)은 일면이 일자 형태이고, 일면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2보조지지편(1700)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실시예에 따라 삼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며, 브라켓 본체(1000)의 전후면을 잘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이러한 제2보조지지편(1700)에는 제2맞물림홈(1710)과 제2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730)가 형성되어 있다.
제2맞물림홈(1710)은 브라켓 본체(1000)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맞물림홈(1710)은 제2보조지지편(1700)의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 부분에 외측과 전후면으로 개방되어 있어, 브라켓 본체(10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1031)과 맞물린다. 따라서, 제2보조지지편(1700)이 브라켓 본체(1000)의 전후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730)는 제2보조지지편(170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730)는 제2보조지지편(1700)의 일자 형태인 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730)는 한 쌍의 벽고정 베이스판(2000)에 의해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2300)에 삽입되고,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2300) 내에 위치한 제2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730)를 벽고정 베이스판(2000)에 용접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벽고정대(3000)는 벽고정 베이스판(2000)을 가로지르며 배치된다. 이러한 벽고정대(3000)에는 지붕판 삽입부(3010)와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가 마련되어 있다.
지붕판 삽입부(3010)는 지붕판(4000)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 위치한 면이 상측에 위치한 면보다 더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어, 지붕판(4000)의 하면을 더 잘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도 18 및 도 20과 같이 지붕판 삽입부(3010)의 상측에 위치한 면에 실리콘 주입부(3011)가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 주입부(3011)는 지붕판 삽입부(3010)의 상측에 위치한 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데, 수직하지 않고 내측으로 각도를 가지며 사선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지붕판 삽입부(3010)에 지붕판(4000)의 가장자리가 삽입될 때 지붕판(4000)이 원할하게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이후 실리콘 주입부(3011)가 지붕판(4000)을 눌러줌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지붕판(4000)이 삽입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9 및 도 21과 같이, 지붕판(4000) 상면과 실리콘 주입부(3011) 사이의 공간에 실리콘(20)을 주입할 수 있는데, 실리콘(20)의 접착면적을 늘림으로써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지붕판(4000) 상면과 실리콘 주입부(3011) 사이의 공간에 실리콘(20)을 주입하면, 일부의 실리콘이 지붕판(4000) 상면과 실리콘 주입부(3011) 사이의 틈을 통과하여 실리콘 주입부(3011) 내측으로 돌출턱(21)을 형성함으로써, 지붕판(4000)이 수축 팽창하여도 탈락하지 않고, 이중으로 지붕판(4000)을 잡아주어 누수를 예방할 수 있다.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는 도 16과 같이 지붕판(4000)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후면 연장부(3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는 지붕판 삽입부(3010)의 개방된 면 반대면인 폐쇄된 면에서 외측으로 공간(3032)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있고, 일측으로 개방된 입구(3031)를 가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때,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의 입구(3031)는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 내의 공간(3032)보다 좁은 단면적을 가진다. 이와 같이 마련되어,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의 개방된 입구(3031)를 통하여 하기에서 설명할 후면 연장부(3100)가 연장부(1045) 삽입부의 공간(303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면 연장부(3100)는 벽고정대(3000)가 벽고정 베이스판(2000)과 맞닿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벽고정대(3000)와 벽 사이에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후면 연장부(3100)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후면 연장부(3100)가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면, 설치현장에서 필요한 만큼 쉽게 절단하여 벽고정대(3000)에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연장부(3100)는 제1연장부(3110)와 제2연장부(3120)와 제3연장부(3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연장부(3110)는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되고, 제2연장부(3120)는 제1연장부(311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의 외부로 배치되고, 제3연장부(3130)는 제2연장부(312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하기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한 후면 연장부(31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후면 연장부(3100)의 제1실시예를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였다. 제1실시예에 따른 후면 연장부(3100)는 제1연장부(3110)와 제2연장부(3120)와 제3연장부(3130)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311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 제1연장부(3110)의 일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3111)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3111)의 단면은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 내에 잘 걸릴 수 있다.
제2연장부(3120)는 한 쌍의 제1연장부(3110) 타단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의 외부로 배치되는 부분이다. 이때, 한 쌍의 제2연장부(3120) 사이의 간격은 한 쌍의 제1연장부(3110)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간격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한 쌍의 제2연장부(3120) 중 상측에 배치된 제2연장부(3120)는, 한 쌍의 제1연장부(3110) 중 상측에 배치된 제1연장부(3110)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연장된다. 한 쌍의 제2연장부(3120) 중 하측에 배치된 제2연장부(3120)는, 한 쌍의 제1연장부(3110) 중 하측에 배치된 제1연장부(3110)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다가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측에 배치된 제2연장부(3120)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연장된다.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연장부(3120) 끝단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연장부(3120)는 일측으로 개방된 사각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제3연장부(3130)는 한 쌍의 제2연장부(3120) 중 상측에 배치된 제2연장부(3120)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어느 정도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3연장부(3130)는 한 쌍의 제2연장부(3120)가 서로 연결된 면과 동일 평면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예에 따른 후면 연장부(3100)는 다음과 같이 벽고정대(3000)에 조립될 수 있다.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연장부(3110)를 손으로 눌러주어 한 쌍의 제1연장부(311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도록 한 다음,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의 입구(3031)를 통하여 공간(3032) 내로 삽입하고, 잡고 있던 한 쌍의 제1연장부(3110)를 놓으면 탄성에 의해 한 쌍의 제1연장부(3110) 사이의 간격이 회복되면서 걸림턱(3111)이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 내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후면 연장부(3100)가 벽고정대(3000)에 조립된다.
이렇게 조립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제2연장부(3120) 중 상측에 배치된 제2연장부(3120) 상면과, 제3연장부(3130)와,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 상측으로 이루어진 공간과, 벽체 사이에 도 17과 같이 실리콘이 주입된다.
후면 연장부(3200)의 제2실시예를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였다. 제2실시예에 따른 후면 연장부(3200)는 제1연장부(3210)와 제2연장부(3220)와 제3연장부(3230)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3210)는 일자 형태로 수직하게 배치되되,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 입구(3031)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되어 있어, 후면 연장부 삽입부 공간(3032) 내에 잘 걸릴 수 있다.
제2연장부(3220)는 일자 형태로 형성되되, 제1연장부(3210) 중간지점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어,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의 외부로 배치되는 부분이다.
제3연장부(3230)는 제2연장부(3220) 끝단으로부터 단면이 원형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있다. 즉, 제3연장부(3230)는 중공을 가지는 원형 파이프 형상이며, 제3연장부(3230)의 상측 부분이 제2연장부(3220) 보다 상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실시예에 따른 후면 연장부(3200)는 다음과 같이 벽고정대(3000)에 조립될 수 있다.
제1연장부(3210)가 변형되면서 제1연장부(3210)보다 단면적이 작은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의 입구(3031)를 통과한 다음,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 내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후면 연장부(3200)가 벽고정대(3000)에 조립된다.
이렇게 조립된 상태에서, 제2연장부(3220)의 상면과, 제3연장부(3230)의 상측과,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 상측으로 이루어진 공간과, 벽체 사이에 도 19와 같이 실리콘이 주입된다.
후면 연장부(3300)의 제3실시예를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였다. 제3실시예에 따른 후면 연장부(3300)는 제1연장부(3310)와 제2연장부(3320)와 제3연장부(3330)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3310)는 일자 형태로 수직하게 배치되되,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 입구(3031)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되어 있어, 후면 연장부 삽입부의 공간(3032) 내에 잘 걸릴 수 있다.
제2연장부(3320)는 일자 형태로 형성되되, 제1연장부(3310) 중간지점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어,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의 외부로 배치되는 부분이다.
제3연장부(3330)는 일자 형태로 형성되되, 제2연장부(3320) 끝단으로부터 위쪽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제3연장부(3330)의 끝단에는 위로 볼록한 형태의 돌출턱(33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3실시예에 따른 후면 연장부(3300)는 다음과 같이 벽고정대(3000)에 조립될 수 있다.
제1연장부(3310)가 변형되면서 제1연장부(3310)보다 단면적이 작은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의 입구(3031)를 통과한 다음,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 내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후면 연장부(3300)가 벽고정대(3000)에 조립된다.
이렇게 조립된 상태에서, 제2연장부(3320)의 상면과, 제3연장부(3330)의 상면과,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 상측으로 이루어진 공간과, 벽체 사이에 도 21과 같이 실리콘이 주입된다. 이때, 제3연장부(3330)의 돌출턱(3331)이 실리콘을 더 잘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후면 연장부(3400)의 제4실시예를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였다. 제4실시예에 따른 후면 연장부(3400)는 제1연장부(3410)와 제2연장부(3420)와 제3연장부(3430)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3410)는 일자 형태로 수직하게 배치되되,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 입구(3031)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도록 형성되어 있어,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 내에 잘 걸릴 수 있다.
제2연장부(3420)는 제1연장부(3410)의 중간지점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다가 분기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연장부(3420) 끝단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연장부(3420)는 사각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일측이 일자 형태로 제1연장부(3410)와 연결되어 있어,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의 외부로 배치될 수 있다.
제3연장부(3430)는 한 쌍의 제2연장부(3420) 중 상측에 배치된 제2연장부(3420)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어느 정도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3연장부(3430)는 한 쌍의 제2연장부(3420)가 서로 연결된 면과 동일 평면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4실시예에 따른 후면 연장부(3400)는 다음과 같이 벽고정대(3000)에 조립될 수 있다.
제1연장부(3410)가 변형되면서 제1연장부(3410)보다 단면적이 작은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의 입구(3031)를 통과한 다음,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 내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후면 연장부(3400)가 벽고정대(3000)에 조립된다.
이렇게 조립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제2연장부(3420) 중 상측에 배치된 제2연장부(3420) 상면과, 제3연장부(3430)와,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 상측으로 이루어진 공간과, 벽체 사이에 도 23과 같이 실리콘이 주입된다.
후면 연장부(3500)의 제5실시예를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였다. 제5실시예에 따른 후면 연장부(3500)는 제1연장부(3510)와 제2연장부(3520)와 제3연장부(3530)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351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한 조로 구성되고, 각 제1연장부(3510)의 일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3511)이 형성되어 있다. 제5실시예에서 걸림턱(3511)은 제1연장부(3510)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일자 형태로 돌출되어 있어,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의 내벽면과 맞닿아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 내에 잘 걸릴 수 있다.
제2연장부(3520)는 한 조의 제1연장부(3510) 타단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의 외부로 배치되는 부분이다. 이때, 한 조의 제2연장부(3520) 사이의 간격은 한 조의 제1연장부(3510)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간격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한 조의 제2연장부(3520) 중 상측에 배치된 제2연장부(3520)는, 한 조의 제1연장부(3510) 중 상측에 배치된 제1연장부(3510)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연장된다. 한 조의 제2연장부(3520) 중 하측에 배치된 제2연장부(3520)는, 한 조의 제1연장부(3510) 중 하측에 배치된 제1연장부(3510)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다가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측에 배치된 제2연장부(3520)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연장된다.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조의 제2연장부(3520) 끝단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연장부(3520)는 일측으로 개방된 사각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제3연장부(3530)는 한 조의 제2연장부(3520) 중 상측에 배치된 제2연장부(3520)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어느 정도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3연장부(3530)는 한 조의 제2연장부(3520)가 서로 연결된 면과 동일 평면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예에 따른 후면 연장부(3500)는 다음과 같이 벽고정대(3000)에 조립될 수 있다.
나란하게 배치된 한 조의 제1연장부(3510)를 손으로 눌러주어 한 조의 제1연장부(351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도록 한 다음,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의 입구(3031)를 통하여 공간(3032) 내로 삽입하고, 잡고 있던 한 조의 제1연장부(3510)를 놓으면 탄성에 의해 한 조의 제1연장부(3510) 사이의 간격이 회복되면서 걸림턱(3511)이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 내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후면 연장부(3500)가 벽고정대(3000)에 조립된다.
한편, 벽고정대(3000)가 지붕판(4000)의 수축으로 앞쪽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7과 같이 벽고정대(3000)와 맞닿는 부분인 브라켓 본체(1000)의 지붕판 안착부(1020)와 지붕판 덮개바(1550) 내측에 단턱(1026, 1551) 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벽고정대(3000)의 가장자리가 지붕판 안착부(1020)에 형성된 단턱(1026)과, 지붕판 덮개바(1550)에 형성된 단턱(1551)에 걸려 앞쪽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벽고정대(3000)가 지붕판 지붕판(4000)의 수축으로 앞쪽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로서, 도 28과 같이 지붕판 덮개바(1550) 내측에 돌기(155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벽고정대(3000)의 상측 가장자리가 지붕판 덮개바(1550)에 형성된 돌기(1553)에 걸려 앞쪽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지붕판 덮개바(1500)가 브라켓 본체(1000)와는 별도로 마련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붕판 덮개바(1550)가 브라켓 본체(100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지붕판 덮개바(1550)의 일단이 브라켓 본체(1000)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지붕판 덮개바(1550)의 타단은 브라켓 본체(1000)의 타단에 체결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시스템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 본체(1000)에 벽고정 베이스판(2000)을 조립한다. 이때, 브라켓 본체(1000)의 전후면을 지지하는 제2보조지지편(1700)을 함께 조립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한 브라켓 본체(1000)의 일단면에 형성된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1031)과, 도 13에 도시한 제2보조지지편(1700)의 제2맞물림홈(1710)이 서로 맞물리도록 제2보조지지편(1700)을 브라켓 본체(1000)에 조립한다. 그런 다음, 한 쌍의 벽고정 베이스판(2000)이 브라켓 본체(1000)의 전후면에 각각 배치되도록 하고, 도 13에 도시한 한 쌍의 벽고정 베이스판(2000)의 베이스판 장착부(2100)에 각각 형성된 베이스판 체결구멍(2110)과, 도 2에 도시한 브라켓 본체(1000)의 브라켓 체결구멍(1030)에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한 쌍의 벽고정 베이스판(2000)이 브라켓 본체(10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도 14와 같이 제2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730)는 한 쌍의 벽고정 베이스판(2000)에 의해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2300)에 삽입되고,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2300) 내에 위치한 제2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730)를 벽고정 베이스판(2000)에 용접함으로써, 제2보조지지편(1700)이 브라켓 본체(1000)의 전후면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 본체(1000)에 브라켓 보강판(1200)을 조립한다. 이때, 브라켓 보강판(1200)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보조지지편(1100)을 함께 조립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한 브라켓 본체(1000)의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1021)과, 도 6에 도시한 제1보조지지편(1100)의 제1맞물림홈(1110)이 서로 맞물리도록 제1보조지지편(1100)을 브라켓 본체(1000)에 조립한다. 그런 다음, 브라켓 보강판(1200)을 브라켓 본체(1000)의 지붕판 안착부(1020)를 따라 배치하면, 도 25와 같이 보강판 용접구멍(1210) 내에 브라켓 용접돌출부(1022)와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120)가 동시에 삽입되고, 끝단 용접구멍(1240) 내에 끝단 용접돌출부(1025)가 삽입되며, 중간고정대 용접구멍(1220) 내에 위치한 중간고정대 안착부 용접돌출부(1024)가 삽입된다. 중간고정대 용접구멍(1220) 내에 위치한 중간고정대 안착부 용접돌출부(1024)를 제외하고, 보강판 용접구멍(1210) 내에 위치한 브라켓 용접돌출부(1022) 및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120)를 동시에 브라켓 보강판(1200)에 용접하고, 끝단 용접구멍(1240) 내에 위치한 끝단 용접돌출부(1025)를 브라켓 보강판(1200)에 용접함으로써, 브라켓 보강판(1200)이 브라켓 본체(100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붕판 안착부(1020)를 따라 브라켓 보강판(1200)의 상측에 지붕판 덮개바(1500)와 앞고정대 고정편(1600)을 배치한다. 이때, 지붕판 덮개바(1500)의 절곡부(1530)는 덮개바 끼움부(2200)의 절개부(2210)에 끼워지고, 절개부(2210)의 입구측(2211)은 덮개바 끼움부 고정구멍(1531)에 삽입된다. 또한, 앞고정대 고정편(1600)의 앞고정대 고정편 고정구멍(1631)에는 브라켓 본체(1000)의 연장부(1045)가 삽입된다. 그리고 지붕판 덮개바(1500)의 제1체결부(1510)와 앞고정대 고정편(1600)의 제2체결부(161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이며,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벽고정 베이스판(2000)과 브라켓 보강판(1200)을 조립하고, 지붕판 덮개바(1500)와 앞고정대 고정편(1600)을 배치한 도 26과 같은 브라켓 본체(1000)는 이 상태로 차양시스템 시공현장에 납품된다.
이후 차양시스템 시공현장에서 도 26과 같이 납품된 브라켓 본체(1000)를 셋트앙카와 직결피스 등을 이용하여 벽에 고정시킨다.
벽고정대(3000), 중간고정대(1300), 앞고정대(1400)의 원할한 조립을 위하여 지붕판 덮개바(1500)와 앞고정대 고정편(1600)을 브라켓 본체(100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먼저 벽고정대(3000)를 조립한다. 도 15와 같이 벽고정대(3000)와 벽 사이에 배치되는 후면 연장부(3100)는, 벽고정대(3000)가 벽고정 베이스판(2000)과 맞닿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벽고정대(3000)와 벽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필요한 길이만큼의 후면 연장부(3100)를 절단한 다음, 후면 연장부(3100)의 제1연장부(3110)를 벽고정대(3000)의 후면 연장부 삽입부(3030)에 삽입한다. 따라서, 벽고정대(3000)의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 연장부(3100)는 후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중간에 후면 연장부(3100)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는데, 이렇게 후면 연장부(3100)가 배치되지 않는 벽고정대(3000)의 후면에 벽고정 베이스판(2000)이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후면 연장부(3100)가 조립된 상태의 벽고정대(3000)를 브라켓 본체(1000)의 지붕판 안착부(1020) 상측에 배치하면, 후면 연장부(3100)가 배치되지 않는 벽고정대(3000)의 후면에 벽고정 베이스판(2000)이 배치됨으로써, 벽고정대(3000)는 벽고정 베이스판(2000)을 가로지르며 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1과 같이 브라켓 본체(1000)의 중간고정대 안착부(1023)에 중간고정대(1300)를 안착시킨 후 중간고정대 고정 체결구멍(1230)에 체결수단을 체결수단을 체결하고, 중간고정대 용접구멍(1220) 내에 위치한 중간고정대 안착부 용접돌출부(1024)를 브라켓 보강판(1200)에 용접함으로써, 중간고정대(1300)가 브라켓 본체(100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앞고정대 안착부(1040)에 앞고정대(1400)를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지붕판(4000)을 지붕판 안착부(1020)에 안착시키는데, 지붕판 안착부(1020)에는 브라켓 보강판(1200)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브라켓 보강판(1200)의 상측에 지붕판(4000)이 위치한다. 이때, 지붕판(4000)의 일측 가장자리는 벽고정대(3000)의 지붕판 삽입부(3010)에 끼워지고, 지붕판(4000)의 타측 가장자리는 앞고정대(1400)의 지붕판 끼움부(1451)에 끼워진다.
다음으로, 브라켓 본체(1000)로부터 분리하였던 지붕판 덮개바(1500)와 앞고정대 고정편(1600)을 지붕판 안착부(1020)를 따라 배치하는데, 지붕판 안착부(1020)에는 브라켓 보강판(1200)과 지붕판(4000)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지붕판(4000)의 상측에 지붕판 덮개바(1500)와 앞고정대 고정편(1600)이 위치한다.
지붕판 덮개바(1500)의 절곡부(1530)는 덮개바 끼움부(2200)의 절개부(2210)에 끼워지고, 절개부(2210)의 입구측(2211)은 덮개바 끼움부 고정구멍(1531)에 삽입되며, 앞고정대 고정편(1600)의 앞고정대 고정편 고정구멍(1631)에는 브라켓 본체(1000)의 연장부(1045)가 삽입된다.
그리고 지붕판 덮개바(1500)의 제1체결부(1510)와 앞고정대 고정편(1600)의 제2체결부(161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 제1체결구멍(1511)과 제2체결구멍(1631)에 체결수단을 체결하면, 앞고정대 고정편(1600)의 앞고정대 안착부(1040) 상부에 배치되는 '시옷자' 형상 부분(1631)이 앞고정대(1400)를 눌러줌으로써 앞고정대(1400)가 고정되고, 지붕판 덮개바(1500)가 지붕판(4000)을 눌러줌으로써 지붕판(40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의 차양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보강판 용접구멍(1210) 내에 위치한 브라켓 용접돌출부(1022) 및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1120)를 동시에 브라켓 보강판(1200)에 용접함에 따라, 용접효율을 높일 수 있고, 지붕판 덮개바(1500)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변형, 변색을 예방하여 미관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제1보조지지편(1100)만 삽입했을 경우 제1보조지지편(1100)이 흔들리거나 내구력이 약하여 브라켓 보강판(1200)이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단단하게 브라켓 보강판(1200)을 지지할 수 있다.
지붕판 덮개바(1500)의 제1체결부(1510)와 앞고정대 고정편(1600)의 제2체결부(1610)를 체결하면, '시옷자' 형상의 앞고정대 고정편(1600)이 앞고정대(1400)를 눌러 앞고정대(14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뿐만 아니라, 지붕판, 앞고정대(1400), 벽고정대(3000)를 브라켓 본체(1000)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0 : 브라켓 본체 1020 : 지붕판 안착부
1021 :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 1022 : 브라켓 용접돌출부
1023 : 중간고정대 안착부 1024 : 중간고정대 안착부 용접돌출부
1040 : 앞고정대 안착부 1045 : 연장부
1046 : 앞고정대 고정편 고정홈 1100 : 제1보조지지편
1110 : 제1맞물림홈 1120 :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
1200 : 브라켓 보강판 1210 : 보강판 용접구멍
1220 : 중간고정대 용접구멍 1230 : 중간고정대 고정 체결구멍
1300 : 중간고정대 1400 : 앞고정대
1451 : 지붕판 끼움부 1453 : 앞고정대 고정편 지지대
1500 : 지붕판 덮개바 1510 : 제1체결부
1530 : 절곡부 1531 : 덮개바 끼움부 고정구멍
1600 : 앞고정대 고정편 1610 : 제2체결부
1631 : 앞고정대 고정편 고정구멍 1700 : 제2보조지지편
1710 : 제2맞물림홈 1730 : 제2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
2000 : 벽고정 베이스판 2200 : 덮개바 끼움부
3000 : 벽고정대 3010 : 지붕판 삽입부
3030 : 후면 연장부 삽입부 3100 : 후면 연장부
3110, 3210, 3310, 3410 : 제1연장부 3111 : 걸림턱
3120, 3220, 3320, 3420 : 제2연장부 3130, 3230, 3330, 3430 : 제3연장부
3331 : 돌출턱 4000 : 지붕판

Claims (9)

  1. 지붕판;
    상측에 상기 지붕판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지붕판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붕판 안착부에는 상부와 전후면으로 개방된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붕판 안착부의 상기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 외측으로 각각 브라켓 용접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
    상기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보조지지편 삽입홈과 맞물리는 제1맞물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 용접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보조지지편; 및
    상기 지붕판 안착부를 따라 배치되되, 상기 지붕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 용접돌출부와 상기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가 동시에 삽입되는 보강판 용접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보강판;을 포함하여,
    상기 보강판 용접구멍 내에 위치한 상기 브라켓 용접돌출부 및 상기 제1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를 동시에 상기 브라켓 보강판에 용접하고,
    상기 브라켓 본체를 벽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며, 상기 브라켓 본체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한 쌍으로 구성되는 벽고정 베이스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각 벽고정 베이스판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면과 전후면으로 개방된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 본체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과 맞물리는 제2맞물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후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보조지지편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보조지지편;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2보조지지편 끼움홈 내에 위치한 상기 제2보조지지편 용접돌출부를 상기 벽고정 베이스판에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에는,
    상기 지붕판 안착부에 상부와 전후면으로 개방된 중간고정대 안착부와,
    상기 지붕판 안착부의 상기 중간고정대 안착부 외측으로 각각 중간고정대 안착부 용접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 보강판에는,
    상기 중간고정대 안착부 용접돌출부가 삽입되는 중간고정대 용접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 본체는 다수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브라켓 본체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고정대 안착부에 일부분이 안착되는 중간고정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중간고정대 용접구멍 내에 위치한 상기 중간고정대 안착부 용접돌출부를 상기 브라켓 보강판에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보강판에는,
    상기 중간고정대 안착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중간고정대 고정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고정대는,
    상기 중간고정대 안착부의 상부로 개방된 면에 위치하는 면의 단면이 '브이'자 형상으로 함몰되어 있어,
    상기 중간고정대 고정 체결구멍을 관통한 체결수단은 상기 중간고정대의 '브이'자 형상으로 함몰된 부분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판의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지붕판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앞고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본체에는,
    상기 지붕판 안착부의 일단에 상부로 개방되어 상기 앞고정대가 안착되는 앞고정대 안착부와,
    상기 앞고정대 안착부 외측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앞고정대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앞고정대의 상측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붕판 안착부를 따라 배치되되, 상기 지붕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앞고정대 안착부와 이격하도록 배치되고, 일단에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붕판 덮개바; 및
    상기 지붕판 덮개바가 배치되지 않은 상기 지붕판 안착부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지붕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단에는 상기 제1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앞고정대 안착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앞고정대 고정편 고정구멍이 형성된 앞고정대 고정편;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를 체결하면, 상기 앞고정대 고정편이 상기 앞고정대를 눌러 상기 앞고정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앞고정대 고정편은,
    상기 앞고정대 안착부 상부에 배치되는 부분이 '시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연장부가 상기 앞고정대 고정편 고정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앞고정대 고정편 고정구멍이 끼워지는 앞고정대 고정편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앞고정대는 단면이 원호 형상이고,
    상기 앞고정대에는,
    일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다가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고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상기 지붕판 끼움부와,
    타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다가 내측으로 절곡된 앞고정대 고정편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를 체결하면, 상기 앞고정대 고정편이 상기 앞고정대 고정편 지지대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판 덮개바에는,
    타단이 상측 사선으로 절곡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가 상기 지붕판 덮개부와 접하는 부분에 덮개바 끼움부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고정 베이스판에는,
    상기 절곡부가 끼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일부분이 덮개바 끼움부 고정구멍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덮개바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시스템.
  9. 삭제
KR1020200023158A 2020-02-25 2020-02-25 차양시스템 KR102472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158A KR102472884B1 (ko) 2020-02-25 2020-02-25 차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158A KR102472884B1 (ko) 2020-02-25 2020-02-25 차양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222A KR20210108222A (ko) 2021-09-02
KR102472884B1 true KR102472884B1 (ko) 2022-12-01

Family

ID=7779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158A KR102472884B1 (ko) 2020-02-25 2020-02-25 차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8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142B1 (ko) * 2014-06-25 2015-04-24 주식회사 비가림 고정대, 덮개바, 고정편 및 차양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896A (ko) * 2016-03-22 2017-10-10 주식회사 엔디시 물받이 일체형 차양 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142B1 (ko) * 2014-06-25 2015-04-24 주식회사 비가림 고정대, 덮개바, 고정편 및 차양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222A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5446A (en) Longitudinal facing, facing retainers, and facing structure having facing and facing retainers
US6170215B1 (en) Siding panel with interlock
KR101367660B1 (ko) 차양시스템용 차양브라켓
KR101355881B1 (ko) 태양전지 모듈의 고정구조, 태양전지 모듈용의 프레임 및 고정부재
US7926236B2 (en) Light transmission panels, retaining clip and a combination thereof
ES2431942T3 (es) Un sistema modular para una estructura de fachada
US6799398B1 (en) Modular system for securing flat panels to a curved support structure
KR101903727B1 (ko) 지붕일체형 패널시스템
KR100973565B1 (ko) 차양구조물용 몰딩바 및 그를 이용한 차양구조물
US20210348633A1 (en) Pin
ES2829210T3 (es) Dispositivo de fijación de lamas con panel de rejilla rígido, kit de fijación de lamas con panel de rejilla rígido y valla de ocultación equipada con dicho kit
KR102472884B1 (ko) 차양시스템
KR100983562B1 (ko) 조립식 구조물
KR102472871B1 (ko) 차양시스템
KR20160031708A (ko) 브라켓, 고정대, 덮개바, 보강대 및 차양시스템
KR20230010328A (ko) 차양 장치
KR20160031705A (ko) 차양시스템
KR101278147B1 (ko) 차양시스템용 차양 브라켓
US20080276552A1 (en) Adaptor
CN110195493B (zh) 用于建筑屋面的夹具
KR101827989B1 (ko) 덮개바 및 차양시스템
EP4277117A1 (en) Drainage clip for a solar panel
EP0851069B1 (en) A profiled sheet-metal roofing element for buildings
KR20160031711A (ko) 브라켓, 고정대, 덮개바, 보강대 및 차양시스템
EP0129357A2 (en) Roof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