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015B1 - 석재 절단용 장치 - Google Patents
석재 절단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1015B1 KR100851015B1 KR1020070118684A KR20070118684A KR100851015B1 KR 100851015 B1 KR100851015 B1 KR 100851015B1 KR 1020070118684 A KR1020070118684 A KR 1020070118684A KR 20070118684 A KR20070118684 A KR 20070118684A KR 100851015 B1 KR100851015 B1 KR 1008510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
- wheel portion
- stone
- plate
- wire sa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saw-blades of endless cutter-type, e.g. chain saws, i.e. saw chains, strap sa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 절단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휠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일측휠부와, 상기 일측휠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휠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타측휠부로 이루어지는 휠부와; 상기 휠부의 일측휠부와 타측휠부의 내부에 각각 축고정되는 휠의 외주연에 분리가능하게 감겨지고,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의 휠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 사이에 위치하는 석재를 절단하는 와이어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휠부 중 일측휠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소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소의 장력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가 보다 용이하게 상하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일측휠부가 보다 용이하게 좌우이동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 사이에 위치하는 석재가 원기둥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절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프레임, 휠부, 와이어소
Description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석재 절단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휠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일측휠부와, 상기 일측휠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휠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타측휠부로 이루어지는 휠부와; 상기 휠부의 일측휠부와 타측휠부의 내부에 각각 축고정되는 휠의 외주연에 분리가능하게 감겨지고,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의 휠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 사이에 위치하는 석재를 절단하는 와이어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휠부 중 일측휠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소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용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소의 장력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가 보다 용이하게 상하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일측휠부가 보다 용이하게 좌우이동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 사이에 위치하는 석재가 원기둥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절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석재(石材)란 건축ㆍ토목 기타 제작에 사용되는 돌로, 구조용으로보다는 장식용으로 많이 사용되는데, 외관이 장중ㆍ미려하고 마모ㆍ풍화에 강하며, 최근 가공기계의 발달에 따라 점차 그 이용이 증가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석재는 일정크기로 절단되어 건축물이나 구조물에 배치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석재를 수직으로 절단하는 수직절단장치를 사용하여 석재를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절단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수직절단장치는 통상적으로 4각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1개씩 장착된 휠과; 상기 휠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와; 상기 휠의 외주연에 감겨지고, 휠의 회전방향으로 수평이동하여 석재를 절단하는 와이어톱과; 상기 휠을 구동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하강부재에 의해 승하강운동하는 상기 휠을 따라 상기 와이어톱이 승하강되어 석재를 수직으로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와이어톱이 석재, 특히 고강도의 석재를 절단하다 보면 그 물리적 특성상 길이가 늘어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와이어톱이 석재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톱이 상기 승하강부재에 의해 수직으로만 승하강운동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석재를 절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와이어소의 장력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가 보다 용이하게 상하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일측휠부가 보다 용이하게 좌우이동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 사이에 위치하는 석재가 원기둥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절단될 수 있는 석재 절단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휠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일측휠부와, 상기 일측휠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휠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타측휠부로 이루어지는 휠부와; 상기 휠부의 일측휠부와 타측휠부의 내부에 각각 축고정되는 휠의 외주연에 분리가능하게 감겨지고,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의 휠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 사이에 위치하는 석재를 절단하는 와이어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휠부 중 일측휠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소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용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구동부재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나사결합되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류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휠부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상기 일측휠부의 후면에 부착되는 몸체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상하이동판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가 좌우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몸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몸체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되는 에어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몸체의 내부 상측과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회전축의 단부에는 편심축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와이어소는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의 휠의 외주연에 감겨지 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로프상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소가 절단하는 석재를 안착지지하는 안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는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전후이동판과; 상기 전후이동판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석재를 안착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전후이동판상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어 석재를 회전시키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안착부의 전후이동판과 회전판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의 상하이동속도 및 상기 일측휠부의 좌우이동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휠부 중 일측휠부가 프레임의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와이어소의 장력을 조절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상기 와이어소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처럼 상기 와이어소가 석재를 절단하는 과정 중에 그 길이가 늘어나게 되더라도 상기 일측휠부를 좌우이동시켜 상기 와이어소를 팽팽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로 인해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가 보다 용이하게 상하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일측휠부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로 인해 상기 일측휠부가 보다 용이하게 좌우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몸체 내부 상측과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회전축의 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편심축으로 인해 상기 회전축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회전결합되는 롤러부가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가이드부에 밀착고정될 수 있게 되어 상기 롤러부와 상기 가이드부사이에 이격거리가 발생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소의 와이어로프상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더 구비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쉽게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호연결하여 석재를 절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 사이에 구비되는 안착부의 전후이동판상에 축고정되어 석재를 회전시키는 회전판이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안착판이 안착지지하는 석재가 상기 와이어소에 의해 원기둥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절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전후이동판과 상기 회전판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전후이동판과 상기 회전판이 보다 용이하게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의 상하이동속도와 상기 일측휠부의 좌우이동속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의 상하이동속도 및 상기 일측휠부의 좌우이동속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석재 절단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측휠부(310)가 프레임(100)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일측휠부(310)가 프레임(100)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좌우이동부재(550)에 의해 일측휠부(3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석재 절단용 장치는 크게, 프레임(100), 휠부(300) 및 와이어소(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휠부(300)가 설치되는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의 골격을 이루며, 일측과 타측에 상기 휠부(300)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휠부(300)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휠부(3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휠(도 7의 311)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일측휠부(310)와; 상기 일측휠부(31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휠(351)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타측휠부(3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에는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휠(311, 351)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덮개판(37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판(37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측이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의 타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위치고정됨으로써,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의 휠(311, 351)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는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는 상하이동부재(5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하이동부재(530)는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 및 타측 내부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하단이 서보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에 축결합되는 리드스크류(도 2의 531)와; 상기 리드스크류(531)와 나사결합되고, 후술할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는 상기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53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리드스크류(531)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상하이동하여 상기 일측휠부(310) 및 타측휠부(35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판(도 2의 5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드스크류(531)의 양측에는 상기 상하이동판(533)과 축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상하이동판(533)이 좌우방향으로 요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가이드봉(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하이동부재(530)로 인해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가 보다 용이하게 상하이동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단, 상기 상하이동부재(530)가 반드시 상기 리드스크류(531)와 상기 상하이동판(533)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를 보다 용이하게 상하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상기 휠부(30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과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소(500)는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 사이에 위치하는 석재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휠 부(300)의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의 내부에 각각 축고정되는 휠(311, 351)의 외주연에 분리가능하게 감겨진다.
여기서,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의 휠(311, 351)은 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휠(311, 351)의 외주연에 분리가능하게 감겨진 상기 와이어소(500) 또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하여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 사이에 위치하는 석재를 절단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소(50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 사이에 위치하는 석재를 절단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한편, 상기 휠부(300) 중 일측휠부(310)는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소(500)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일측휠부(310)는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좌우이동부재(55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이동부재(55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휠부(313)의 후면에 부착되는 몸체(553)와; 상기 상하이동부재(530)의 상하이동판(533)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553)가 좌우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부(555)와; 상기 몸체(553)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몸체(553)가 상기 가이드부(555)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되는 에어실린더(5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상기 좌우이동부재(550)가 반드시 상기 몸체(553), 가이드부(555) 및 에어실린더(557)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일측휠부(31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553)의 내부 상측과 하측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회전축(553a)이 축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553a)상에는 상기 가이드부(555)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돌출부(555a)가 안착되는 롤러부(553b)가 회전결합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롤러부(553b)는 상기 몸체(553)가 후면에 부착되는 상기 일측휠부(310)의 무게를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 돌출부(555a)가 상기 롤러부(553b)에 보다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롤러부(553b)상에는 상기 돌출부(553b)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홈(도 5 및 도 6의 553c)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에어실린더(557)의 일단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553)의 상측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553)가 상기 가이드부(555)에 좌우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시 상기 가이드부(555)의 돌출부(555a)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고정판(553d)에 연결된다.
또한, 볼트 등의 고정부재(570)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실린더(557)상에 구비되는 판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부(555)에 삽입고정됨으로써, 상기 에어실린더(557)가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좌우이동부재(550) 의 에어실린더(557)의 길이가 도 3 및 도 4에서 선택적으로 신장될 경우 상기 일측휠부(310)의 후면에 부착된 상기 몸체(553)가 상기 가이드부(555)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좌우이동부재(550)로 인해 상기 일측휠부(310)가 보다 용이하게 좌우이동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단, 상기에서는 상기 좌우이동부재(550)가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휠부(31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술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좌우이동부재(550)가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과 타측 모두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 모두를 각각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좌우이동부재(550)의 몸체(553)의 내부 상측과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외주연에 상기 롤러부(553b)가 회전결합되는 상기 회전축(553a)의 단부에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심축(553e)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편심축(553e)의 단부에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부(553f)가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부(553f)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편심축(553e) 및 상기 회전축(553a)은 상기 회전부(553f)를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편심축(553e)의 단부에 형성된 회전부(553a)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553)에 삽입고정되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570)로 인해 상기 편심축(553e) 및 상기 회전축(553a)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편심축(553e) 및 상기 회전축(553a)이 상기 회전부(553f)를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회전축(553a) 사이의 거리(도 6의 L1)는 좁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축(553a) 사이의 거리(L1)가 좁아지게 될 경우 상기 회전축(553a)의 외주연에 회전결합된 롤러부(553b)가 상기 좌우이동부재(550)의 가이드부(555)에 밀착고정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좌우이동부재(550)의 몸체(553) 내부 상측과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회전축(553a)의 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편심축(553e)으로 인해 상기 회전축(553a)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회전축(553a)의 외주연에 회전결합되는 롤러부(553b)가 상기 좌우이동부재(550)의 가이드부(555)에 밀착고정될 수 있게 되어 상기 롤러부(553b)와 상기 가이드부(555)사이에 이격거리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일측휠부(3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와이어소(500)의 장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소(500)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의 휠(311, 315)의 외주연에 감겨지는 와이어로프(510)와; 상기 와이어로프(510)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석재(10)를 절단하는 비드(5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와이어로프(510)상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513)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513)는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와이어로프(51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결합부재(515)와, 상기 제 1결합부재(515)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로프(510)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 2결합부재(517)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작업자는 드릴머신 등을 사용하여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 사이에 위치하는 석재(10)에 관통구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로프(510)의 일단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를 지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와이어로프(510)의 일단에 구비되는 상기 제 1결합부재(515)가 상기 와이어로프(510)의 타단에 구비되는 상기 제 2결합부재(517)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결합부재(515)의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상기 제 2결합부재(517)의 내주연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회전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결합부재(515)가 상기 제 2결합부재(517)에 보다 용이하게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소(500)의 와이어로프(510)상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재(513)가 더 구비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쉽게 상기 와이어로프(510)를 상호 연결하여 석재를 절단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상술한 상기 좌우이동부재(550)에 의해 상기 일측휠부(310)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느슨한 상태로 있던 상기 와이어소(500)는 팽팽해지게 된다.
즉, 상기 좌우이동부재(55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상기 일측휠부(310)로 인해 상기 와이어소(500)의 장력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와이어소(500)가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의 휠(311, 351)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상태에서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가 앞서 상술한 상기 상하이동부재(5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와이어소(50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 사이에 위치하는 석재(10)를 수직방향으로 절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소(500)가 절단하는 석재(10)를 안착지지하는 안착부(7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 다.
도 10은 안착부(700)의 전후이동판(710)에서 회전판(750)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 - B선에 따른 저면도이고, 도 12는 전후이동판(710)상에 회전판(750)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안착부(700)의 전후이동판(710)이 석재(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부(700)는 도 9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전후이동판(710)과; 상기 전후이동판(71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석재(10)를 안착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전후이동판(710)상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어 석재(10)를 회전시키는 회전판(7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후이동판(710)은 상기 전후이동판(7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전후이동부재(도 9의 715)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전후이동부재(715)는 상기 전후이동판(71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는 서보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에 축결합되는 리드스크류(717)와; 상기 리드스크류(717)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전후이동판(710)의 하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리드스크류(717)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전후이동판(710)이 좌우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봉(719);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는 서보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부재(715)의 리드스크류(717)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전후이동판(710)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후이동판(710)이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 사이에 위치하는 석재(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 사이에 위치하는 석재(10)를 수직으로 절단하는 상기 와이어소(500)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석재(10)를 수평방향(도 13의 점선)으로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형형상으로 일정한 궤적을 그리면서 석재(10)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이동판(710)의 상부 중심부에 형성되는 홈(711)에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750)의 하부 중심부에 형성되는 축(755)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750)의 중심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벽에 기어치(757a)가 형성된 일정깊이의 홈(757)이 형성되는데, 상기 홈(757)의 내측벽에 형성된 기어치(757a)에는 상기 전후이동판(7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서보모터 등의 구동부재(730)의 구동축(731)에 구비된 기어(733)가 맞물림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전후이동판(7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서보모터 등의 구동부재(730)의 구동축(731)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판(750)의 홈의(757) 내측벽에 형성된 기어치(757a)에 맞물림결합된 기어(733) 또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판(750)을 좌 우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750)이 보다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후이동판(710)상에는 도 10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750)을 안착지지하는 롤러부(713)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판(75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서보모터 등의 구동부재(730)의 구동축(731)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감속기가 서보모터 등의 구동부재(730)과 인접한 거리에 설치되는 것이 더욱 좋다.
도 14는 와이어소(500)가 석재(10)를 원기둥 형상으로 절단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와이어소(500)가 석재(10)를 다각형 형상으로 절단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안착부(700)의 전후이동판(710)과 회전판(750)은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안착부(70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여 상기 전후이동판(710)과 상기 회전판(7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구비되는 ON/OFF스위치부의 상태를 ON상태로 조작한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전후이동부재(715)의 리드스크류(717)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서보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후이동판(71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 시에 상기 전후이동판(7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서보모터 등의 구동부재(73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회전판(750)이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의 상하이동속도 및 상기 일측휠부(310)의 좌우이동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상하이동부재(530)의 리드스크류(53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서보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5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의 상하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좌우이동부재(550)의 에어실린더(557)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일측휠부(310)의 좌우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판(710)과 상기 회전판(750)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전후이동판(710)과 상기 회전판(750)이 보다 용이하게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의 상하이동속도와 상기 일측휠부(310)의 좌우이동속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상기 일측휠부(310)와 타측휠부(350)의 상하이동속도 및 상기 일측휠부(310)의 좌우이동속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회전판(750)이 연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하거나 간헐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회전판(750)이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소(5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소(500)가 석재(10)를 원기둥 형상으로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회전판(750)이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소(5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소(500)가 석재(10)를 오각, 육각, 팔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휠부(300) 중 일측휠부(310)가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와이어소(500)의 장력을 조절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상기 와이어소(5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처럼 상기 와이어소(500)가 석재(10)를 절단하는 과정 중에 그 길이가 늘어나게 되더라도 상기 일측휠부(310)를 좌우이동시켜 상기 와이어소(500)를 팽팽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석재 절단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측휠부가 프레임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일측휠부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좌우이동부재에 의해 일측휠부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일측휠부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와이어소의 장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일측휠부와 타측휠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안착부의 전후이동판에서 회전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 - B선에 따른 저면도이고,
도 12는 전후이동판상에 회전판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안착부의 전후이동판이 석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개 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와이어소가 석재를 원기둥 형상으로 절단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와이어소가 석재를 다각형 형상으로 절단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석재, 100; 프레임,
300; 휠부, 310; 일측휠부,
311, 351; 휠, 350; 타측휠부,
370; 덮개판, 500; 와이어소,
510; 와이어로프, 513; 결합부재,
515; 제 1결합부재, 517; 제 2결합부재,
519; 비드, 530; 상하이동부재,
531, 717; 리드스크류, 533; 상하이동판,
550; 좌우이동부재, 553; 몸체,
553a; 회전축, 553b, 713; 롤러부,
553d; 고정판, 553c; 안착홈,
553e; 편심축, 553f; 회전부,
555; 가이드부, 555a; 돌출부,
557; 에어실린더, 570; 고정부재,
700; 안착부, 710; 전후이동판,
711, 757; 홈, 715; 전후이동부재,
719; 가이드봉, 730; 구동부재,
731; 구동축, 733; 기어,
750; 회전판, 755; 축,
757a; 기어치.
Claims (7)
- 프레임과;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휠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일측휠부와, 상기 일측휠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휠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타측휠부로 이루어지는 휠부와;상기 휠부의 일측휠부와 타측휠부의 내부에 각각 축고정되는 휠의 외주연에 분리가능하게 감겨지고,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의 휠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 사이에 위치하는 석재를 절단하는 와이어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휠부 중 일측휠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소의 장력을 조절하고,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소가 절단하는 석재를 안착지지하는 안착부가 더 구비되고,상기 안착부는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전후이동판과; 상기 전후이동판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석재를 안착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전후이동판상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어 석재를 회전시키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지고,상기 안착부의 전후이동판과 회전판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의 상하이동속도 및 상기 일측휠부의 좌우이동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용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가 더 구비되고,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구동부재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나사결합되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류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 동하여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용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일측휠부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가 더 구비되고,상기 좌우이동부재는 상기 일측휠부의 후면에 부착되는 몸체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상하이동판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가 좌우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몸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몸체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가 선택적으로 신장되는 에어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용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좌우이동부재의 몸체의 내부 상측과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회전축의 단부에는 편심축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용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와이어소는 상기 일측휠부와 타측휠부의 휠의 외주연에 감겨지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상기 와이어로프상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용 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8684A KR100851015B1 (ko) | 2007-11-20 | 2007-11-20 | 석재 절단용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8684A KR100851015B1 (ko) | 2007-11-20 | 2007-11-20 | 석재 절단용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51015B1 true KR100851015B1 (ko) | 2008-08-12 |
Family
ID=3988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8684A KR100851015B1 (ko) | 2007-11-20 | 2007-11-20 | 석재 절단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1015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2524B1 (ko) * | 2013-11-07 | 2015-03-13 | (주) 진우테크 | 다이아몬드 와이어 톱을 이용한 절단장치 |
CN105291281A (zh) * | 2015-11-02 | 2016-02-03 | 哈密市祥昊工贸有限公司 | 珍珠岩保温板胚多片切割机 |
KR101710277B1 (ko) * | 2015-09-18 | 2017-02-27 | 박원용 | 석재 가공장치 |
KR101859915B1 (ko) | 2016-08-17 | 2018-05-21 | 김민정 | 주조물에 형성된 불용물 제거장치 |
KR102254672B1 (ko) * | 2020-12-16 | 2021-05-20 | 양해진 | 자동 커팅장치 |
KR102614758B1 (ko) | 2023-04-13 | 2023-12-14 | 오춘단 | 석재 절단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84718A (ja) * | 1989-12-13 | 1991-08-12 | Kenichi Horio | 石材用ワイヤーソーにおけるダイヤモンドチップの片減り防止構造 |
JPH03184716A (ja) * | 1989-12-12 | 1991-08-12 | Mitsubishi Materials Corp | ワイヤソー |
JPH1076515A (ja) * | 1996-09-02 | 1998-03-24 | Tawara Sekizaiten:Kk | 石材等の硬質材切断方法及び装置 |
KR200385536Y1 (ko) * | 2005-03-04 | 2005-05-31 | 김만영 | 석재 수직 절단용 와이어톱 장착장치 |
JP2006346851A (ja) | 2005-05-16 | 2006-12-28 | Allied Material Corp | ワイヤーソー |
-
2007
- 2007-11-20 KR KR1020070118684A patent/KR10085101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84716A (ja) * | 1989-12-12 | 1991-08-12 | Mitsubishi Materials Corp | ワイヤソー |
JPH03184718A (ja) * | 1989-12-13 | 1991-08-12 | Kenichi Horio | 石材用ワイヤーソーにおけるダイヤモンドチップの片減り防止構造 |
JPH1076515A (ja) * | 1996-09-02 | 1998-03-24 | Tawara Sekizaiten:Kk | 石材等の硬質材切断方法及び装置 |
KR200385536Y1 (ko) * | 2005-03-04 | 2005-05-31 | 김만영 | 석재 수직 절단용 와이어톱 장착장치 |
JP2006346851A (ja) | 2005-05-16 | 2006-12-28 | Allied Material Corp | ワイヤーソー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2524B1 (ko) * | 2013-11-07 | 2015-03-13 | (주) 진우테크 | 다이아몬드 와이어 톱을 이용한 절단장치 |
KR101710277B1 (ko) * | 2015-09-18 | 2017-02-27 | 박원용 | 석재 가공장치 |
CN105291281A (zh) * | 2015-11-02 | 2016-02-03 | 哈密市祥昊工贸有限公司 | 珍珠岩保温板胚多片切割机 |
KR101859915B1 (ko) | 2016-08-17 | 2018-05-21 | 김민정 | 주조물에 형성된 불용물 제거장치 |
KR102254672B1 (ko) * | 2020-12-16 | 2021-05-20 | 양해진 | 자동 커팅장치 |
KR102614758B1 (ko) | 2023-04-13 | 2023-12-14 | 오춘단 | 석재 절단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51015B1 (ko) | 석재 절단용 장치 | |
KR100886250B1 (ko) | 플라스틱 배수관의 구멍 천공장치 | |
KR200385536Y1 (ko) | 석재 수직 절단용 와이어톱 장착장치 | |
CN113211612B (zh) | 一种蒸压加气混凝土砌块aac-b生产用可防切缝粘连的分切装置 | |
CN111015968B (zh) | 一种建筑外墙装饰干挂石材加工处理机械 | |
CN102438797A (zh) | 线锯 | |
KR101722254B1 (ko) | 와이어 커팅장치 | |
KR101221370B1 (ko) | 파이프 절단장치 | |
KR102520884B1 (ko) | 로봇 다이아몬드 쏘우 | |
CN107745451A (zh) | 金刚石绳锯机 | |
US20070137456A1 (en) | Vertical saw machine | |
KR200493344Y1 (ko) | 와이어 쏘를 이용한 절단장치 | |
JP6634280B2 (ja) | ワイヤーソー工法及び装置 | |
KR20120000861U (ko) | 목재패널 절단장치 | |
KR102248782B1 (ko) | 파이프 서포트의 수평재 용접장치 | |
KR102351727B1 (ko) | 벽체를 절단하기 위한 지능형 커팅기 | |
CN207897456U (zh) | 一种球形绿篱自动修剪装置 | |
CN109160385A (zh) | 一种可适用不同宽度的布匹卷筒 | |
KR101710277B1 (ko) | 석재 가공장치 | |
KR100611308B1 (ko) | 강관말뚝 절단기 | |
KR20130001366A (ko) | 경계석 포장 장치 | |
CN207594092U (zh) | 金刚石绳锯机 | |
JPH07227833A (ja) | 切断装置 | |
CN218488668U (zh) | 一种混凝土振捣装置 | |
CN220767536U (zh) | 一种自动裁布穿管设备的裁布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