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197B1 - 평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평판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197B1
KR100851197B1 KR1020070022940A KR20070022940A KR100851197B1 KR 100851197 B1 KR100851197 B1 KR 100851197B1 KR 1020070022940 A KR1020070022940 A KR 1020070022940A KR 20070022940 A KR20070022940 A KR 20070022940A KR 100851197 B1 KR100851197 B1 KR 100851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s
scan
signal
line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2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197B1/ko
Priority to US11/858,384 priority patent/US844655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6Cell terminals locat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선의 길이에 따른 저항 차를 감소시키고 구동 회로부에서 분기되는 배선그룹들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신호선들의 저항값을 안정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한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평판 표시장치는, 신호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신호선들로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 회로부와, 상기 신호선들이 적어도 두 개의 배선그룹으로 분기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로부터 상기 화소들로 연결되는 분기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배선그룹들 중 두 배선그룹의 경계에 위치한 신호선들 간의 단위길이당 저항 차는 상기 두 배선그룹 내에 포함된 인접 신호선들 간의 평균 저항 차 사이의 값으로 설정된다.

Description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판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동 회로부에서 분기되는 신호선들의 확대 배치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신호선들을 형성하는 경우, 신호선들의 단위길이당 저항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신호선들을 형성하는 경우, 신호선들의 단위길이당 저항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평판 표시장치가 수동형 액정 표시장치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평판 표시장치가 능동형 액정 표시장치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평판 표시장치가 수동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평판 표시장치가 능동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표시패널 110: 표시부
115: 화소 120: 구동 회로부
A : 분기영역 G : 배선그룹
본 발명은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선의 길이에 따른 저항 차를 감소시키고 구동 회로부에서 분기되는 배선그룹들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신호선들의 저항값을 안정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한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Device) 및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평판 표시장치들 중 액정 표시장치는 외부의 백라이트로부터 발생하는 빛의 투과여부를 제어하면서 화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장치는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대면적의 화상을 높은 해상도로 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분야 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발생하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빠른 응답속도를 가짐과 동시에 낮은 소비전력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장치 및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된 화소들이 형성된 표시부와,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 및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구동 회로부는 표시부가 형성되는 표시패널의 가장자리 부분 또는 표시패널과 접속되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등에 위치하며,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 등의 신호선들의 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을 위해서 신호선들의 단부는 좁은 영역에 밀집되어 구동 회로부와 접속된다. 이에 비해, 화소들이 형성되는 표시부에서는 각각의 신호선들이 화소의 크기에 따라 정해지는 간격을 유지해야 하므로, 구동 회로부와 연결되는 단부에 비하여 인접 신호선과의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표시부와 구동 회로부 사이의 영역에서는 신호선 사이의 간격이 부챗살 모양으로 점점 넓어지거나, 혹은 일부 신호선들끼리 배선그룹을 형성하며 분기되는 영역(이하, 분기영역이라 하기로 함)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분기영역의 중앙부에 위치한 신호선들은 방향 변화없이 거의 직진 하지만, 분기영역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신호선들이 꺾이는 각도가 커진다. 따라서, 신호선들의 길이가 서로 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각 신호선들의 저항값이 상이해져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각 화소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제어하는 전압 제어방식을 채용한 액정 표시장치 및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경우, 신호선들의 저항차로 인해 동일한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은 화소들이 서로 다른 휘도의 빛을 방출함으로 인하여 화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선의 길이에 따른 저항 차를 감소시키고 구동 회로부에서 분기되는 배선그룹들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신호선들의 저항값을 안정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한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호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신호선들로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 회로부와, 상기 신호선들이 적어도 두 개의 배선그룹으로 분기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로부터 상기 화소들로 연결되는 분기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배선그룹들 중 두 배선그룹의 경계에 위치한 신호선들 간의 단위길이당 저항 차는 상기 두 배선그룹 내에 포함된 인접 신호선들 간의 평균 저항 차 사이의 값으로 설정된 평판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두 배선그룹은 서로 인접한 화소들에 접속된다. 상기 두 배선그룹의 경계에 위치한 신호선들 간의 단위 길이당 저항 차는, 상기 신호선들이 포함된 각 배선그룹 내의 인접 신호선들 간 단위길이당 평균 저항 차를 평균 연산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선그룹들에 포함된 신호선들 중 동일한 배선그룹에 속한 인접 신호선 간의 단위길이당 저항 차는 상기 배선그룹 내에서 일정한 값을 갖는다. 상기 신호선들은, 상기 화소들로 각각 주사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로 각각 상기 주사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는 상기 주사선과 상기 데이터선 사이에 접속되는 액정 커패시터를 구비한다. 상기 화소는, 상기 주사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 및 액정 커패시터를 구비한다. 상기 화소는 상기 주사선과 상기 데이터선 사이에 접속되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다. 상기 화소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주사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되어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화소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화소회로는, 상기 주사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되는 제1 트랜지스터와, 제1 화소전원과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사이에 접속되는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판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동 회로부에서 분기되는 신호선들의 확대 배치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신호선들에는 평판 표시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선들이 포함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신호선들이 액정 표시장치 또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이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판 표시장치는 신호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화소들(115)을 포함하는 표시부(110)와, 상기 신호선들로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 회로부(120)와, 상기 신호선들이 적어도 두 개의 배선그룹(G)으로 분기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120)로부터 상기 화소들(115)로 연결되는 분기영역(A)을 포함한다.
표시부(110)는 주사선들(S) 및 데이터선들(D)의 교차부에 위치되는 화소들(115)을 포함한다. 화소들(115)은 주사선들(S)로부터 공급되는 주사신호에 의해 선택되어 데이터선들(D)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빛을 방출한다.
구동 회로부(120)는 주사선들(S)로 주사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122, 122')와, 데이터선들(D)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 부(125)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사 구동부(122, 122')는 도시되지 않은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주사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주사선들(S)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데이터 구동부(125)의 양측에 구비된 두 개의 주사 구동부(122, 122')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주사 구동부에서 모든 주사선들(S)로 주사신호를 공급할 수도 있다.
데이터 구동부(125)는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구동 제어신호 및 데이터에 대응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데이터 구동부(125)에서 생성된 데이터신호는 주사신호와 동기되도록 데이터선들(D)로 공급되어 화소(115)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 구동 회로부(120)는 주사선들(S) 및 데이터선들(D)의 일측 단부에 공통적으로 접속된다. 단, 일반적으로 구동 회로부(120)는 표시부(110)가 형성되는 표시패널(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되거나, 혹은 패드부(미도시) 등을 통해 표시패널(100)과 접속되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에 위치된다.
따라서, 주사선들(S) 및 데이터선들(D)의 일측 단은 좁은 영역에 밀집되어 구동 회로부(120)에 연결되게 된다. 이에 비해, 화소들(115)이 형성되는 표시부(110)에서는 각각의 주사선들(S) 및 데이터선들(D)이 화소(110)의 크기에 따라 정해지는 간격을 유지해야 하므로, 구동 회로부(120)와 연결되는 단부에 비하여 인접 주사선들(S) 및/또는 데이터선들(D) 간의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표시부(110)와 구동 회로부(120) 사이의 영역에서는 주사선들(S) 및/또는 데이터선들(D) 사이의 간격이 부챗살 모양으로 점점 넓어지거나, 혹은 일부 주사선들(S) 및/또는 데이터선들(D)끼리 배선그룹(G)을 형성하며 분기되는 분기영역(A)이 존재하게 된다. 즉, 분기영역(A)에는 주사선들(S) 및/또는 데이터선들(D)이 적어도 두 개의 배선그룹(G)으로 분기되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기영역(A)의 중앙부에 위치한 신호선들, 예를 들어, 표시부(110)의 중앙부에 위치한 화소들(115)에 연결되는 데이터선들(D)은 방향 변화없이 거의 직진하지만, 분기영역(A)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신호선들이 꺾이는 각도가 커진다.
특히, 분기영역(A)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주사선들(S)의 경우, 배선그룹(G) 별로 주사선들(S)이 꺾이는 각도가 상이해 배선그룹(G) 간 주사선들(S)의 길이가 서로 달라짐은 물론, 동일한 배선그룹(G) 내에서도 분기영역(A)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주사선들(S)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각 화소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제어하는 전압 제어방식을 채용하는 평판 표시장치의 경우, 신호선들의 길이 차에 따른 저항값이 상이해짐으로 인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공급받는 화소들(115)이 서로 다른 휘도의 빛을 방출해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구동 방식의 액정 표시장치 또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경우, 주사선들(S) 및/또는 데이터선들(D)로 동일한 전압레벨을 갖는 주사신호 및/또는 데이터신호가 공급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신호선들의 저항 차에 따라 신호가 전달되는 동안 상이한 크기의 전압 강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화소 들(115)로 전달되는 주사신호 및/또는 데이터신호의 전압 레벨이 상이해져 화소들(115)이 서로 다른 휘도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부(110)에서 표시되는 화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분기영역(A)에서 분기되는 신호선들의 길이에 따라 선 폭 등을 조절함에 의하여 이들이 유사한 저항값을 가지도록 등저항 설계를 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신호선들의 길이를 선 폭으로 나눈 값이 일정한 값이 되도록 선 폭을 조절함에 의하여 주사선들(S) 및/또는 데이터선들(D)이 유사한(이상적으로는 동일한) 저항값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일부 신호선, 특히 배선그룹(G)들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신호선의 저항값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신호선들을 형성하는 경우, 신호선들의 단위길이당 저항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신호선들을 형성하는 경우, 신호선들의 단위길이당 저항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도 2와 결부하여 신호선들의 길이 차를 고려한 등저항 설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신호선들의 저항 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각 신호선이 형성되는 길이를 고려해 신호선의 폭을 설정한다. 따라서, 신호 선별로 단위 길이당 저항값이 상이하게 설정된다.
여기서, 배선그룹들(G), 즉 a 배선그룹(Ga) 내지 f 배선그룹(Gf)에 속한 신호선들 중 동일한 배선그룹(G)에 속한 신호선들은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동일한 배선그룹(G)에 속한 인접 신호선 간의 단위길이당 저항값의 차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그룹(G) 별로 일정한 값을 갖는다.
그리고, 배선그룹들(G)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신호선들의 경우, 등저항 설계를 위하여 각 배선그룹(G)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신호선들의 저항비가 일정한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선의 길이 및 폭을 고려하여 신호선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배선그룹(Ga)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신호선(Sa, 이하, 제1 신호선이라 함)과, b 배선그룹(Gb)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신호선(Sb, 이하, 제2 신호선이라 함)의 전체 저항비가 0.99~1.01:1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배선그룹들(G) 별로 신호선들의 길이 차이가 크므로 이와 같이 저항비를 일정한 범위 내로 맞추는 과정에서, 신호선들의 폭에 대한 조절 폭이 증가된다. 이로 인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그룹들(G)의 경계 부분에서 단위길이당 저항 차에 대한 편차가 커져 신호선들의 저항값이 불안정해진다.
특히, c 배선그룹(Gc)과 d 배선그룹(Gd)의 경우, 신호선들이 형성되는 경로가 상이해 두 배선그룹(G) 간의 신호선의 길이 차가 커서 그 선 폭이 상대적으로 큰 편차를 갖도록 설정된다. 즉, 두 배선그룹(G) 간의 단위길이당 저항 차에 대한 편차가 상이한 반면, 이들의 경계에 있는 신호선들이 서로 인접한 화소들(115)에 접속되므로, 표시부(110)에서 줄얼룩이 발생하는 등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그룹들(G)의 가장자리, 즉 배선그룹들(G) 간의 경계에 위치한 신호선들 간의 단위길이당 저항 차는, 서로 인접한 화소들(115)에 접속되는 두 배선그룹(G) 내에 포함된 인접 신호선들 간 평균 저항 차 사이의 값, 특히, 이들 두 배선그룹(G)의 평균 저항 차를 평균 연산하여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인접한 화소들(115)에 접속되는 두 배선그룹(G)들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신호선들 간의 저항 차를, 신호선들이 속한 각 배선그룹(G)의 평균 저항 차의 사이값으로 설정함에 의하여 저항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신호선들의 길이에 따른 저항 차를 감소시킴은 물론, 배선그룹들(G)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신호선들의 저항값을 안정적으로 설계하여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각 배선그룹(G)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신호선들의 전체 저항비를 일정 범위 내로 맞추기 위하여 이들을 모두 계산할 필요없이, 인접하는 두 배선그룹(G)의 각 배선그룹(G) 내의 두 저항 차를 평균 연산하여 이들 사이의 저항차를 설정함으로써, 작업이 단순해지고 설계의 효율이 증대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평판 표시장치가 수동형 액정 표시장치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n 주사선(Sn) 및 제m 데이터선(Dm)과 접속된 화소를 도시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소(115)는 주사선(Sn)과 데이터선(Dm) 사이에 접속되는 액정 커패시터(Clc)를 구비한다.
액정 커패시터(Clc)는 주사선(Sn)과 데이터선(Dm) 사이의 액정을 등가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액정 커패시터(Clc)는 주사선(Sn)과 데이터선(Dm)에 공급되는 전압 차에 대응하여 액정의 광 투과율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화소(115)가 구비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평판 표시장치는 데이터선들(D) 및 구동 회로부(120)가 형성된 하부기판과, 패드부(미도시)를 통해 하부기판의 구동 회로부(120)와 연결되는 주사선들(S)이 형성된 상부기판과,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평판 표시장치가 능동형 액정 표시장치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n 주사선(Sn) 및 제m 데이터선(Dm)과 접속된 화소를 도시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소(115')는 주사선(Sn)과 데이터선(Dm)에 접속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와, TFT와 접속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액정 커패시터(Clc)를 구비한다.
TFT의 제1 전극은 데이터선(Dm)에 접속되고, 제2 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액정 커패시터(Clc)의 일 전극에 접속된다. 여기서, TFT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서로 다른 전극으로, 예를 들어, 제1 전극이 드레인 전극이면 제2 전극은 소스 전극이다. 그리고, TFT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Sn)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TFT는 주사선(Sn)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데이터선(Dm)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로 공급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TFT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압을 한 프레임 동안 유지한다.
액정 커패시터(Clc)는 TFT의 제2 전극과 접속되는 화소전극(미도시)과 공통전극(미도시) 사이의 액정을 등가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액정 커패시터(Clc)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여 액정의 광 투과율을 제어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화소(115')의 구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화소(115')의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TFT가 포함되도록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소(115')가 구비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평판 표시장치는 다수의 데이터선(D), 주사선(S), TFT,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액정 커패시터(Clc)의 화소전극, 및 구동 회로부(120)가 형성된 하부기판과, 액정 커패시터(Clc)의 공통전극이 형성된 상부기판과,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평판 표시장치가 수동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n 주사선(Sn) 및 제m 데이터선(Dm)과 접속된 화소를 도시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소(115")는 주사선(Sn)과 데이터선(Dm) 사이에 접속되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OLED)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OLED)는 자신의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공급되는 주사신호에 의해 선택되어, 자신의 애노드 전극으로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화소(115")가 구비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평판 표시장치는 주사선들(S), 데이터선들(D),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들(OLED), 및 구동 회로부(120)가 형성된 하부기판과, 유기전계발광 다이드들(OLED)이 형성된 표시부(110)를 밀봉하도록 형성된 상부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평판 표시장치가 능동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n 주사선(Sn) 및 제m 데이터선(Dm)과 접속된 화소를 도시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화소(115"')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OLED)와, 데이터선(Dm) 및 주사선(Sn)에 접속되어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OLED)를 제어하는 화소회로(112)를 구비한다.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은 화소회로(112)에 접속되고, 캐소드 전극은 제2 화소전원(ELVSS)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OLED)는 화소회로(11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대응하는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화소회로(112)는 주사선(Sn)에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선(Dm)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하여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화소회로(112)는 주사선(Sn) 및 데이터선(Dm)에 접속되는 제1 트랜지스터(M1)와, 제1 화소전원(ELVSS)과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2 트랜지스터(M2)와, 제2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구비한다.
제1 트랜지스터(M1)의 제1 전극은 데이터선(Dm)에 접속되고, 제2 전극은 제2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전극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의 일 전극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1 트랜지스터(M1)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서로 다른 전극으로, 예를 들어, 제1 전극이 소스 전극이면 제2 전극은 드레인 전극이다. 그리고, 제1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Sn)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1 트랜지스터(M1)는 주사선(Sn)으로부터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데이터선(Dm)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로 공급한다. 이때,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충전한다.
제2 트랜지스터(M2)의 제1 전극은 제1 화소전원(ELVDD)에 접속되고, 제2 전극은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2 트랜지스터(M2)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값에 대응하여 제1 화소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OLED)를 경유하여 제2 화소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때,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2 트랜지스터(M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대응되는 빛을 생성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화소(115"')의 구조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화소(115"')의 구조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들이 포함되도록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소(115"')가 구비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평판 표시장치는 주사선들(S), 데이터선들(D), 화소들(115"')이 형성된 표시부(110), 및 구동 회로부(120)가 형성된 하부기판과, 표시부(110)를 밀봉하도록 형성된 상부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판 표시장치에 따르면, 신호선들의 길이에 따라 선 폭을 조절함으로써 저항 차를 감소시킴은 물론, 배선그룹들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신호선들의 저항값을 안정적으로 설계하여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각 배선그룹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신호선들의 전체 저항비를 일정 범위 내로 맞추기 위하여 이들을 모두 계산할 필요없이, 인접하는 두 배선그룹의 각 배선그룹 내의 두 저항 차를 평균 연산하여 이들 사이의 저항차를 설정함으로써, 작업이 단순해지고 설계의 효율이 증대된다.

Claims (11)

  1. 신호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신호선들로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 회로부와,
    상기 신호선들이 적어도 두 개의 배선그룹으로 분기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로부터 상기 화소들로 연결되는 분기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배선그룹들 중 두 배선그룹의 경계에 위치하며 서로 다른 배선그룹에 포함된 두 개의 신호선들 간의 단위길이당 저항 차는, 상기 두 배선그룹 각각의 내부에서 인접 신호선들 간에 일정하게 설정되는 단위길이당 두 평균 저항 차의 사이값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신호선들의 선폭이 조절된 평판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배선그룹은 서로 인접한 화소들에 접속되는 평판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신호선들 간의 단위 길이당 저항 차는, 상기 두 평균 저항 차를 평균 연산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들은, 상기 화소들로 각각 주사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을 포함하는 평판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로 각각 상기 주사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상기 주사선과 상기 데이터선 사이에 접속되는 액정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상기 주사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 및 액정 커패시터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상기 주사선과 상기 데이터선 사이에 접속되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주사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되어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화소회로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회로는,
    상기 주사선 및 데이터선에 접속되는 제1 트랜지스터와,
    제1 화소전원과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 사이에 접속되는 제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접속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
KR1020070022940A 2007-03-08 2007-03-08 평판 표시장치 KR100851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940A KR100851197B1 (ko) 2007-03-08 2007-03-08 평판 표시장치
US11/858,384 US8446555B2 (en) 2007-03-08 2007-09-20 Flat pane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940A KR100851197B1 (ko) 2007-03-08 2007-03-08 평판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1197B1 true KR100851197B1 (ko) 2008-08-08

Family

ID=3988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940A KR100851197B1 (ko) 2007-03-08 2007-03-08 평판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46555B2 (ko)
KR (1) KR100851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6273B2 (en) 2013-08-30 2016-08-02 Silicon Works Co., Lt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and source driver IC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584B1 (ko) 2008-01-22 2014-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4775408B2 (ja) * 2008-06-03 2011-09-2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における配線のレイアウト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482627B1 (ko) * 2010-06-07 2015-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459365B (zh) * 2012-03-29 2014-11-01 Ili Technology Corp Display device and scan driver
KR20130117302A (ko) * 2012-04-18 2013-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안경형 디스플레이
US9087492B2 (en) * 2012-04-23 2015-07-21 Au Optronics Corporation Bus-line arrangement in a gate driver
CN103377626A (zh) * 2012-04-26 2013-10-30 奕力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扫描驱动器
CN104380367B (zh) * 2012-07-20 2017-03-08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US9773076B2 (en) * 2014-05-19 2017-09-2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Conductive lines in circuits
CN104835473A (zh) * 2015-06-01 2015-08-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9448566A (zh) * 2018-09-27 2019-03-0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10127283A (ko) * 2020-04-13 2021-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533374B (zh) * 2020-11-09 2024-03-01 安徽芯瑞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平衡显示用背光pcb板线路电压损耗电路设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744A (ko) * 2003-06-12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6284B2 (ja) * 2002-07-17 2007-11-14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KR20040087452A (ko) 2003-04-08 2004-10-14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 모듈
JP4432852B2 (ja) * 2005-07-11 2010-03-17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281867B1 (ko) * 2006-06-29 2013-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744A (ko) * 2003-06-12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6273B2 (en) 2013-08-30 2016-08-02 Silicon Works Co., Lt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and source driver 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303776A1 (en) 2008-12-11
US8446555B2 (en) 201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197B1 (ko) 평판 표시장치
KR101944645B1 (ko) Amoled의 전압강하 보상방법
US766357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13090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
JP4188930B2 (ja) 発光表示装置
KR102192722B1 (ko) 표시장치
KR101769499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US10276090B2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correcting voltage drop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0828513B1 (ko) 유기전계발광 패널과 이를 갖는 유기전계발광 장치
KR20070072142A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20000205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080013281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60007786A (ko) 표시장치
KR20100057067A (ko) 발광 소자 회로 및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US10699655B2 (en)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and gate driver circuit
KR20140042183A (ko) 표시장치
KR101213937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JP4210244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KR20080060967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150200241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0741970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948623B1 (ko) 유기전계발광 패널과,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0784015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71229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322151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