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231B1 - 경편직기 - Google Patents

경편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231B1
KR100852231B1 KR1020067026049A KR20067026049A KR100852231B1 KR 100852231 B1 KR100852231 B1 KR 100852231B1 KR 1020067026049 A KR1020067026049 A KR 1020067026049A KR 20067026049 A KR20067026049 A KR 20067026049A KR 100852231 B1 KR100852231 B1 KR 100852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p knitting
knitting machine
arms
machine accord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2732A (ko
Inventor
한스-위르겐 훼네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067026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231B1/ko
Publication of KR20070022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26Shogg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16Warp beams; Bearing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8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breakage, misplacement, or malfunctioning of knitting instru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9/00Knitting processes,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베어링에 의하여 마운트(7)에 고정되며 상기 마운트(7)에 대해서 기계방향(6)으로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바(2)를 포함하는 경편직기(1)가 개시된다. 상기 경편직기를 고속의 작업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어링은 평면 베어링(11)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경편직기{Warp knitting loom}
본 발명은 베어링에 의하여 마운트에 고정되며 상기 마운트에 대해서 기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바(guide bar)를 포함하는 경편직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경편직기는 예를 들어, DE 38 28 469 A1으로부터 개시되어 있다.
가이드 바(guide bar)는 가이드 바늘을 운반한다. 가이드 바늘은 편물 동작중에 실을 하나 또는 다수의 편물 바늘 주위로 안내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바늘을 기계방향으로 앞뒤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인접한 편물 바늘 사이의 바늘 통로를 통해서 안내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이드 바늘은 상기 기계방향을 가로질러서도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마지막 동작이 일반적으로 마운트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안, 기계방향으로의 상기 가이드 바늘의 동작은 구동부에 의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구동부는 직접 선형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DE 38 28 469 A1으로부터 개시된 경우, 상기 가이드 바늘은 태핏(tappet)에 의하여 구동되며, 상기 태핏은 다시 곡선 디스크에 의해 동작한다.
경편직기의 작업속도가 빨라질수록, 상기 가이드 바늘은 더욱 강하게 기계 방향으로 가속화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과거에는 상기 가이드 바늘의 크기를 가능한한 많이 줄였다. 물론, 작은 크기의 가이드 바늘에서도 작업속도의 한계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속의 작업속도를 갖는 경편직기를 구동할 수 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처음에 언급한 종류의 경편직기에서 베어링이 평면 베어링으로 형성됨으로써 해결된다.
평면 베어링은 경편직기에서 지금까지 사용된 원형 안내부보다는 더 높은 가속을 수용할 수 있다. 다시 상기 가이드 바의 가속과 맞는 상대적으로 작은 중량을 갖는 비교할만한 기타 특성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경편직기를 고속의 작업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면 베어링은 상기 마운트에 고정되는 제1 평면부, 및상기 가이드 바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평면부와 슬라이딩 접촉되는 제2 평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면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플라스틱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평면부의 평면 베어링을 함께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으로 인해 마찰없이 작용하는 평면부를 선택하면, 손실없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평면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작아질수록, 상기 가이드 바의 가속에 대항하는 저항이 줄어든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가이드 바를 가속화하기 위한, 상대적으로 높은 크기로 사용할 수 있는 구동력을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으로, PA, POM, PMMA, PEEK 또는 세라믹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플라스틱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스틱은 섬유강화된 것이며, 특히, 탄소 섬유에 의해 섬유강화된 것이다.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은 가볍고 안정적이다. CFRP를 사용할 때,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평면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섬유는 필요한 기계적인 강화에 영향을 준다. 탄소 섬유를 사용할 때, 상기 두 개의 평면부의 마찰 베어링이 함께 악화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을 포함한다.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은 함께 슬라이딩하는 부분들 사이의 마찰을 더욱 저하시키는 플라스틱이다. 일반적으로, PTFE를 얇게 도포하는 것은 평면성(planarity)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하다. 일반적으로, PTFE가 사용되므로, 장기적으로도 양호한 평면 베어링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면 베어링은 상기 마운트에 고정되는 운반부, 및 상기 가이드 바에 고정된 운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부는 서로 대향한 측면으로부터 상기 운반부재에 인접한 두 개의 암(arm)을 포함한다. 즉, 상기 운반부재는 상기 운반부의 두 개의 암 사이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상에서의 상기 두 개의 평면부 사이의 접촉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운반부재는 상기 운반부에 의해 광범위하게 둘러싸여서는 안된다. 상기 암에 의해 접촉되지 않는 평면영역이 상기 운반부재에 머무를 수 있다. 이것 또한, 마찰을 줄이고 동시에 상기 평면 베어링을 변형하기 위한 수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은 상기 운반부재의 일측상에서만 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서, 소정의 바이어스를 갖는 상기 두 개의 암을 상기 운반부재에 작용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안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다시 말해서, 상기 평면 베어링 내에서의 동작을 간단한 수단에 의하여 신뢰성있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암 사이의 연결이 일측상에서만 구비되므로, 상기 암은 또다른 말단에서 분리되어 또는 함께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바이어스는 절대적으로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은 상기 운반부재의 영역에서 상기 운반부재가 안내된 홈을 포함한다. 상기 운반부재에 지나치게 큰 조이는 힘을 가할 필요없이, 상기 운반부재는 이와 같이 상기 암 사이의 기계방향으로만 안내되는 것뿐만 아니라 중력방향으로 지지된다. 이로 인해, 상기 평면 베어링이 더욱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은 상기 홈의 영역에서 만곡부를 포함하는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암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프레스 형태로 변형된 플레이트만이 필요하다. 이러한 변형을 통해서, 상기 홈은 사후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자동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암은 중간편에 고정된다. 상기 암에 플라스틱, 특히, CFRP가 사용되면, 상기 암을 가열가능한 프레스 형태로 제조한다. 상기 프레스 형태는 상기 암을 제조할 때 필요한 고정밀도를 가능케 한다. 섬유를 포함한 상기 플라스틱만을 상기 프레스 형태로 삽입하고, 상기 프레스 형태를 가열하며 그리고 나서, 상기 플라스틱을 경화해야 한다. 사후처리는 필요하지 않다. 상기 암을 상기 중간편에 고정하므로, 상기 중간편은 상기 마운트로의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물론 이것이 가능하지 않더라도, 상기 중간편은 더 이상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서는 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편은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경금속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편은 각각의 암에 대해서 상기 암에 삽입된 제거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상기 암을 기계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 상기 중간편 내에서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기계방향으로는 암과 중간편 사이의 외견상 형태맞춤식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은 상기 제거부 외부에서, 상기 중간편에 인접한 확대부를 각각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암은 상기 중간편에 대해서 상기 기계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보호되는데, 즉, 상기 암은 상기 기하형태에 의하여 두 개의 방향으로 상기 중간편과 형태맞춤식으로 연결된다.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예를 들어, 나사 또는 유사한 고정부재가 작용할 수 있으며, 상기 나사 또는 유사한 고정부재는 상기 암을 상기 중간편에 연결한다.
여기서, 확대부는 상기 만곡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즉, 추가적인 확대부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상기 홈을 형성하는 만곡부를 동시에 상기 중간편과 상기 암을 서로에 대해서 위치적절하게 배치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동시에 상기 홈을 기계방향으로 신장하고 상기 운반부재를 상대적으로 긴 거리로, 측면으로 안내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암은 종축에 대해서 거울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 내에서 변경을 수행할 필요없이, 동일한 형태의 암을 상기 중간편의 양측면상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반부재는 상기 가이드 바에 고정된 긴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상기 홈으로 인해, 복잡한 기하형태가 필요하지 않다. 긴 플레이트는 간단히 완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마찬가지로, 프레스 형태로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는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특히, CFRP로 형성할 수 있다. 그 두께는 상기 암 내의 홈의 내부 폭에 상응한다.
이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하여 도면들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가이드 바를 구비하는 경편직기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3의 절개선(II-II)에 따른 평면 베어링을 도시하고,
도 3은 상기 평면 베어링의 전면을 도시한다.
도 1은 경편직기(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경편직기(1)는 가이드 바(2)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바(2)는 안내 레일로도 특징지워질 수 있으며, 상기 안내 레일에는 다수의 가이드 바늘(3)이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바(2)는 곡선 디스크(4) 및 복원 스프링(5)에 의하여 기계방향(6), 즉, 상기 가이드 바늘(3)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방향으로 앞뒤로 구동된다. 상기 곡선 디스크(4) 및 상기 복원 스프링(5)에 의한 구동 대신에, 물론, 예를 들어, 선형 모터와 같은 또다른 구동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2)는 다수의 마운트(7)에 고정된다. 상기 마운트(7)는 회전축(8)에 회전고정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회전축(8)이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바(2)는 상기 마운트(7)에 의해 함께 회전된다. 상기 가이드 바늘(3)은 이러한 방식의 동작시 편물 바늘(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의 바늘 통로를 통하여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8)은 기계적으로 설치된 베어링(9)에 배치되며 회전구동부(10)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가이드 바(2)를 기계방향(6)으로 상기 마운트(7)에 대해서 위치전환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 바(2)를 다수의 평면 베어링(11)에 의하여 상기 마운트(7)에 고정한다. 이제, 상기 평면 베어링(11)은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바(2)는 운반부재(12)를 포함한다. 상기 운반부재(12)는 나사(13)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바(2)에 연결된다. 상기 운반부재(12)는 양측으로 상기 가이드 바(2) 위로 돌출한다. 즉, 상기 운반부재(12)는 도 2와 관련하여 표시면에 수직인 기계방향(6)을 가로질러 상기 가이드 바(2) 위로 돌출한다.
상기 운반부재(12)는 섬유강화된 플라스틱, 예를 들어, 탄소섬유강화된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또는 CFRP로 형성된다. 상기 운반부재(12)는, 예를 들어, 프레스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스 형태에는 탄소섬유를 구비한 플라스틱 물질이 채워진다. 상기 프레스 형태는 가열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플라스틱은 상기 프레스 형태에 의하여 자체의 형태로 삽입된다. 냉각시, 상기 플라스틱은 경화되며 상기 운반부재(12)를 긴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한다. 플라스틱으로, 예를 들어, 독일 비스바덴 소재 SGL 카본 아게(SGL Carbon AG)의 "SIGRATEX PREPREG CE 1211-255-39" 표시로 제공된 프레프레그(Prepreg)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운반부재(12)는 두 개의 암(14, 15)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암(14, 15)은 중간편(16)에 고정된다. 상기 운반부재(12)와 접촉하는 상기 암(14, 15)의 영역은 제1 평면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1 평면부와 접촉하는 상기 운반부재(12)의 영역은 제2 평면부를 형성한다.
각각의 암(14, 15)은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중간편에 접속할 때 하부에서 만곡부(17)를 구비한다. 상기 만곡부(17)는 상기 운반부재(12)가 안내되는 홈(18)을 형성한다. 상기 운반부재(12) 하부에는 상기 암(14, 15)이 서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상기 암(14, 15)은 작은 바이어스에 의하여 상기 운반부재(12)에 대해서 압박할 수 있다. 상기 암(14, 15)의 하부 부분은 상기 가이드 바(2)를 안내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바(2)는 측면으로 지지된다.
상기 암(14, 15)도 섬유강화된 플라스틱, 특히, CFRP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암(14, 15)은 마찬가지로 가열가능한 프레스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조공정중, 상기 홈(18) 및 개구부(19)를 구비한 상기 만곡부(17)가 형성된다. 상기 암(14, 15)을 상기 중간편(16)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홈(18) 및 상기 개구 부(19)에 의하여 나사 볼트(20)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19)는 수직으로 진행하는 대칭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므로(도 3과 관련), 상기 암(14, 15)을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간편(16)은 기계방향(6)으로 상기 암(14)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부(21, 22)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21, 22) 사이에는 상기 암(14, 15)이 삽입되는 제거부가 각각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암(14, 15)은 기계방향(6)으로 상기 중간편(16)에 형태맞춤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암(14, 15)은 상기 중간편(16) 상부 및 하부에서 확대된다. 상기 하부 확대부는 상기 만곡부(17)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부 말단에서 상기 암(14, 15)은 확대부(23)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암(14, 15)은 수직방향으로도 실제적으로 형태맞춤식으로 상기 중간편(16)에 고정된다.
상기 중간편(16)은 기계방향(6)으로 진행하는 홀(24, 25)을 구비한다. 상기 중간편(16) 및 상기 평면 베어링(11)을 상기 마운트(7)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홀(24, 25)을 통하여 볼트(상세히 도시되지 않음)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암(14, 15) 및 상기 운반부재(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섬유강화된 플라스틱, 특히,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CFRP)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14, 15)과 상기 운반부재(12)가 모두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평면부도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조는 프레스 형태로 수행된다. 상기 제조공정중, 상기 프레스 형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를 구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프레스 형태의 표면에 기름칠을 할 수 있다. 상기 암(14, 15)과 상기 운반부재(12)를 상기 프레스 형태로 형성할 때, 소량의 PTFE가 상기 암(14, 15)과 상기 운반부재(12)의 표면에 남아서 걸려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암(14, 15)에 대한 상기 운반부재(12)의 평면성이 향상된다.
상기 프레스 형태에 의하여, 상기 암(14, 15) 및 상기 운반부재(12)는 비교적 높은 정밀도로 제조될 수 있다. 사후처리는 실제적으로 필요하지 않다. 상기 암(14, 15)은 단지 일측으로만 상기 중간편(16)에 고정되므로, 상기 제조공정중 남아있는 정밀하지 않음을 감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암(14, 15)은 상기 운반부재(12)를 작은 조이는 힘으로 잡을 수 있다. 이러한 조이는 힘은 동작이 일어나지 않을 만큼의 크기여야 한다. 상기 조이는 힘은 상기 운반부재(12)와 상기 두 개의 암(14, 15) 사이의 마찰을 현저히 증가시키지 않을 만큼 충분히 작다. 상기 홈(18)은 상기 운반부재(12)를 상기 중력에 대해서 지지한다. 상기 운반부재(12)가 상기 가이드 바(2)에 연결되고 상기 암(14, 15)이 상기 마운트(7)에 연결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상기 운반부재(12)가 상기 마운트(7)에 연결되고 상기 암(14, 15)이 상기 가이드 바(2)에 연결되는 배치도 가능하다.

Claims (15)

  1. 삭제
  2. 베어링에 의하여 마운트(7)에 고정되며 상기 마운트(7)에 대해서 기계방향(6)으로 변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바(2)를 포함하는 경편직기(1)로서,
    상기 베어링은 평면 베어링(11)으로 형성되고,
    상기 평면 베어링(11)은,
    상기 마운트(7)에 고정되는 제1 평면부; 및
    상기 가이드 바(2)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평면부와 슬라이딩 접촉되는 제2 평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면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섬유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직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직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베어링(11)은,
    상기 마운트(7)에 고정되는 운반부; 및
    상기 가이드 바(2)에 고정된 운반부재(12)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부는 서로 대향한 측면으로부터 상기 운반부재(12)에 인접한 두 개의 암(arm)(14, 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14, 15)은 상기 운반부재(12)의 일측상에서만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직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14, 15)은 상기 운반부재(12)의 영역에서 상기 운반부재(12)가 안내된 홈(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14, 15)은 상기 홈(18)의 영역에서 만곡부(17)를 포함하는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직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14, 15)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상기 암(14, 15)은 중간편(1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편(16)은 각각의 암(14, 15)에 대해서 상기 암(14, 15)에 삽입된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암(14, 15)은 상기 제거부 외부에서, 상기 중간편(16)에 인접한 확대부(23)를 각각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경편직기.
  12. 제11항에 있어서, 확대부는 상기 만곡부(17)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직기.
  13.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암(14, 15)은 종축에 대해서 거울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직기.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재(12)는 상기 가이드 바(2)에 고정된 긴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직기.
  1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은 탄소 섬유에 의해 섬유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직기.
KR1020067026049A 2006-12-11 2004-06-12 경편직기 KR100852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6049A KR100852231B1 (ko) 2006-12-11 2004-06-12 경편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6049A KR100852231B1 (ko) 2006-12-11 2004-06-12 경편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732A KR20070022732A (ko) 2007-02-27
KR100852231B1 true KR100852231B1 (ko) 2008-08-13

Family

ID=4163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049A KR100852231B1 (ko) 2006-12-11 2004-06-12 경편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2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3061A (en) 1948-04-13 1950-12-05 Whitin Machine Works Warp knitting machine
US5067332A (en) * 1988-08-22 1991-11-26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Guide bar bearing for warp knitting machines
DE10041192A1 (de) 2000-08-23 2002-03-14 Mayer Textilmaschf Musterlegebarrenanordnung für Kettenwirkmaschin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3061A (en) 1948-04-13 1950-12-05 Whitin Machine Works Warp knitting machine
US5067332A (en) * 1988-08-22 1991-11-26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Guide bar bearing for warp knitting machines
DE10041192A1 (de) 2000-08-23 2002-03-14 Mayer Textilmaschf Musterlegebarrenanordnung für Kettenwirkmasch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732A (ko) 200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4444B1 (en) Injection unit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WO2010062950A2 (en) Actuator for elevator doors, elevator door arrangement including same and methods
US5783231A (en) Mold closing device without cross-beam
KR100731897B1 (ko) 블로성형기
CN210376002U (zh) 柔性产品单轴弯折性能测试设备
KR100852231B1 (ko) 경편직기
EP1747844A2 (en) Endless chain for conveying articles to be processed, driven by a linear motor
CN102021740B (zh) 针织机
US20080040893A1 (en) Combing means for a comb of a combing machine
CN101880938A (zh) 经编机
KR100679680B1 (ko) 리니어 가이드
KR20110076440A (ko) 용접 기능을 갖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US20090301138A1 (en) Needle-drive knock-over sinker
JP2008502818A (ja) 経編機
JP2005289002A (ja) 射出成形機の型締機構
JP6147813B2 (ja) 射出装置の駆動装置のフレーム
KR102337561B1 (ko) 사출성형기
JP5808286B2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および射出装置
JP4594717B2 (ja) 成形機
EP0393750A2 (en) Main lever for a rotary dobby operating at high speed
CN101922086A (zh) 针织机
US20010002580A1 (en) Sewing apparatus for producing a seam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FR3092592B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pièce en matériau composite à matrice renforcée et dispositif de mise en œuvre
WO2024095552A1 (ja) 揺動テーブル
JP6355938B2 (ja) ブラケットを備えたステー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